KR20190004030A - A control box - Google Patents
A control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4030A KR20190004030A KR1020170084046A KR20170084046A KR20190004030A KR 20190004030 A KR20190004030 A KR 20190004030A KR 1020170084046 A KR1020170084046 A KR 1020170084046A KR 20170084046 A KR20170084046 A KR 20170084046A KR 20190004030 A KR20190004030 A KR 20190004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ntrol box
- wire
- button
- connec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선박, 플랜트 등의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용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controlling heavy equipment such as a ship, a plant, and the like, .
컨트롤 박스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계가 전자 장비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박스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 박스는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장비들을 원격으로 조정 또는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trol box is a control box that allows the machine to remotely control electronic equipment, etc., in various industries. These control boxes consist of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remotely control or control the equipment while it is carried.
선박, 플랜트 및 공장 등에는 한 장소에 동일한 장비들이 다수개가 설치되어 운용되며 이들 장비 각각에는 제어를 위해 컨트롤 박스가 연결되어 있는데 장비 작업자는 개별적으로 컨트롤 박스를 휴대하면서 각각의 장비들을 제어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토로하고 있다.In ships, plants and factories, there are a lot of identical equipments installed in one place. Each of these equipments has a control box connected to it for controlling each equipment while carrying the control box individually. And the like.
동시에 여러 장비를 운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컨트롤 박스의 휴대가 불편하여 장비 제어에 애로사항이 있으며, 어떤 하나의 컨트롤 박스를 조작한 다음 다른 컨트롤 박스를 조작하면서 어떤 하나의 컨트롤 박스를 방치시키게 되어 손망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 difficulty in control of the equipmen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control box at the same time when operating various equipment at the same time. Since one control box is manipulated and then another control box is manipula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물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 다수개 각각을 조작이 편리하게끔 임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된 상태 그대로 작업자의 신체나 목적개소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는 있지만, 여전히 작업 중에 여러가지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박스 간의 결합이나 신체 및 목적개소에 고정된 컨트롤 박스라도 본래 지점에서 이탈하게 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Of cours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combine several control boxes temporarily for convenient operation, or to fix them to the body of the worker or to a target point in a combined state. However,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ven the control box fixed to the body or the target point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original point.
이때 작업자는 다수의 장비를 동시에 조작하는데 필요한 집중력 및 장비 또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게 되는 각종 소음 등으로 인하여 이탈된 컨트롤 박스를 눈치채지 못함으로써, 결국 방치로 인한 손망실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not notice the control box which has been detached due to the concentration power required to operate a plurality of equipments at the same time and various noises generated in equipment or work environment, so that the hand loss caused by neglect can not be avoid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trol box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inconvenience and problems.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컨트롤 박스 간의 결합 또는 신체 및 목적개소에 고정이 필요할 경우 컨트롤 박스의 결합 및 분리 유무를 즉시 알아낼 수 있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capable of immediately detecting whether a control box is engaged or disengaged when a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boxes or fixing of a body or a destination is required, It has its purpos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이 전면에 배치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제어용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포함된 케이스간연결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고정핀을 포함하는 릴부재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대가 포함된 외부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로 설치되는 눌림식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탈착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box including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for controlling the equipment, the control box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equipment by either wire or wireless, The case includes a case-to-case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e in a detachable form in the guide groove; A reel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wire and a fixing pin connected to the wire; 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xing tabl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And a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for detecting a coupled state of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an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pressed state of the button, including a press-fitted button provided between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an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끼움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간연결부 간의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에 눌림되고, 각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의 분리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제1 버튼과,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연결부 간의 결합 시 상기 고정핀에 눌림되고, 각 상기 외부연결부의 분리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may include a first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and pressed by the fitting protrusion when the inter-case connecting portions are engaged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inter-case connecting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button which is pushed by the fixing pin when the external connection par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each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rts is separated.
또한, 상기 탈착알림부는, 상기 제1,2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2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전기 신호를 감지하며, 각 감지 정보를 서로 다른 형태로 외부에 전달하는 알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to detect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depres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nd to output an alarm And a group.
상기 릴부재는, 상기 외장케이스 상부면의 좌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전후측 각각에 설치되며 전측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된 드럼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e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fixed to a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drum on which the wire is wound, and a drum shaft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um, .
또한, 상기 릴부재는, 상기 지지판 상부의 전후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측에 상기 삽입돌기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 각각의 상부를 연결하며, 중앙부에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고리가 설치된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el unit may include a supporter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movably support the drum shaft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jections are inserted in front, And a connecting ba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passes at a central portion.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컨트롤 박스 간의 결합 또는 신체 및 목적개소에 고정이 필요할 경우 컨트롤 박스의 결합 및 분리 유무를 즉시 알아낼 수 있어 컨트롤 박스가 본래의 지점에서 이탈할 경우에도 즉시 이를 알아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box is engaged or disengaged when it is necessary to fix each of the control boxes or the body and the target point, so that even when the control box is detached from the original point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nd out.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In addition,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not only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in terms of the effect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m and the possibility of provisional advantages contribut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at they will be included in a broader ra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컨트롤 박스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컨트롤 박스의 개별 내지 다수개로 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부재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부재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C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제1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제2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알림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dividually or in multiple.
4 is a plan view of a re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re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first button of the detachment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button of the detachment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process of the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meantime, the structure and details of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easi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briefly or omitted, and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or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컨트롤 박스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컨트롤 박스의 개별 내지 다수개로 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부재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부재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C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제1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제2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알림부의 알림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ree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in FIG. 5, and FIG. 7 is a cross-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in FIG. 5, FIG. 9 is a view showing a first button of the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notifica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process of the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은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이 전면에 배치된 케이스(10)를 포함하며, 제어용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콘트롤 박스를 탈착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신체나 목적개소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케이스(10)에 구현된 컨트롤 박스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box including 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스(10), 케이스간연결부(100), 외부연결부(200) 및 탈착알림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케이스(10)는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튼이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0)는 각각의 버튼이 설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전방케이스와, 전방케이스의 후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케이스로 이루어진다.The
다음으로 다수개의 컨트롤 박스를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의 케이스간연결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간연결부(100)는 끼움홈(110)과 끼움돌기(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Next,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100, which serves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trol boxes to one another, will be described. The case-to-case connecting portion 100 is formed to include the
우선 케이스(10)의 좌측면으로 케이스(10)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끼움홈(110)이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10)의 우측면에는 각각의 끼움홈(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120)가 형성된다. First, a plurality of
즉 끼움홈(110)와 끼움돌기(12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 다수개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끼움돌기(120) 각각의 전단부를 끼움홈(110) 후단부에 삽입시켜 끼움돌기(1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끼움돌기(120)가 끼움홈(110)을 타고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컨트롤 박스가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결합 구조이다. That is, the
다수개의 컨트롤 박스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된다면 조작자는 각각의 컨트롤 박스 우측면의 끼움돌기(120)를 각각의 컨트롤 박스 좌측면의 끼움홈(110)에 결합시켜 다수개의 컨트롤 박스를 휴대하면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If a plurality of control boxes are arrang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the operator connects the
이어서 컨트롤 박스를 작업자의 신체 또는 목적개소 등의 특정 지점에 고정해주는 역할의 외부연결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연결부(200)는 릴부재(210)와 고정대(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Next,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200, which serves to fix the control box to a specific point such as a body or a target point of an operator, will be describe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200 includes a
먼저 릴부재(210)는 케이스(10) 상부면의 정중앙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좌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핀(212)과 연결된 와이어(211)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대(220)는 릴부재(210)의 위치와 대칭되도록 케이스(10) 상부면의 정중앙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212)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First, the
이때 상기한 도면들과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부재(210)는 지지판(213), 드럼(214), 드럼축(215), 서포터(216) 및 연결바(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o 8, the
지지판(213)은 케이스(10) 상부면의 정중앙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좌측에 고정되어 드럼(214), 드럼축(215), 서포터(216) 및 연결바(217)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214)은 와이어(211)가 권취 또는 권출 가능하게 감겨진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축(215)은 드럼(214)의 전후측 각각의 중앙에 설치되어 와이어(211)가 감김 또는 풀림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전측의 드럼축(215)은 후측의 드럼축(215)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측의 드럼축(215)의 외주면에는 외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돌기(215a)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216)는 지지판(213) 상부의 전후측 각각에 설치되어 각각의 드럼축(215)을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드럼축(215)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외경을 가지는 지지홀이 형성되며, 전측의 서포터(216)에 형성되는 지지홀에는 삽입돌기(215a)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21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217)는 서포터(216) 각각의 상부를 연결하며, 중앙부에 와이어(211)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관통고리(217a)가 설치된다.The
이와 같은 릴부재(210)의 구성으로 전측의 드럼축(215)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삽입홈(216a)으로부터 삽입돌기(215a)를 분리하여 드럼축(215)을 회전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핀(212)을 잡아당겨 와이어(211)를 필요한 길이만큼 풀어낼 수 있게 되며, 그 다음 전측의 드럼축(215)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삽입돌기(215a)를 삽입홈(216a)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와이어(2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와 함께 상기 고정대(220)의 상부면에는 고정핀(212)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221)은 고정대(220)의 상부면 전후방향의 중앙선 상을 중심으로 와이어(211)가 간섭되지 않으면서 핀(32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ㅗ"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핀(3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홀수개를 운용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부재(210)의 고정핀(212)을 잡아당긴 다음 와이어(211)를 필요한 길이만큼 풀어낸 다음 고정대(220)에 고정핀(212)을 고정시켜 목적개소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n odd number, the fix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 짝수개를 운용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배치된 컨트롤 박스 중 우측의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릴부재(210)의 고정핀(212)을 잡아당긴 다음 와이어(211)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좌측 컨트롤 박스의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고정대(220)에 고정핀(212)을 고정시킴으로써 목적개소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게 되는 간편 조작 방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when an even number of control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the fixing pins (not shown) of the
마지막으로 케이스간연결부(100)와 외부연결부(200)의 탈착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는 역할의 탈착알림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nally, the
탈착알림부(300)는 버튼(310)과 알람기(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버튼(310)은 케이스간연결부(100)의 끼움홈(110)에 설치되는 제1 버튼(311)과 외부연결부(200)의 고정대(220)에 형성된 고정홈(221)으로 설치되는 제2 버튼(312)로 이루어진다.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311)은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나 컨트롤 박스 간의 결합이 필요한 경우 끼움돌기(120)가 끼움홈(1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끼움돌기(120)에 의하여 눌림되어 완전히 케이스(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장비를 통한 작업이 끝나거나 컨트롤 박스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끼움돌기(120)가 끼움홈(110)에 분리되는 과정에서 눌림이 해제되어 다시 외부로 제1 버튼(311)의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이다. 9,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튼(312) 또한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나 외부의 일정 지점으로 고정이 필요한 경우 고정핀(212)이 고정홈(22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핀(120)에 의하여 눌림되어 완전히 케이스(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장비를 통한 작업이 끝나거나 고정을 해야할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고정핀(212)이 고정홈(221)에 분리되는 과정에서 눌림이 해제되어 다시 외부로 제2 버튼(312)의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이다. 10, a portion of the
이때 제1,2 버튼(311,312) 모두 끼움돌기(120)와 고정핀(212)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도중 방해받지 않도록 본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나, 압력을 가할 시 케이스(10)내부로 숨겨지게 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솟아오르는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oth the first and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기(320)는 제1,2 버튼(3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컨트롤 박스에 설치된다. 따라서 각 버튼(310)이 눌림되거나 눌림상태에서 복귀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게 된다.11, the
구체적으로 제1 버튼(311)의 눌림과 복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받아 케이스간결합부(100)의 결합과 분리를 각각 감지하고, 제2 버튼(312)의 눌림과 복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받아 외부결합부(200)의 결합과 분리를 각각 감지하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the
따라서 알림기(320)는 케이스간결합부(100)와 외부결합부(200)의 탈착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한 각 전기신호에 따라 모두 다른 형태로 이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 Therefore, the
이를 위하여 알림기(320)에는 해당 상태를 간단한 울림음으로 설정할 수 있는 알람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각 상태를 언어형태로 안내하는 음성안내기의 형태 또는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장비 제어용 버튼과 근접하게 설치되며, 각 상태를 글자의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For this purpos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동일한 구성의 다기능 컨트롤 박스 다수개 각각을 조작이 편리하게끔 탈착 가능하게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신체나 목적개소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한 구성요소인 케이스간연결부(100)와 외부연결부(200) 각각의 탈착상태를 작업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것이 가능한 다기능 컨트롤 박스를 구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ulti-function control boxe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for convenient operation, and can be easily fixed to a body or a target point of a worker in a combined state Function control box capable of immediately informing the operator of the detachment state of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10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200, which are components for this purpose.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
100 : 케이스간연결부
110 : 끼움홈
120 : 끼움돌기
200 : 외부연결부
210 : 릴부재
211 : 와이어
212 : 고정핀
213 : 지지판
214 : 드럼
215 : 드럼축
215a : 삽입돌기
216 : 서포터
216a : 삽입홈
217 : 연결바
217a : 관통고리
220 : 고정대
221 : 고정홈
300 : 탈착알림부
310 : 버튼
311 : 제1 버튼
312 : 제2 버튼
320 : 알람기10: Case
100: Case-to-case connection
110:
120: insertion projection
200: External connection
210: Reel member
211: wire
212: Fixing pin
213:
214: drum
215: Drum shaft
215a: insertion projection
216: Supporter
216a: insertion groove
217: Connection bar
217a: Through-hole
220:
221: Fixing groove
300: detachment notification unit
310: Button
311: First button
312: second button
320: Alarm device
Claims (5)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포함된 케이스간연결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고정핀을 포함하는 릴부재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대가 포함된 외부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로 설치되는 눌림식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탈착알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
A multifunctional control box comprising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to control the equipment, the case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equipment by either a wire or wireless method,
In this case,
An inter-case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and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e in a detachable form in the guide groove;
A reel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wire and a fixing pin connected to the wire; 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ixing tabl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And
And a detachable notification unit for detecting a coupled state of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an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depressed state of the button, including a push-type button provided with the inter-case connection unit an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box.
상기 버튼은,
상기 끼움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간연결부 간의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에 눌림되고, 각 상기 케이스간연결부의 분리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제1 버튼과,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연결부 간의 결합 시 상기 고정핀에 눌림되고, 각 상기 외부연결부의 분리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A first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and pressed by the fitting protrusion when the case connecting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case connecting portions are separated,
And a second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and pressed by the fixing pin when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respective external connection portions are separated.
상기 탈착알림부는,
상기 제1,2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2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전기 신호를 감지하며, 각 감지 정보를 서로 다른 형태로 외부에 전달하는 알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achable-
And an alarm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for sensing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depres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different forms. Multifunction control box.
상기 릴부재는,
상기 외장케이스 상부면의 좌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전후측 각각에 설치되며 전측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된 드럼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el unit
A support plate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drum on which the wire is wound,
Further comprising a drum shaft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um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ide thereof.
상기 릴부재는,
상기 지지판 상부의 전후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측에 상기 삽입돌기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 각각의 상부를 연결하며, 중앙부에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고리가 설치된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컨트롤 박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el unit
A supporter provided on each of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movably support the drum shaft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jections are inserted,
And a connection bar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ers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ith a through hole for allowing a wire to pass there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046A KR20190004030A (en) | 2017-07-03 | 2017-07-03 | A control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046A KR20190004030A (en) | 2017-07-03 | 2017-07-03 | A control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030A true KR20190004030A (en) | 2019-01-11 |
Family
ID=6502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046A KR20190004030A (en) | 2017-07-03 | 2017-07-03 | A control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4030A (en) |
-
2017
- 2017-07-03 KR KR1020170084046A patent/KR2019000403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4463B2 (en) | Wireless sound equipment | |
KR101289244B1 (en) |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 |
US7159700B2 (en) | Computer peripheral with cable reeling device | |
KR101848847B1 (en) | Electric wire support device | |
JP2011187429A (en) | Power supply tap with expandable power feeding unit | |
US11217937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elements for a modular construction element and/or system | |
JP2010110054A (en) | Charging cable unit | |
US9564713B1 (en) | Detachable and lockable socket | |
US10855827B2 (en) | Speakerphone configuration for conferencing | |
JP2013003937A (en) | Article display device | |
KR20190004030A (en) | A control box | |
KR102104897B1 (en) | Wireless sound equipment | |
JP6606326B2 (en) | Electric reel system | |
KR101853078B1 (en) | leakage current detection device | |
EP3955088B1 (en) | Docking station with detachable back support | |
JP2016025413A (en) | Remote control transmission switch | |
KR101612631B1 (en) | Ear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 |
JP6964541B2 (en) | Seismic device | |
US20210349160A1 (en) | Detachable Test Instrument Remote Controller | |
JP2016114443A (en) | Voltmeter for use with trip-lock terminals | |
JP6306795B1 (en) | Alarm | |
JP6353113B1 (en) | Alarm | |
JP6363759B1 (en) | Alarm | |
JP3874118B2 (en) | Panel display type television and terminal device | |
JP2014182912A (en) | Attachment plug coming-off det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