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97B1 - Wireless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Wireless sound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97B1
KR102104897B1 KR1020140029480A KR20140029480A KR102104897B1 KR 102104897 B1 KR102104897 B1 KR 102104897B1 KR 1020140029480 A KR1020140029480 A KR 1020140029480A KR 20140029480 A KR20140029480 A KR 20140029480A KR 102104897 B1 KR102104897 B1 KR 10210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ceiver
control signal
turn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7094A (en
Inventor
서상우
박형우
김동현
유현선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97B1/en
Priority to EP14184940.6A priority patent/EP2919482B1/en
Priority to US14/504,993 priority patent/US9571928B2/en
Priority to CN201610772659.8A priority patent/CN106170107B/en
Priority to CN201410659063.8A priority patent/CN104717582A/en
Publication of KR2015010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094A/en
Priority to US15/393,674 priority patent/US103212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9Arrangements to adapt hands free headphones for use on both e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제1 리시버 홀더와 제2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넥밴드; 상기 넥밴드에서 연장된 한 쌍의 음향 케이블;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1 리시버;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2 리시버; 상기 제1 리시버가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리시버가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2 스위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는 리시버를 리시버 홀더에 탈착함으로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A neckband made of a curve and having a first receiver holder and a second receiver holder at both ends; A pair of acoustic cables extending from the neckband; A first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 second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 first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first receiv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second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receiver is detached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terminal;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y detaching it from the receiver holder.

Description

무선음향기기{WIRELESS SOUND EQUIPMENT}Wireless Acoustic Equipment {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oustic devic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무선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결합된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무선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무선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A wireless acoustic device means an acoustic device that combines an earphone and a microphone that receive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acoust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method of receiving a sound signal by plugging a terminal into the ear jack of a terminal has been used, but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 wireless audio apparatu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s increased in terms of mo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무선음향기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carry it on the user's body, the development of a wireless sound device with a design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has been made, such as a headphone type to be put on the head in a band shape, a type to be put on the ear and a type to be put on the ear.

최근에는 리시버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넥밴드를 구비한 무선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Recently, even when the receiver is not attached to the ear, the demand for a wireless sound device having a neckband that can be mounted on the neck for user convenience is rapidly increasing.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목에 걸고 있어 외관 디자인이 기존의 무선음향기기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얼굴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쉽게 조작 가능한 조작성의 편의성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Since it is worn on the neck even when not in use, the exterior design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existing wireless sound devices, and since it is located under the face, there is a need for the convenience of operability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without looking through the ey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음향기기의 리시버를 리시버 홀더에 탈착함으로서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acoust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by detaching a receiver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to a receiver holder.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제1 리시버 홀더와 제2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넥밴드; 상기 넥밴드에서 연장된 한 쌍의 음향 케이블;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1 리시버;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2 리시버; 상기 제1 리시버가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리시버가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2 스위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한다.A neckband made of a curve and having a first receiver holder and a second receiver holder at both ends; A pair of acoustic cables extending from the neckband; A first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 second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 first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first receiv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second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receiver is detached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terminal;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first switch.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연락처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거나, 전화번호 입력 키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that provides a contact list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or a telephone number input keypad to the display unit.

호신호 수신중인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호신호의 상대방과 연결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that connects with the other party of the call signal.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2 제어신호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n, and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ff,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third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the opposite operation may be generated.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는 단말기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는 단말기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in a call,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terminal,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terminal.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4 제어신호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ff, a four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ourth control signal can end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5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5 제어신호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리스트를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 fif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ifth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mmand to provide a list of multimedia files to the terminal display unit. .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6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the sixth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on.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6 제어신호와 반대 동작의 수행명령을 포함하는 제7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witch is in the on state,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 seventh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an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pposite to the sixth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상기 제6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중 하나의 재생명령을 포함하고,The sixth control signal includes a play command of one of the multimedia files,

상기 제7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venth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mmand to stop playing the multimedia file.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중인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ff, a thir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mmand to stop playing the multimedia file while the multimedia file is being played. have.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8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8 제어신호는 상기 제5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second switch, the eigh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ighth control signal can terminate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fth control signal.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리시버 홀더 및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가 탈착에 따라 눌리거나 돌출되는 푸쉬버튼,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witch is a push button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he second receiver holder and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re pushed or projected according to detachment, a magnet provided in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It may be one of a Hall sensor for sensing and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상기 음향 케이블이 감기는 릴(reel);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이 상기 릴에 감기도록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reel o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nd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the reel so that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the reel.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가 상기 제1 리시버 홀더 및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witch may detect whether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re detached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he second receiver holder by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el.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릴의 회전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command may be controlled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el.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를 리시버 홀더에 탈착함으로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리시버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귀에 장착한 후에 별도로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무선음향기기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y detaching the receiver from the receiver holder. After removing the receiver and attaching it to the user's ear, the terminal may be operated separately, or the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넥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리시버와 리시버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부분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에 감긴 음향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음향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회동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회동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 스위치의 온/오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제1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제어신호 및 제3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제4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5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6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제8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een from one direction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ckband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ceiver and a receiver holder of a wireless audio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7 is a view showing an acoustic cable wound on a reel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el and an acoustic cable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el and a rotating member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el and a rotating member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on / off state of a wireless audio devic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to the on state.
14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terminal by the first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using a second control signal and a third control signal.
19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20 and 2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terminal by the fourth control signal.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23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using a fifth control signal.
24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and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25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using a sixth control signal.
26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and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terminal by the eighth control sig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230)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s" and "parts"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lur 230.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not limited to be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넥밴드(210), 하우징(220), 음향 케이블(245245), 리시버(240), 무선통신모듈(255), 조도센서(26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ckband 210, a housing 220, an acoustic cable 245245, a receiver 24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5, an illuminance sensor 260, and a control unit 250. Includes.

넥밴드(210)는 U자 형상으로 굽어진 부재로서 뒤쪽에서 끼워서 목에 걸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쉽게 구부릴(230)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넥밴드(210)의 분해사시도로서, 넥밴드(210)는 부드러운 연성 소재의 밴드 프레임(211)과 밴드 프레임에 결합하여 넥밴드(210)의 형상을 잡아주는 밴드커버(212, 213)를 포함한다. The neckband 210 is a U-shaped bent member and can be fitted from the back to hang on the neck. For ease of us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bent (230).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eckband 210, the neckband 210 is coupled to the band frame 211 and the band frame of a soft flexible material to secure the shape of the neckband 210, the band cover (212, 213) ).

사용시 가장 변형이 큰 가운데 부분은 밴드 프레임(211)이 노출되도록 밴드커버(212, 213)는 밴드프레임(211)을 전부 커버하지 않고 밴드 프레임(211)의 양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밴드프레임(211)과 밴드커버(212, 213)의 결합을 위해 결합돌기(214)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and cover 212 and 213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nd frame 211 without covering all of the band frame 211 so that the center portion having the largest deformation in use is exposed to the band frame 211. Coupling protrusions 214 may be formed for coupling of the band frame 211 and the band covers 212 and 213.

밴드커버(212, 213)는 넥밴드(210)의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220)과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사출물과 같이 하우징(220)의 재질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The band covers 212 and 21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housing 220, such as an injection material, to form a sense of unity with the housing 220 coupled to the end of the neck band 210.

넥밴드(210)의 단부와 하우징(220)이 결합되도록 결합구조(215, 227)를 구비할 수 있다. 넥밴드(210)의 단부에 형성된 홀(215)에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227)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이 돌기(227)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넥밴드(220)의 단부에 단턱(216)을 더 구비할 수 있다.Coupling structures 215 and 227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nd of the neckband 210 and the housing 220 are coupled. The protrusion 227 formed in the housing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le 215 formed at the end of the neckband 210. At this time, the housin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epped 216 at the end of the neckband 220 so as not to rotate around the projection (227).

넥밴드(210)의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와이어 형태의 배터리, 안테나, 신호의 전달을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등이 위치할 수 있다.A space in the neckband 210 may be formed to form a wire-type battery, an antenna,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signal transmission.

넥밴드(210)는 단면이 일측방향으로 긴 형태의 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곡면을 포함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의 방향이 꼬일 수 있다. 중앙부분은 목에 걸었을 때 목의 뒤쪽에 접하도록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고, 단부는 어께에 안착되도록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의 ?향이 다르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neck band 210 may be formed in a tape shape having a long cross section in one direction. That is, it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may be twisted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When the center portion is hung on the neck, the front and rear faces may face the rear side of the neck, and the end may face differently so that the curved surface faces up and down so as to rest on the shoulder. At this time, the curved surfaces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하우징(220)은 넥밴드(210) 양 단부에 위치하며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이 결합하여 형성한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50), 진동모터(미도시), 무선통신부(25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넥밴드(210)가 이루는 곡면과 상기 하우징(220)이 이루는 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하우징(220)의 전면에는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제1 버튼(223)이, 측면에는 음향을 조절하거나 재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위한 제2 버튼(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223, 124)은 돌리는 조그 버튼, 밀어서 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버튼 또는 돔스위치를 구비한 돔스위치 버튼 등이 이용될 수 있 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220)에 상기 제1 버튼(223)과 제2 버튼(224)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223, 1124)은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The housing 220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neckband 2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 vibration motor (not show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form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housing 221 and the lower housing 222. (255) and the like can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neckband 210 and the surface formed by the housing 220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toward the same direction. A first button 223 for playing or talking on the front of the housing 220 ), A second button 224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for functions such as adjusting sound or changing the order of files to be played. The buttons 223 and 124 may be a jog button to turn, a slide button to input a signal by pushing, or a dome switch button with a dome switch, etc. At this time, the first button 223 to the housing 220 An opening for the second button 224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buttons 223 and 1124 may input a signal by a user contacting them using a touch sensor.

상기 한 쌍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버튼(223, 124)은 각각 다른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은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타측은 음악과 관련된 기능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통화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음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타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음악의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한 쌍의 음향 케이블(245245)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리시버(240)와 연결된다. 하우징(220)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받고 음향 케이블(245245)을 통해 리시버(240)로 음향신호가 전송된다.The buttons 223 and 124 positioned on the pair of housings 220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one side may set a function related to a call and the other side may set a button of a function related to music. That is, the first button 223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20 is a call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224 has a function of adjusting sound. The first button 223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20 is a button for playing or stopping music, and the second button 224 can be used as a button for changing the playback order. 245245)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240. The acoustic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mounted on the housing 220 and the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40 through the acoustic cable 245245.

리시버(240)는 음향신호를 수신받아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240)는 하우징(220) 의 넥밴드(210)와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하여 휴대시 음향 케이블(245245)이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리시버 홀더는 음향이 출력되는 리시버(240)를 휴대하기 위한 리시버(240)의 안착부이며, 리시버(240) 및 리시버 홀더(225)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기력을 이용해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receiver 240 is a device that receives an audio signal and outputs sound, and can be fixed to the ear by inserting it into a user's ear. As illustrated in FIG. 2, the receiver 240 is attached to the receiver holder 225 located at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neckband 210 of the housing 220 to solve the problem of tangling of the acoustic cable 245245 when carrying. You can. The receiver holder is a seating portion of the receiver 240 for carrying the receiver 240 through which the sound is output, and the receiver 240 is provided with a magnet in the receiver 240 and the receiver holder 225 using magnetic force to receive the receiver 240 ( 225).

리시버 홀더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외측면에 리세스 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형태일 수도 있다. The receiver holder may be formed in a recessed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S. 1 to 3 or may be in the form of an opening formed at the end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 5.

리시버 홀더(225)는 스위치(226)를 구비하여 리시버 홀더(22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6)의 일 예로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돌출된 푸시 버튼 스위치(226)를 들 수 있다.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되면 상기 푸시 버튼이 눌러지면서 스위치(226)가 오프가 되고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분리되면 푸시 버튼이 돌출되면서 스위치(226)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The receiver holder 225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226 to check whether the receiver holder 225 is mounted. An example of the switch 226 is a push button switch 226 protruding from the receiver holder 225. When the receiver 240 is coupled to the receiver holder 225,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switch 226 is turned off, and when the receiver 240 is detached from the receiver holder 225, the push button protrudes and switches 226 may be turned on.

온/오프 상태는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26)는 자기센서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on / off state can also be set in reverse. In addition, the switch 226 may use a magnetic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240 is coupled to the receiver holder 225.

리시버(240)는 이어폰 모드에서는 저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 모드에서는 고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스피커를 겸할 수 도 있다. 이어폰 모드와 스피커 모드에서 소리가 출력되는 부분이 동일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리시버(240)에 별도의 음향출력홀(241)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receiver 240 may also serve as a speaker by outputting sound at low power in the earphone mode and outputting sound at high power in the speaker mode. The part in which the sound is output in the earphone mode and the speaker mode may be the same, but as illustrated in FIG. 5, a separate sound output hole 241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er 240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리시버(240)는 음향 케이블(245)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통신모듈(255)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방법 이외에 리시버(240) 자체에 무선통신모듈(255)를 구비하면 음향 케이블(245)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리시버(240) 자체에도 소형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리시버(40)가 결합시 리시버의 소형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The receiver 240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cable 245, an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5 mounted in the housing, if the receiver 240 itself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5, the acoustic cable 245 Can be omitted. At this time, the receiver 240 itself also has a small battery, and when the receiver 40 is coupled to the receiver holder 225, a small battery of the receiver may be charged.

조도센서(260)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조도센서(260)를 이용하여 주변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 260 is a sensor that senses light, and can detect changes in surrounding brightness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260.

하우징(220)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22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음향기기(2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스위치(229)가 하우징(220)에 구비될 수 있다.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220, and a cap 228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external from appearing. In addition, a power switch 229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220.

인디케이터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충전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무선통신모듈이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며, 색상 및 깜빡이는 속도 등으로 무선음향기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버튼(223)의 둘레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indicator may indicate whether an event occurs or whethe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indicate whether or not charging has occurred, and may indicate the state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200 at a color, a blinking speed, and the like. It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or may be formed around the first button 22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케이블(245245)이 하우징(220)으로 인입되면서 리시버(240)가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된다. 음향 케이블(245245)은 하우징(220) 내부에 있는 릴(230)에 감기면서 하우징(220)으로 인입된다. In the headse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240 is attached to the receiver holder 225 while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drawn into the housing 220 as shown in FIG. 2.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drawn into the housing 220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reel 230 inside the housing 2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부분 투시로서, 음향 케이블(245245)이 감기는 릴(230)이 도시되어 있다. 릴(230)은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며 릴(230)의 외주면에 음향 케이블(245245)을 감아 음향 케이블(245245)을 하우징(220) 내부로 인입한다.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el 230 in which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wound is shown. The reel 230 rotates by a pivoting member around an axis fixed to the housing 220 and winds the acoustic cable 24524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el 230 to introduce the acoustic cable 245245 into the housing 220.

사용자가 리시버(240)를 당겨 음향 케이블(245245)을 릴(230)에서 풀면 릴(230)은 회동부재가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음향 케이블(245245)을 당긴만큼 릴(230)은 회전된 상태로 스토퍼(233)에 의해 고정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receiver 240 and releases the acoustic cable 245245 from the reel 230, the reel 23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rotates, and the reel 230 is pulled by pulling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fixed by the stopper 233 in a rotated state.

사용자가 릴(230)을 고정하는 스토퍼(233)를 해제하면 릴(230)을 회동부재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음향 케이블(245245)이 하우징(220) 내부로 인입된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stopper 233 for fixing the reel 230, the reel 230 is rotated agai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y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20.

인쇄회로기판(245)로부터 음향 케이블(245)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45)으로부터 연장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253)을 포함할 수 있다.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53 extending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45 may be included to transmit a signal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45 to the acoustic cable 24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에 감긴 음향 케이블(245245)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음향 케이블(245)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coustic cable 245245 wound around the reel 230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wireless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el 230 and the acoustic cable 245.

릴(230)은 원통형 부재로서 중앙을 축(232)으로 회전하면서 음향 케이블(245)이 외주면에 감아 음향 케이블(245)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음향 케이블(245)가 릴(230)에 고정되도록 음향 케이블(245)을 끼우는 홈(238)을 포함할 수 있다. 릴(230)이 회전하여 음향 케이블(245)이 릴(230)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230)의 내부에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el 230 is a cylindrical member, and rotates the center to the shaft 232, so that the acoustic cable 245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ceive the acoustic cable 245. The acoustic cable 245 may include a groove 238 that fits the acoustic cable 245 so that it is fixed to the reel 230. In order to rotate the reel 230 so that the acoustic cable 245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el 230, a rota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el 230 as shown in FIG. 8.

회동부재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평면상에 코일형상으로 감은 스파이럴 스프링(235)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중앙은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230)과 연결되어 스파이럴의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릴(230)을 회전하면 음향 케이블(245245)이 풀려서 하우징(220) 밖으로 인출된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235)이 느슨하게 풀어지며 스파이럴 스프링(235) 의 감긴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긴다.The rotating member may use a spiral spring 235 in which a strip-shaped metal plate is wound in a coil shape on a flat surface. The center of the spiral spring 235 is fixed to the housing 2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el 230 and rotates the reel 23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piral, so that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released and the housing 220 is withdrawn out. At this time, the spiral spring 235 is loosened and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piral spring 235.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음향 케이블(245245)은 릴(230)에 감기는 방향으로 릴(230)이 힘을 받게 되는 바, 음향 케이블(245245)이 풀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릴(230)이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233)와 돌기(23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coustic cable 245245 by the spiral spring 235 receives the force of the reel 230 in a direction wound around the reel 230, and the reel 230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acoustic cable 245245 is loosened. A stopper 233 and a protrusion 231 that block rotation by the spiral spring 235 may be provi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스토퍼(233)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스토퍼(233)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돌기(231), 스파이럴 스프링(235), 스토퍼(233)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el 230 and a stopper 233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reel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230) and a stopper 233, a projection 231, a spiral spring 235, and a stopper 233 are shown.

돌기(231)는 릴(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에는 직선이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233)는 릴(230)의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33')에 의해 릴(230) 방향으로 밀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돌기(231)의 직선부분을 지지하며 릴(2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otrusion 23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eel 23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forms a straight curv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by the spiral spring 235 and a gentle cur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topper 233 maintains the stat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reel 230 by the elastic member 233 'that exerts a forc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reel 230, supports the straight portion of the projection 231, and reels 230 It prevents it from rotating.

사용자가 스토퍼(233)를 릴(23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돌기(23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릴(230)이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한다. 스토퍼(233)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33')의 탄성에 의해 다시 릴(230)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pushes the stopper 23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el 230, the coupling with the protrusion 231 is released and the reel 230 ro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iral spring 235. When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stopper 233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233 'moves to the reel 230 again by the elasticity.

사용자가 스토퍼(233)를 탄성부재(233')의 탄성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스토퍼(2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 표면으로 노출된 키(23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키(234) 슬라이드 방식(도 9 참고), 누름방식(도 10 참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234)가 누름방식인 경우 스토퍼(233)가 회전하면서 돌기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253)을 통해 전달된 음향신호를 음향 케이블(245245)에 전달하기 위해 음향기판(236)을 릴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릴(230)의 회전에의한 음향케이블(245)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음향기판(236)이 음향 케이블(245245)과 접속되도록 음향기판(236)과 음향케이블(245) 사이에 음향 브러시(237)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pper 233 may be connected to the key 234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housing 220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stopper 23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233 '. . The key 234 may be at least one of a slide method (see FIG. 9) and a pressing method (see FIG. 10).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the key 234 is in the pressing method, the stopper 233 is rota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in an oblique direction, thereby reducing noise caused by friction. The transmitted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53 The acoustic substrate 236 is positioned under the reel to transmit the acoustic signal to the acoustic cable 245245.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acoustic cable 245 by rotation of the reel 230, an acoustic brush (between the acoustic substrate 236 and the acoustic cable 245) so that the acoustic substrate 236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cable 245245 237).

음향기판(236)은 신호종류(예를 들면 좌측/우측 음향신호)에 반경이 다른 원형의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브러시(236)는 음향케이블(245) 단부와 연결되어 음향기판(236)의 원형 단자 위를 움직이며 음향케이블(245)과 음향기판(236) 사이의 접속을 유지한다.The acoustic substrate 236 is provided with a circular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different radius in the signal type (for example, the left / right acoustic signal), and the acoustic brush 236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coustic cable 245 and the acoustic substrate 236 Moving on the circular terminal of the maintai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oustic cable 245 and the acoustic substrate (236).

상기 릴(230)이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우징(220)에 소음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릴(230)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기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reel 230 may further include a noise shielding layer on the housing 220 so that noise generated when the reel 230 does not leak out. In addition, a gear may be further provided to smoothly rotate the reel 23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무선음향기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케이블(245245a, 245b)이 하우징(22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넥밴드(210)를 따라 사용자의 목 뒤쪽으로 감기고 에 결착된다.넥밴드(210)에 손쉽게 결착시키기 위해 음향 케이블(245245a, 245b)과 넥밴드(210)에 각각 자석(270a, 270b, 271a, 271b)을 구비할 수 있다.11 is a view showing a (two wireless 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cable (245245a, 245b) is not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20, the neckband ( 210) is wound around the back of the user's neck and is attached to the magnet cable 245245a, 245b and the neckband 210 respectively with magnets 270a, 270b, 271a, 271b for easy attachment to the neckband 210. It can be provided.

넥밴드(210)가 사용자의 목에 안착시 사용자의 귀 아래 부분에 자석(270a, 270b)이 위치하고, 음향 케이블(245a, 245b)의 넥밴드의 자석(270a, 270b)에 상응하는 위치에 자석(271a, 271b)을 구비한다.When the neckband 210 is seated on the user's neck, magnets 270a and 270b are positioned below the user's ears, and magnets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gnets 270a and 270b of the neckband of the acoustic cables 245a and 245b. (271a, 271b).

넥밴드(210)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a) 단부의 리시버(240a)는 우측의 리시버 홀더(225a)에 결착된다.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b) 단부의 리시버(240b)는 좌측의 리시버 홀더(225b)에 결착된다.The receiver 240a at the end of the acoustic cable 245a extend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along the neckband 210 is attached to the receiver holder 225a on the right. Conversely, the receiver 240b at the end of the acoustic cable 245b extending from the right to the left is attached to the receiver holder 225b on the left.

이때, 좌측에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a)의 자석(271a)은 좌측의 자석(270a)에 결착되고 우측에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b)의 자석(271b)은 우측의 자석(270b)에 결착된다.At this time, the magnet 271a of the acoustic cable 245a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is attached to the magnet 270a on the left side, and the magnet 271b of the acoustic cable 245b extending from the right side is attached to the magnet 270b on the right side.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 스위치(226)의 온/오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위치(226)가 온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시에 또는 오프에서 온 상태로 변화시에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1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226 of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witch 226 changes from on to off or when it changes from off to on.

제1 스위치(226a)는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갖는 제1 버튼(223a)이 위치하는 쪽으로 설정하고 제2 스위치(226b)는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갖는 제1 버튼(223b)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목에 무선음향기기(200)을 착용시 왼쪽이 통화 관련 기능이고 오른쪽이 음악관련 기능으로 배치한 무선음향기기(2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스위치(226a)와 제2 스위치(226b)는 서로 위치가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first switch 226a may be set toward the position of the first button 223a having a function related to a call, and the second switch 226b may be set toward the first button 223b having a function related to multimedia playback.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n which the left side is a call related function and the right side is a music related function when the user wears the wireless sound device 200 on the neck. The first switch 226a and the second switch 226b may be positioned at opposite positions.

제1 스위치(226a)가 위치하는 리시버 홀더(225)를 제1 리시버 홀더(225a)라 하고, 상기 제1 리시버 홀더(225a)에 결합되는 리시버(240)를 제1 리시버(240a)라고 하며, 제2 스위치(226b)가 위치하는 리시버 홀더(225)는 제2 리시버 홀더(225b)이고, 상기 제2 리시버 홀더(225b)에 결합되는 리시버(240)를 제2리시버(240)라고 한다.The receiver holder 225 in which the first switch 226a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a first receiver holder 225a, and the receiver 240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is referred to as a first receiver 240a, The receiver holder 225 in which the second switch 226b is located is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and the receiver 240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ceiver 240.

제1 스위치(226a)와 제2 스위치(226b)의 온/오프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제1 제어신호 내지 제8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eighth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on / off states of the first switch 226a and the second switch 226b.

도 13은 제2 스위치(226b)가 오프 상태이고, 제1 스위치(226a)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때 제어부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1 제어신호는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13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226b is turned off and the first switch 226a is switched to the on state.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mmand for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call.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제1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와 같이 주소록이 실행되거나, 도 15과 같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될 수 있다. 14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terminal by the first control signal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book is executed as shown in FIG. 9, or the phone as shown in FIG. A keypad for entering a number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또는 도 16과 같이 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리시버(240a)를 사용자가 잡아당겨 상기 제1 리시버 홀더(225a)로 부터 분리하면 제1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전화를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as shown in FIG. 16, when the user pulls the first receiver 240a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the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call can be made by connecting a telephone. have.

도 17은 제1 스위치(226a)가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이이고, 도 18은 제2 제어신호 및 제3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7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226a is in an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an on state, and FIG. 18 is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terminal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제1 리시버(240a)를 귀에 꽂고 전화 통화 중에 제2 리시버(240b)를 상기 제2 리시버 홀더(225b)로부터 분리하여 이동 단말면 음량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제2 리시버 홀더(225b)에 제2 리시버(240b)를 결합시키면 음량이 증가한다.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surface may be increased by inserting the first receiver 240a into the ear and separating the second receiver 240b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during a phone call. Conversely, 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the volume increases.

이때, 릴(2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음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 리시버 홀더(225b)로부터 제2 리시버(240b)를 분리하여 당기는 길이에 따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reel 230 can be sensed to adjust the volume in steps. That is, the user can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pulling length by separating the second receiver 240b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도 19는 제2 스위치(226b)가 오프 상태이고,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 및 도 21은 제4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9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an 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an on state.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by a fourth control signal.

제2 리시버(240b)가 제2 리시버 홀더(225b)에 삽입된 상태(제2 스위치(226b) 오프 상태)에서 제1 리시버(240a)를 제1 리시버 홀더(225a)로 결합시 제1 스위치(226a)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4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When the first receiver 240a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receiver 240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the second switch 226b is off), the first switch ( When 226a)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 four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이때 제4 제어신호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시키는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제어신호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통화 어플리케이션, 주소록을 종료하여 다시 홈 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중인 경우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urth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for terminating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as shown in FIG. 20, the fourth control signal ends the call application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address book to switch back to the home screen, or ends the call when in a call as shown in FIG. can do.

상기 제2 리시버(240b)가 제2 리시버 홀더(225b)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리시버(240a)가 제1 리시버 홀더(225a)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7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단말기가 제1 제어신호에 의한 기능을 수행 중에 제2 스위치(226b)가 온인 상태에서 제1 스위치(226a)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제7 제어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제7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제4 제어신호와 같이 제1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not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and the first receiver 240a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in a separated state, a seven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When the terminal performs the function by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seven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switching the first switch 226a to the off state while the second switch 226b is on, and when the seven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Like the fourth control signal,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can be ended.

도 22는 제1 스위치(226a)가 오프 상태이고,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는 제5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226a is in an 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an on stat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by a control signal.

제1 리시버(240a)가 제1 리시버 홀더(225a)에 삽입된 상태(제1 스위치(226a) 오프 상태)에서 제2 리시버(240b)를 제2 리시버 홀더(225b)로부터 분리시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5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detached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receiver 240a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the first switch 226a is off), the second switch ( 226b)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nd a fif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제5 신호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이 실행되며 멀티미디어 파일 리스트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될 수 있다. The fifth signal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multimedia file. As illustrated in FIG. 24, a multimedia function is executed and a multimedia file list can be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도 24는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이고, 제1 스위치(226a)가 온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은 제6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4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sound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switch 226b is turned on and the first switch 226a is turned 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by a control signal.

제2 리시버(240b)가 제2 리시버 홀더(225b)에서 분리된 상태(제2 스위치(226b) 온 상태)에서 제1 리시버(240a)를 제1 리시버 홀더(225a)로 결합시 제1 스위치(226a)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6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제6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중 하나를 재생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한다.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detached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the second switch 226b is on), the first switch 240a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when the first switch ( When 226a)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 six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sixth control signal includes a control command to play one of the multimedia files.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이고, 제1 스위치(226a)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제7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이 경우 재생되던 음악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7 제어신호는 제6 제어신호와 반대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the on state and the first switch 226a is in the off state, a seven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in this case, the played music can be ended. That is, the seventh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function opposite to the sixth control signal.

도 26은 제1 스위치(226a)가 오프 상태에서 제2 스위치(226b)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는 제8 제어신호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226a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second switch 226b is turned off, and FIG. 27 is the eighth control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a terminal by a signal.

제1 리시버(240a)가 제1 리시버 홀더(225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리시버(240b)가 제2 리시버 홀더(225b)로 결합될 때, 제2 스위치(226b)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8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제8 제어신호는 제5 제어신호와 상반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5 제어신호에 의해 시작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while the first receiver 240a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the second switch 226b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The eigh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eighth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function contrary to the fifth control signal, and may terminate the multimedia application started by the fifth control signal.

제1 스위치(226a)가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226b)가 온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제2 리시버(240b)를 먼저 제2 리시버 홀더(225b)에 결합시키면 제3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그 후에 제1 리시버(240a)를 제1 리시버 홀더(225a)에 결합시키면 제4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When the first switch 226a is in the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226b is in the on state, when the second receiver 240b is first coupled to the second receiver holder 225b, the thir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fter that, when the first receiver 240a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er holder 225a, a four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통화중에는 제3 제어신호는 음량을 조절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제4 제어신호는 통화를 종료하였으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에 생성된 제3 제어신호는 재생되던 음악을 종료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제4 제어신호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During the call, the third control signal includes a command to adjust the volume, and the fourth control signal ends the call, but the third control signal generated during playback of the multimedia file includes a command to end the music being played. 4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ommand to terminate the multimedia application.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은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 탈착함으로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리시버(240)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귀에 장착한 후에 별도로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무선음향기기(200)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coustic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erminal by detaching the receiver 240 from the receiver holder 225. After detaching the receiver 240 and attaching it to the user's ear, the terminal may be operated separately, or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200 may be omitt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무선음향기기 110: 넥밴드
120: 하우징 122: 인쇄회로기판
123: 제1 버튼 124: 제2 버튼
125: 리시버 결합부 126: 스위치
130: 릴 135: 스파이럴 스프링
140, 140a, 140b: 리시버 150: 음향 케이블
100: wireless audio equipment 110: neckband
120: housing 122: printed circuit board
123: first button 124: second button
125: receiver coupling 126: switch
130: reel 135: spiral spring
140, 140a, 140b: receiver 150: acoustic cable

Claims (17)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제1 리시버 홀더와 제2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넥밴드;
상기 넥밴드에서 연장된 한 쌍의 음향 케이블;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1 리시버;
상기 음향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제2 리시버;
상기 제1 리시버가 상기 제1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리시버가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온 상태가 되고 결합하면 오프 상태가 되는 제2 스위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의 전환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
A neckband made of a curve and having a first receiver holder and a second receiver holder at both ends;
A pair of acoustic cables extending from the neckband;
A first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 second receiver coupled to an end of the acoustic cable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 first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first receiv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second switch that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receiver is detached from the second receiver holder and turned off when combin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termi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wireless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witch to the on state, the first switch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연락처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거나, 전화번호 입력 키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for providing a contact list to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or a telephone number input keypad to the display unit.
제2항에 있어서,
호신호 수신중인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호신호의 상대방과 연결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2,
When receiving a call signal,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wireless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command to connect with the other party of the call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2 제어신호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2,
A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from the first switch to the on state;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whil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a wireless audio device comprising a third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an opera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5항에 있어서,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는 단말기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신호는 단말기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5,
On a call
The second control signal includes a control comman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terminal,
The third control signal is a wireless audio device comprising a control command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4 제어신호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ff, a four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fourth control signal is a wireless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terminate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5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5 제어신호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리스트를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on, a fif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fifth control signal includes a command to provide a list of multimedia files to the terminal display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6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on, a six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6 제어신호와 반대 동작의 수행명령을 포함하는 제7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 radio-acou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eventh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and to perform an operation opposite to the sixth control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중 하나의 재생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7 제어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단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xth control signal includes a play command of one of the multimedia files,
The seventh control signal includes a command to stop playing the multimedia fil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시 제8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8 제어신호는 상기 제5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기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an eight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eighth control signal terminates the function activated by the fifth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리시버 홀더 및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가 탈착에 따라 눌리거나 돌출되는 푸쉬버튼,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A push button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he second receiver holder to push or protrude according to detachment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nd detects a magnet provided in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Wireless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ximity of the hall sensor and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케이블이 감기는 릴(reel);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이 상기 릴에 감기도록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reel o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nd
And a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reel so that the acoustic cable is wound around the ree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리시버 및 상기 제2 리시버가 상기 제1 리시버 홀더 및 상기 제2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switch
And detecting whether the first receiver and the second receiver are detached from the first receiver holder and the second receiver holder by sen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el.
삭제delete
KR1020140029480A 2014-03-13 2014-03-13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2104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480A KR102104897B1 (en) 2014-03-13 2014-03-13 Wireless sound equipment
EP14184940.6A EP2919482B1 (en) 2014-03-13 2014-09-16 Wireless ear piece
US14/504,993 US9571928B2 (en) 2014-03-13 2014-10-02 Wireless sound equipment
CN201610772659.8A CN106170107B (en) 2014-03-13 2014-11-18 Wireless sound equipment
CN201410659063.8A CN104717582A (en) 2014-03-13 2014-11-18 Wireless sound equipment
US15/393,674 US10321229B2 (en) 2014-03-13 2016-12-29 Wireless sou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480A KR102104897B1 (en) 2014-03-13 2014-03-13 Wireless sound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94A KR20150107094A (en) 2015-09-23
KR102104897B1 true KR102104897B1 (en) 2020-04-27

Family

ID=5424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480A KR102104897B1 (en) 2014-03-13 2014-03-13 Wireless sound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14B1 (en) *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earphone having improved retractabl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wire
KR102507744B1 (en) * 2016-08-09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thereof
KR102583499B1 (en) * 2017-01-04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19160213A1 (en)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4B1 (en)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KR101365926B1 (en)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Neck band and headphone combind type bluetooth audio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349A (en) * 2005-07-01 2005-09-27 남승현 Bluetooth headset for automatic function control of bluetooth-embedded mobile phone and audio player by human-being's capacitive-sensing method
KR20070066385A (en) * 2005-12-22 2007-06-27 남승현 Earphone system for automatic function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ing capacitive-sens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4B1 (en)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KR101365926B1 (en)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Neck band and headphone combind type bluetooth audio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94A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734B2 (en) Smart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507869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10630332B2 (en) Electronic device
EP195401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ne
US20170339482A1 (en) Wireless earbud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163919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9106995B2 (en) Repositionab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20155694A1 (en) Wire control box for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arphone
JP3159333U (en) Mobile device having cord winding device
KR102104897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KR20060110063A (en) Cable connection type stereo head set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EP2243283A1 (en) Cord adjustment device
TWI384843B (en) Portable terminal
CN204993760U (en) Earphone
KR101426157B1 (en) Sub and main double earphon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0155695A1 (en) Wire control box for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arphone
CN109391865B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60048452A (en) Sound EQUIPMENT
US8059854B2 (en) Earphone
KR20160134310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8083876A1 (en) Speaker device
KR20170011320A (en) Electronic Device
KR101615240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EP3439321B1 (en) Portable sou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