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019A -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19A
KR20190004019A KR1020170084023A KR20170084023A KR20190004019A KR 20190004019 A KR20190004019 A KR 20190004019A KR 1020170084023 A KR1020170084023 A KR 1020170084023A KR 20170084023 A KR20170084023 A KR 20170084023A KR 20190004019 A KR20190004019 A KR 2019000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ser
unit
information
fingerprin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
심규찬
Original Assignee
박진
심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 심규찬 filed Critical 박진
Priority to KR102017008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019A/ko
Publication of KR2019000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19A/ko
Priority to KR1020220052375A priority patent/KR20220061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승인 또는 미승인할 수 있는 장치에 마련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와, 사전에 등록된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지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지문인식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암호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encryption module using finger scan and control process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 단말장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단말장치란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형 및 경량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게임,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 개의 입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크기가 작으므로 입력 키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의 정보 입력수단으로서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이 이용된다. 가상 키보드 입력방식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가 표시된 위치에 신체를 접촉하면 대응되는 키 값을 휴대 단말장치가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에 점차 보다 큰 터치스크린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단말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센서가 휴대 단말장치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암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숫자, 알파벳 또는 특수기호를 이용하여 암호패턴을 생성하였다면, 최근에는 지문, 홍채, 안면 등 인간의 고유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세히, 현재의 지문인식을 보안에 이용하는 기기에서는 지문센서 하나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지문을 등록하고, 등록된 손가락의 지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거나 비밀번호를 대체하고 있으며, 이는 금융거래에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은 지문 정보 또는 홍채 정보가 남아있는 고해상도의 사진 등으로도 쉽게 도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안을 위한 암호로써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673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숫자 또는 알파벳을 이용한 암호패턴 입력 방식과 지문인식 방법을 결합하여 보안성이 향상된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지문 센서의 수 만큼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되어 더욱 강력한 암호를 구현할 수 있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와, 사전에 등록된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지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지문인식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암호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부에 메인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지문 인식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문 인식부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지문 인식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인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해제부에서 암호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숫자 또는 알파벳을 이용한 암호패턴 입력 방식과 지문인식 방법을 결합하여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지문 센서의 수 만큼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되어 더욱 강력한 암호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람의 각 손가락의 지문은 각각 다른 지문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각 손가락에 숫자 또는 알파벳과 같은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가 부여된 지문을 이용하여 한 개 또는 복수의 지문을 사용자가 지정한 순서에 맞게 인식 시킬 경우에만 비밀번호가 풀리도록 함으로써 기존 지문인식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양손 이미지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다른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장부의 일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근래 들어, 지문인식을 보안에 이용하는 기기에서는 지문센서 하나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지문을 등록하고, 등록된 손가락의 지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거나 비밀번호를 대체하고 있으며, 이는 금융거래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모듈은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보안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다 복잡한 암호 생성 및 암호 해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 모듈(10)은,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작업, 예를 들어 결제요청, 계좌이체요청 등의 작업 등을 승인 또는 미승인할 수 있는 장치(2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치(2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20)는 노트북, 데스크탑, 태블릿 등을 비롯하여,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100)와, 사전에 등록된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지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00)와, 상기 지문인식부(100)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300)와, 상기 비교부(300)에 따른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암호를 해제하는 해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문인식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장치의 주인이거나, 혹은 장치의 주인이 허락한 다른 사용자일 수 있으며, 장치의 주인이 허락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0)는 사전에 등록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또는 지문등록순서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메인사용자라 함은 장치(20)의 주인인 주사용자를 의미하며, 나아가 주사용자가 허락한 다른 사용자도 메인사용자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교부(300)는 상기 지문인식부(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 및 지문입력순서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등록순서의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해제부(400)는 상기 비교부(30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암호를 해제하거나, 암호를 해제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지문인식부(10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지문 및 지문등록순서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등록 순서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상기 비교부(300)에서 판단하면, 상기 해제부(400)는 그 신호를 받아 암호를 해제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지문인식부(10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지문 및 지문등록순서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등록순서정보와 일치하다고 상기 비교부(300)에서 판단하면, 상기 해제부(400)는 상기 사용자가 메인사용자이거나, 메인사용자가 허락한 사용자라고 판단하고, 암호를 해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비교부(300)의 비교 결과가 상이하면, 즉 상기 지문인식부(10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지문 및 지문등록순서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등록순서정보와 상이하면, 외부로 경고음 또는 경고화면을 출력하는 알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500)는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화면에 팝업창을 띄우거나,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문 조합에 따른 암호의 해제가 실패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알림부(500)는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문 조합에 따른 암호의 해제가 실패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모듈(10)을 이용하여 메인사용자가 암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추후 암호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메인사용자의 양손 이미지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 3은 메인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사용자의 모든 손가락(10개)에 의미(숫자 또는 알파벳 등)를 부여하여 각 지문이 입력되는 순서를 암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의 좌측에 도시된 손의 엄지손가락을 숫자‘0’으로 부여하고, 도면상의 우측에 도시된 손의 엄지손가락을 숫자‘9’로 부여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메인사용자의 각 손가락(10개)에 0부터 9까지 숫자를 부여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도 2의 이미지는 메인사용자의 양쪽 손의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를 메인사용자의 시점에서 보인 그림이다.
상기와 같이 각 손가락에 0부터 9까지 숫자적 의미를 부여한 상태에서, 만약 메인사용자가‘0261’로 암호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도 2를 기준으로 숫자‘0’에 해당되는 왼손(도면상의 좌측)의 엄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2’에 해당되는 왼손의 중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6’에 해당되는 오른손(도면상의 우측)의 약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1’에 해당되는 왼손의 검지손가락의 지문을 지문인식부(100)에 순서대로 입력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암호가 생성된 상태에서, 메인사용자가 암호를 해제하고자 한다면, 도 2를 기준으로 숫자‘0’에 해당되는 왼손(도면상의 좌측)의 엄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2’에 해당되는 왼손의 중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6’에 해당되는 오른손(도면상의 우측)의 약지손가락의 지문과, 숫자‘1’에 해당되는 왼손의 검지손가락의 지문을 지문인식부(100)에 순서대로 입력하여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암호는 ‘0000’, ‘0011’과 같이 동일한 숫자를 2개 이상 조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암호는 1개의 지문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지문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른손으로만 지문이 형성될 수 있고, 양손 모두를 이용하여 지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암호는 숫자 '0'에 해당되는 왼손(도면상의 좌측)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지문인식부(100)에 입력하여 암호가 생성되고, 지문인식부(100)에 숫자 '0'에 해당되는 왼손(도면상의 좌측)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하여, 암호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높은 보안성이 요구될수록 조합되는 지문의 개수는 더욱더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명(적어도 2명)의 지문 조합으로 암호가 생성될 수 있고, 암호가 해제될 수도 있다. 즉, 제1사용자의 지문과 제2사용자의 지문을 조합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고, 암호를 해제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암호화모듈(10)은 스마트폰(20)의 잠금해제 또는 스마트폰(20)에 앱(app)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앱(app)을 실행하는 작업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서 혹은 스마트폰의 특정 앱(app)을 실행하기 위해서 실제 사용자인 제1사용자의 지문과 성인 보호자인 제2사용자의 지문을 조합하여 암호를 요구하게 되면, 사용자인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통해 유통되는 유해 정보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라인 결제 및 계좌 이체 등과 같은 각종 금융업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문인식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입력창(110)과, 상기 입력창(110)에 접촉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인식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문인식센서(120)는 상기 입력창(110)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정보획득센서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문인식센서(120)는 입력창(110)을 통해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을 식별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문인식부(100)로 입력된 지문정보 및 지문입력순서정보는 비교부(300)로 전송되고, 비교부(300)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입력순서정보와 비교한 뒤,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하지 않으면, 해제부(400)는 암호를 해제하지 않는다.
반면, 동일하면, 해제부(400)는 암호를 해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다른 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지문인식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문인식부(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은 각각 지문센서를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한편, 지문인식부(10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로 다른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부(100)가 홈버튼과 터치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문인식을 위한 2이상의 모듈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에는, 상기 복수의 지문입력영역 중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인식부(100)는 스마트폰(20)의 홈버튼 등과 같은 장치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에 마련될 수 있고,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액정화면)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20)과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지문센서를 이용한 패턴 암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의 지문에 의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숫자 또는 알파벳 등의 문자가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복수개의 지문에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지문인식부(100)를 복수의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으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지문인식부(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문인식센서를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지문인식부(100)를 2개의 지문입력영역(101,102)으로 구분하면, 각 지문입력영역(101,102)을 A,B로 각각 정한다.
그리고,‘A8, B5’의 조합으로 암호를 정한다고 가정하면, A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1)에 8번에 해당하는 손가락(도 2 참조)을 터치하고, B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2)에 5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입력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암호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지문입력순서는 암호에 불포함될 수 있다. 즉 순서와 관계없이 해당 지문입력영역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하면 암호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지문입력순서는 암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저장된 순서에 맞춰 해당 지문입력영역에 해당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할 경우에만 암호가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문인식부(100)를 6개의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으로 구분하면, 각 지문입력영역(101,102,103,104,105,106)을 A,B,C,D,E,F로 각각 정한다.
그리고, ‘A3, B5, C7, D2, E9, F4’의 조합으로 암호를 정한다고 가정하면, A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1)에 3번에 해당하는 손가락(도 2 참조)을 터치하고, B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2)에 5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입력한다. 또한, C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3)에 7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고, D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4)에 2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입력한다. 또한, E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5)에 9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고, F에 해당하는 지문입력영역(106)에 4번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터치하여 지문을 입력하면 암호가 설정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된 암호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지문입력순서는 암호에 불포함될 수도 있고, 암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00)에는, 상기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 지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순서 및 상기 각각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지문입력영역의 정보를 저장하여 다양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손가락지문(M개)와, 복수의 지문입력영역(N개)을 조합하여, M×N개의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손가락지문(M개)와, 복수의 지문입력영역(N개) 및 지문입력순서(L개) 조합하여, L×M×N개의 암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저장부의 일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200)에는 제1메인사용자의 정보(201) 및 제2사용자(202)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인사용자의 정보(201)는 제1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입력순서정보이고, 제2 메인사용자의 정보(202)는 제2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 및 지문입력순서정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200)에는 제3메인사용자, 제4메인사용자 및 그 이상의 메인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사용자가 여러 명일 경우, 각 사용자별로, 암호해제 가능한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메인사용자의 경우, 온라인결제와 계좌이체가 가능하지만, 제2메인사용자의 경우, 온라인결제만 가능하고 계좌이체는 불가능할 수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암호화모듈(10)은 장치(20)를 통해서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작업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암호화모듈(10)은, 잠금(lock) 또는 잠금해제(unlock)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20)에 구비되고, 상기 해제부(400)는 암호가 해제되면 상기 전자기기(20)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모듈(10)은, 결제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해제부(400)는 암호가 해제되면, 사용자에 의한 결제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모듈(10)은, 금융거래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해제부(400)는 암호가 해제되면, 사용자가 요청한 로그인 또는 송금을 승인처리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암호화모듈은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부(200)에 메인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0)와, 상기 지문 인식부(100)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단계(S200)와, 상기 지문 인식부(100)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300)와, 상기 비교부(300)에서 상기 지문 인식부(100)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메인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400)와, 상기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해제부(400)에서 암호를 해제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S400)에서, 비교 결과가 상이하면, 상기 해제부(400)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암호 해제가 진행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모듈(10)이 스마트폰에 적용된 경우, 암호화모듈(1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방법이라 함은, 암호의 생성 방법 및 암호의 해제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모듈(10)의 지문인식부(100)는 스마트폰의 홈 버튼 또는 액정 화면 등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사용자는 홈버튼 또는 액정화면 등을 통해 자신의 지문을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암호 생성을 위해, 메인 사용자는 자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문을 지정된 어느 하나의 지문입력영역에 접촉하여 지문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메인 사용자는 자신의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제1지문입력영역과 제2지문입력영역에 순서대로 접촉하여,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암호는 저장부(200)에 저장된다.
이후, 메인 사용자는 결제요청, 송금요청 등의 이유로, 암호해제가 필요하면, 암호 생성 때와 동일한 패턴으로 지문을 입력한다.
즉, 메인 사용자는 암호해제를 위해, 자신의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제1지문입력영역과 제2지문입력영역에 순서대로 접촉하여 암호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숫자 또는 알파벳을 이용한 암호패턴 입력 방식과 지문인식 방법을 결합하여 보안이 더욱 강화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문 센서를 이용할 경우, 마련된 지문 센서의 개수만큼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되어 더욱 강력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보안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 지문인식부
200 : 저장부
300 : 비교부
400 : 해제부
500 : 알림부

Claims (14)

  1. 지문인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승인 또는 미승인할 수 있는 장치에 마련된 암호화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
    사전에 등록된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지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지문인식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암호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입력창; 및
    상기 입력창에 접촉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 지문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순서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상이하면, 외부로 경고음 또는 경고화면을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입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지문입력영역 중 메인사용자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지문입력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메인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 지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순서 및 상기 각각의 지문정보가 등록된 지문입력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사용자는 적어도 2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모듈은, 잠금(lock) 또는 잠금해제(unlock)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상기 해제부는 암호가 해제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모듈은, 결제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해제부는 암호가 해제되면, 사용자에 의한 결제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모듈은, 금융거래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해제부는 암호가 해제되면, 사용자가 요청한 로그인 또는 송금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13. 상기 제1 항 내지 제 12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메인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지문 인식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지문 인식부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지문 인식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인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해제부에서 암호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상이하면, 상기 해제부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의 제어방법.
KR1020170084023A 2017-07-03 2017-07-03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04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23A KR20190004019A (ko) 2017-07-03 2017-07-03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52375A KR20220061930A (ko) 2017-07-03 2022-04-27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23A KR20190004019A (ko) 2017-07-03 2017-07-03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375A Division KR20220061930A (ko) 2017-07-03 2022-04-27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19A true KR20190004019A (ko) 2019-01-11

Family

ID=65028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023A KR20190004019A (ko) 2017-07-03 2017-07-03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52375A KR20220061930A (ko) 2017-07-03 2022-04-27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375A KR20220061930A (ko) 2017-07-03 2022-04-27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04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5633A (zh) * 2021-12-01 2022-03-08 湖北高瞻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指纹防盗密码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51B1 (ko) 2014-12-03 2016-08-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지문에 의한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5633A (zh) * 2021-12-01 2022-03-08 湖北高瞻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指纹防盗密码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930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324B2 (en) Fingerprint gestures
EP2626805B1 (en) Simplified biometric character sequence entry
US9521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asswords using key inputs and contextual inputs
Jansen Authenticating users on handheld devices
KR101769119B1 (ko) 정크 데이터 일치여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9024890B2 (en) Comparison of an applied gesture on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with a remotely stored security gesture
US104099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IN entry on mobile devices
CN106355141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50332038A1 (en) Secure entry of secrets
Koong et al. A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biometrics for multitouch devices
CA2987184A1 (en)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Korać et al. Fishbone model and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evaluation of multifactor authentication in mobile environment
US10147090B2 (en) Validating a transaction with a secure input without requiring pin code entry
JP5651742B1 (ja) パスワードの入力方法、入力端末、及び入力システム
KR20220061930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20058280A1 (en)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access to protected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JP3734242B2 (ja) 指紋認識型データ入力装置
Zhang et al. Tracing one’s touches: Continuous mobile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ouch dynamics
KR20130117371A (ko) 손가락 두드리기를 이용한 스크린 잠금 해제 및 비밀 작업 수행 방법
US10691833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WO20220017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 secure input, using a secure input means
JP5659284B1 (ja) プログラム、サーバおよび通信端末
JP200807725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セキュリティ確保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200029184A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u et al. A Methodology on password based user authentication for multi-touch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