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877A -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877A
KR20190003877A KR1020170083159A KR20170083159A KR20190003877A KR 20190003877 A KR20190003877 A KR 20190003877A KR 1020170083159 A KR1020170083159 A KR 1020170083159A KR 20170083159 A KR20170083159 A KR 20170083159A KR 20190003877 A KR20190003877 A KR 2019000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mode switching
force
dat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911B1 (ko
Inventor
송경섭
곽영환
김성근
강찬욱
김남영
김동우
조성윤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7008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11B1/ko
Priority to KR1020170083171A priority patent/KR1022785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 G07G1/06Details for indicating with provision for the noting of the money to be pa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허가하는 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POS PRINTER, METHOD OF POS PRINTER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출원은,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 프린터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포스 프린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포스 시스템(POS system)은 카페, 음식점, 대형마트와 같은 곳에서 재고 관리나 매출 관리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판매 관리 시스템을 의미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포스 시스템은 포스 서버(POS server)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스 주변기기(POS peripheral)로 전송하는 포스 호스트(POS host) 및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포스 주변기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을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소형 기기를 이용하여 포스 호스트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더 간소화된 형태의 포스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기기에 포스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고, 포스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소형 기기를 따로 생산하는 것 역시 어려워,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포스 호스트에 연결되는 포스 주변기기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다만, 다수의 포스 주변기기가 이용되는 포스 시스템 내에서, 모든 포스 주변기기가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등의 형태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러한 형태의 포스 주변기기를 생산하여 기존의 포스 주변기기를 대체한다고 하더라도, 요구되는 비용과 기존의 포스 주변기기의 처리가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스 호스트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포스 주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스 허브 기기가 개발되어 몇몇 포스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포스 허브 기기가 포스 시스템에 적용되어 데이터를 중계함에 따라, 통신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포스 허브 기기와의 연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장애를 해결한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데이터의 유실 없이 기 연결된 디바이스의 연결 유지 및 연결 차단을 관리할 수 있는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포스 허브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허가하는 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통신 경로를 전환하여,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한 외부 기기가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에 기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에 기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허가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스 프린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포스 프린터에 포스 허브 기기가 연결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통신 장애를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스 프린터가 기 연결된 디바이스의 연결 유지 및 연결 차단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높은 포스 프린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스 프린터와 포스 허브 기기 사이의 데이터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전원 공급 경로로 활용하여, 보다 간소화된 포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기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의 통신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시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드 전환 차단 여부를 확인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를 변경하는 형태로 모드를 변경하는 포스 프린터(300)의 데이터 전송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의 재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기기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른 통신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유휴 상태의 지속에 따른 통신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포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포스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은 포스 시스템 외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포스 시스템>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포스 시스템(Point-Of-Sales system)이란, 카페, 음식점, 대형마트와 같은 곳에서 재고 관리나 매출 관리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판매 관리 시스템으로, 상품명이나 가격 등에 관한 데이터를 기계가 판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입력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터치 등의 형태로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매 이력을 저장하고,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및 영수증 발행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은 포스 호스트(100), 포스 허브 기기(200) 및 포스 주변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포스 시스템은 더 많은 전자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더 적은 전자기기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및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포스 허브 기기(200),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포스 프린터(300)로 전송하거나,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포스 프린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스 호스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제1 포스 호스트(100)와 제2 포스 호스트(100), 포스 주변기기(400)와 포스 프린터(300), 제1 포스 주변기기(400)와 제2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제1 포스 프린터(300)와 제2 포스 프린터(300)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포스 허브 기기(200),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포스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하나의 독립된 디바이스로서 다른 전자기기와의 결합 여부와 무관하게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종속되어 다른 기기와 결합이 이루어진 이후에만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포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특수한 목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전자기기로, 1) 영수증과 같은 문서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2) 물건 등에 부착되며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와 같은 코드를 읽어내고 해독하기 위한 스캐너, 3) 현금, 영수증 등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현금 출납기, 4) 카드 결제를 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카드 결제에 필요한 일종의 '카드 정보'를 판독해 내기 위한 카드리더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스 주변기기(400) 및 포스 프린터(300)를 구분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주변기기(400)의 일 예로서, 포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린팅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는 포스 프린터(30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스 허브 기기(200) 및 포스 프린터(3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포스 허브 기기(200) 및 포스 프린터(300)의 구성>
1. 포스 허브 기기(200)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기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허브 기기(200)는 허브입력부(210), 허브출력부(220), 허브통신부(230), 허브메모리부(240), 데이터생성부(250) 및 허브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허브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허브입력부(210)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허브입력부(210)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출력부(22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허브출력부(220)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허브출력부(220)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과 같은 오디오출력부(320),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과 같은 비디오출력부(32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출력부(3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예, 터치 스크린), 상기 비디오출력부(3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허브통신부(23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상기 허브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할 수 있고, 다른 포스 허브 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기 허브통신부(2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상기 허브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허브통신부(230)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통신부(230)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허브통신부(230)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메모리부(240)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스 프린터(300)와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되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에 관여하는 경우, 관련 동작에 필요한 커맨드, 설정, 데이터와 같은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허브메모리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생성부(250)는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생성부(250)는 상기 허브입력부(210)로 입력된 데이터 및/또는 상기 허브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허브메모리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의 생성(또는 변환)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브제어부(260)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동작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허브제어부(260)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허브통신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허브제어부(2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소프트웨어 코드는 허브메모리부(240)에 저장되고, 허브제어부(2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2. 포스 프린터(300)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입력부(310), 출력부(320), 통신부(330), 메모리부(340), 프린트헤드(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더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10)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310)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2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20)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320)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과 같은 오디오출력부(320),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과 같은 비디오출력부(32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출력부(3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예, 터치 스크린), 상기 비디오출력부(3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 및/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포스 호스트(100)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및/또는 다른 포스 프린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부(330)는 유선 통신 방식(예를 들면, USB port)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예를 들면, 포스 호스트(100), 포스 허브 기기(200), 포스 주변기기(400))와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형 포스 호스트(100)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 사이에는 무선 통신 방식 및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외부 기기가 이미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데이터 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연결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장애를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 출원의 일 과제에 해당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 사이의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부(340)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모리부(340)는,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기기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메모리부(340)는 포스 프린터(300)에 의해 프린팅될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헤드는 프린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는 기록 매체(예를 들어, 종이) 상에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그림 및/또는 문자를 인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린트 헤드는 코팅된 감열지를 가열하여 감열지의 색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기록 매체 상에 그림 및/또는 문자를 인쇄하는 열 인쇄 헤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린트 헤드는 리본 코팅을 종이 등의 자재에 전사(또는 접착)하여 기록 매체 상에 그림 및/또는 문자를 인쇄하는 열 전사 헤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동작을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되면, 연결된 외부 기기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임을 확인하고,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340)에 저장되고, 제어부(3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포스 허브 기기(200)와 포스 프린터(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포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포스 허브 기기(200) 및 포스 프린터(300)의 각 구성요소(예를 들어, 통신부(330), 제어부(360) 등)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개시한 것이고, 상술한 기재에 따라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 및 상기 포스 프린터(300) 등의 구성요소와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포스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스 시스템의 동작>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부(330)를 설명하며 전술한 바 있듯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부 기기로부터 포스 프린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외부 기기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부(3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연결 유지 및 연결 차단 등을 관리할 수 있는 포스 프린터(300)를 개시하고, 이러한 포스 프린터(300)를 포함하는 포스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시스템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 호스트(100), 포스 프린터(300) 및 포스 주변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포스 주변기기(400)는 전술한 포스 프린터(300)와는 다른 포스 프린터(300)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포스 시스템은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호스트(100) 및 적어도 하나의 포스 주변 기기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포스 프린터(300)는 스마트폰(즉, 포스 호스트(100)에 대응) 및 카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즉, 포스 주변기기(400)에 대응)와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삽입되어 있는 SD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된 드라이버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서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충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포스 주변기기(400)(예를 들어,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충돌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호스트(100) 및 포스 주변기기(40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관련된 통신 경로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등의 형태로 실시되도록 구현된다.
일 예로, 도4(c)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기기 중 포스 허브 기기(200)를 제외한 외부 기기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 대신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에 연결되도록 제어되거나,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스 프린터(3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는 포스 허브 기기(200)로 한정되고, 데이터 충돌의 문제가 해결되어 보다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전술한 효과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외부 기기가 연결(S1000)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통신 모드를 변경(S2000)할 수 있다. 각 단계의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1.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S1000)
1.1 외부 기기의 연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에는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외부 기기'는, 포스 호스트(100), 포스 허브 기기(200), 포스 주변기기(400) 및 포스 프린터(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연결'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포스 프린터(30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접근(access)하여 연결을 위한 리퀘스트(request)를 전송하고,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외부 기기의 리퀘스트에 대한 승인을 전송하는 형태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주기적으로 연결을 위한 리퀘스트를 전송(혹은 방출)하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되는 승인을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전송하는 형태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 있듯이,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은, 통신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외부 기기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연결되는 방식과, 제2 외부 기기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연결되는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호스트(100)와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포스 허브 기기(200)와 유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제1 포스 호스트(100)와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 포스 호스트(100)와 유선 통신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와 외부 기기의 연결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리퀘스트가 전송되고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로 승인이 전송되는 형태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리퀘스트를 수신한 시점과 승인을 전송하는 시점 사이에 임의의 간격만큼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은 의도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포스 허브 기기(200)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면 포스 프린터(300)에 기 연결되어 있던 기기의 연결을 차단하는 포스 프린터(300)의 경우,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부터 리퀘스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기연결기기의 연결이 차단될 때까지 상기 승인의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기연결기기의 연결이 차단된 이후,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되는 승인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호스트(100)는 리퀘스트가 수신되면 바로 연결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리퀘스트가 진행되면 본 출원에 개시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절차가 진행된 이후 연결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를 통해,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와 상기 기연결기기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본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은 단순히 순서를 변경하는 정도의 설계 변경에 불과하다 할 것이어서,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1.2 외부 기기의 식별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S1000)되면, 통신 모드를 변경(S2000)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 프린터(300)에 외부 기기가 연결(또는, 연결이 요청)된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의 식별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드전환디바이스라 함은, 포스 허브 기기(200)와 같이,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부(330)를 통해 연결되며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 모드(예를 들어, 통신 모드) 변경에 관여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물리적인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지정된 포트(예를 들어, USB port)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연결된 외부 기기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단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접촉면은 평평할 수 있다. 평평한 접촉면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포스 허브 기기(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포트라 함은, USB와 같은 유선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타입의 암(Female) 또는 수(Male))를 의미한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포트 및 상기 통신 포트와 다른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라함은, 유선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와 마찬가지로 유선 단자가 결합될 수 있는 각각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무선 방식에 있어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는 가상의 경로(예를 들어, IP address에 대응되는 하나의 네트워크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제1 포트(331), 제2 포트(332), 제3 포트(333)를 포함하고, 제1 포트(311)에 연결되는 기기를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식별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제1 포트(231)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1 포트(311)에 연결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를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통신 포트를 이용하며, 지정 통신 포트에 연결된 기기를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식별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포스 프린터(300)의 설계가 보다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형화되어 있는 포스 프린터(300)의 특성상, 물리적인 통신 포트의 수가 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포트가 일반적인 통신 방식으로 이용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통신 포트를 지정하는 방식 이외에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의 연결 시 전송되는 리퀘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식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S1220)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 과정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연결 과정에서 전송되는 리퀘스트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는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IP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과 같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외부 기기의 접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생성되거나 변환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변환된 데이터는 우선 권한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퀘스트는 상기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 및 상기 우선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퀘스트는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구현되고, 연결 과정에서 상기 리퀘스트 및 상기 우선 권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퀘스트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먼저 전송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상기 우선 권한 정보가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S1220)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외부 기기의 연결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계 S1220이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단계 S1220이 진행될 수 있으며, 임의의 주기를 갖고 상기 단계 S122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가 모드를 변경하는데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드 전환을 갖는 권한 정보를 검색(S1240)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와 권한 정보를 비교(S1260)할 수 있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3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 또는 포스 프린터(300)를 세팅(setting)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이 변경되는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권한 정보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유형(예를 들어, 포스 허브 기기(200))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우선 권한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본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검색된 권한 정보와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를 비교(S1260)하여 통신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검색된 권한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검색된 복수개의 권한 정보 중 일부에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가 매칭(matching)될 때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2. 통신 모드를 변경(S2000)
2.1 통신 모드
본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통신 모드라 함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상태에 대한 몇몇 정의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상기 통신 모드는 연결 모드, 비연결 모드, 데이터 처리 모드 및 데이터 비처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연결 상태에 있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연결 모드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비 연결 상태에 있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의 관계에서 데이터 처리 모드에 있다는 것의 의미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기기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프린터가 포스 호스트(100)에 대해 데이터 처리 모드에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겟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기기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의 관계에서 데이터 비처리 모드에 있다는 것의 의미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기기와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프린터가 포스 호스트(100)에 대해 데이터 비처리 모드에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타겟 기기가 포스 허브 기기(200)가 아닐지라도,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타겟 기기가 포스 프린터(300)일 지라도,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와의 관계에서 특정 모드에 있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특정 모드에 있다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2.2 통신 모드의 변경
2.2.1 통신 모드 변경 대상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예를 들어, 포스 허브 기기(200)가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포스 허브 기기(200)가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부(330)에 연결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드의 변경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 및 데이터 전송 중인 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절차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 변경 대상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 변경 대상 및 그에 따른 통신 모드 변경 절차에 따라 몇몇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2.1.1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부(3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의 통신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S222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또는 연결 요청을 전송한)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인터페이스라 함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는 가상의 경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IP주소와 유사하게,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 사이의 연결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신 일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log 기록을 검색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절차에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절차가 선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확인되면,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S2240)할 수 있다.
본 출원서에 개시된 점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연결 모드에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점유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점유 인터페이스를 검색하여,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메모리부(340)를 검색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거나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ack 신호를 송신하고, ack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의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점유 인터페이스를 검색하는 방식을 통해 통신 모드를 변경할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단계 S2240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점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든 통신인터페이스(모드전환디바이스 제외)의 통신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확인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모든 통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하여,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2.2.1.2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 외부 기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 중 데이터 전송 상태가 아닌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통신부(3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아니며 데이터 전송 중이 아닌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 변경 특성에서 생길 수 있는 데이터 유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즉,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허브 기기(200)라고 가정하면, 포스 프린터(300)는 포스 프린터(3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이 진행되던 도중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연결에 따라,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외부 기기 사이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 때, 송신 및/또는 수신되고 있던 데이터는 상기 프린터와 상기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에도 저장되지 않고 유실되어 버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더라도,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이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모드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데이터 유실 및 통신 장애를 해결한 포스 프린터(300)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은 포스 프린터(300)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9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S2420)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전술한 S2220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어,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확인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점유 인터페이스를 확인(S2440)할 수 있다.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1) 상기 메모리부(340)를 검색하여 다른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거나, 2)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ack 신호를 송신하고, ack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유 인터페이스가 확인되고 나면,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즉,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S2460)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여부(즉, 전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통신 일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일반적인 데이터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제어부(360)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 전송 여부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각각의 점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혹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S248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 각각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 각각의 통신 모드를 독립적으로 변경하거나, 모든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가 비 전송 상태가 되었을 때,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모든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제어부(360)로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모든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가 비 전송 상태가 되었을 때,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모든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인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단계S2460을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460을 확인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의 확인(S2460)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도록 설정되거나, 이전 S2460에서 확인된 전송 중인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비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판단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시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연결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도중,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연결이 요청될 수 있다.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S2420)할 수 있고, 상기 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통해 점유 인터페이스(즉, 포스 프린터(300)에 이미 연결된 외부 기기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S2440)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는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점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경할 인터페이스(즉,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를 특정할 수 있고, 모드를 변경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S2460)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단계 S2460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기연결디바이스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포스 시스템의 동작은 이해를 돕기위해 일 실시예를 특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된 것이고, 본 출원의 권리범위가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확인 방법, 점유 인터페이스 확인 방법, 모드 변경 방법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내용을 통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2.1.3 모드 전환이 차단되지 않은 외부 기기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 중 모드 전환이 차단되지 않은 외부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통신부(3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아니며, 모드 전환이 차단되지 않은 외부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지속적으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외부 기기의 연결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드 전환 차단 여부를 확인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확인(S2620)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전술한 단계S2220 (및 S2240)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어,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확인되면,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점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S2640)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의 정보는, 외부 기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며, 단계 S2660에서 설명될 모드전환차단정보와 대응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신 일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log 기록을 검색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외부 기기의 연결 절차에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하는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점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외부 기기에서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점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가 확인(S2640)되면, 확인된 외부 기기의 정보가 모드전환차단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확인(S2660)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는, 전술한바와 같이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의 연결이 유지되는 특정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통신 과정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라면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는 상기 단계 S2640에서 확인되는 외부 기기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속성의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는 미리 저장된 연결 차단 기기의 IP 주소 또는 SSID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드전환차단정보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생산 단계에서 저장되거나,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사용 단계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와 모드전환차단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스 프린터(300)는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즉, 모드전환차단정보와 외부 기기의 정보가 일치되지 않는 외부 기기)를 확인하여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확인되는 대로 확인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확인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와 모드전환차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진행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단계 S2660이 반복되어 수행되도록 하는 포스 프린터(300)가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2.2.2 통신 모드 변경 방법
이미 전술한 바 있듯이, 제1 디바이스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인터페이스(즉,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제1 디바이스의 모드 역시 변경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의미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두 기기의 연결이 유지되던 상태에서 차단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모드 변경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모드에서 비연결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의미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 기기 사이의 연결이 생성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하던 두 기기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모드 변경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비연결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의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던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와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를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모드 변경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데이터 처리 모드에서 데이터 비처리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의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와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를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모드 변경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데이터 비처리 모드에서 데이터 처리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통신 모드가 변경된다는 것의 의미가 전술한 몇몇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 것에 불과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는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가 변경된다는 것의 의미는,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의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부(360)의 동작 역시 당연히 변경된다 할 것이어서,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 모드가 변경된다는 것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개념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의 연결을 차단 및/또는 유지하는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특정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와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점유되어 있지 않은 통신 인터페이스(예, 통신이 개시될 수 있는 통신 모듈의 적어도 일부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 이후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까지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가 변경되어, 이후에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 기기의 연결 역시 차단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만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고, 다른 기기로부터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헤드(35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드 변경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부(360)에 의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 프린터(300)와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는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포스프린터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이외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부터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거쳐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재전송(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가 포스 프린터(300)인 경우)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포스프린터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린트헤드(35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드가 변경되면, 이후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을 시도하는 외부 기기 역시 동일한 통신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즉, 통신 모드의 변경 이후,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의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1) 외부 기기와 포스 프린터(30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식 및 2)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를 변경하는 방식을 통한 통신 모드 변경에 대해서 설명한 바 있다.
이 때,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드의 변경에서는, 연결이 해제된 두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 하다 할 것이어서 따로 데이터의 전송 관계를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처리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전송 관계가 일부 불투명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재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를 변경하는 형태로 모드를 변경하는 포스 프린터(300)의 데이터 전송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데이터를 수신(S3100)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는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었거나, 상기 통신부(3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었을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는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데이터의 전송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S3200)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S3300)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의 타겟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기기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인쇄하도록 상기 프린트헤드(3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예를 들어, 프린터의 상태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포스 프린터(300)에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고,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이 확인되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에 의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몇몇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서에 명시되어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동작은 포스 허브 기기(200)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다만,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포스 허브 기기(20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일 적용예를 설시한 것에 불과하다.
3.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의 재 전환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통신 모드는, 모드 전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통신 모드를 재전환(즉,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의 재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S4000)하고,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모드전환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통신 모드를 변경(S5000)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S4000)하는 시기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조건의 만족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빈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조건의 만족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이전 통신 모드의 변경 단계에서 변경되기 이전의 통신 모드로 다시 변경하는 형태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S5000)할 수 있다. 통신 모드의 변경에 대해서는,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있어,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3.1 연결 해제에 따른 프린터의 통신 모드 변경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기기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른 통신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은 해제(S4100)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의 해제를 확인하기 위해, 1) ack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응신을 확인하거나, 2) 해제된 기기로부터 수신된 해제 요청을 확인할 수 있고, 3) 별도로 해제를 확인하기 위한 물리적인 모듈을 설치하여, 상기 물리적인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해제의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방법을 조합하여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의 해제가 확인될 수 있고, 또는, 통신 일반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가 해제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해제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S4200)할 수 있다.
상기 해제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모두 다 개시할 수는 없으나,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해제된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메모리부(34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되는 해제된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통해, 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해제된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제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모드전환디바이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포스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변경(S5000)할 수 있다.
3.2 유휴 상태의 지속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 변경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유휴 상태의 지속에 따른 통신 모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이력을 검색(S4300)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데이터 전송 이력을 검색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상태(즉, 유휴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실제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혀 전송하지 않는 상태임에도 다른 외부 기기의 데이터 전송(또는 연결)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실시예이다.
상기 데이터 전송 이력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메모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와 연계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정보로부터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300이 개시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지정된 주기를 갖고 지속적으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이력을 검색할 수 있고,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연결이 요청되는 시점에 상기 프린터의 통신 모드 변경 가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예; S430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S4400)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상태의 확인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메모리부(340)에 반영되지 않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점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에 전송대기중인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드전환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전송 중의 상태도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변경(S5000)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포스 시스템에 동작에 있어서, 상술한 각 단계는 생략되거나 다른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용이한 정도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동작은 모드전환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허브 기기(200)인 경우, 포스 프린터(300)의 동작은 포스 허브 기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를 통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4. 포스 프린터(300)를 통한 전력 공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포스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전술한 외부 기기와 포스 프린터(300) 사이의 연결은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 및/또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별도의 전원 공급원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 및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는 별도의 전원 공급원을 구비하되, 상기 포스 프린터(300) 및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유선 통신 방식의 연결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별도의 전원 공급원이 주요 전원 공급원으로, 상기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한 전원 공급이 부가적인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별도의 전원 공급원이 부가적인 전원 공급원으로, 상기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한 전원 공급이 주요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별도의 전원 공급원 및 상기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한 전원 공급이 병렬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서에 개시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 전원이 어떠한 절차를 거쳐 공급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포스 허브 기기(200) 및 포스 프린터(300)가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연결은,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1 포트(331) 및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의 제1 포트(231)의 결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231) 및 상기 제1 포트(331)의 결합을 통해,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부터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 및/또는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로부터 상기 포스 프린터(3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상기 포스 프린터(300)는 외부 기기의 연결을 확인하고, 연결된 외부 기기가 포스 허브 기기(200)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외부 기기가 포스 허브 기기(200)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스 허브 기기(200) 이외의 다른 외부 기기(예를 들어,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제2 포트(332) 및 제3포트(333)에 연결된 외부 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5.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 유도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 유도"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스 프린터(300)에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이전에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를 "모드유지디바이스"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면,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을 확인하고,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모드전환디바이스는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즉,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부(330)에 연결되어)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 모드 변경을 유발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이전에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는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데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모드유지디바이스(즉,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기 이전에 연결된 외부 기기)는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더라도 포스 프린터(300)의 제어 모드 변경을 유발하지 않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하는 포스 프린터(300)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포스 프린터(300)에 이미 연결되어 있던 외부 기기(즉, 모드유지디바이스) 는 1) 포스 프린터(300)와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2) 포스 프린터(300)에 전송한 데이터가 다시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목차 2.2.2 통신 모드 변경 방법 참조)되어 처리되는 등의 통신 환경이 변경되는 결과가 도출된다. 이러한 통신 환경의 변경에 의해 포스 프린터(300)에 기 연결되어 있던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에 따라 제어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가 직접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 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면(S6000),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S7000)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6000은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 단계 S1000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포스 프린터(300)에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드전환디바이스와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 단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및/또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의 연결 확인(목차 1.2 외부 기기의 식별 참조) 등을 통해 판단하는 절차가 준용될 수 있다.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면,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S7000)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하기 위해,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에 필요한(또는 이용되는) 정보(이하, 연결유도정보)를 모드전환디바이스 및/또는 모드유지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포스 프린터는 연결유도정보를 모드전환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드전환디바이스가 모드유지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절차(예; 연결 요청)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포스 프린터는 연결유도정보를 모드유지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드유지디바이스가 모드전환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도정보는, 포스 프린터(300)에 모드전환디바이스 또는 모드유지디바이스가 연결될 때,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연결유도정보는 상기 포스 프린터(300)의 메모리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 또는 모드유지디바이스로 연결유도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연결유도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도정보는,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된 모드유지디바이스 및/또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의 IP 주소 및/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듈을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마이그레이션(migr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 프린터(300)가 통신 모듈을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마이그레이션 한다는 것의 의미는,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네트워크 등을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가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통신일반에서 이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포스 프린터(300)는 통신 모듈을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마이그레이션 하기 위한 명령어를 모드전환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듈이 모드전환디바이스에 마이그레이션되는 경우,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승인 없이(즉,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없이도)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있던 모드유지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로 전송하려던 데이터를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S6000)되면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를 변경(S2000)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의 통신 모드의 변경 방법은 다양할(목차 2.2.2 통신 모드 변경 방법 참조) 수 있다.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통신 모드를 변경(S2000)하는 단계는, 단계 S7000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고, 단계 S7000이전에 진행될 수 있고, 단계 S7000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 프린터(300)가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면 기 연결되어 있던 모드유지디바이스와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을 차단하는 형태로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S7000)하기 위해 연결유도정보를 모드전환디바이스에 전송하고, 통신 모드를 변경(S2000)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프린터(300)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포스 프린터(300)에 연결되어,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하기 이전에, 모드전환디바이스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연결 가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가부를 확인하는 것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가부를 확인하는 것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 확인을 통해, 모드유지디바이스와 포스 프린터(300)의 연결을 차단하고, 모드유지디바이스와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을 유도해도 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모드유지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및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이미 목차 2.2.1.2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 외부 기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여기서 연결 가부를 확인하는 것은, 모드전환디바이스 및/또는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지원되는 통신 형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지원 통신 형태가 포스 프린터(3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연결 가부를 확인하는 것은, 모드유지디바이스의 지원되는 통신 형태만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출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포스 호스트
200: 포스 허브 기기
300: 포스 프린터
400: 포스 주변기기

Claims (21)

  1.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허가하는
    프린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는,
    포스 호스트로부터 포스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타겟 기기로 전송하여,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포스 허브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통신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드 변경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모드 전환 권한을 확인하는
    프린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모드 전환 권한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와 비교하여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프린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프린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연결을 차단하는
    프린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의 모드 전환 가부를 확인하고,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연결을 차단하는
    프린터.
  9.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통신 경로를 전환하여,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린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디바이스의 통신 경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기기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 기기가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아닌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프린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외부 기기의 통신 경로를 재전환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저장된 데이터 전송 이력을 통해 판단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외부 기기의 통신 경로를 재전환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
  13.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한 외부 기기가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에 기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의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통신 모듈에 기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연결 요청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는 유휴 상태일 때, 상기 연결을 차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연결을 차단하기에 앞서, 상기 기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 중 연결을 유지할 기기 정보를 메모리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연결을 차단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와 상기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프린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는, 포스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린터가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프린터로 전송하는 포스 허브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된 상기 포스 허브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
  21. 프린터 헤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린터 헤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프린터의 제어 모드 변경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드전환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 모듈에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모드전환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프린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허가하는
    프린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70083159A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93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9A KR101939911B1 (ko)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70083171A KR102278513B1 (ko)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9A KR101939911B1 (ko)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71A Division KR102278513B1 (ko)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877A true KR20190003877A (ko) 2019-01-10
KR101939911B1 KR101939911B1 (ko) 2019-01-18

Family

ID=6502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59A KR101939911B1 (ko) 2017-06-30 2017-06-30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67A1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단비코리아 가상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캡티브 포탈 주문 결제 출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89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 시스템
KR101536069B1 (ko) * 2014-02-11 2015-07-13 주식회사 빅솔론 포스 주변기기 컨트롤러, 모바일 호스트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89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 시스템
KR101536069B1 (ko) * 2014-02-11 2015-07-13 주식회사 빅솔론 포스 주변기기 컨트롤러, 모바일 호스트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67A1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단비코리아 가상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캡티브 포탈 주문 결제 출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11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813B2 (en) Function execu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9389815B2 (en) Control device
JP2006345451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4238969A (zh) 拉打印方法、装置和系统
JP6891024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50293732A1 (en) Image Forming System, Service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mage Form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402130B2 (en) Printing system and related control method in which a printing apparatus connects with a mobile terminal if a printing reservation corresponding to a printing instruc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is managed by a server
JP2016016644A (ja) 画像処理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11366621B2 (en) Printing apparatus to acquire print data and transmits a request to an external apparatus to close websocket communication when predetermined time period elapsed
JP6667476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8109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7312088A (ja) 動作要求受付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動作要求受付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運用方法
WO2015168855A1 (zh) 焊接电源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101939911B1 (ko)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111720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display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screen after a communication apparatus prin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20210096791A1 (en) Printing apparatus
US119916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establishe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enabling an access poin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90003879A (ko) 포스 프린터, 포스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1020585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program to cache user information
US102777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data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218875B2 (e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NFC standard
KR101985580B1 (ko)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KR20190060973A (ko) Pos시스템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포스 허브 전자기기 및 포스 호스트
US201800394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5082172A (ja) 送信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