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180A -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180A
KR20190003180A KR1020170083736A KR20170083736A KR20190003180A KR 20190003180 A KR20190003180 A KR 20190003180A KR 1020170083736 A KR1020170083736 A KR 1020170083736A KR 20170083736 A KR20170083736 A KR 20170083736A KR 20190003180 A KR20190003180 A KR 20190003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ed
nozzle
printer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이
Priority to KR102017008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180A/ko
Publication of KR2019000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40Structures for supporting 3D objects during manufacture and intended to be sacrificed after comple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출력물이 조형되도록 판형 구조를 갖는 금속 베드와; 상기 금속 베드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3D 프린팅 초기에 실시되는 노즐의 영점 조정을 위한 X, Y 축 영점 위치에 설치되어, 노즐이 Z축 영점 조정을 위해 하강하면서 충돌할 경우에 이를 완화시키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영점 조정시에 노즐이 틀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프린터의 신뢰성 및 제품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Buffer bed and 3D printer with it}
본 발명은 입체 조형물을 출력하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형물이 성형되는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팅이란 입체로 디자인된 설계도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각종 소재를 층층이 쌓아 제조하는 것을 말하고, 이러한 3D 프린팅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3D 프린터는 소재를 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분말로 된 소재를 레이저로 소결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빛으로 소재를 굳히는 SLA(Stereolithography) 방식,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용융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FDM 방식의 3D 프린터는 조형물이 성형되는 베드, 이 베드의 상부에서 X,Y,Z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이송 헤드, 이 이송 헤드에 장착되어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제공하는 노즐 등으로 구성되어, 용융시킨 필라멘트를 베드의 바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레이어 단위(layer by layer)로 쌓아 올라가는 방식으로, 디자인된 형상을 조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FDM 방식의 3D 프린터의 경우에, 프린팅 초기 작동시에 정확한 프린팅 작업을 위해 노즐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영점 조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FDM 방식의 3D 프린터는 3D 프린팅 초기에 Z축 영점 조정을 실행할 때, 근접센서의 미세 오류 등이 발생하면, 노즐이 하강하면서 베드 상면에 충돌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이럴 경우에 노즐이 손상되거나, 노즐을 포함한 헤드 부분이 휘어지는 등 고장 발생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즉, 3D 프린팅 초기 영점 조정시에 노즐 끝단과 베드 사이는 대략 수백 마이크로미터 간격으로 근접하면서 조정이 이루어지는데, 근접센서 오류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노즐이 베드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노즐이 파손되고, 헤드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헤드에 구비된 노즐은 끝단이 뾰족한(sharp)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재질과 내경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황동 재질의 비교적 저렴한 노즐도 있지만, 고가의 초정밀 세라믹 노즐(Eser corperation, USA)도 있어서 영점 조정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영점 조정시에 노즐이 베드에 충돌하여 아주 미세하게 틀어지게 되면, 이후 프린팅 작업시에 오차 발생이 커지면서 보다 정밀하고 우수한 제품을 출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등록특허 10-1700344호 등록특허 10-16628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판 베드에 완충 장치를 설치하여, Z축 영점 조정시에 노즐이 하강하여 베드에 충돌하더라도 완충 장치가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노즐이 베드에 충돌하여 노즐이 틀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프린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출력물이 조형되도록 판형 구조를 갖는 금속 베드와; 상기 금속 베드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3D 프린팅 초기에 실시되는 노즐의 영점 조정을 위한 X, Y 축 영점 위치에 설치되어, 노즐이 Z축 영점 조정을 위해 하강하면서 충돌할 경우에 이를 완화시키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금속 베드에 형성된 완충 홀에 끼워지고 경질층과 연질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의 경질층과 연질층의 경계면에 설치되어 노즐이 충돌할 때 이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과, 상기 금속 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 부재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부에 연질층이 위치되고, 하부에 경질층이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지지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는, 금속판 베드의 영점 센터 위치에만 PE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Z축 영점 조정시에 노즐이 하강하여 베드에 충돌하더라도 완충장치가 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영점 조정시에 노즐이 틀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프린터의 신뢰성 및 제품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부재를 단차 구조로 형성하거나 완충 지지대에 세트로 구성하여 조립할 경우에, 베드에 안정적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완충 부재만 교체할 수 있어 베드의 사용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 부재를 경질층과 연질층으로 구성할 경우에 안정된 장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노즐이 충돌할 때 적절한 완충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 완충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완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완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에서, 완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에서, 완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의 주요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의 주요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돌 방지형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은 3D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3D 프린터의 정면도, 도 3은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주요부 정면도, 도 5는 완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 도 6은 완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 상부에 출력물이 성형되는 베드(20)가 위치되고, 이 베드(20)는 Y축 구동 장치(24) 및 가이드(26)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베드(20)의 상부에는 노즐(50)을 포함한 이송 헤드(42)가 위치되고, 이 이송 헤드(42)는 헤드 지지대(40)에 지지된 상태에서 X축 구동 장치(44) 및 가이드(46)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헤드 지지대(40)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베이스(10)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Z축 구동 장치(60) 및 가이드(62)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 헤드(42)에 장착된 노즐(50)은 베드(20)와 함께 X,Y,Z축 구동 장치(44)(24)(60)에 의해 X,Y,Z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조형물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X,Y,Z축 구동 방식은 하나의 예시이며, 실시 조건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송 헤드(42) 및 베드(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송 헤드(42)는 헤드 지지대(40)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노즐(50)과 근접 센서(55)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노즐(50)은 제공된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끝단이 대략 원추형 구조로 형성되어 용융된 소재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 센서(55)는 노즐(50)의 측면에서 노즐(50)과 나란히 위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3D 프린팅시에 베드(2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 헤드(42)에는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장치, 노즐(50)을 냉각하는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도면들에서는 편의상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베드(20)는, 상부에서 출력물이 조형되도록 판형 구조를 갖는 금속 베드(22)와, 이 금속 베드(22)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노즐(50)이 Z축 영점 조정을 위해 하강하여 충돌할 경우에 이를 완화시키는 완충 장치(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금속 베드(22)는 Al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면은 평평한 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금속 베드(22)는 노즐의 영점 조정을 위한 X, Y 축 영점 위치인 중앙부에는 완충 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완충 홀(23; 도 5 및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완충 홀(23)은 금속 베드(22)에 관통된 홀 구조가 바람직하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하부가 막힌 홈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 장치(30)는 3D 프린팅 초기에 실시되는 노즐(50)의 영점 조정을 위한 X, Y 축 영점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 장치(30)는, 금속 베드(22)에 형성된 완충 홀(23)에 끼워지는 완충 부재(32)와, 이 완충 부재(32)의 내부에 설치되어 노즐(50)이 충돌할 때 이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완충 부재(32)는 PE 등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영점 조정시의 오차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를 설정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 감지수단(35)은 노즐(50)이 완충 부재(32)의 상부에 충돌할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구조물로서, 공지의 압전 센서, 접촉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 감지수단(35)은 3D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입력하여, 노즐(50)이 충돌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노즐(50)의 Z축 이동(하강)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는 노즐의 영점 조정을 중단하면서, 노즐(50)을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경고 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고 장치는 충돌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완충 장치(3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부재(32)는 단차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베드(20)의 완충 홀(23)도 완충 부재(32)의 단차 구조에 맞추어 단차 구조를 갖는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 부재(32)는 상부쪽 외경(33)은 크고, 하부쪽 외경(34)은 작게 형성함으로써 단차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고, 완충 홀(23) 역시 단차 구조를 갖도록 내경을 형성하여, 도 6에서와 같이 금속 베드(22)의 상부에서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단차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 금속 베드(22)에 끼워진 완충 부재(32)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완충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한편, 완충 부재(32) 및 완충 홀(23)은 원형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또는 오각 등 다각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충돌 감지수단(35)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선은 베드(20)의 하부 쪽에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돌 방지형 완충 베드(20)를 갖는 3D 프린터는 프린팅 초기 영점 조정시에 노즐(50)이 하강하여 베드(20)에 충돌할 경우에, 금속 베드(22)의 중앙부에 완충 부재(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50) 끝단이 완충 부재(32)에 부딪히게 되고, 이때 충돌 감지수단(35)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서 제어부에 의해 영점 조정이 중단되어 노즐(5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특히, 노즐(50)이 금속 판재가 아닌 완충 부재(32)에 부딪히게 되므로 완충 부재(32)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노즐(50)이 손상되거나 틀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완충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에서, 완충 장치의 설치 상태 및 조립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완충 장치(30A)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완충 장치 외의 다른 부분의 도면 예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완충 장치(30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부재(32a), 충돌 감지수단(35), 그리고 금속 베드(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완충 부재(32a)를 지지하는 동시에 충돌 감지수단(35)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 지지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완충 부재(32a)는 금속 베드(22)의 완충 홀(23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노즐(50) 충돌시에 이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35)이 구비된다.
특히, 완충 지지대(36)는 금속 베드(22)의 하부에 나사(38) 체결 등의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운데 부분에는 완충 부재(32a)를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7)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지지대(36)는 충돌 감지수단(35)과 연결되는 선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선이 통과하는 홀 또는 신호 전달을 위한 인쇄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 장치(30A)는 도 8에서와 같이 완충 지지대(36)에 완충 부재(32a)와 충돌 감지수단(35)을 조립한 상태에서, 금속 베드(22)의 하부에서 도 7과 같이 조립한 다음, 나사(38)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의 주요부 상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도 완충 장치(30B)(30C)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면 예시 및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도 완충 장치(30B)(30C)는 기본적으로 완충 부재(32b)(32c)가 다른 경도를 갖는 구조물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9에서는 완충 부재(32b)가 다른 경도를 갖는 2층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측부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경질층(33b)이 형성되고, 하측부는 경질층(33b)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층(34b)이 형성된다. 이때 완충 부재(32b)를 구성하는 소재는 동일한 소재 또는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충돌 감지수단(35)은 경질층(33b)과 연질층(34b)의 경계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10에서는 완충 부재(32c)가 상측부에 연질층(33c)이 위치되고, 하부측에 경질층(34c)이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질층(34c)은 도면에서와 같이 베드(2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그 안쪽에 연질층(33c)이 위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돌 감지수단(34)은 연질층(33c)과 경질층(34c)의 경계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질층과 경질층으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를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에의 완충 부재(32a)에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는 완충 부재에 충돌 감지수단이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Z축 가이드(62) 쪽에 충돌 감지수단(70)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30D)가 금속 베드(22)에 완충 부재(32d)가 설치되고, 베드(20)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Z축 가이드(62)에 충돌 감지수단(70)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충돌 감지수단(70)은 영점 조정시에 노즐(50)이 하강하여 완충 부재(32d)에 접촉하는 위치에, 노즐과 함께 하강하는 헤드 지지대(40)가 접촉할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리미트 스위치도 제어부에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충돌 발생시에 노즐(5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 : 베드
22 : 금속 베드 23 : 완충 홀
30 : 완충 장치 32 : 완충 부재
34 : 충돌 감지수단 36 : 완충 지지대
40 : 헤드 지지대 42 : 이송 헤드
50 : 노즐 55 : 근접 센서
62 : Z축 가이드 70 : 충돌 감지수단

Claims (9)

  1.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출력물이 조형되도록 판형 구조를 갖는 금속 베드와;
    상기 금속 베드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3D 프린팅 초기에 실시되는 노즐의 영점 조정을 위한 X, Y 축 영점 위치에 설치되어, 노즐이 Z축 영점 조정을 위해 하강하면서 충돌할 경우에 이를 완화시키는 완충 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금속 베드에 형성된 완충 홀에 끼워지는 완충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에 설치되어 노즐이 충돌할 때 이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경질층과 연질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부에 연질층이 위치되고, 하부에 경질층이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부에 경질층이 위치되고, 하부에 연질층이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수단은 상기 완충 부재의 경질층과 연질층의 경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금속 베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 부재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장치는, 상기 금속 베드에 형성된 완충 홀에 끼워지는 완충 부재와, 상기 노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Z축 가이드에 설치되어 노즐이 충돌할 때 이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KR1020170083736A 2017-06-30 2017-06-30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KR20190003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36A KR20190003180A (ko) 2017-06-30 2017-06-30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36A KR20190003180A (ko) 2017-06-30 2017-06-30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80A true KR20190003180A (ko) 2019-01-09

Family

ID=6501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36A KR20190003180A (ko) 2017-06-30 2017-06-30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74A (zh) * 2019-04-26 2019-08-02 武汉科技大学 一种三维移动支架及其组成的3d打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74A (zh) * 2019-04-26 2019-08-02 武汉科技大学 一种三维移动支架及其组成的3d打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572B1 (ko) 완충 베드를 갖는 3d 프린터
KR101682600B1 (ko) 3d 프린트의 헤드갭 자동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WO2016136495A1 (ja) ガス浮上ワーク支持装置および非接触ワーク支持方法
KR20190003180A (ko) 완충 베드 및 이를 갖는 3d 프린터
JP5121954B2 (ja) ポイント半田ncデータ作成方法
CN110382236B (zh) 加热室内部的3d打印喷嘴校准
JP2016107456A (ja) 樹脂熔融型造形ヘッド及び三次元造形装置
KR101901548B1 (ko) 스토퍼의 위치 편차를 이용한 접촉식 자동위치측정 장치와 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KR102104407B1 (ko) 표면 실장기의 부품 유지 헤드
US20160059492A1 (en) Feeding apparatus for forming 3d object
US202202268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to shorten object formation time
CN113695178A (zh) 点胶针头的校准方法
JP2015216228A (ja) 樹脂封止型電力用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2597B1 (ko) 토출 장치, 토출 방법, 물품의 제조 장치, 및 기억 매체
JP6577640B2 (ja) 計量装置
CN112238612A (zh) 一种3d打印机喷头定位装置的控制方法
US114850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dular heater to improve layer bonding in a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KR101959222B1 (ko) 3d 프린터의 하부 베드
KR20220051387A (ko) 컨베이어 레일에서 열원의 막힘 제거
JP6913768B2 (ja) スティックフィーダ
KR101910923B1 (ko) 3차원 프린터용 원료 토출 장치
JP6456904B2 (ja) ガス浮上ワーク支持装置
JP2021028145A (ja) 造形装置
CN220499964U (zh) 一种打印头组件及立体成型设备
US11835369B2 (en) 3D printer detection device having magnet and hall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