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77U - 애완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77U
KR20190003077U KR2020180002464U KR20180002464U KR20190003077U KR 20190003077 U KR20190003077 U KR 20190003077U KR 2020180002464 U KR2020180002464 U KR 2020180002464U KR 20180002464 U KR20180002464 U KR 20180002464U KR 20190003077 U KR20190003077 U KR 201900030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oilet
filler
lower opening
cover
elli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다웨이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볼루펫 프로덕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볼루펫 프로덕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하이 볼루펫 프로덕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2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077U/ko
Publication of KR20190003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입구를 갖는 타원형의 상부 커버와; 하측 개구부를 갖고 쓰레기를 담기 위한 타원형의 충전재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형의 상부 커버가 타원형의 충전재함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의 상부 커버가 상기 타원형의 충전재함체에 힌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폐장치가 상기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측 개구부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화장실{Pet Toilet}
본 고안은 애완동물 용품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용 화장실(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 화장실와 같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모래와 같은 충전재의 교체 및 청소가 불편한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110호(등록일: 2012년06월15일)의 고양이용 용화장실구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고양이 모래의 사막화 현상이 없고 냄새가 적으며 관리가 용이하며 고양이의 습성을 배려한 고양이용 용화장실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에 다수의 제1배뇨공이 타공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배변통체; 상기 배변통체 내부에 다수가 충전되어 적층되는 것으로서 소변으로 하여금 상기 제1배뇨공을 통해 하방으로 흘러 떨어지도록 표면이 소수성(疏水性) 피막으로 되어 있는 알갱이 형태의 충전재(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 등록고안은 상부가 오픈되어 고양이의 용변 후 뒷처리시 충전재가 외부로 비산하는 구조이므로 고양이의 습성을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소변이 충전재를 거처서 하부로 유출되므로, 냄새 및 충전재의 불결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고양이의 화장실의 충전재는 철저한 청소를 위해 퍼낼 필요가 있다. 애완동물용 화장실는 그 전체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소독해야 한다. 애완동물용 화장실는 예를 들면 고양이를 위한 것이지만 사람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체 공학적인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현대 가정 생활 스타일에 맞게 적용된 것이 드물고 충전재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요즘의 젊은 소비자는 가정의 가구와 디자인 전체에 개한 큰 수요를 보이고 있고, 애완동물 관련 비용 지불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심미적이고, 실용적이고, 안전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고안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110호(등록일: 2012년06월15일)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더욱 심미적이고, 실용적이며 안전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쉘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가 제시된다. 상기 셸은 상부 커버와 충전재함체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함체는 연결된 지지다리를 갖는 반 타원형 셸의 구조이다. 상기 충전재 누출에 사용되는 충전재함체의 바닥에는 하측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차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의 형상은 상기 충전재함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커부와 충전재함체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후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의 전방부에는 타원형의 입구가 형성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는 타원형의 형상을 취하고, 전체적인 외관은 현재의 주류 가구 스타일에 어울리고 실용성과 미적 외관을 겸비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전방에 고양이가 올라타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원형 입구와 충전재누출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를 들어 올리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충전재누출판의 최 외곽 영역에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구조는 사용자의 쉬운 조작을 위해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후부에 있는 제한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하측 개구부는 반 타원형 충전재함체의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수동 작업 부하를 줄이고, 쓰레기 스스로의 누출이 용이하고, 모든 쓰레기가 상기 하측 개구부를 통하여 누출된 후가 아니어도 상기 충전재함체 전체를 청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내부 구조는 가정용으로 설계되어, 심미적인 외관을 확보하고, 냄새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애완동물의 위생적인 필요성을 위해 양호한 밀폐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충전재누출판이 타원형의 입구의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재누출판이 내향 경사진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손잡이 홀이 상기 충전재누출판의 최 외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타원형 입구의 하단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 돌기부를 갖고 설치된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에 대응하는 위치이고 충전재함체와 연결된 오목홀을 갖는 지지부의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상기 상부 커버가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접촉판은 상기 지지부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홀에 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충전재함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다리의 다리 수는 적어도 3개이고, 이들 지지다리는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분포된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차폐장치가 버튼에 의해 상기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를 푸시-풀(push-pull)로 닫도록 한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차폐장치가 나사에 의해서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에 착탈이 가능한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차폐장치가 힌지에 의해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를 덮는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차폐장치가 셔트(chute)를 통해 미끄러지면서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를 덮는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쓰레기봉투가 자성판에 의해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실시 양태 및 이점들은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본 고안의 실시로부터 실현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구성에 의하면 현대 가정의 스타일에 어울리는 심미적인 효과, 친 애완동물 환경의 효과 및 더욱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의 사용 예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에 관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차폐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차폐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차폐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차폐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주요 구성요소(접촉판 및 지지부)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 또는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의 단순한 예시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수평", "위", "아래", "전", "후", "왼쪽", "오른쪽", "수평", "위", "아래", " 내부 ', '외부' 등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목적으로만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근거한 것이며, 장치 또는 요소는 특정 방향을 가지고 특정 방향으로 구축되어 조작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쉘(1)을 포함한다. 상기 쉘(1)은 상부 커버(2) 및 충전재함체(13)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재함체(13)는 반타원형의 구조이다. 지지다리(7)가 상기 충전재함체(1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충전재함체(13)의 최하부에는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하측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쓰레기봉투(11)가 상기 하측 개구부(12)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하측 개구부(12)에는 차폐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2)의 형상과 상기 충전재함체(13)의 형상은 유사 또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2)와 상기 충전재함체(13)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후부에 위치한 힌지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충전재함체(13)에 충전되는 충전재는 모래 등의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충전재함체(13)에 충전되는 재료가 모래인 경우 상기 충전재함체(13)를 모래포트(sand port)로 불리울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커버(2)에는 타원형으로 개구된 타원형 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원형 입구(14) 하단에는 충전재누출판(3)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재누출판(3)은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손잡이 홀(4)이 충전재누출판(3)의 최 외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봉투(11)는 상기 충전재함체(13)의 하측 개구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쓰레기봉투(11)는 하측 개구부(12)에 자성판(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자성판(10)은 상기 쓰레기 봉투(11)를 상기 하측 개구부(12)에 설치 또는 제거를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전면에 타원형 입구(14), 반 중공형의 충전재함체(13) 및 애완동물, 고양이가 뛰어 오를 수 있는 충전재누출판(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애완용동물이 화장실에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누출판(3)은 내향 경사져 있고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재누출판(3)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고양이의 발에 묻은 충전재가 상기 충전재함체(13)로 되돌아 감으로써 외부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커버(2)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상기 충전재누출판(3)의 최 외곽 영역에 인체공학적인 손잡이홀(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인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사용자의 쉬운 조작을 위해 상기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후부의 제한 연결에 의해 분리와 연결이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측 개구부(12)는 청소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이기 위해 충전재 스스로가 배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반 타원형의 상기 충전재함체(13)의 최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타원형 입구의 하단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 돌기부를 갖고 설치된 접촉판(5)과, 상기 접촉판(5)에 대응하는 위치이고 충전재함체(13)와 연결된 오목홀을 갖는 지지부(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2)가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접촉판(5)은 상기 지지부(6)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홀에 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전반적인 디자인은 열 수 있는 일종의 타원형의 바디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내부는 반원형의 지지부로 설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 커버에 접촉판과 지지부에서 쉽게 위쪽으로 눌러 고정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는, 상기 충전재함체(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다리(7)의 다리 수는 적어도 3개이고, 이들 지지다리(7)는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분포된 구성인 것이 제시된다.
상기 일체형의 지지다리가 있는 본 고인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전반적으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의 지지다리는 하측 개구부(12)에 상기 쓰레기 봉투(11)를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지지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충전재함체(13)의 아래 공간은 애왼동물이 숨을 수 있고 애완동물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로서, 슬라이딩 버튼(8)은 상기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장치(9)르 밀고 당겨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로서, 상기 차폐장치(9)는 나사산(15)이 있는 커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로서, 상기 차폐장치(9)는 상기 하측 개구부(12)를 힌지(16)에 의해 덮도록 상기 충전재함체(13)에 힌지 고정된 외부 덮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실시예 중 하나로서, 상기 차폐장치(9)는 셔트(17)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외부덮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첩도어 및 슬라이드도어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차폐장치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인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선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개선 및 수정된 고안이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 쉘
2: 상부 커버
3: 충전재누출판
4: 손잡이홀
5: 접촉판
6: 지지부
7: 지지다리
8: 버튼
9: 차폐장치
10: 자성판
11: 쓰레기봉투
12: 하측 개구부
13: 충전재함체
14: 타원형 입구
15: 나사산
16: 힌지
17: 셔트

Claims (13)

  1. 입구를 갖는 상부 커버와;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하측 개구부를 갖는 충전재함체와;
    상기 하측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차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충전재함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재함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함체에 연결되는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입구의 전방에 설치된 충전재누출판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누출판의 최 외곽 영역에 손잡이홀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5. 청구항 3에 있어서,
    3개의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들은 상기 충전재함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다리들은 대칭적이고 방사상으로 분포되도록 재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된 접촉판과 오목홀을 갖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접촉판은 상기 충전재함체와 대면하는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출된 접촉판에 대응하도록 상기 충전재함체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커버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돌출 접촉판이 상기 지지부의 오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딩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에 의해 상기 하측 개구부가 푸시 풀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는 나사에 의해 상기 하측 개구부를 착탈 가능하게 덮는 나사산을 갖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하측 개구부를 덮기 위해 상기 충전재함체에 힌지 고정된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하측 개구부를 덮도록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함체의 하측 개구부에 자성판에 의해 부착된 쓰레기봉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개구부에 상기 쓰레기봉투를 부착시키기 위한 자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13. 입구를 갖는 타원형의 상부 커버와;
    하측 개구부를 갖고 쓰레기를 담기 위한 타원형의 충전재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형의 상부 커버가 타원형의 충전재함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의 상부 커버가 상기 타원형의 충전재함체에 힌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폐장치가 상기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측 개구부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20180002464U 2018-06-05 2018-06-05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900030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64U KR20190003077U (ko) 2018-06-05 2018-06-05 애완동물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64U KR20190003077U (ko) 2018-06-05 2018-06-05 애완동물용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77U true KR20190003077U (ko) 2019-12-13

Family

ID=6883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64U KR20190003077U (ko) 2018-06-05 2018-06-05 애완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0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7U (ko) * 2020-03-30 2020-04-20 ( 주) 자바라이프 고양이 화장실용 모래튀김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10Y1 (ko) 2012-05-02 2012-06-22 조철희 고양이용 용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10Y1 (ko) 2012-05-02 2012-06-22 조철희 고양이용 용변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87U (ko) * 2020-03-30 2020-04-20 ( 주) 자바라이프 고양이 화장실용 모래튀김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3460A1 (en) Pet toilet
US5551569A (en) Bag dispenser and temporary pet waste receptacle
US20100071628A1 (en)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KR200484903Y1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US10159214B2 (en) Easy clean animal litter box
JP3231886U (ja) ペット用トイレ装置
KR20110097263A (ko) 좌변식 고양이화장실
KR200485137Y1 (ko) 곤충 사육통
US6651260B1 (en) Toilet tank top with easy access to drop in deodorizing discs
KR20190003077U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2071317B1 (ko)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CN107960337B (zh) 一种具有除臭杀菌功能的宠物活动平台
US20180325074A1 (en) Portable Toilet Litter Bowl for Cats
GB2589574A (en) Waste receptacle
CN207322275U (zh) 一种宠物厕所
US20080156276A1 (en) Portable den
CN205305651U (zh) 具有补砂箱的封闭式猫砂盆
KR102349801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IT201800002582A1 (it) Trasportino per animale domestico di piccola taglia
KR200446370Y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CN207820806U (zh) 猫砂盆
CN214546384U (zh) 一种宠物猫砂盆
CN205305650U (zh) 封闭式猫砂盆
CN211268060U (zh) 一种猫厕所
GB2591225A (en) Waste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