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39U - Wearable apparatus for face - Google Patents

Wearable apparatus for 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39U
KR20190003039U KR2020180002387U KR20180002387U KR20190003039U KR 20190003039 U KR20190003039 U KR 20190003039U KR 2020180002387 U KR2020180002387 U KR 2020180002387U KR 20180002387 U KR20180002387 U KR 20180002387U KR 20190003039 U KR20190003039 U KR 201900030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wearable
user
fixing member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374Y1 (en
Inventor
방기태
Original Assignee
방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태 filed Critical 방기태
Priority to KR2020180002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74Y1/en
Publication of KR20190003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3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7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6Paddings; Cushions; Fittings to the 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The wearable 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nd protects a part of the user's fac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body having a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and the user And a face fixing member that come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fac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Description

웨어러블 안면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FACE}Wearable facial device {WEARABLE APPARATUS FOR FACE}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facial device.

일반적으로 스포츠 고글은 수중에서 사용되는 수경과, 스키와 패러글라이딩 등과 같은 운동을 행할 때 사용되는 고글과, 산업현장에서 안전용으로 사용되는 보안경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sports goggles are divided into goggles used for underwater, goggles used for exercising such as skiing and paragliding, and goggles used for safety in industrial sites.

수경 및 고글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렌즈, 렌즈와 일체로 접착되는 프레임, 안면에 긴밀하게 탈착시키기 위한 패드 및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 등 여러 가지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Hydroponics and goggles are worn to protect the user's eyes, which consist of a combination of lenses, a frame that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ens, a pad for tight attachment to the face, and a band for fastening to the head. .

또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보안경은 용접 등의 작업 시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afety glasses used in industrial sit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eyes during welding and the like. However, these conventional goggl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안용 고글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과의 간섭등으로 인하여 착용하기 불편하며 안경과 고글이 별도 구조이므로 작업이나 운동 등으로 안경이 흔들리므로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when wearing security goggles while wearing glasses, it is inconvenient to wear due to interference with glasses, and because glasses and goggles are separate structur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lasses are shaken due to work or exercise.

둘째, 안경 다리가 귀에 걸리는 데도 불구하고, 안경이 얼굴의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여 착용 시 얼굴에서 이탈되기 쉽고 뛰는 경우에는 안경이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despite wearing glasses on the e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lasses flow when the glasses are not close enough to the skin of the face so that they are easily detached from the face when worn.

셋째, 안경은 안경테, 렌즈 및 다리로 구성됨으로써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glass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ime consuming because the glasses frame, lens and legs.

넷째, 종래의 고글과 같이 안경테의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를 배치하는 경우, 고글을 착용하였을 때 러버가 얼굴 피부에 압착됨으로써 습기가 차서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Fourth, when the rubber is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spectacle frame as in the conventional goggles, when the goggles are worn, the rubber is compressed to the face skin, so that there is a problem of covering the field of view due to moisture.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30호는 좌우 클립장치와 부분차광판으로 구성된 클립보안경에 관한 것으로, 클립장치에 기능별로 교환 가능한 부분차광판을 꽂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1030 relates to a clip safety glasses composed of a left and right clip device and a partial light shielding plate, and it has been disclosed that a partial light shielding plate which can be replaced for each func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clip device. No solution is disclos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030호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18-0001030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면의 일부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때 안면의 밀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on a part of the fa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face through a concave groove, so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there is no need to form a structure for close contact of the fac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facial device.

또한, 본 고안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안경으로 구현할 때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to simplify the assembling process and shorten the assembly tim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configure the legs when assembling the glasses because the contact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temple when implementing the wearable facial device as glasse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acial device.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들 중에서,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wearable face device covers and protects a part of the user's face and is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the body having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and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face device. It includes a face fixing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ser's face when wo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ce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a specific size, the part of the face of the user It includes a face contact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ite, and a cas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specific lett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 부재, 상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접철부재를 포함한다.The fac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and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n the center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And a fold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to fold or unfold the member and the face fixing me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주변을 가려 보호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glasses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as glasses to protect the both eyes of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In one embodiment, the face fix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area in contact with the face temple of the user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as glass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as glasses, the case member is formed with a logo of a company to which the user using the wearable face device belongs or a character generated by the user.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면의 일부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때 안면의 밀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on a part of the 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 of the face through the concave groov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tructure for close contact of the 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안경으로 구현할 때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as glasses, the conta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temple of the user, so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the legs when assembling glasses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경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ace fixing member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ce fixing member of FIG. 1.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wearable face device of FIG. 1 is implemented as glasses.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glasses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안경”은 시력 보정 안경, 패션 안경(예를들어, 선글라스 등), 고글 및 보안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glasses” may be implemented as vision correcting glasses, fashion glasses (eg, sunglasses, etc.), goggles, and goggl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안면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의 일부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earable facial device 200 covers and protects a part of the face while the face fixing member 100 and the face fixing member 100 ar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face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rt. ).

안면 고정 부재(100)는 본체(200)의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을 통해 본체(200)와 연결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자가 웨어링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하여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ace fixing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body 200 through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210 of the body 200.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face device,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by contacting a part of the face of the user.

상기의 안면 고정 부재(100)는 구현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의 다양한 부위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art by contacting various parts of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glasses,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art of the face of the user by touching the temple.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the legs when assembling the glasses has the advantage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이러한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For example,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본체(200)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 및 크기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예를 들어, 양쪽 눈, 입 등)를 가린다. The main body 200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earable facial device to cover a part of the user's face (for example, both eyes and the mouth).

예를 들어,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도 4와 같이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체(200)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가려 눈을 보호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glasses 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glasses to protect the eyes by covering the surroundings of the user.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본체(200)에는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을 통해 안면 고정 부재(100)와 연결된다.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100 through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210.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face fixing member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연결 부재(102) 및 케이스 부재(103)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단순히 연결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없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face fixation member 100 includes a face contact member 101, a connection member 102, and a case member 103.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face fixing member are simply connected so that the face fixing member cannot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main body direction.

안면 접촉 부재(101)는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member 10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art by contacting a part of the user's face.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since one sid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 contact with the face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of a certain depth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through the concave groove when contacted to the user's face.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과의 접촉 강도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ac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on the user's face, and 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02. Holes of a certain size are formed in the other side to be coupled to allow the air inside the face to come out as the height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chan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using the wearable face device. .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높이가 변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는 비워있어 공기만이 존재하며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안면의 접촉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insid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empty so that only air is present, and when the fac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When in close contact, the heigh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of the user's face to allow the air inside to come out.

연결 부재(102)는 본체(200)에 형성된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02 is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200, and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n this case, since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스포츠 고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 characters may be formed in the case member 103.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sports goggles, the case member 103 may be formed with a logo of a company to which the user who uses the wearable face device belongs or a character generated by the user.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개인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이니셜이 형성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personal glasses, the case member 103 may have a personal initial of a user who uses the wearable face device.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ce fixing member of FIG. 1. The embodiment of FIG. 3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face fixing member are implemented in a hinged manner so that the face fixing member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main body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케이스 부재(103),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를 포함한다. 즉,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2의 연결 부재가 도 3과 같이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include a face contact member 101,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102, a case member 103, a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104, and a folding member 105. Include. That is, when the face fixing member is implemented in a hinged manner,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2 is divided into a first sub connecting member 102, a second sub connecting member 104, and a folding member 105 as shown in FIG. 3. Can be.

안면 접촉 부재(101)는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member 102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art by contacting a part of the user's face.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since one sid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 contact with the face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of a certain depth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through the concave groove when contacted to the user's face.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의 면접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ac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on the user's face, and 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02. Holes of a certain size are formed in the other side to be coupled to allow the air contact inside the air to come out as the height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rview of the user's face using the wearable face device.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 케이스 부재(103)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와 연결된다.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102 is connected to the face contact member 101, the case member 103,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104.

상기의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와 연결되기 위해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102 has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n the center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n this case, since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는 본체(200)의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210)에 연결된다.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104 is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on groove 210 of the main body 200.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104)와 연결된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102 has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n the center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104. In this case, since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스포츠 고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 characters may be formed in the case member 103.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sports goggles, the case member 103 may be formed with a logo of a company to which the user who uses the wearable face device belongs or a character generated by the user.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개인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이니셜이 형성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personal glasses, the case member 103 may have a personal initial of a user who uses the wearable face device.

접철 부재(105)는 안면 고정 부재(10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를 연결한다. The folding member 105 connects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102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104 to fold or unfold the face fixing member 100.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경을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wearable face device of FIG. 1 is implemented as glasses.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glasses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안경은 사용자의 안면의 관자놀이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눈을 가려 눈을 보호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glasses cover the main body 200 that protects the eyes by covering the eyes while the face fixing member 100 and the face fixing member 100 are in contact with the temple of the user's 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rt. Include.

안면 고정 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 중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안경 조립 시 다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user's face in contact with the temple. In this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the legs when assembling the glasses has the advantage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안면 고정 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 중 중관 주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vicinity of the center tube.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For example, 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안면 고정 부재(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face fixing member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height of the face contact member 10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face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worn on the user's face. It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본체(200)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주변을 가려 눈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0)는 스포츠 형, 고글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glasses to cover the user's surroundings to protect the eyes. In one embodiment, the body 20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ports, goggles.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which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안면 고정 부재
101: 안면 접촉 부재
102: 연결 부재
103: 케이스 부재
200: 본체
210: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
100: face fixing member
101: face contact member
102: connecting member
103: case member
200: main body
210: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Claims (6)

웨어러블 안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를 가려 보호하며 양측 끝단에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In a wearable facial device,
A main body covering and protecting a part of a user's face and having a face fixing member connection groove formed at both ends; And
And a face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ng groove and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face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face device.
Wearable faci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ce fixing member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on groove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n a center thereof;
A face contact member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face of the us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r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s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specific letter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Wearable faci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안면 고정 부재 연결 홈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 부재;
상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접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ce fixing member
A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ace fixing member connection groove;
A first sub connection memb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having a specific size in the center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And
And a fold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ub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sub connection member to fold or unfold the face fixing member.
Wearable faci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주변을 가려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glasses, the wearable face device is formed in a glasses shape to cover and protect both eyes of the user.
Wearable faci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면 관자놀이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ce fixing member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glasses,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area by contacting the face temple of the user
Wearable faci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안경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member
When the wearable face device is implemented with glasses, a logo of a company to which the user who uses the wearable face device belongs or a character generated by the user is formed.
Wearable facial device.

KR2020180002387U 2018-05-31 2018-05-31 Wearable apparatus for face KR2004913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en) 2018-05-31 2018-05-31 Wearable apparatus for 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en) 2018-05-31 2018-05-31 Wearable apparatus for 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9U true KR20190003039U (en) 2019-12-10
KR200491374Y1 KR200491374Y1 (en) 2020-03-27

Family

ID=688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87U KR200491374Y1 (en) 2018-05-31 2018-05-31 Wearable apparatus for 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74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862A (en) * 1987-05-12 1989-06-13 Dean Heil Sun, rain and wind deflector
KR20180001030U (en) 2016-10-06 2018-04-16 곽한융 Clip-glasses with side clips and eyesha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862A (en) * 1987-05-12 1989-06-13 Dean Heil Sun, rain and wind deflector
KR20180001030U (en) 2016-10-06 2018-04-16 곽한융 Clip-glasses with side clips and eyesh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74Y1 (en)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668B2 (en) Safety eyewear
US20120222201A1 (en) Goggles with removable fr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493325B2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IT201700021390A1 (en) PROTECTIVE HELMET WITH VISIBLE VISIBLE GLASSES.
WO2007061477A3 (en) Goggle with interchangeable baffles
US5796460A (en) Eyeglass protector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190003039U (en) Wearable apparatus for face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KR20080110631A (en) Flexible safety sideshield for use with eyewear
KR200433694Y1 (en) The glass frame in which the replace of the bow on a pair of spectacles is facilitated
JP2012047962A (en) Protective spectacle
KR20090131315A (en) Structure of spectacle lens convenient for wearing mask
US20210191148A1 (en) Eyewear attachment and eyewear assembly
KR102610878B1 (en) Custom mask and making method of the same
CN211857094U (en) Eye protection glasses
CN205562993U (en) Folding motion glasses
KR200487261Y1 (en) Glasses auxiliary tool
AU2017204843B2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JP5066029B2 (en) Dustproof glasses
KR20180000582U (en) Functional sunglass
KR200184301Y1 (en) Eye guard
JP2015187740A (en) Protective spectacle
JP4330002B2 (en) Full face mask glasses
KR200292255Y1 (en) Swimming goggles with improved adju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