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21U -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21U
KR20190003021U KR2020180002351U KR20180002351U KR20190003021U KR 20190003021 U KR20190003021 U KR 20190003021U KR 2020180002351 U KR2020180002351 U KR 2020180002351U KR 20180002351 U KR20180002351 U KR 20180002351U KR 20190003021 U KR20190003021 U KR 20190003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opening
smoking
portable smart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휘은
Original Assignee
아이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2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021U/ko
Publication of KR20190003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6Safety sleeves for cigars or cigarettes preventing damage by glowing ash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자가 휴대하면서 담배를 흡연보조기구에 형성된 담배삽입구에 삽입하여 피우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이거나, 운전 중에 담뱃재가 주변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흡연보조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흡연이 가능하므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Portable Smart Smoking Aids}
본 고안은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자가 휴대하면서 담배를 흡연보조기구에 형성된 담배삽입구에 삽입하여 피우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이거나, 운전 중에 담뱃재가 주변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흡연보조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흡연이 가능하므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을 하면 담배가 연소하면서 담뱃재 또는 불똥이 발생한다.
흡연자는 보행중 또는 운전중에 흡연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보행 또는 운전중에 흡연을 하면 담뱃재 또는 불꽃이 주변에 날리게 된다 흡연자가 보행 중에 흡연을 할 때 발생하는 담뱃재 또는 불꽃은 본인이나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운전중에 흡연을 할 때 발생하는 담뱃재 또는 불꽃은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공공시설은 물론 길거리 대부분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흡연자가 마땅히 흡연할 장소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흡연자는 본인의 집 또는 자동차에서 흡연하게 되지만, 본인의 집에 경우 흡연을 하더라도 가족의 건강을 염려되는 것은 물론 민원에 의해 흡연이 곤란하고, 이동이 용이하고 개인의 공간으로 활용하기 좋은 자동차 내부에서 운전중 흡연하는 경우, 흡연자가 불붙은 담배를 쥔 상태에서 핸들을 파지하여 조작함에 따라 담배를 놓쳐 당황하거나 불똥이 떨어져 급작스러운 운전 조작으로 인해 교통사고의 원인이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선 출원된 공개실용신안 20-2009-0011236(담배파이프)의 경우 담뱃재나 불똥을 포집할 수 있어 화재나 안전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중에 한 손으로 쥐고 있어야 하므로 핸들을 파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이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또한, 공개실용 20-2007-0000618(손에 냄새가 묻지 않게 하는 담배 집게)의 경우 흡연자의 손에 담배 냄새가 베이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으나, 운전중에 흡연할 때 담뱃재 또는 불똥이 떨어져 화상은 물론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추돌 및 화재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운전중 담뱃재 또는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및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담배의 파지가 용이하고 손에 남는 담배 냄새에 대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흡연보조기구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연자가 휴대하면서 담배를 흡연보조기구에 형성된 담배삽입구에 삽입하여 피우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이거나, 운전 중에 담뱃재가 주변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연보조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흡연이 가능하므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담배(S)의 필터부(S1)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연소부(S2)가 내부에 형성되고, 담뱃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망체로 형성된 수용부(120)에 위치되도록 상부에 담배(S)를 내부로 삽입하는 담배삽입구(13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16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담배(S)의 연소부(S2)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의한 불을 착화하는 착화구(140)를 포함함으로써,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는,
흡연자가 휴대하면서 담배를 흡연보조기구에 형성된 담배삽입구에 삽입하여 피우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이거나, 운전 중에 담뱃재가 주변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흡연보조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흡연이 가능하므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전체 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상측몸체부(100a)와 하측몸체부(100b)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개폐부(16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하측몸체부(100b)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내부를 투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내부에 형성된 담배고정핀(18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담배를 삽입한 후, 흡연하는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담배(S)의 필터부(S1)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연소부(S2)가 내부에 형성되고, 담뱃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망체로 형성된 수용부(120)에 위치되도록 상부에 담배(S)를 내부로 삽입하는 담배삽입구(13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16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담배(S)의 연소부(S2)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의한 불을 착화하는 착화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상측에 형성되는 담배삽입구(130);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10);와
담배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측몸체부(100a)와,
상기 상측몸체부와 돌려 결합되는 하측몸체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측몸체부(100b)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담배의 연소부에 불을 붙이기 위한 착화구(140);와
측면에 형성되어 착화구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부(150);와
내부에 형성되어 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착화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담배삽입구(130)의,
하측에는 담배가 삽입될 경우에 담배를 잡아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담배고정핀(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전체 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담배(S)의 필터부(S1)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연소부(S2)가 내부에 형성되고, 담뱃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망체로 형성된 수용부(120)에 위치되도록 상부에 담배(S)를 내부로 삽입하는 담배삽입구(13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16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담배(S)의 연소부(S2)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의한 불을 착화하는 착화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케이스(100)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담배(S)의 필터부(S1)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연소부(S2)가 내부에 형성되고, 담뱃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망체(125)로 형성된 수용부(120)에 위치되도록 상부에 담배(S)를 내부로 삽입하는 담배삽입구(130)가 형성되게 된다.
즉, 담배삽입구의 하측으로 망체로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게 되며, 수용부에 의해 담뱃재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연기만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부(160)를 상기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담배삽입구에 담배를 삽입하여 불을 붙힌 후, 개폐부를 개방하거나, 불을 붙히기 전에 개폐부를 개방하게 되면 담배를 피울 때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착화구(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담배(S)의 연소부(S2)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의한 불을 착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상측몸체부(100a)와 하측몸체부(100b)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100)는,
상측에 형성되는 담배삽입구(130);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10);와
담배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측몸체부(100a)와,
상기 상측몸체부와 돌려 결합되는 하측몸체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측몸체부(100b)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담배의 연소부에 불을 붙이기 위한 착화구(140);와
측면에 형성되어 착화구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부(150);와
내부에 형성되어 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착화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측몸체부(100a)에는 개방부(110), 수용부(120), 담배삽입구(130), 개폐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몸체부(100b)에는 착화구(140), 버튼부(150), 배터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측몸체부(100a)와 하측몸체부(100b)는 돌려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돌려 결합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몸체부(100b)에는 버튼부(150)를 구성하여 착화구를 온오프하도록 하고, 배터리부(170)를 내부에 형성하여 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착화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몸체부(100b)의 중앙부에 착화구(140)를 형성하여 담배의 연소부에 불을 붙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착화구는 바람직하게는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145)와 배터리부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담배삽입구(130)의,
하측에는 담배가 삽입될 경우에 담배를 잡아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담배고정핀(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고정핀(180)을 담배삽입구(130)의 하측에 형성하게 되는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담배가 삽입될 경우에 담배를 잡아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예시에서는 4개의 담배고정핀을 형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4개 미만 혹은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담배고정핀을 구성하여 적절한 힘으로 담배를 잡아주기 때문에 흡연시 밀리거나, 빠지지 않게 되며, 담배를 끝까지 피는 흡연자일 경우에 담배고정핀을 넘어 타 들어간 담배가 느슨해지도록 작용하여 사용자가 흡연을 종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버튼부(150)를 통해 온 오프되게 하여 운전 중에 육안으로 보지 않고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착화부 온 오프의 경우에는 길게 누름-손을 뗌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음이온 발생기 온 오프의 경우에는 한번 누름 -연속 세번 누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경우에는 하측몸체부(100b)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을 켜면 음이온이 발생하여 공기 청정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사용시 간접 흡연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청정의 원리는 음이온은 전기적으로 (-) 전기를 가지는 물질이기 때문에 (+) 전기성질을 가진 오염 물질인 담배 연기를 만나면 정전기처럼 달라붙어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원리이며, 이를 통해 차량과 실내의 내부 담배 연기를 정화하고 제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160)는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65)을 상측 및 하측 내부에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측면에 형성된 개방부의 개폐를 밀어 고정하는 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제공하게 되면 스프링에 의한 개폐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케이스(100)를 상측몸체부(100a)와 하측몸체부(100b)로 분리하고, 이들 간에 결합을 돌려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측몸체부를 분리가 되면 상측몸체부와 하측몸체부의 청소 및 담뱃재와 꽁초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측몸체부에 음이온 발생기를 구성하게 될 경우에 하측몸체부가 별도로 동작되어 단독으로 공기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넥터(175)를 하측몸체부에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부를 충전하게 하여 편리하게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착화구(140)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하여 오목 형상의 일측에 히팅엘러먼트(145)를 형성하게 되면, 담배 필터에 대해 반대쪽인 타단부가 점화시에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즉, 이동 중이거나 차량 운전시 점화를 하게 되면 담배의 끝부분이 히팅엘러먼트에 접촉되어야 불을 붙힐 수 있는데, 위치가 이동되면 점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담배를 안전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목 형상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히팅엘러먼트(145)의 주변에 자기류로 구성되는 제1보호부(146)를 구성하게 되며, 자기류로 구성하기 때문에 고온에 견딜 수 있으며, 전선이 고온에 견디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1보호부의 주변에 금속으로 구성되는 제2보호부(147)를 구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주변에 전달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담배삽입구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담배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담배 착화 및 정화부 작동을 위한 버튼부 주변에 투명창(155)을 구성하여 정화부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튼부가 동작하게 되면 파란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파란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도 6 및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몸체부의 일측에 구멍(185)을 형성하여 외기와 내기가 유통하게 하여 오염된 내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9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의 담배삽입구(130)에 담배를 삽입한 후,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착화구(140)에 의해 담배에 불이 붙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폐부(160)를 동작시켜 개방시키게 되면, 담배 연기를 측면으로 배출되게 되며, 담뱃재는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게 된다.
담배를 다 피운 후, 개폐부를 동작시켜 개방부가 닫히게 되면 담뱃불이 저절로 소화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통해, 흡연자가 휴대하면서 담배를 흡연보조기구에 형성된 담배삽입구에 삽입하여 피우도록 함으로써, 이동중이거나, 운전 중에 담뱃재가 주변에 떨어져 더럽혀지거나, 불똥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흡연보조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흡연이 가능하므로 손에 담배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담배에 불을 붙힐 경우에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히팅엘러먼트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불을 붙히도록 하여 가스 폭발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케이스
110 : 개방부
120 : 수용부
130 : 담배삽입구
140 : 착화구
150 : 버튼부
160 : 개폐부

Claims (3)

  1.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에 있어서,
    폐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담배(S)의 필터부(S1)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연소부(S2)가 내부에 형성되고, 담뱃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망체로 형성된 수용부(120)에 위치되도록 상부에 담배(S)를 내부로 삽입하는 담배삽입구(13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개방부(11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담배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16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담배(S)의 연소부(S2)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의한 불을 착화하는 착화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측에 형성되는 담배삽입구(130);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10);와
    담배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측몸체부(100a)와,
    상기 상측몸체부와 돌려 결합되는 하측몸체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측몸체부(100b)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담배의 연소부에 불을 붙이기 위한 착화구(140);와
    측면에 형성되어 착화구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부(150);와
    내부에 형성되어 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착화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삽입구(130)의,
    하측에는 담배가 삽입될 경우에 담배를 잡아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담배고정핀(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KR2020180002351U 2018-05-30 2018-05-30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KR201900030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51U KR20190003021U (ko) 2018-05-30 2018-05-30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51U KR20190003021U (ko) 2018-05-30 2018-05-30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21U true KR20190003021U (ko) 2019-12-10

Family

ID=6883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51U KR20190003021U (ko) 2018-05-30 2018-05-30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0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6746B (zh) 烟雾和气味消除过滤器、装置及方法
JP6510073B2 (ja) 自動点火式タバコ煙浄化装置
US4587980A (en) Portable cigarette holder, extinguisher and ashtray
KR20190141360A (ko)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한 스마트 재떨이
CN104839888A (zh) 一种无二手烟气的吸烟器
KR20190003021U (ko) 휴대용 스마트 흡연보조기구
CN200983831Y (zh) 自动点火的纳米健康吸烟器
KR101938741B1 (ko) 라이터 겸용 휴대용 재떨이
CN107692324A (zh) 无尘抽烟净化点烟器
US20160295912A1 (en) Portable Cigarette Holder, Extinguisher and Ashtray
CN113273723A (zh) 便携式二手烟净化器
CN201911289U (zh) 香烟器
CN206227712U (zh) 无尘点烟抽烟器
KR100650159B1 (ko) 휴대용 담배 파이프 겸용 재떨이
CN207476958U (zh) 无尘抽烟净化点烟器
CN211129724U (zh) 一种安全吸烟器
RU171901U1 (ru) Трубка с пеплоуловителем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курения сигарет
JP3151118U (ja) 喫煙用具
CN209643856U (zh) 一种电子烟斗
CN214949199U (zh) 一种电弧式自动点烟器
CN218389771U (zh) 一种鼓风滤烟器
CN104106840A (zh) 香烟内燃器
CN212520782U (zh) 一种智能烟灰缸
CN208597714U (zh) 一种抽烟辅助减害装置
CN210114043U (zh) 一种带自动点火功能的抽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