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63U -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963U KR20190002963U KR2020180002247U KR20180002247U KR20190002963U KR 20190002963 U KR20190002963 U KR 20190002963U KR 2020180002247 U KR2020180002247 U KR 2020180002247U KR 20180002247 U KR20180002247 U KR 20180002247U KR 20190002963 U KR20190002963 U KR 2019000296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t
- furniture
- sides
- unit
- modular furni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모듈형 가구 및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된 가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생활공간에 편의성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장식적 효과를 더해 심미감을 주는 것으로, 우리 생활에 매우 밀접하고 중요한 도구이다. 가구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기도 하고, 수납공간이나 작업공간을 제공하기도 하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기도 한다. 가구의 기능과 역할이 다양한 만큼 사용자마다 가구에 기대하는 요구가 다양하기도 하고, 그 요구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구의 종류와 형태 및 모양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같은 디자인 컨셉의 소파라고 하더라도, 배치될 공간의 크기, 모양이나 위치 등에 따라서 요구되는 크기, 앉는 자리의 수와 배치 형태, 팔걸이의 위치 및 등받이의 높이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생산자 입장에서 제품의 다양성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생산 관리와 재고 관리의 부담이 커지고, 각기 다른 제품의 형태로 인해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서 운송이나 적재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생산자의 부담은 결국 소비자 가격 증가로도 이어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듈화된 다수의 가구 유닛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이른바 모듈형 가구가 제시된 바 있다. 모듈화된 가구 유닛은 직육면체 등 단순한 모양으로 만들어져 앞서 언급된 운송이나 적재 부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유닛들의 다양한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형 가구에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을 위해 특정 공구로 분해 조립되는 연결구가 사용된 경우, 일단 설치되고 나면 배치를 바꾸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외장 부품을 이용하거나, 가구 유닛의 일부분이 탈부착 되도록 구성하는데, 이런 구성이 전체적인 미감을 해치거나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사용시에 가구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조립된 상태로 가구를 옮길 때에 가구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연결구 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연결 상태가 쉽게 헐거워지는 문제도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가구 조립체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 없이 연결구만으로 손쉽게 조립과 분해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이나 일부분의 탈부착 없이도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연결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는,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는 상기 슬릿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보다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면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모듈형 가구 유닛은,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네 개의 측면을 갖는 가구 유닛으로서,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네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각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가구 유닛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상기 각 변에 평행하게 배치된 네 개의 내측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모양의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가구 조립체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 없이 연결구만으로 조립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이나 일부분의 탈부착 없이도 연결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연결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가 제공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바닥면 측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Ⅲ-Ⅲ' 단면을 보인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바닥면 측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Ⅲ-Ⅲ' 단면을 보인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다.
본 고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11,12,1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일부분이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된 블록 형태의 유닛으로서, 다수 유닛의 조합을 통해 소파 등 응접 가구 세트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모듈형 가구 유닛의 용도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장재나 구조재 및 쿠션 부재 등의 내장재 소재는 그 용도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네 변으로부터 위쪽으로 이어지는 네 개의 측면을 갖는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네 개의 측면과 만나는 상면도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상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가구 유닛의 용도나 디자인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은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는 네 변의 길이와 연결부의 규격이 서로 호환성을 갖는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트 유닛(11), 두 개의 등받이 유닛(12, 13), 그리고 하나의 팔걸이 유닛(14)으로 단순한 조합의 소파를 구성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1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시트 유닛(11), 등받이 유닛(12, 13), 팔걸이 유닛(14)과 같은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여한 명칭일 뿐이고, 이러한 명칭이 해당 유닛의 성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개의 등받이 유닛(12, 13) 중 시트 유닛(11)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후방 등받이 유닛(12)이라 칭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측면 등받이 유닛(13)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10)는 도시된 것처럼, 유닛과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도면에 연결구가 도시되지 않은 것은 연결구가 모듈형 가구 유닛들의 바닥면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시트 유닛(11)과 등받이 유닛(12) 등 모듈형 가구 유닛들은, 심미감을 위한 디자인 상의 요구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 시에 분해 및 재조립 되는 부품 없이 각각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구가 노출되는 것을 가리기 위해 시트 유닛을 위와 아래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든지, 등받이 유닛을 등받이 쿠션 부분과 지지 구조물 부분으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볼트 머리나 유사한 체결 부속을 감추기 위한 볼트 캡 등의 부품도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 간결하고 깔끔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고, 가구 유닛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를 바닥면 측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은,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형 가구 유닛(11, 12, 13, 14)에 형성된 슬릿형 연결부(21)와, 서로 다른 두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21) 각각에 삽입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각 유닛의 바닥면(111, 131 등)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네 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코너부(101)를 제외한 부분에 모두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모듈형 가구 유닛들이 서로 자유롭게 연결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코너부(101)에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연결 지지대(313)와 같은 높이의 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는 한 쌍의 삽입 돌기(311)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313)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21)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이 연결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슬릿형 연결부(21)는 슬릿(211)과, 외측 프레임(212), 그리고 내측 프레임(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릿(211)은 상기 바닥면(111, 131)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상기 슬릿(211)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311)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상기 슬릿(211)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311)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흔히 목대라고 불리는 목재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212) 및 내측 프레임(213)은 각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 장 혹은 두 장 이상의 판재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목재 이외의 금속 각재와 판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상기 슬릿(211)이 배치된 변, 즉 바닥면(111)의 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 역시 나무 재질의 판재나 각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이 한 겹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안쪽에 한 겹의 판재를 덧대는 방식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212)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내측 프레임(213)은 상기 슬릿(211)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111, 131)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211)의 깊이를 정의하는데, 그 깊이를 비롯하여 구체적인 형태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술한 네 변 측의 슬릿형 연결부(21)로 둘러싸인, 좀 더 구체적으로는 네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형 연결부(21)의 내측 프레임(213)으로 둘러싸인 중공부(102)이다. 이 부분은 가구 유닛의 바닥면(111, 131)을 가리는 천 등의 소재로 가려질 수도 있으나,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에서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는 상기 슬릿(211)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d1)보다 상기 슬릿(21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d2)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유닛과 유닛이 서로 평행하게 엇갈리는 방향 성분의 횡 하중을 받을 때,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가 상기 슬릿(211)에 대해 비틀리거나 상기 삽입 돌기(311)와 접하는 상기 슬릿(211)의 내벽이 뭉개지지 않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Ⅲ-Ⅲ' 단면을 보인다.
본 도면에는 전술한 시트 유닛(11)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이 플러그형 연결구(31)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데, 상기 도 2와 마찬가지로 가구 조립체를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트 유닛(11)의 후방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과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전방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유닛(11, 12)의 슬릿(211)에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 한 쌍이 각각 삽입된다. 다만, 실제로는 각 유닛의 측면에도 약간의 쿠션 부재가 배치되고 외장재의 두께도 있으므로, 도면처럼 두 유닛의 외측 프레임(212)이 서로 밀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연결 지지대의 길이도 서로 대면하는 두 외측 프레임(212)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한편, 상기 슬릿(211)의 깊이, 즉 상기 내/외측 프레임(212, 213)의 높이는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인 것이 상기 슬릿(211)의 내벽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상기 내측 프레임(213) 및 상기 외측 프레임(212) 중 바닥면에서 가장 먼 부분까지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삽입 돌기 길이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의 상기 시트 유닛(11)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212)은 측면 프레임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반대편까지 연장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외측 프레임(212)이 반드시 이어질 필요는 없고, 상기 내측 프레임(213)과 같은 높이 정도까지 이어져 상기 슬릿(211)의 깊이를 정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시트 유닛(11)을 중심으로 볼 때, 측면 등받이 유닛(13) 및 팔걸이 유닛(14)과 접하는 측면 프레임이 바닥면부터 반대편까지 이어진 판재로 형성되거나, 코너부(101)에 기둥 구조물을 배치된 구조를 통해, 상기 도 3에서 외측 프레임(212)이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뉘더라도 이를 지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본 도면은 전술한 시트 유닛(11)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서로 인접한 두 슬릿형 연결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플러그형 연결구(31)를 포함하는 단면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다. 여기서는 바닥면이 아래쪽이다.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의 한쪽 삽입 돌기(311a)는 시트 유닛(11)의 슬릿(211a)에 삽입되고, 나머지 한쪽 삽입 돌기(311b)는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211b)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는 연결 지지대(313)로 이어져 지지된다.
이때, 상기 시트 유닛(11)에 앉은 사용자가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 등을 기대는 상황을 가정하면, 상기 시트 유닛(11)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유닛을 도면 좌측으로 미는 하중(F11)이 가해지고,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는 사용자의 등이 유닛을 도면 우측으로 미는 하중(F12)이 가해진다. 그런데, 사용자의 등이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을 미는 부분은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엉덩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에는 해당 유닛을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M12)가 작용하게 된다. 엄밀히 따지자면 엉덩이가 상기 시트 유닛(11)을 미는 하중(F11)의 작용점도 바닥면보다 높기 때문에 시트 유닛(11)에도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지만 이 정도는 서로 대면하는 두 외측 프레임(212a)(212b) 사이의 반발력(f114)(f124)을 통해 서로 상쇄된 것으로 보아 생략한다.
이 경우, 상기 시트 유닛(11)의 슬릿형 연결부 및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전술한 하중 F11이 상기 시트 유닛(11)의 외측 프레임(212a)에 분산되어 작용(f112)하고, 상기 하중 F12와 모멘트 M12는 상기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에서 외측 프레임(212b) 상부와 삽입 돌기(311b)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f122)과 내측 프레임(212b)의 하부와 상기 삽입 돌기(311b)의 하단부(연결 지지대와 만나는 부분)가 접촉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f123)으로 분산되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슬릿(211a, 211b)의 내벽을 내측 프레임(213a, 213b) 및 외측 프레임(212a, 212b)으로 형성한 구성을 통해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와 슬릿형 연결부들 사이에 인가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연결 부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구 조립체에서 시트 유닛과 등받이 유닛의 연결구 부근의 구조 및 하중 분포를 보인다.
본 실시예 따르면, 플러그형 연결구(32)가 전술한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313)를 포함하는 것 외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311a, 311b) 가운데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 돌기(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돌기(312)는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11, 12)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시된 것처럼 시트 유닛(11)의 슬릿형 연결부 외측 프레임(212a)과 후방 등받이 유닛(12)의 슬릿형 연결부 외측 프레임(212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 소파를 구성하는 가구 유닛들(11, 12)에서 측면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212a, 212b) 각각의 바깥쪽 면에는 다소 얇은 두께라도 쿠션 부재(103a, 103b)가 배치되기 마련인데, 상기 중간 돌기(312)는 이들 쿠션 부재(103a, 103b)를 압축하며 상기 두 외측 프레임(212a, 212b) 사이에 개입되어 이들과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312)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더 넓은 접촉 면적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상기 두 유닛(11, 12) 사이의 유격을 줄여서 상대적인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후방 등받이 유닛(12)에 인가되는 하중(F12) 및 그 작용점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M12)의 영향을 살펴보면, 전술한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외측 프레임(212b) 상부와 삽입 돌기(311b)의 상단부 접촉면, 내측 프레임(213b) 하부와 삽입 돌기(311b)의 하단부 접촉면에 하중(f122, f123)이 분산되어 인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외측 프레임(212b)의 하단부와 상기 중간 돌기(312)의 접촉면에도 하중(f124)이 분산되고, 유닛과 유닛이 직접 서로 맞대어 힘을 가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내측, 외측,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 등의 표현은 별도의 설명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구 유닛이 바닥에 바로 선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그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 방향을 외측, 바깥쪽으로 표현하고, 가구 유닛의 중심 방향을 내측, 안쪽 등으로 표현하였다.
10: 모듈형 가구 조립체
11: 시트 유닛 12, 13: 등받이 유닛
14: 팔걸이 유닛 21: 슬릿형 연결부
31, 32: 플러그형 연결구 101: 코너부
102: 중공부 111: 바닥면
211: 슬릿 212: 외측 프레임
213: 내측 프레임 311: 삽입 돌기
312: 중심 돌기 313: 연결 지지대
11: 시트 유닛 12, 13: 등받이 유닛
14: 팔걸이 유닛 21: 슬릿형 연결부
31, 32: 플러그형 연결구 101: 코너부
102: 중공부 111: 바닥면
211: 슬릿 212: 외측 프레임
213: 내측 프레임 311: 삽입 돌기
312: 중심 돌기 313: 연결 지지대
Claims (10)
-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다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을 갖는 다수의 가구 유닛;
상기 바닥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 및,
한 쌍의 삽입 돌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구 유닛 중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상기 슬릿형 연결부에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두 가구 유닛을 연결 지지하는 플러그형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한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한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며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연결구는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서로 다른 두 가구 유닛의 측면과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돌기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 돌기는 상기 슬릿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두께보다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모듈형 가구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네 변을 따라 각각 배치된,
모듈형 가구 조립체. - 가구의 바닥을 이루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윗쪽으로 연결된 네 개의 측면을 갖는 가구 유닛으로서,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네 변을 따라 각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릿을 갖는 슬릿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형 연결부는,
상기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각 변을 따라 배치된 슬릿;
상기 슬릿 내부의 외측벽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슬릿 내부의 내측벽을 이루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 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의 입구를 이루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한 측면에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슬릿의 깊이를 정의하는,
모듈형 가구 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배치된 변으로부터 이어지는 측면의 골격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모듈형 가구 유닛.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상기 각 변에 평행하게 배치된 네 개의 내측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모양의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ko) | 2018-05-24 | 2018-05-24 |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ko) | 2018-05-24 | 2018-05-24 |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963U true KR20190002963U (ko) | 2019-12-04 |
KR200491340Y1 KR200491340Y1 (ko) | 2020-03-24 |
Family
ID=6883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2247U KR200491340Y1 (ko) | 2018-05-24 | 2018-05-24 |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340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4281A (en) * | 1973-07-25 | 1976-03-16 | Giancarlo Piretti | Modular members for composing pieces of furniture, as padded chairs, easy-chairs, divans and divans convertible in beds |
US4077666A (en) * | 1977-02-28 | 1978-03-07 | Metropolitan Furniture Manufacturing Co. | Modular s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
KR101829607B1 (ko) * | 2017-11-23 | 2018-02-19 | 황효득 | 다기능 소파 |
-
2018
- 2018-05-24 KR KR2020180002247U patent/KR2004913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44281A (en) * | 1973-07-25 | 1976-03-16 | Giancarlo Piretti | Modular members for composing pieces of furniture, as padded chairs, easy-chairs, divans and divans convertible in beds |
US4077666A (en) * | 1977-02-28 | 1978-03-07 | Metropolitan Furniture Manufacturing Co. | Modular s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
KR101829607B1 (ko) * | 2017-11-23 | 2018-02-19 | 황효득 | 다기능 소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340Y1 (ko) | 2020-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65441B (zh) | 組合式傢俱 | |
US20070000060A1 (en) | Sag stopper | |
US3460866A (en) | Rocking chair construction | |
USD998989S1 (en) | Massage chairs with kiosk displays and partitions | |
US20140375102A1 (en) | Seat core | |
US20060033368A1 (en) | Modular furniture piece having interchangeable arms | |
US3822079A (en) | Furniture having components which can be assembled in different ways | |
KR20190002963U (ko) | 모듈형 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조립체 | |
KR20160002665U (ko) | 조립식 소파 | |
KR102261368B1 (ko) | 자유로운 조합 구성이 가능한 조립식 소파 | |
USD982330S1 (en) | Seating elements of a modular seating furniture | |
KR101423124B1 (ko) |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용 패널 및 상기 패널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 | |
CN102987790A (zh) | 扶手可插接的沙发 | |
KR102172990B1 (ko) | 좌판과 등받이 구조를 개선한 의자 | |
JP2017205255A (ja) | 椅子の連結ブロック | |
KR101293792B1 (ko) | 조립식 등받이 의자 | |
JP6964743B2 (ja) | 椅子装置 | |
JP7448333B2 (ja) | 什器 | |
KR200295458Y1 (ko) | 분리 가능한 다인용 소파 | |
JP3231553U (ja) | 組立式椅子付テーブル | |
CN215583559U (zh) | 一种组合式支撑家具 | |
JP7522005B2 (ja) | 組み合わせ什器 | |
JPH0618539Y2 (ja) | 間仕切機能を有する椅子 | |
KR200260625Y1 (ko) | 의자용 등받이의 커버 | |
CN204245652U (zh) | 椅背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