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79A - 정수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79A
KR20190002879A KR1020170083134A KR20170083134A KR20190002879A KR 20190002879 A KR20190002879 A KR 20190002879A KR 1020170083134 A KR1020170083134 A KR 1020170083134A KR 20170083134 A KR20170083134 A KR 20170083134A KR 20190002879 A KR20190002879 A KR 2019000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inking water
water
inner cylind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재
Original Assignee
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재 filed Critical 박민재
Priority to KR102017008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879A/ko
Publication of KR2019000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내부통체(51)와; 물유입관(52a)을 통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파이프로서, 상기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내부통체(51) 내에 설치된 코일 형상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와; 상기 음용수 코일파이프(53)의 상부단에 연결되어 내부통체(51)의 외부에서 물을 취수하는 취수밸브(54)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되면서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파이프로서, 압축기(C)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고압가스관(55a)과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압가스관(55b)이 양단에 연결된 냉매가스관(55)과;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3)와 냉매가스관(55)을 감싸서 단열하는 원통형상의 단열체(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음용수가 물유입관(52a)을 통해 내부통체(51)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로 흐르게 하고,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하여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의 물을 냉각시키도록 냉매가스관(55)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냉매가스관(55)의 냉매에 의해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의 음용수가 급속하게 1차 냉각되고, 1차 냉각된 물은 내부통체(51) 내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로 흘러 들어가 재차 냉각되므로, 즉 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내부통체(51) 내로 물의 냉기가 전달되어 냉각 속도가 배가될 뿐만 아니라 통상 시원하게 마시는 물의 온도는 10℃ ~ 12℃ 인바, 이 온도대에서 가장 시원함을 느끼게 되며, 하절기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는 18℃ ~ 20℃ 정도이며, 이 온도의 물이 10℃ ~ 12℃ 까지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냉각장치{A cooling device of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가스관과 물 흐름관을 서로 밀착시켜 설치함으로써, 물의 냉각 속도가 빨라 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냉각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되도록 한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6-128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 냉각장치의 냉각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냉각통(7), 상기 냉각통(7)의 내부에 설치되는 음용수 이동 나선형 금속파이프관(3), 상기 냉각통(7) 내부에 설치되며 원통형 금속파이프(4)가 고정설치되고 외부로 소정길이만큼 노출되어 있는 열전도체(5), 상기 열전도체(5)의 외부 노출면에 접하여 설치된 열전소자(12), 상기 열전소자(12)의 하부로 접하여 설치된 방열판(11), 상기 방열판(11)에 인접하여 설치된 냉각팬(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각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통(7)은 단열재(6)로 둘러쌓여 있으며, 소정의 원주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음용수의 유입관(1)과 취출관(2)을 가지는 금속파이프관(3)이 상기 냉각통(7)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통형 금속파이프(4)가 고정설치되고 외부로 소정길이만큼 노출되어 있는 열전도체(5)가 상기 냉각통(7)의 하부면 중심에 고정설치되게 되며, 상기 열전도체(5)를 매개로 상기 냉각통(7)의 냉매를 냉각하는 열전소자(12)가 상기 열전도체(5) 하부면에 접하여 설치되게 되고, 상기 열전소자(12)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11)이 열전소자(12)에 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11)에 인접하여 냉각팬(10)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통(7)의 온도와 냉각되는 음용수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열전소자(12)를 제어하는 열전소자제어부(8)와 상기 방열판(11)의 온도와 외부 대기온도를 검출비교하여 상기 냉각팬(10)을 제어하는 냉각팬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정수기 냉각장치의 냉각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열전소자제어부(8)가 냉각통(7)에 채워져 있는 냉매(13)와 금속파이프관(3)에 유입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열전소자(12)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열전소자(12)는 상기 냉각통(7)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원통형의 파이프관(4)이 고정설치되어 있는 열전도체(5)를 매개로하여 냉매(13)를 냉각하게 되고, 상기 냉각된 냉매(13)에 의해 상기 금속파이프관(3)을 이동하는 음용수가 냉각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2)에서 발생하는 열은 하부에 접하여 설치된 방열판(11)에 의해 1차로 열을 방열하고, 냉각팬제어부(9)에 의해 상기 방열판(11)의 온도와 외부 대기온도를 검출비교하여 상기 방열판에 인접하여 설치된 냉각팬(10)을 제어함으로써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냉각장치에서 열전소자에 의해 음용수를 냉각하는 경우, 그 냉각 속도가 저하되어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냉매가스관과 물 흐름관을 서로 밀착시켜 설치함으로써, 물의 냉각 속도가 빨라 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냉각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되도록 한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상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내부통체(51)와; 물유입관(52a)을 통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파이프로서, 상기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내부통체(51) 내에 설치된 코일 형상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와; 상기 음용수 코일파이프(53)의 상부단에 연결되어 내부통체(51)의 외부에서 물을 취수하는 취수밸브(54)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되면서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파이프로서, 압축기(C)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고압가스관(55a)과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압가스관(55b)이 양단에 연결된 냉매가스관(55)과;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3)와 냉매가스관(55)을 감싸서 단열하는 원통형상의 단열체(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의하면,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음용수가 내부통체 내의 코일 형상의 음용수 코일파이프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통체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된 음용수 외주파이프를 통해 흐르게 하고,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의 사이사이에 접촉하도록 냉매가스관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냉매가스관의 냉매에 의해 음용수 외주파이프 내의 음용수가 급속하게 냉각, 즉 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내부통체 내로 물의 냉기가 전달되어 냉각 속도가 배가될 뿐만 아니라 통상 시원하게 마시는 물의 온도는 10℃ ~ 12℃ 인바, 이 온도대에서 가장 시원함을 느끼게 되며, 하절기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는 18℃ ~ 20℃ 정도이며, 이 온도의 물이 10℃ ~ 12℃ 까지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상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내부통체(51)와; 물유입관(52a)을 통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파이프로서, 상기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내부통체(51) 내에 설치된 코일 형상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와; 상기 음용수 코일파이프(53)의 상부단에 연결되어 내부통체(51)의 외부에서 물을 취수하는 취수밸브(54)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되면서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파이프로서, 압축기(C)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고압가스관(55a)과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압가스관(55b)이 양단에 연결된 냉매가스관(55)과;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3)와 냉매가스관(55)을 감싸서 단열하는 원통형상의 단열체(56)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통체(51)의 상부에는 그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압축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흡입관(57)이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그 내부 공기 온도를 체크하여 공기흡입관(57)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도센서(5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용수 코일파이프(53)의 하단에는 내부의 물을 퇴수하는 솔레노이드밸브(5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음용수가 물유입관(52a)을 통해 내부통체(51)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로 흐르게 하고,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하여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의 물을 냉각시키도록 냉매가스관(55)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냉매가스관(55)의 냉매에 의해 음용수 외주파이프(52) 내의 음용수가 급속하게 1차 냉각되고, 1차 냉각된 물은 내부통체(51) 내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로 흘러 들어가 재차 냉각되므로, 즉 냉각 효율이 상승되고, 내부통체(51) 내로 물의 냉기가 전달되어 냉각 속도가 배가된다.
통상 시원하게 마시는 물의 온도는 10℃ ~ 12℃ 인바, 이 온도대에서 가장 시원함을 느끼게 되며, 하절기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는 18℃ ~ 20℃ 정도이며, 이 온도의 물이 10℃ ~ 12℃ 까지 냉각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51 : 내부통체 52 : 음용수 외주파이프
52a : 물유입관 53 : 음용수 코일파이프
54 : 취수밸브 55 : 냉매가스관
55a : 고압가스관 55b : 저압가스관
56 : 원통형상의 단열체

Claims (1)

  1. 상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내부통체(51)와;
    물유입관(52a)을 통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파이프로서, 상기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음용수 외주파이프(52)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내부통체(51) 내에 설치된 코일 형상의 음용수 코일파이프(53)와;
    상기 음용수 코일파이프(53)의 상부단에 연결되어 내부통체(51)의 외부에서 물을 취수하는 취수밸브(54)와;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2)의 사이사이에 접촉되면서 내부통체(51)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파이프로서, 압축기(C)로부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고압가스관(55a)과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압가스관(55b)이 양단에 연결된 냉매가스관(55)과; 상기 음용수 외주파이프(53)와 냉매가스관(55)을 감싸서 단열하는 원통형상의 단열체(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KR1020170083134A 2017-06-30 2017-06-30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190002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34A KR20190002879A (ko) 2017-06-30 2017-06-30 정수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34A KR20190002879A (ko) 2017-06-30 2017-06-30 정수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79A true KR20190002879A (ko) 2019-01-09

Family

ID=6501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34A KR20190002879A (ko) 2017-06-30 2017-06-30 정수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858A (zh) * 2019-05-20 2019-09-20 南京金陵化工厂有限责任公司 一种塑料稳定剂的快速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858A (zh) * 2019-05-20 2019-09-20 南京金陵化工厂有限责任公司 一种塑料稳定剂的快速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412B2 (en) Apparatus for cooling the power electronics of a refrigeration compressor drive
US10386085B2 (en) Semiconductor-based air conditioning device
US20150096715A1 (en) Heat dissipation system
CN104640421A (zh) 空调机组
JP2008286422A (ja) 冷蔵庫
CN107920459A (zh) 一种利用半导体制冷的双水循环通信机房智能降温系统
CN106686945B (zh) 冷媒散热装置及其的控制的方法
KR20190002879A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US10480800B2 (en) Air conditioner
CN210374161U (zh) 一种制冷设备用散热机构过热保护装置
CN104930889B (zh) 一种热交换器及半导体酒柜
KR20190006716A (ko) 흡입공기 온도조절기능을 포함하는 공기 압축기
KR102225131B1 (ko) 특고압 변압기의 냉각장치
CN104930890B (zh) 一种热交换器及半导体酒柜
CN114968722A (zh) 一种基于计算机高温报警系统
CN107302841B (zh) 自动散热开关电源
KR101717378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온풍기
CN112687449B (zh) 一种变压装置及包括其的变压器
CN213662259U (zh) 用于气体的除湿控温装置
KR20170037951A (ko) 열전 모듈의 방열 한계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215218540U (zh) 制冷型红外光谱成像装置的散热结构及成像装置
CN209949764U (zh) 一种消除铁磁谐振装置
KR20200061222A (ko) 제빙기용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
CN103327782A (zh) 货柜冷却系统
US20200278139A1 (en) Receiver for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