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88A -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 Google Patents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88A
KR20190002788A KR1020170082712A KR20170082712A KR20190002788A KR 20190002788 A KR20190002788 A KR 20190002788A KR 1020170082712 A KR1020170082712 A KR 1020170082712A KR 20170082712 A KR20170082712 A KR 20170082712A KR 20190002788 A KR20190002788 A KR 2019000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water
steam
storage par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8798B1 (en
Inventor
양원
채태영
이재욱
이용운
최석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98B1/en
Priority to PCT/KR2018/006990 priority patent/WO2019004648A1/en
Publication of KR2019000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6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4De-sludging or blow-dow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a combustion chamber. The sla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ag removing device (10) installed on an inner wall (1) of a combustion furnace having a plurality of pipes (20) for water or steam flow and including a first storage portion (100) connected to the pipe (20) to allow fluid communication and storing the water or steam.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includes an inflow portion (110) into which the water or steam flows from the pipe (20); an outflow portion (120) from which the water or steam flows to the pipe (20); an inflow temperature detector (112) installed in the inflow portion (110); an outflow temperature detector (122) installed in the outflow portion (120); and a first nozzle (130) spraying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From the first nozzle (130),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is spray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s detected by the inflow temperature detector (112) and the outflow temperature detector (122).

Description

연소실 내벽에 생성되는 슬래그 제거를 위해 별도의 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g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an inner wall of a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슬래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실 내부에서 생성되는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별도의 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g rem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ag remover including a separate fluid reservoir for storing a fluid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a combustion chamber.

석탄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는 석탄과 같은 고체 연료를 분쇄기로 분쇄한 미분탄 및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이 때, 주로 보일러의 연소실 내부에 위치한 버너부 상측에 슬래그(slag)가 생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The boiler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generates pulverized coal and pulverized solid fuel such as coal, and generates heat by burning it. At this time, a slag may be generated mainly on the upper side of the burner portion locat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boiler (see Fig. 1).

슬래그는 주로 고온 조건에서 석탄 회분이 녹아 생성되며, 석탄 연소시뿐만 아니라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폐기물 소각로, 바이오매스(biomass) 보일러 등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Slag is mainly produced by melting coal ash at high temperature and can be produced not only in coal combustion but also in waste incinerator and biomass boiler using solid fuel.

슬래그가 생성되면 연소실 내의 열전달이 방해되어 연소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슬래그가 성장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연소실 내벽에서 분리될 때 보일러 내부의 관로가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일러 전체의 가동이 정지될 수 있다.When slag is generated, the heat transfer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disturbed and the combus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Also, when the slag grows and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by an external impact, the channel inside the boiler may be broken, and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oiler may be stopped.

따라서, 슬래그 생성 및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슬래그 생성 억제제 또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 조정을 통해 슬래그 생성 자체를 억제하거나,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lag formation and growth, a method of suppressing slag generation itself or removing the generated slag through slag generation inhibitor or ratio adjustment of fuel and air is utilized.

특히, 효과적인 슬래그 제거를 위해 연소실 내에 생성된 슬래그의 생성 여부, 생성된 슬래그의 위치 및 생성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determine whether the slag produc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generated, the position and amount of generated slag, and remove it promptly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the slag. Therefore, techniques for accurately grasping this have been introduced.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07-0119351호는 복수의 슬래그 검출 센서를 구비한 보일러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슬래그 검출을 위한 별도의 슬래그 검출 센서를 통해 특정 위치의 슬래그 생성 여부를 예상한다. 슬래그 생성이 예상되는 경우 버너의 A/F(Air/Fuel) 비율 또는 공기-연료 흐름의 질량 유량을 조정하여 슬래그 생성을 억제한다.US-A-2007-0119351 discloses a boiler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lag detection sensors. Specifically, slag detection at a specific position is predicted through a separate slag detection sensor for slag detection. If slag generation is expected, adjust the A / F (air / fuel) ratio of the burner or the mass flow rate of the air-fuel flow to suppress slag generation.

하지만, 이런 유형의 보일러 시스템은 슬래그 생성이 예상되는 경우에 버너의 A/F 비율 또는 질량 유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사후적 대책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미 생성된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버너의 A/F 비율 및 공기-연료 흐름의 질량 유량 등은 보일러 및 발전 시스템의 성능 특성과 민감하게 결부되어 있어 조정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However, this type of boiler system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only be countermeasures because it adjusts the A / F ratio or mass flow rate of the burner when slag generation is expect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removing slag that has already been generated. In addition, the A / F ratio of the burner and the mass flow rate of the air-fuel flow are sensitive t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boiler and the power generation system, so that the adjustment is very limited.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06011호는 클링커(clinker) 억제제를 이용한 클링커 억제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클링커 억제제 공급부,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며, 연소시 클링커 억제제를 공급하여 클링커 생성을 사전에 제어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06011 discloses a clinker suppression apparatus using a clinker inhibitor. Specifically, it includes a separate clinker inhibitor supply, a control and a reservoir, and supplies a clinker inhibitor upon combustion to control clinker generation in advance.

하지만, 이런 유형의 클링커 억제 장치는 클링커 생성이 예상되는 경우 석탄 등 연료의 조율에 따라 클링커 억제제를 조정, 공급하기 때문에 사후적 대책에 그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특히, 클링커가 생성되는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미 생성된 클링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kind of clinker suppression device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only be a post-countermeasure because it adjusts and supplies the clinker inhibitor according to the fuel adjustment such as coal when the clinker generation is expected. In particular,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efficient because it can not clearly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clinker is generated, and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clinker already generated.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미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echniques for removing already produced slag have been introduced.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415816호는 별도의 슬래깅 패널을 구비한 슬래깅 측정 장치 및 측정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보일러의 연소실 내벽에 슬래깅 패널을 설치하여, 패널 상에 유동하는 슬래깅의 점도를 측정하여 양을 예측한다. 슬래깅의 양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슬래깅 패널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슬래그를 용융시켜 제거하는 방식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5816 discloses a slagging measuring apparatus and a measuring method provided with a separate slagging panel. Specifically, a slagging panel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boiler, and the viscosity of the slagging flowing on the panel is measured and predicted. When the amount of slagging exceeds the reference value, heating air is supplied to the slagging panel to melt and remove the slag.

하지만, 이런 유형의 슬래깅 측정 장치는 별도의 슬래깅 패널을 필요로 하고, 패널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 및 공기 가열부를 별도로 필요로 한다. 또한, 슬래깅이 슬래깅 패널 일부에만 생성된 경우에도 슬래깅 패널 전체에 가열 공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slagging measuring apparatus requires a separate slagging panel, and separately requires an air supply unit and an air heating unit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panel. In addition, even when slagging is generated only in a part of the slagging panel, the heating air must be supplied to the entire slagging panel, resulting in a disadvantage that the removal efficiency is lowered.

다른 예로서, 일본공개특허문헌 제1996-121737호는 별도의 수냉 패널을 구비한 슬래그 제거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수냉 패널 내부에 냉각수를 유동시켜, 슬래그가 수냉 패널에 응착되면 수냉 패널에 충격을 가하거나 수냉 패널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여 슬래그를 제거한다.As anothe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6-121737 discloses a slag removing apparatus having a separate water-cooling panel. Specifically, the cooling water is flowed into the separate water-cooling panel, and when the slag adheres to the water-cooling panel, impact is applied to the water-cooling panel or steam i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water-cooling panel to remove the slag.

하지만, 이런 유형의 슬래그 제거 장치는 별도의 수냉 패널을 필요로 하고, 냉각수 공급을 위한 냉각수 공급부, 수냉 패널에 분사하기 위한 증기 공급부, 수냉 패널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진동 부가 장치 등 별도의 추가 장비가 많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슬래그가 수냉 패널 일부에만 생성된 경우에도 수냉 패널 전체에 충격을 가해야만 하며, 수냉 패널에 충격을 가할 때 수냉 패널이 설치된 연소실 내벽에도 충격에 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slag removing apparatus requires a separate water-cooling panel, and additional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cool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ooling water, a steam supply unit for spraying the water-cooling panel, and a vibration unit for impacting the w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required a lot. In addition, even when the slag is generated only in a part of the water-cooled panel, it is necessary to apply an impact to the entire water-cooled panel, and when impact is applied to the water-cooled panel,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provided with the water-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07-0119351호(2007.05.31)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7-0119351 (May 31, 2007)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415816호(2014.06.3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5816 (2014.06.30) 일본공개특허문헌 제1996-121737호(1996.05.17)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6-121737 (May 17, 199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06011호(2016.03.1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6011 (2013.03.18)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슬래그의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생성된 슬래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보일러의 연소실 내부에 추가되는 기기를 최소화하면서, 보일러의 연소실 내부에 기 유동 중인 수관 벽의 유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슬래그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slag is generated, a position and a generation amount of slag, efficiently removing generated slag, And to provide a slag removing device that can utilize the fluid of the water pipe wall in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boiler as much as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또는 스팀이 유동되는 복수의 관로(20)가 형성된 연소로 내벽(1)에 설치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10)로서, 상기 관로(2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부(100)는, 상기 관로(20)에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유입되는 유입부(110); 상기 관로(20)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유출부(120); 상기 유입부(110)에 설치되는 유입 온도 감지기(112); 상기 유출부(120)에 설치되는 유출 온도 감지기(122); 및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는 제1 노즐(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130)에서는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ag removing apparatus (10) installed in a combustion furnace inner wall (1) where a plurality of pipes (20) through which water or steam flows are formed, The first storage part 100 includes a first storage part 100 and a second storage part 100.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inflow part 110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am is introduced from the pipeline 20, );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am flows to the conduit (20); An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installed at the inlet 110;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installed at the outlet 120; And a first nozzle 130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injected. The first nozzle 130 is connected to the inflow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sprayed.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된 각각의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Whether or not the slag is generated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s sensed by the influen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하나의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상기 관로(20)가 다수 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10) 또는 상기 유출부(120)는 다수 개 형성되고, 형성된 상기 유입부(110)마다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가 설치되며, 형성된 상기 유출부(120)마다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ipelines 20 are connected to one first storage unit 100 so that a plurality of the inflow units 110 or the outflow units 120 are formed, A temperature sensor 112 is installed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for each of the outflows 120 formed.

상기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다.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the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can be adjusted.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wat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the water or steam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상기 연소로 내벽(1)에 생성된 슬래그를 연질화하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storage part 200 storing an additive for softening the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1 of the furnace.

상기 제1 저장부(100)와 상기 제2 저장부(20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된 밸브(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300)는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상기 제2 저장부(200)로 유입되도록 상기 물 또는 스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valve 300 further includes a valve 300 disposed 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storage unit 1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200. The valve 3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00, The flow of water or steam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water or steam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part 200.

상기 제1 저장부(100)에서 유입된 상기 물 또는 스팀 및 상기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된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첨가제 혼합물을 분사할 수 있는 제2 노즐(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nozzle 230 capable of spraying the mixture of the additive mixed with the water or steam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part 100 and the additiv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

상기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상기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다.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상기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상기 물 또는 스팀 및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상기 첨가제 혼합물은 독립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may be injected independ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와 유출 관로를 통해 유출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슬래그의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slag is generat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water or steam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and the temperature of water or steam flowing through the outlet pipe. The amount of production can be accurately grasped.

또한, 제1 저장부 및 제1 노즐을 연소실 내벽의 복수의 관로에 복수 개 설치함으로써 여러 위치에 생성된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nozzle in a plurality of pipes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slag generated at various positions can be effectively removed.

더불어, 연소실 내벽에서 이미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을 이용하므로 물 또는 스팀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부만 추가하여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어 보일러의 연소실 내부에 추가되는 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or steam is already flowing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t is possible to remove slag by adding only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water or steam, thereby minimizing the equipment add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boiler.

더 나아가, 별도의 첨가제(additive)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이를 분사하는 제2 노즐을 더 포함하여 첨가제를 통한 슬래그의 연질화 및 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softening and the removing of the slag through the additive, 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storing part for storing a separate additive and a second nozzle for spraying the second storing part.

따라서,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연소로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 연소로 및 폐기물 소각로 등 슬래그가 생성될 수 있는 모든 발전 시설에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combustion furnaces used in coal-fired power plants, but also for removing slag from all generation facilities where slag can be produced, such as biomass burning furnaces and waste incinerato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로 내벽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가 설치된 연소실 내벽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가 설치된 연소실 내벽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가 설치된 연소실 내벽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ner wall of a combustion furn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slag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lag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lag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lag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ner wall of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with the sla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ner wall of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with the sla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slag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연소로 내부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가 설치되는 연소로 내벽(1)에는 복수의 관로(20)가 형성된다.6 and 7, a plurality of ducts 20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1 of the furnace where the slag remo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복수의 관로(20) 내부에는 물 또는 스팀이 유동되어, 연소로 내부에서 후술될 버너(30)에서 일어나는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일부 흡수한다.Water or steam flows into the plurality of channels 20 to partially absorb heat generated in the burn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ombustion furnace.

버너(30)에서는 연소가 일어나 화염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연소로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바, 버너(30)에서 발생하는 화염은 연소로 중앙으로 분사된다.In the burner 30, combustion occurs and a flame is generated. Since a general combustion furnac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lame generated in the burner 30 is injected to the center by combustion.

2.1 제1 실시 예에 따른 2.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슬래그Slag 제거 장치(10)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moval device 1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제1 저장부(100), 유입부(110), 유출부(120) 및 제1 노즐(130)을 포함한다.2 to 5, a slag remover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part 100, an inflow part 110, an outflow part 120, and a first nozzle 130 ).

제1 저장부(100)는 물 또는 스팀이 저장되는 곳이다. 제1 저장부(100)는 연소실 내벽(1)의 내측으로, 버너(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저장부(100)는 버너(3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a place where water or steam is stored.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and on the top of the burner 30. Alternatively, the first storage unit 1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burner 30. [

제1 저장부(100)는 관로(2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관로(20) 내부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제1 저장부(100) 내부로 유입되거나, 제1 저장부(100) 내부에서 관로(20)로 유출될 수 있다.The first reservoir 100 is fluidly connected to the conduit 20. In other words, water or steam flowing into the pipeline 20 may flow into the first storage part 100 or may flow out of the first storage part 100 to the pipeline 20.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저장부(100)는 관로(20) 한 개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reservoir 100 is fluidly connected with one of the conduits 20.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저장부(100)는 관로(20) 두 개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저장부(100)는 관로(20) 다섯 개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reservoir 100 is fluidly connected with two conduits 20.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reservoir 100 may be fluidly connected with five conduits 20. That is, the number of channel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may be changed as needed.

제1 저장부(100)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소로의 크기 및 연소로 내벽(1)의 슬래그 생성 정도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The size of the first storage unit 100 may be changed. Mor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combustion furnace and the degree of slag formation of the inner wall 1 due to combustion can be changed. It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peline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유입부(110)는 관로(20) 내부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제1 저장부(100)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 실시 예에서 유입부(110)는 제1 저장부(100)의 하측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유입부(110)는 제1 저장부(100)의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라도 관로(20) 내부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의 기존 흐름의 방향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portion 110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or steam flowing into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flows into the pipe 2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flow section 1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section 100. Alternatively, the inlet 1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servoir 100, but in any case it is formed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flow of water or steam flowing inside the channel 20 desirable.

유입부(11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관로(20)의 수에 따라 유입부(11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inflow portions 110 can be changed. That is, the number of the inflow portions 1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ipelines 20 because the number of the pipeline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can be chang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입부(110)는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마다 형성된다. 즉,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개수가 한 개, 두 개 및 다섯 개로 증가되면, 유입부(110)의 개수 또한 한 개, 두 개 및 다섯 개로 증가될 수 있다.2 through 5, the inlet 110 is formed for each channel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100. That is, if the number of channel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increased to one, two, and five, the number of the inlet units 110 is also one, two, and five Can be increased.

대안적으로, 유입부(110)는 제1 저장부(100)에 접촉되는 관로(2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00)의 폭이 넓어서, 제1 저장부(100)에 접촉되는 관로(20)의 개수가 다섯 개라면, 이 중 일부인 한 개의 관로(20)만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유입부(110)가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inlet 110 may be formed less than the number of the conduits 20 contacting the first reservoir 100. More specifically, if the width of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wide and the number of the pipelines 20 contacting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five, only one of the pipelines 20, Only one inlet 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fluid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유입부(110)에는 유입 온도 감지기(112)가 설치된다. 유입 온도 감지기(112)는 관로(20)에서 유입부(110)로 유입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한다. The inflow section 110 is provided with an inflow temperature sensor 112.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steam entering the inlet 110 from the conduit 2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입 온도 감지기(112)는 유입부(110)마다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관로(20)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의 유입 온도가 감지될 수 있으므로, 후술될 슬래그 생성 여부 판단이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2 through 4, the inflow temperature sensor 112 may be installed for each inflow section 110. Therefore, the inflow temperature of water or steam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pipelines 20 can be sen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slag 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대안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유입 온도 감지기(112)는 일부 유입부(11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5,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may be installed only at a portion of the inlet 110.

유출부(120)는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 또는 스팀이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 실시 예에서 유출부(120)는 제1 저장부(100)의 상측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유출부(120)는 제1 저장부(100)의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라도 수관 벽의 관로(20) 내 물 또는 스팀의 기존 흐름 방향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flow section 120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ection 100 flows ou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utflow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100. Alternatively, the outflow section 120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storage section 100, but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flow section 120 is formed so as to match the existing flow direction of water or steam in the water channel wall 20 Do.

유출부(12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관로(20)의 수에 따라 유출부(12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flow portions 120 can be changed. That is, the number of the outflow ports 12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duits 20 since the number of the conduit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can be chang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출부(120)는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마다 형성된다. 즉,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로(20)의 개수가 한 개, 두 개 및 다섯 개로 증가되면, 유출부(120)의 개수 또한 한 개, 두 개 및 다섯 개로 증가될 수 있다.2 through 5, the outlet 120 is formed for each channel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100. As shown in FIG. That is, if the number of channels 20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increased to one, two and five, the number of the outflows 120 is also one, two and five Can be increased.

대안적으로, 유출부(120)는 제1 저장부(100)에 접촉되는 관로(2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00)의 폭이 넓어서, 제1 저장부(100)에 접촉되는 관로(20)의 개수가 다섯 개라면, 이 중 일부인 한 개의 관로(20)만 제1 저장부(1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유출부(120)가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less than the number of conduits 20 contacting the first reservoir 100. More specifically, if the width of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wide and the number of the pipelines 20 contacting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five, only one of the pipelines 20, Only one outlet 120 may be formed so as to be fluid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유출부(120)에는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설치된다. 유출 온도 감지기(122)는 관로(20)에서 유출부(120)로 유출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한다. The outlet 120 is provided with an outlet temperature sensor 122.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senses the temperature of water or steam flowing out of the conduit 20 to the outflow section 12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출 온도 감지기(122)는 유출부(120)마다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관로(20)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의 유입 온도가 감지될 수 있으므로, 후술될 슬래그 생성 여부 판단이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2 through 4,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for each outlet 120. Therefore, the inflow temperature of water or steam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pipelines 20 can be sen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slag 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대안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유출 온도 감지기(122)는 일부 유출부(12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5, the runoff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in only some of the outflows 120.

제1 노즐(130)은 제1 저장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 노즐(130)에서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어 슬래그에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슬래그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first nozzle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orage part 100.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to apply a physical force to the slag to remove the slag.

제1 실시 예에서 제1 노즐(130)은 제1 저장부(100)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는 제1 저장부(100)가 버너(30)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이며, 제1 저장부(100)가 버너(30)의 하부에 설치될 경우, 제1 노즐(130)은 제1 저장부(100)의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nozzle 1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part 100. This is because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rner 30. When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installed below the burner 30, (Not shown).

다만,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가 효과적으로 제거되기 위해 중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1 저장부(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jetting from the first nozzle 130 or the slag generated by the steam is formed below the first storage unit 100 so that gravity can be utilized to effectively remove the slag.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된 슬래그의 위치에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the angle can be adjusted so as to be accurately injected to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slag.

또한, 다량의 슬래그가 검출된 경우 물 또는 스팀의 분사량을 증가시켜 슬래그를 제거하고, 소량의 슬래그가 검출된 경우 물 또는 스팀의 분사량을 감소시켜 슬래그를 제거한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slag is detected,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is increased to remove the slag, and when a small amount of slag is detected,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is reduced to remove the slag.

즉 슬래그의 생성 위치 및 생성량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slag by controlling 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to be spray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position and the amount of sla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급수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급수 장치(140)는 여분의 물 또는 스팀을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lag remova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140. The water supply device 140 stores extra water or steam.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물 또는 스팀은 일차적으로 연소실 내벽(1)에 형성된 관로(20) 내에서 유동하는 물 또는 스팀에서 공급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reservoir 100 to remove slag is primarily supplied in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이 때, 다량의 슬래그가 생성되어 물 또는 스팀의 분사량이 증가하면, 연소실 내벽(1)에 형성된 관로(20) 내에서 유동하는 물 또는 스팀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 때, 급수 장치(140)에서 제1 저장부(100)로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물 또는 스팀의 부족분을 채울 수 있다.At this time, if a large amount of slag is generated and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is increased,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duct 20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may be insufficient. At this time, water or steam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40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to fill the deficiency of water or steam.

이를 위해 급수 장치(140)에는 펌프(미도시) 등 물 또는 스팀을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device 140 may include an apparatus capable of transferring water or steam, such as a pump (not shown).

2.2 제1 실시 예에 따른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슬래그Slag 제거 장치(10)를 이용한  Removing apparatus 10 슬래그Slag 제거 과정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moval process

이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을 파악하고,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slag is generated, the position and amount of slag generated by using the slag remov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removing the generated slag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연소실 내벽(1)에는 복수의 관로(20)가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20)는 각각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유입부(110)와 유출부(120)에 연통된다. 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conduits 20 are present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hannel 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of the slag remover 10, respectively.

또한 유입부(110) 및 유출부(120)에는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와 유출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inflow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in the inflow section 110 and the outflow section 12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inflow water or steam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flow water or steam.

이하 유입 온도 감지기(112)에서 감지된 유입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Figure pat00001
,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된 유출되는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Figure pat00002
이라고 한다.Hereinafter,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water or steam detected by the influent temperature sensor 112
Figure pat00001
, The temperature of the outflowed water or steam detected by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Figure pat00002
.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은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열량을 흡수하게 된다. 이 때, 흡수된 열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absorbs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At this time, the calorie absorbed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04
는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고,
Figure pat00005
는 물 또는 스팀의 비열이며,
Figure pat00006
은 물 또는 스팀의 질량이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의 차이에 해당한다.In this formula,
Figure pat00004
Is the calorie absorbed by water or steam,
Figure pat00005
Is the specific heat of water or steam,
Figure pat00006
Is the mass of water or steam.
Figure pat00007
The
Figure pat00008
Lt; / RTI >
Figure pat00009
and
Figure pat00010
.

이 때, 물 또는 스팀의 비열

Figure pat00011
는 공지된 수치이고, 물 또는 스팀의 질량
Figure pat00012
은 보일러 가동시 투입되는 물 또는 스팀의 유량을 통해 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식에서 상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측정된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의 값을 이용하면 보일러 운용 중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인
Figure pat00015
를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cific heat of water or steam
Figure pat00011
Is a known value, and the mass of water or steam
Figure pat00012
Is a constant in the above equation since it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low rate of water or steam supplied when the boiler is operated. Therefore,
Figure pat00013
and
Figure pat00014
Is the heat absorbed by water or steam during operation of the boiler.
Figure pat00015
Can be obtained.

또한, 연소실 내벽(1)에 슬래그가 존재하지 않을 때 연소실 내부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열량 중 복수의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에 흡수되는 열량이 최대가 된다. 이 때의 열량을

Figure pat00016
라고 하면,
Figure pat00017
는 슬래그 생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열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When no slag is present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plurality of pipelines 20 amo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ue to the combustion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becomes maximum. At this time,
Figure pat00016
In other words,
Figure pat00017
Can be used as a reference calori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slag is generated or not.

따라서, 보일러 운용 중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한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여 연소실 내벽(1)의 슬래그 생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Figure pat00018
Wow
Figure pat00019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lag of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is generated.

구체적으로,

Figure pat00020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보다 같거나 큰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슬래그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Figure pat00020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heat amount, so that it can be judged that the slag is hardly present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반면,

Figure pat00021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에 비해 작은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슬래그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pat00021
,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heat amount, so that it can be judged that the slag i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특히,

Figure pat00022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다량의 슬래그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Especially,
Figure pat00022
It can be judged that a large amount of slag is generated in the inner wall 1 of the combustion chamber because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heat quantity.

이 때, 유입 온도 감지기(112) 또는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복수 개 설치된 경우,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되는

Figure pat00023
은, 이미 제1 저장부(100) 내부에서 물 또는 스팀이 혼합된 이후에 감지되는 온도이므로
Figure pat00024
의 평균값을 이용하더라도 큰 오차가 발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inflow temperature sensors 112 or a plurality of outflow temperature sensors 122 are installed,
Figure pat00023
Is a temperature that is sensed after water or steam is mix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Figure pat00024
A large error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s is used.

다만, 유입 온도 감지기(112)에서 감지되는

Figure pat00025
은 슬래그 생성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에 슬래그가 생성된 관로(20)에서 측정된
Figure pat00026
은 외부에 슬래그가 생성되지 않은 관로(20)에서 측정된
Figure pat00027
에 비해 낮을 것이다.Howeve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fluent temperature sensor 112
Figure pat00025
Is directly influenced by whether or not slag is generat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Figure pat00026
(20) where slag is not generated on the outside
Figure pat00027
.

따라서, 유입 온도 감지기(112)에서 감지되는

Figure pat00028
은 평균값을 이용할 경우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Figure pat00029
을 이용하여 슬래그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Figure pat00030
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temperature sensed by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Figure pat00028
An error may occur when the average value is used,
Figure pat00029
To determine whether slag has occurred
Figure pat00030
.

이 때 산출되는

Figure pat00031
의 개수는 유입 온도 감지기(112)의 개수만큼 증가될 수 있다. 산출된 각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와 비교하여, 어떤 관로(20)의 외부에 슬래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Figure pat00031
May be increased by the number of inlet temperature sensors (112). The calculated angle
Figure pat00032
To
Figure pat00033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slag has been generated outside of the pipe 20,

대안적으로,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의 각 평균치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36
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 과정은 좀더 용이해질 수 있으나, 판단 결과의 정확도는 감소될 수 있다.Alternatively,
Figure pat00034
and
Figure pat00035
≪ RTI ID = 0.0 >
Figure pat00036
Can be calculated. In this case, the judgment process can be made easier, but the accuracy of the judgment result can be reduced.

복수의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을 감지할 경우, 슬래그 생성 여부 및 생성 위치의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진다. A plurality of inlet temperature sensors 112 and outlet temperature sensors 122
Figure pat00037
and
Figure pat00038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slag is generated or not and where the slag is generated.

즉, 연소실 내벽(1)의 원주 방향 길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슬래그 생성 여부 및 생성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is further subdivided
Figure pat00039
and
Figure pat00040
And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or not the slag is generat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slag is generated.

도 7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연소실 내벽(1)에 형성된 수관 벽의 관로(20)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된다. 설치된 각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을 감지하여, 어느 위치의 관로(20) 외부에 슬래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slag removing apparatuse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installed along a duct 20 of a water pipe wall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Each of the installed slag removing apparatuses 10,
Figure pat00041
and
Figure pat0004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lag is generated outside the pipeline 20 at which position.

제1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된 슬래그의 예상 생성량에 따라 물 또는 스팀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The amount of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of the slag remover 1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slag by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or steam according to the predicted amount of slag to be produced.

제1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된 슬래그의 생성 위치에 따라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에 분사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The spray angle of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of the slag remover 1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pray the slag by injecting water or steam at an accurate position by adjusting the injection angle of water or steam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slag.

3.1 제2 실시 예에 따른 3.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슬래그Slag 제거 장치(10)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moval device 10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와 비교할 때 제2 저장부(200), 제2 노즐(230), 첨가제 저장부(240) 및 밸브(3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slag remov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lag remov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econd reservoir 200, the second nozzle 230,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240 and a valve 300.

제2 저장부(200), 제2 노즐(230), 첨가제 저장부(240) 및 밸브(3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기능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와 동일하다.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econd storage part 200, the second nozzle 230, the additive storage part 240 and the valve 3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lag remov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따라서 이하, 제2 저장부(200), 제2 노즐(230), 첨가제 저장부(240) 및 밸브(300)를 중심으로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Therefore,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econd storage unit 200, the second nozzle 230, the additive storage unit 240, and the valve 300 as a center.

제2 저장부(200)에는 첨가제(additive) 혼합물이 저장된다. 제2 저장부(200)는 연소실 내벽(1)의 내측으로, 버너(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 저장부(100) 및 첨가제 저장부(240)와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제2 저장부(200)는 버너(3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torage unit 200, an additive mixture is stored. The second storage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and above the burner 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unit 100 and the additive storage unit 240. Alternatively, the second storage unit 2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burner 30. [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된 첨가제는 연소실 내벽(1) 상에 생성된 슬래그를 연질화시킬 수 있다. 첨가제에 의해 연질화된 슬래그는 경질의 슬래그에 비해 물 또는 스팀의 분사로 발생하는 물리력에 의한 제거가 좀더 용이해진다.The additiv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can soften the slag generated on the inner wall 1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slag softened by the additive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physical force generated by the injection of water or steam as compared with the hard slag.

제2 저장부(200)와 제1 저장부(10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는 밸브(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 또는 스팀은 제2 저장부(200)로 유입된 후 첨가제와 혼합되어 첨가제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첨가제 혼합물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valve 300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storage unit 200 and the first storage unit 100. Accordingly,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torage part 200 and mixed with the additive to form an additive mixtur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dditive mix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노즐(230)은 제2 저장부(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된 첨가제 혼합물은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어 슬래그를 연질화시키고, 연질화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cond nozzle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orage part 200. The additive mixtur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is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to soften the slag, .

제2 실시 예에서 제2 노즐(230)은 연소실 내벽(1)의 내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23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슬래그의 위치에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슬래그가 생성된 경우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량을 증가시켜 슬래그를 연질화하여 제거하고, 소량의 슬래그가 검출된 경우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량을 감소시켜 슬래그를 연질화하여 제거한다.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the injection angle can be adjusted so as to be accurately injected to the position of the produced slag. Also, when a large amount of slag is generated,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s increased to soften and remove the slag, and when a small amount of slag is detected,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s reduced to soften and remove the slag.

즉 슬래그의 생성 위치 또는 생성량에 따라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slag by adjusting the injection angle or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njected additive mixtur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position or the amount of the slag.

첨가제 저장부(240)는 제2 저장부(200)에 공급되는 첨가제를 저장한다. 첨가제 저장부(240)와 제2 저장부(20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첨가제의 유입 방향 및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additive storage unit 240 stores the additiv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unit 200. A valve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additive storage unit 24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200 to control the inflow direction and inflow amount of the additive.

첨가제 저장부(240)에서 제2 저장부(200)로 공급된 첨가제는, 제1 저장부(100)에서 공급된 물 또는 스팀과 혼합되어 첨가제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 때, 첨가제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첨가제 농도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additive supplied from the additive storage unit 240 to the second storage unit 200 is mixed with water or steam suppli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00 to form an additive mixture. At this time, a separate additive concentration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

밸브(300)는 제1 저장부(100)와 제2 저장부(20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된다.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 또는 스팀은 밸브(300)를 통해 제2 저장부(200)로의 유입 여부, 유입 방향 및 유입량이 제어된다. The valve 300 is provided on a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storage part 100 and the second storage part 200.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00 is controlled to flow into the second storage unit 200 through the valve 300, the inflow direction and the inflow amount.

따라서,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첨가제 혼합물은 적정한 농도로 제어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양의 첨가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첨가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dditive mixtur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can be controll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additive can be supplied as needed, so that the amount of the additive to be used can be minimized.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노즐(130) 및 제2 노즐(230)에서 물 또는 스팀과 첨가제 혼합물이 동시에 분사되어 혼합되므로,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첨가제 혼합물의 농도는 고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water or steam and the additive mixture are injected and mixed simultaneously in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second nozzle 230 as described later,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 mixture stored in the second reservoir 200 is high .

3.2 제2 실시 예에 따른 3.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슬래그Slag 제거 장치(10)를 이용한  Removing apparatus 10 슬래그Slag 제거 과정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moval process

이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을 파악하고,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slag is generated, a position and a generation amount of slag using the slag remov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removing the generated slag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제거 장치(10)가 슬래그의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을 판단하는 과정은 제2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lag remov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generates slag, a generation position, and a generation amount is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as well.

따라서, 제2 실시 예에서 추가되는 제2 저장부(200), 제2 노즐(230), 첨가제 저장부(240) 및 밸브(300)를 중심으로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refore,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generated around the second storage part 200, the second nozzle 230, the additive storage part 240, and the valve 300 added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유출 온도 감지기(122)를 통해 감지된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의 차이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 생성 위치 및 생성량이 판단되면, 제1 노즐(130)에서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어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한다.First, the sensed temperature is detected through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122
Figure pat00043
and
Figure pat00044
The generation position and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slag are determined, the slag generated by spraying water or steam from the first nozzle 130 is removed.

이 때, 슬래그가 경질일 경우, 물 또는 스팀의 분사를 통한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슬래그 제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물 또는 스팀의 분사를 통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먼저 슬래그를 연질화해야 한다.At this time, when the slag is hard, there is a limit to the slag removal by a mechanical method through injection of water or steam. Therefore, the slag must first be softened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by spraying water or steam.

슬래그가 경질로 생성되어,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된 물 또는 스팀만으로는 슬래그가 제거되지 않았는지 여부는,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의 차이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47
를 산출하고, 산출된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Whether the slag is hardly generated and whether the slag has not been removed by water or steam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130,
Figure pat00045
and
Figure pat00046
Using the difference of
Figure pat00047
, And the calculated
Figure pat00048
To
Figure pat00049
As shown in FIG.

즉,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된 물 또는 스팀에 의한 슬래그 제거 작업이 수행된 후,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유출 온도 감지기(122)를 통해 감지된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을 이용하여
Figure pat00052
를 다시 산출하여,
Figure pat00053
와 비교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slag removal operation by the water or the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is performed, the slag remov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122
Figure pat00050
and
Figure pat00051
Using
Figure pat00052
Lt; / RTI >
Figure pat00053
.

구체적으로,

Figure pat00054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보다 같거나 큰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생성된 슬래그가 거의 제거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Figure pat00054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heat quant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slag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is almost removed.

반면,

Figure pat00055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에 비해 작은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생성된 슬래그가 아직 잔류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pat00055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heat amount, so that it can be judged that the slag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still remains.

특히,

Figure pat00056
일 경우 관로(20) 내에 유동 중인 물 또는 스팀이 흡수한 열량이 기준 열량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것이므로, 연소실 내벽(1)에 생성된 슬래그가 거의 제거되지 못했다고 판단될 수 있다.Especially,
Figure pat00056
,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water or steam flowing in the conduit 20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heat amount, so that it can be judged that the slag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is hardly removed.

제2 저장부(200)에는 고농도의 첨가제 혼합물이 저장된다.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된 고농도의 첨가제 혼합물은,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된 물 또는 스팀과 혼합되어 슬래그에 도달한다. A high concentration additive mixture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The high concentration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is mixed with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to reach the slag.

도 8을 참조하면,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은 슬래그를 직접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고,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은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된 물 또는 스팀이 슬래그를 향하는 이동 경로 상에 분사된다.8, the water or steam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130 is sprayed in a direction directly facing the slag, and the additive mixture spray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is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130 Or steam is sprayed onto the path of travel towards the slag.

즉,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과,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이 슬래그에 이르는 이동 경로 상에서 혼합되어 슬래그에 도달하게 된다. That is, the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are mixed on the movement path to the slag to reach the slag.

따라서, 슬래그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해 연질화됨과 동시에 물 또는 스팀에 의한 물리력을 받게 되어, 물 또는 스팀에 의한 물리력만을 이용할 때보다 더 쉽게 제거된다. Therefore, the slag is softened by the additive mixture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the physical force by water or steam, and is more easily removed than by using only the physical force by water or steam.

이 때, 제1 노즐(130) 및 제2 노즐(230)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슬래그가 어떤 위치에서 생성되더라도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the slag can be effectively remov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lag.

또한, 상기한 혼합 과정을 위해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 및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은 동시에 분사된다. In addition,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and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are simultaneously injected for the above-described mixing process.

대안적으로, 제1 노즐(130)이 분사하는 물 또는 스팀 및 제2 노즐(230)이 분사하는 첨가제 혼합물은 독립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 예로, 생성량은 많지 않으나 경질인 슬래그의 경우, 제2 노즐(230)에서 첨가제 혼합물만을 분사하여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ater or steam injected by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by the second nozzle 230 may be injec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ard slag having a small amount of production, only the additive mixture may be injected in the second nozzle 230 to remove the slag.

제2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는 제1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연소실 내벽(1)에 설치된다. The slag removing apparatus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nner wall 1 by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lag removing apparatuses 10 of the first embodiment.

즉, 슬래그 제거 장치(10)가 복수 개 구비됨으로써, 연소실 내벽(1)의 여러 위치에서 슬래그 생성 여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 생성이 예상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at i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lag removing apparatuses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lag is generat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inner wall 1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at which slag generation is expected, and measures can be taken to eliminate it.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된 슬래그의 생성 위치에 따라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에 분사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angle of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of the slag remov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pray the slag by injecting water or steam at an accurate position by adjusting the injection angle of water or steam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slag.

또한, 제2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의 양 및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된 슬래그의 생성량에 따라 물 또는 스팀 및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양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슬래그가 제거될 수 있다.Further, the amount of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of the slag remov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slag can be efficiently removed b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ter or the steam and the additive mix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mount of the slag.

또한,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경질의 슬래그가 어느 지점에 발생하더라도, 첨가제 혼합물에 의한 연질화 및 제거가 가능하다.Further, the injection angle of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Thus, whichever hard slag occurs, softening and removal by the additive mixture is possible.

나아가, 제2 실시 예의 슬래그 제거 장치(10)의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첨가제 혼합물에 의해 경질 슬래그의 연질화가 가능하므로, 슬래그의 연질화 이후 물 또는 스팀의 분사, 또는 첨가제 혼합물만의 분사로도 슬래그의 제거가 가능해진다.Further, since the hard slag can be softened by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of the slag remov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oftening of the slag after the softening of the slag, The slag can be removed even by spraying.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 : 연소로 내벽
10 : 슬래그 제거 장치
20 : 관로
30 : 버너
100 : 제1 저장부
110 : 유입부
112 : 유입 온도 감지기
120 : 유출부
122 : 유출 온도 감지기
130 : 제1 노즐
140 : 급수 장치
200 : 제2 저장부
230 : 제2 노즐
240 : 첨가제 저장부
300 : 밸브
1: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furnace
10: Slag removing device
20: channel
30: Burner
100: First storage unit
110: inlet
112: Inflow temperature sensor
120:
122: Flow temperature sensor
130: first nozzle
140: Water supply device
200: second storage unit
230: second nozzle
240: additive storage part
300: valve

Claims (10)

물 또는 스팀이 유동되는 복수의 관로(20)가 형성된 연소로 내벽(1)에 설치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10)로서,
상기 관로(2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저장되는 제1 저장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부(100)는,
상기 관로(20)에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유입되는 유입부(110);
상기 관로(20)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유출되는 유출부(120);
상기 유입부(110)에 설치되는 유입 온도 감지기(112);
상기 유출부(120)에 설치되는 유출 온도 감지기(122); 및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는 제1 노즐(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130)에서는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분사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
A slag removing device (10) installed in a combustion furnace inner wall (1) where a plurality of pipes (20) through which water or steam flows are formed,
And a first reservoir (100) fluidly connected to the conduit (20) and storing the water or steam,
The first storage unit (100)
An inlet 110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am flows in the channel 20;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am flows to the conduit (20);
An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installed at the inlet 110;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installed at the outlet 120; And
And a first nozzle (130) for spraying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is sprayed to the first nozzle (130)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inflow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122)
Sla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 및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에서 감지된 각각의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슬래그 생성 여부가 판단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ag gener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emperatures detected by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122)
Sla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상기 관로(20)가 다수 개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10) 또는 상기 유출부(120)는 다수 개 형성되고,
형성된 상기 유입부(110)마다 상기 유입 온도 감지기(112)가 설치되며,
형성된 상기 유출부(120)마다 상기 유출 온도 감지기(122)가 설치되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ipelines 20 are connected to one first storage unit 100 to form a plurality of the inflow units 110 or the outflow units 120,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112 is installed for each inlet 110,
Wherein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122) is installed for each of the outlet portions (120)
Sla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상기 물 또는 스팀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angle or injection amount of the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Sla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상기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140)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140) for supplying the water or steam to the first storage part (100)
Slag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 내벽(1)에 생성된 슬래그를 연질화하는 첨가제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200)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orage part (200) in which an additive softening the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1) of the furnace is stored,
Slag remova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100)와 상기 제2 저장부(20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된 밸브(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300)는 상기 제1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물 또는 스팀이 상기 제2 저장부(200)로 유입되도록 상기 물 또는 스팀의 유동을 제어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valve (300) provided on a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storage part (100) and the second storage part (200)
The valve (300) controls the flow of the water or steam so that the water or steam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100)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part (200)
Slag removal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100)에서 유입된 상기 물 또는 스팀 및 상기 제2 저장부(200)에 저장된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첨가제 혼합물을 분사할 수 있는 제2 노즐(230)을 더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econd nozzle (230) capable of spraying the mixture of the additive mixed with the water or steam introduced from the first storage part (100) and the additiv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200)
Slag remova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상기 첨가제 혼합물의 분사 각도 또는 분사량은 조절될 수 있는,
슬래그 제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jection angle or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can be adjusted,
Slag remova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130)에서 분사되는 상기 물 또는 스팀 및 제2 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상기 첨가제 혼합물은 독립적으로 분사될 수 있는,
슬래그 제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ter or steam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130 and the additive mixture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30 may be injected independently,
Slag removal device.
KR1020170082712A 2017-06-29 2017-06-29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KR101948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12A KR101948798B1 (en) 2017-06-29 2017-06-29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PCT/KR2018/006990 WO2019004648A1 (en) 2017-06-29 2018-06-21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formed on inner wall of combustion cha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712A KR101948798B1 (en) 2017-06-29 2017-06-29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88A true KR20190002788A (en) 2019-01-09
KR101948798B1 KR101948798B1 (en) 2019-02-18

Family

ID=6474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712A KR101948798B1 (en) 2017-06-29 2017-06-29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8798B1 (en)
WO (1) WO2019004648A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737A (en) 1994-10-25 1996-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Slag removing device
US20070119351A1 (en) 2005-11-30 2007-05-31 Widmer Neil 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 rate of slag formation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a boiler system
KR100768722B1 (en) * 2007-04-19 2007-10-19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Slag removal apparatus used power plant boiler
KR101415816B1 (en) 2014-02-10 2014-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lagging
KR20140113041A (en) * 2013-03-15 2014-09-24 한국전력공사 Boiler having apparatus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le and method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el
JP2014234951A (en) * 2013-06-03 2014-12-15 三浦工業株式会社 Boiler
KR101606011B1 (en) 2015-08-07 2016-03-24 이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clinker and thermal power plant comprising thereof
KR101697716B1 (en) * 2016-04-07 2017-01-19 주식회사 자단 Additive composition for solid fue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737A (en) 1994-10-25 1996-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Slag removing device
JP3377623B2 (en) * 1994-10-25 2003-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lag removal device
US20070119351A1 (en) 2005-11-30 2007-05-31 Widmer Neil 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 rate of slag formation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a boiler system
KR100768722B1 (en) * 2007-04-19 2007-10-19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Slag removal apparatus used power plant boiler
KR20140113041A (en) * 2013-03-15 2014-09-24 한국전력공사 Boiler having apparatus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le and method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el
JP2014234951A (en) * 2013-06-03 2014-12-15 三浦工業株式会社 Boiler
KR101415816B1 (en) 2014-02-10 2014-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lagging
KR101606011B1 (en) 2015-08-07 2016-03-24 이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clinker and thermal power plant comprising thereof
KR101697716B1 (en) * 2016-04-07 2017-01-19 주식회사 자단 Additive composition for solid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98B1 (en) 2019-02-18
WO2019004648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345C (en)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 rate of slag formation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a boiler system
KR101257201B1 (en) Method for suppressing adhesion of ash and device for suppressing adhesion of ash in boiler
KR101780752B1 (en) A control system of furnance through monitoring of slag layer
WO2009041081A1 (en) Solid-fuel burner, combustion device using solid-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device
CN101379363B (en) Device and boiler with fluid distributor,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948798B1 (en) A slag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fluid storage part for removing slag generated in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EP1304525A1 (en) Waste inci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ncinerator
JP6309709B2 (en) BOILER WITH CORROSION CONTROL DEVICE AND BOILER CORROSION CONTROL METHOD
KR1014158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lagging
JP6256095B2 (en) Scale adhesion determination device
JP4299841B2 (en) Coke dry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RU2738154C2 (en) Method for preliminary heating of fluid medium upstream of furnace
US9279585B2 (en) Cleaning apparatus for a convective section of a thermal power plant
JP4234727B2 (en) In-furnace condition monitoring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furnace
JP2009173938A (en) Coke dry-quenching method
JP2014095485A (en) Boiler with feed water prehe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24035A (en) Bolier with improved water level detecting system
JP2012229896A (en) Combustion appliance
JP4864489B2 (en) Boiler system
CN102537978A (en) Sludge burning control method and sludge burning device
EP2933557B1 (en) Swirling type fluidized bed furnace
US20150292737A1 (en) Supply device for a combustion chamber
JP7093709B2 (en) Incinerator
KR100559699B1 (en) Distributor system for optimum air supply in fluidized bed ash cooler
JP3094846B2 (en) Water supply method to waste heat boiler of fluidized bed waste inci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