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58U - 무인기 - Google Patents

무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58U
KR20190002758U KR2020180001841U KR20180001841U KR20190002758U KR 20190002758 U KR20190002758 U KR 20190002758U KR 2020180001841 U KR2020180001841 U KR 2020180001841U KR 20180001841 U KR20180001841 U KR 20180001841U KR 20190002758 U KR20190002758 U KR 201900027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coupled
support frame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규
우유원
최문현
Original Assignee
이진규
우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규, 우유원 filed Critical 이진규
Priority to KR2020180001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758U/ko
Publication of KR20190002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C2201/024
    • B64C2201/04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인기에 관한 것으로, 중앙으로 전원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를 감싸면서, 본체부의 외측 둘레로 추진체를 포함하며, 추진체는, 본체부 둘레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이 지지 프레임에 결합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인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기{Unmanned aerial vehicle}
본 고안은 무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재체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무인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무인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드론 또는 멀티콥터(multicopter)라고도 하며,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를 일컫는다. 이러한 무인기는 비행체와는 달리 조종사를 위한 공간과 안정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소형 드론과 같은 무인기가 보급되면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 또는 촬영 등 위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취미생활의 도구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시점이다.
통상의 '드론'과 같은 무인기는 비행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와 연결되어 고속 회전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추진체들은 일반적으로 비행체 본체의 최외곽에 다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다른 무인 비행체 및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추진체 모터가 손상될 수 있음은 물론 고속 회전하던 블레이드가 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추진체는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추진체가 손상되어도 전체적인 추진체를 교환해야 하거나, 무인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추진체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무인기의 속도나 출력이 결정될 수 있는데, 모터의 교환이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9954호 (2017.12.20. 공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추진체에 구비되는 모터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모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는, 중앙으로 전원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둘레로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체는,
상기 본체부 둘레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상기 고정 프레임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의 주변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 주변부에는 상기 후크부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체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그 일단으로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며 타단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블레이드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안착한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복수개의 홀딩 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암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기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무인기의 본체에서 모터의 탈, 부착이 용이해짐은 물론 이로 인해 모터의 교체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터 교체가 용이해짐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니즈나, 무인기의 주변 환경에 맞게 무인기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 가능하 사용자 모터의 연결 없이 블레이드가 회전자가 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모터를 추가로 수용할 필요가 없어 무인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개략적인 일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구동부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구동부의 결합을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구동부의 결합 전 상태의 추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하부 방향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구동부의 결합 전 상태의 추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제1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제1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고정 프레임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고정 프레임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홀딩 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홀딩 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개략적인 일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무인기(100)는 본체부(110) 및 추진체(120, 130, 140, 1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진체(120, 130, 140, 150)는 지지 프레임(120), 고정 프레임(130), 구동부(140) 및 블레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무인기(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10)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40)나 제어부 등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가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무인기(100)의 비행을 조정하는 무선 조정기(미도시)와 무선 송수신하며, 후술하는 구동부(140) 및 블레이드(15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50) 및 구동부(140)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120) 및 고정 프레임(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진체(120, 130, 140, 150)는 상기 본체부(110)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진체(120, 130, 140, 150)는 블레이드(150)를 회전시켜 주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직하방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무인기(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120, 130, 140, 15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120, 130, 140, 15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 중 구동부(140)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120, 130, 140, 150) 중 구동부(140)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120, 130, 140, 150) 중 구동부(140)의 결합 전 상태의 추진체(120, 130, 140, 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하부 방향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120, 130, 140, 150) 중 구동부(140)의 결합 전 상태의 추진체(120, 130, 140, 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제1 프레임(121)의 사시도이다. 도 1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제1 프레임(12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고정 프레임(130)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고정 프레임(13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추진체(120, 130, 140, 150)는 지지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30), 구동부(140) 및 블레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본체부(110)의 둘레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중앙부는 본체부(110)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날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중앙부에서 복수개 돌출되어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150), 구동부(140), 고정 프레임(130)을 실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서로 대향하여 두 쌍, 구체적으로 네 개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날개부에는 제1 프레임(121), 제2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121) 및 상기 제2 프레임(122)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 위치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1)은 상기 본체부(110), 구체적으로 중앙부에서 연결되어 날개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122)과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121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121a)는 상기 제1 프레임(121)의 내측면에서 4개씩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게 두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결합력을 위해 내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그 개수 등에는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22)은 상기 제1 프레임(121)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2 프레임(122)이 상기 제1 프레임(12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외측 주변부에는 상기 후크부(121a)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122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121a)와 상기 걸림 고리(122a)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2 프레임(122)은 상기 제1 프레임(121)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으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서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22)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을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안착부(12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2b)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는 상기 구동부(140) 및 블레이드(150)가 체결되는 체결부(131)가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131) 사이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된 체결부(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부(131)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부(14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31)의 일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50)가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31)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홀딩 암(143)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40)를 상기 체결부(131)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안착부(122b)에 안착되고, 상기 제2 프레임(122)이 상기 제1 프레임(121)에 고정될 때, 예컨대 상기 제2 프레임(122)의 걸림 고리(122a)가 상기 제1 프레임(121)의 후크부(121a)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에 실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제1 프레임(121)이나 상기 제2 프레임(122)의 분리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실장되는 상기 구동부(140) 및 상기 블레이드(150)도 상기 제1 프레임(121)이나 상기 제2 프레임(122)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체결되는 상기 구동부(140)의 용량이나 상기 블레이드(150)의 크기를 얼마든지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무인기(100),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30)이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 모터 하우징(141) 및 홀딩 암(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모터 하우징(141)에 안착될 수 있고, 그 일단으로 회전축(145)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150)가 회전 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블레이드(150)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41)에는 상기 모터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상기 체결부(13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일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50)가 배치될 수 있고, 타단에는 홀딩 암(14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암(143)은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실장되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하우징(141)을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암(143)은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복수개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암(143)은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홀딩 암(143)은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하우징(141)을 지지할 수 있다면 그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홀딩 암(143)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2)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22)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결합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딩 암(143)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12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걸림 고리(143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저면에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143a)가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걸림 홀(12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 암(143)은 세 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 고리(143a)도 상기 홀딩 암(14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세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개의 각각의 걸림 고리(143a)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저면에는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세 개의 상기 걸림 홀(122a)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 고리(143a)는 상기 걸림 홀(122a)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 고리(143a)와 걸림ㅁ 홈(122a)의 결합 고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걸림 고리(143a)의 단부가 소정 절곡되어 상기 걸림 홀(122a)에 안착되어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것과 같이 그 형태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나, 상기 홀딩 암(143)을 상기 제2 프레임(122)에 고정하기 위한 형태라면 상기 걸림 고리 및 걸림 홈의 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15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145)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무인기(10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50)는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에서, 추진체 중 홀딩 암(24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기(100)에서, 추진체 중 홀딩 암(24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 암(243)은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22)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프레임(122)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홀딩 암(24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 암(24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 하우징(141)을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홀딩 암(243)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딩 암(243)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2)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22)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결합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홀딩 암(143)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120)이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243s)과 걸림 고리(243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고리(243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체결 고리(122c)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 암(143)은 세 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243s) 및 상기 걸림 고리(243a)도 상기 홀딩 암(24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세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개의 각각의 걸림 고리(243a)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저면에는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세 개의 상기 체결 고리(122c)가 상기 걸림 고리(243a)에 대응되는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무인기(100)의 분해, 결합에 따른 조립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무인기(100)의 결합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사방에는 각각의 날개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체결부(131)의 하면을 통해 상기 모터 하우징(141)을 인입시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41)의 하면에 결합된 세 개의 상기 홀딩 암(143)이 상기 지지 프레임(120) 측으로 'V'자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가 체결된 상태의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30)을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안착부(122b)에 안착시킨 후, 상기 제1 프레임(121)의 하면에서 상기 제2 프레임(122)을 결합시키면, 상기 제2 프레임(122)의 걸림 고리(122a)에 상기 제1 프레임(121)의 후크부(121a)가 걸리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을 안착하면서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 암(143)의 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22c)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 암(143)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분리만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결합된 상기 모터 및 모터 하우징(141)도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서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결합 또는 분리 만으로 상기 구동부(140)를 분리 또는 결합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모터의 용량을 간단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무인기 110: 본체부
120: 지지 프레임 121: 제1 프레임
121a: 후크부 122: 제2 프레임
122a: 걸림 고리 122b: 안착부
122c: 걸림부 130: 고정 프레임
131: 체결부 140: 구동부
141: 모터 하우징 142: 홀딩 암
142a: 걸림 고리 145: 회전축
150: 블레이드

Claims (7)

  1. 중앙으로 전원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 둘레로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체는,
    상기 본체부 둘레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무인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상기 고정 프레임이 고정 결합되는 무인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의 주변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 주변부에는 상기 후크부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가 구비되는 무인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무인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체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그 일단으로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며 타단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결되는 무인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블레이드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안착한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복수개의 홀딩 암들을 포함하는 무인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암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고정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무인기.
KR2020180001841U 2018-04-26 2018-04-26 무인기 KR201900027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41U KR20190002758U (ko) 2018-04-26 2018-04-26 무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41U KR20190002758U (ko) 2018-04-26 2018-04-26 무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58U true KR20190002758U (ko) 2019-11-05

Family

ID=6853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41U KR20190002758U (ko) 2018-04-26 2018-04-26 무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7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8862A1 (en) * 2021-02-12 2022-08-18 Aerbots, Inc. Drones & Drone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954A (ko) 2016-06-10 2017-1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드론용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954A (ko) 2016-06-10 2017-1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드론용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8862A1 (en) * 2021-02-12 2022-08-18 Aerbots, Inc. Drones & Drone Systems
US11661192B2 (en) * 2021-02-12 2023-05-30 Aerbots, Inc. Drones and drone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8263B1 (en) Unmanned flying device
JP6296369B2 (ja) 風案内部を備える無人航空機
US1097482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ropeller protection and high impact-survivability
CN110217384B (zh) 用于旋翼飞行器的推进系统
EP3483064B1 (en) Tilting proprotor with segmented duct
EP3797070B1 (en) Folding concentrically mounted propeller blades for drag reduction
US8328130B2 (en)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airframe structure
US9994305B1 (en) Coaxial drive propulsion system for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272779B2 (en) Aircraft with pivoting rotor mast
US20160272316A1 (en) Multicopter with Detachable Wing
TWI742057B (zh) 飛行器機翼移位裝置
EP3345831B1 (en)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EP3841354B1 (en) Electromagnetic gyroscopic stabilizing propuls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90193848A1 (en) Manned and unmanned aircraft
JP6878555B2 (ja) 旋回する回転翼及び収容される回転翼羽根を有する空気力学的に効率の良い軽量の垂直離着陸航空機
CN102910285B (zh) 一种旋翼飞行器
US9840323B1 (en) Drone aircraft
US10577112B2 (en) Emergency ejection seat with propulsion system
WO2018172754A1 (en) Folding propeller
GB2538827A (en) Aerial vehicle with fender cage rotatable about two perpendicular axis
CN112638766A (zh) 飞行器
CN110844069A (zh) 一种微小型可折叠轮状飞行器
KR20190002758U (ko) 무인기
CN210416958U (zh) 螺旋桨、动力套装及无人飞行器
CN212149286U (zh) 无人驾驶飞行器及其螺旋桨驱动单元以及电动机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