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71U -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 Google Patents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71U
KR20190002571U KR2020180001494U KR20180001494U KR20190002571U KR 20190002571 U KR20190002571 U KR 20190002571U KR 2020180001494 U KR2020180001494 U KR 2020180001494U KR 20180001494 U KR20180001494 U KR 20180001494U KR 20190002571 U KR20190002571 U KR 20190002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ticker
nfc tag
smartpho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창식
Original Assignee
엄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창식 filed Critical 엄창식
Priority to KR2020180001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71U/ko
Publication of KR2019000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being a layer of adhesive, so that the record carrier can function as a stic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로, 스마트폰으로 스티커를 스캔하거나 접촉을 할 때, 스마트폰에 마련되어 있는 연락처 DB에, 자료 저장용 스티커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가 저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한 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용지에 qr코드와 nfc태그를 함께 제공하되 동일 면이 아니고 전 후면에 각기 제공하여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접촉할 때 스마트폰에 qr코드와 nfc태그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가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이 스티커는 가급적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2개의 저장 방법이 함께 마련되므로 고객의 스마트폰에 1개의 앱 만 설치되어 있어도 nfc태그 혹은 qr코드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 도를 높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commonable sticker of nfc tags and qr code}
본 고안은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로 스마트폰으로 스티커를 스캔하거나 접촉을 할 때, 스마트폰에 마련되어 있는 연락처 DB에, 스티커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가 저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 물질이 용지의 한 면에 도포되고, 그 용지에 qr코드와 nfc태그가 제공되는데 접착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용지의 한 면 일부에 qr코드가 인쇄되어 전면이 되고, 접착 물질이 도포된 다른 한 면에는 nfc태그를 부착 고정하여 후면으로 하는데, nfc태그를 qr코드가 인쇄된 위치 바로 뒷면에 부착 고정하게 된다.
이렇케 마련된 스티커의 후면을 특정 물체에 접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특정 물체에 부착된 스티커 전면에 인쇄된 QR코드에 스마트폰으로 스캔하거나 nfc태그가 후면에 제공되어 있지만 qr코드에 스마트폰을 접촉해도 스마트폰에 마련되어 있는 연락처DB에 qr코드와 nfc에 입력된 자료가 저장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에 접착성이 있는 스티커 용지에 nfc태그와 qr코드가 각각 따로 제공되어 스마트폰에 자료를 저장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nfc태그나 qr코드 앱 사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은 사용을 못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nfc태그와 qr코드를 같은 면에 함께 제공하면 사용을 할 가능성은 높아지나 같은 면에 두 가지를 제공하게 되면 스티커 크기가 커지게 되어 가급적 작게 스티커를 만들고자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로 스마트폰으로 스티커에 제공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접촉할 때 qr코드나 nfc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를 스마트폰의 DB에 저장해야 되는데 한 면이 접착성이 있는 스틱커 용지에 qr코드와 nfc태그를 함께 부착하되 가급적 작은 스티커를 만드는 것이다.
본 고안은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로 한 면이 접착성이 있는 용지에 qr코드와 nfc태그를 함께 제공하되 동일 면이 아니고 전 후면에 제공하므로 가급적 작은 스티커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로 qr코드와 nfc태그가 각각 스티커용지 전 후면에 제공되므로 제작 시, 가급적 작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2개의 저장 방법이 함께 마련되므로 스마트폰에 1개의 앱 만 설치되어 있어도 nfc태그 혹은 qr코드에 입력되어 있는 자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면에 제공된 QR코드에 스마트폰으로 스캔하거나 nfc태그가 후면에 제공되어 있지만, 전면에 제공된 qr코드에 스마트폰을 접촉해도 nfc태그를 접촉 한것이 되어 스마트폰에 마련되어 있는 연락처DB에 스티커 코드에 입력된 자료가 저장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 도를 높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티커 구조 사시도
접착 물질이 용지의 한 면에 도포되고, 그 용지(60)에 자료가 입력된 qr코드(10)와 nfc태그(20)가 제공되는데, 접착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용지의 한 면 일부에 qr코드(10)가 인쇄되어 전면(30)이 되고, 접착 물질이 도포된 다른 한 면에는 nfc태그(20)를 부착 고정하여 후면(40)으로 하는데, nfc태그(20)를 qr코드(10)가 인쇄된 위치 바로 후면(40)에 부착 고정하게 된다.
nfc태그(20)를 부착 고정한 후 nfc태그(20) 위에 접착물질을 도포하거나,아니면 접착물질이 도포된 빈 여백(50) 있게 되는데 여기를 사용하여 특정 물체에 스티커를 부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재질을 용지(60)로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모양도 직사각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재질과 모양이 가능한 것이다.
10 : QR코드
20 : NFC태그
30 : 전면
40 : 후면
50 : 여백
60 : 용지

Claims (1)

  1. 용지의 전면에 qr코드가 인쇄되고 접착물질이 도포된 후면에 nfc태그가 제공되어 부착 고정되며, 후면의 접착 물질로 특정 물체에 부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
KR2020180001494U 2018-04-04 2018-04-04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KR20190002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94U KR20190002571U (ko) 2018-04-04 2018-04-04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94U KR20190002571U (ko) 2018-04-04 2018-04-04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71U true KR20190002571U (ko) 2019-10-15

Family

ID=681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94U KR20190002571U (ko) 2018-04-04 2018-04-04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77B1 (ko) * 2020-11-30 2022-04-05 김수연 전자 명함 정보를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77B1 (ko) * 2020-11-30 2022-04-05 김수연 전자 명함 정보를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654B2 (en) Key tag
USD842290S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se
EP2871781A3 (en) System for configuring indicia readers using NFC technology
MY174299A (en) Container with a data matrix disposed thereon
KR20190002571U (ko) nfc태그와 qr코드 공용 스티커
US20150000146A1 (en) Identification structure for a patchwork ruler
USD852536S1 (en) Gun sighting rest
US20190041603A1 (en) Selfie Mirror For Smartphones
USD930596S1 (en) Power cord cover
KR200480006Y1 (ko)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뱃지
KR20170004178U (ko) 스마트폰 낙하방지용 고무반지 스티커
US20210090473A1 (en) Smart swatch apparatus and systems
BR112019004659A2 (pt) instruções para carregamento mecânico do rotulador manual
KR200475848Y1 (ko) 포스트잇 유형의 메모 견출지
KR20180002676U (ko) 스마트폰의 한손 유지장치
JP5918430B1 (ja) 画板
US20210137218A1 (en) Footwear Identification Assembly
JP3203173U (ja) 簡易うちわ兼用の台紙付きクリップ
KR200449889Y1 (ko) 수납기능을 가지는 펜홀더
JP1752827S (ja) カード保持具
KR20170002499U (ko) 스티커 자
JP1729305S (ja) 無線タグリーダライタ
KR20140090371A (ko) 메모지겸용 붙임 쪽지형 명함 세트
JP2015104814A (ja) 筆記具
CN108962295A (zh) 方便拿取的光盘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