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09A -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09A
KR20190002409A KR1020180172527A KR20180172527A KR20190002409A KR 20190002409 A KR20190002409 A KR 20190002409A KR 1020180172527 A KR1020180172527 A KR 1020180172527A KR 20180172527 A KR20180172527 A KR 20180172527A KR 20190002409 A KR20190002409 A KR 2019000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withdrawal
user
telephone number
account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재
김경태
김남규
김성
김수년
배수현
윤경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409A/ko
Publication of KR2019000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09A/ko
Priority to KR1020210082315A priority patent/KR20210081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 현금의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및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또는 단체의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계좌 번호 또는 모바일 결제를 통하여 각종 회비, 경조사 부조금, 불우이웃 돕기, 종교 후원금 등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통하여 상대방 또는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상대방 또는 단체에 대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POSIT/PAYM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력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의 현금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및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또는 단체의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계좌 번호 또는 모바일 결제를 통하여 각종 회비, 경조사 부조금, 불우이웃 돕기, 종교 후원금 등을 입출금하는데 적합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소형 또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른 사람들과의 통화 및 메시지를 발송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 위치 검색, 식당, 극장, 병원 예약 및 카드 결제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특히, 금융기관(예컨대, 은행, 증권사)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금 조회 및 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금융기관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체가 필요한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 해당 계좌로 예금 이체를 수행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16177호, 2001년 03월 05일 공개 (명칭: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계좌 이체 방식에 있어서는,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의 금융기관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상대방에서 연락하여 계좌번호를 직접 전달 받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 현금을 입출금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의 전화번호로 현금의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 현금의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및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또는 단체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연계된 계좌 번호 또는 모바일 결제를 통하여 각종 회비, 경조사 부조금, 불우이웃 돕기, 종교 후원금 등을 입출금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연동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구동하고, 상기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전화번호와 연동된 계좌 번호로 일정 금액을 입출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계좌를 연동하고, 출금 서비스 모드에서 출금할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전화번호 사용자 정보 및 등록된 입금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금 목록으로 일정 금액의 출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출금을 수행하는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는,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1회용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연동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구동하고, 상기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전화번호와 연동된 계좌 번호로 일정 금액을 입출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계좌를 연동하고, 입금 서비스 모드에서 입력된 명령으로 입금 받을 입금 목록을 등록하고, 상기 전화번호로 입금된 내역을 메시지로 수신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는,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1회용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접속된 각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 계좌 번호를 각각 연동하는 계좌 연동 관리부와,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입출금을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와,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 내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와 접속을 수행하여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입금 목록을 등록하고, 출금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입금 목록을 제공하는 입금 서비스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장치는, 상기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경우, 상기 계좌번호와 연동할 수 있는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1회용 번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 수행부는, 상기 출금할 사용자 단말기에서 모바일 결제를 통해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일정 금액에 대한 선입금, 포인트,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은,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과정과,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연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전화번호로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계좌를 연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출금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어 출금할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전화번호 사용자 정보 및 등록된 입금 목록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입금 목록으로 일정 금액의 출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출금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1회용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은,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과정과, 입출금 서비스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연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전화번호로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접속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계좌를 연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입금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어 입력된 명령으로 입금 목록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로 입금된 내역을 메시지로 수신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을 토대로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1회용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과, 접속된 각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 계좌 번호를 각각 연동하는 과정과,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 내 입출금 어플리케이션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을 수행하여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입금 목록을 등록하는 과정과, 출금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입금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입출금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 방법은,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경우, 상기 계좌번호와 연동할 수 있는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금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출금할 사용자 단말기에서 모바일 결제를 통해 상기 입금 받을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일정 금액에 대한 선입금, 포인트,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통하여 상대방 또는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상대방 또는 단체에 대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전달해 주지 못한 경조사비나 종교 및 정치 후원금, 불우이웃 돕기 등에 일정 금액을 지불할 수 있으며, 입금을 받을 수 있는 상대방 및 단체에서는 자신의 전화번호에 계좌번호를 연동해 둠으로써, 입금을 수행할 사용자들에게 일일이 계좌번호를 가르쳐 주지 않아도 되므로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 현금의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및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또는 단체의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계좌 번호 또는 모바일 결제를 통하여 각종 회비, 경조사 부조금, 불우이웃 돕기, 종교 후원금 등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 유무선 통신망(130),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 및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는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접속할 수 있으며,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입출금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다른 상대방과 일정금액에 대한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PMP, PDA, 노트북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기기와, 집 또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속 여부를 승인하고,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로부터의 요청 시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연동하여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와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 간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입출금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데이터 보안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보안 기술로는 블록암호화(예컨대, (HIGHT:HIGh security and light weigHT), SEED 등), 비대칭 암호화, 권한통제기술(예컨대, TCSEC: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등)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다양한 보안 기술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 전화번호와 해당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연동한 후,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입금을 요청한 경우,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연동하여 입금 요청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계좌번호로 입금 요청된 금액을 전송하며, 해당 전화번호 및 입금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로 입금 내역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는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연동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제공하고,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의 입출금 요청에 따라 각 사용자 간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200), 입력부(202), 송수신부(204), 메모리부(206),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 디스플레이부(210), 스피커부(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각 기능블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구동하고, 송수신부(204)를 통해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접속하여 입출금 서비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02)는 사용자가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명령신호로서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송수신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을 수행하고,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206)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운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0)의 요청에 의해 운용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206)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 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에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포함 할 수 있다.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로서,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연동하여 사용자 전화번호와 계좌를 연동하고 해당 사용자 전화번호로 입금 받기 위한 입금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전화번호를 상대방한테 공개하기 싫은 경우에는 1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전화번호와 연동시킴으로써, 입출금 시에만 이용할 수 있는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입금 서비스 모드 및 출금 서비스 모드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입금 서비스 모드를 통해 입금 받을 입금 목록 생성할 수 있고, 출금 서비스 모드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를 이용한 출금 가능여부를 확인한 후, 출금 방식의 선택을 통해 사용자 인증 및 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별도로 삽입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입출 및 출금 서비스 모드 정보, 결제 수행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부(212)는 제어부(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및 입출금 수행에 따라 전달된 음성 또는 소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금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는 인터페이스부(300), 사용자 인증부(302),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304), 1회용 번호 생성부(306), 계좌 연동 관리부(308), 입금 서비스 생성부(310), 결제 수행부(3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300)는 유무선 통신망(13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110, 120)들과 접속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각 기능 블록과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02)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구동하여 입출금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04)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 방식은 비밀번호 입력 요청, 공인 인증서 방식 및 사용자 단말기로 기 부여한 난수 생성기(OTP) 카드 및 기기의 번호 입력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계좌 입출금 시에는 금융 기관 서비스 장치(150)에서 별도로 수행하거나, 금융 기관 서비스 장치(150)에서의 사용자 인증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1회용 번호 생성부(306)는 입출금 시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경우, 1회용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기 설정된 자리수의 번호로서, 일반 전화 번호와 동일한 형식일 수 있다.
이에 생성된 1회용 번호는 통신사에 연동된 경우, 해당 1회용 번호로 특정 사용자 단말기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 방식에 따라 입출금 횟수, 등록 기간 등을 설정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연동 및 연동 해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1회용 번호는 상대방에게 현금을 입금 받아야 하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 및 계좌번호를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 혹은 불우이웃 돕기 같이 불특정 다수한테 전화번호가 알려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계좌 연동 관리부(308)는 금융 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연동하여 특정 사용자의 전화 번호와 계좌번호를 연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010-1234-5689 = oo은행 123-24-5678-890"과 같이 연동할 수 있다. 이에 특정 사용자가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구동하여 특정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번호의 사용자 정보 및 계좌 연동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입금 서비스 생성부(310)는 특정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부(208)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입금을 요청할 입급 목록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해당 전화번호로 입금 가능한 분야 또는 목록 등을 게시하는 것이다. 즉, 결혼 축의금, 부의금, 돌잔치, 종교 후원금, 불우이웃돕기 등을 다양하게 게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등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 축의금(홍길동이 O월O일 OO예식장에서 결혼합니다.), 종교 후원금(OO 교회 십일조, OO절 시주), 정치 후원금(000 의원, 00당), 불우이웃돕기(구세군 OO지부, 월드비전) 등과 같이 사용자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한 다양한 입금 서비스의 게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좌 연동 관리부(308) 및 입금 서비스 생성부(310)를 통해 특정 사용자는 출금할 상대방에 대한 전화번호를 토대로 계좌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설정한 입금 목록을 확인한 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일정 금액을 상대방에게 이체할 수 있다.
결제 수행부(312)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입금 및 출금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연동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와 연계된 계좌에서 상대방 전화번호와 연계된 계좌로 요청된 금액을 이체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가 계좌와 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연동된 계좌에 이체할 금액이 모자른 경우, 또는 계좌 연동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는 상대방의 계좌로 일정 금액을 입금하는 경우, 계좌에서 계좌로 이체되는 것이 아닌,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서 특정 금액을 이체한 후, 추후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이다. 즉, 신용 대출, 선입금 후청구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현금이 아닌, 상품권, 포인트 등을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상대방에게 현금이 아닌, 상품권, 포인트가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경우에는 상대방의 요청에 의해 현금으로의 전환 및 서비스 이용요금 결제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제 수행부(312)는 입출금 수행 시 상태 정보, 완료 정보, 모바일 결제 정보 등을 문자메시지로 특정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입출금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110)가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통해 입금 목록을 등록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2 사용자 단말기(110)로 일정 금액의 출금을 수행하는 동작 절차로서, 400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10) 사용자는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402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가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와 접속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처음 접속 시 서비스 사용을 위해 계좌 연동 관리부(308)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전화 번호와 계좌 번호를 연동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계좌 외 모바일 결제의 사용여부를 신청할 수 있다.
이후 404단계에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출금 서비스 모드의 사용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가 출금 서비스의 사용을 선택한 경우, 406단계에서 출금 서비스 모드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출금할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410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와 연동된 계좌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전화번호가 잘못 입력되거나, 계좌가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412단계에서 전화번호의 재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다만, 410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와 연동된 계좌 정보가 확인된 경우에는 414단계에서 출금 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대방이 기 등록한 입금 목록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를 통해 확인한 경우, 416단계에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출금 방식의 선택을 요청하게 된다. 즉, 계좌를 이용한 현금 출금, 모바일 결제를 선금 지급, 포인트, 상품권 등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418단계에서는 출금 관련 정보(예컨대, 금액, 상대방에게 보낼 문자메시지, 자신의 계좌 내역 또는 문자 메시지로 보낼 내용 등) 등을 기재할 수 있으며, 기재가 완료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100)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150)와 연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출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출금이 완료된 경우에는 422단계로 진행하여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100)로 출금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및 입금 받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입금 내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404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110) 사용자가 입금 서비스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424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110)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에서는 입금 서비스 모드를 구동하고, 426단계에서 입금 받을 입금 목록을 등록(예컨대, 결혼, 돌, 후원금 등)하게 된다. 그리고 428단계에서는 등록된 입금 목록에 세부적인 입금 요청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입력된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후, 430단계에서는 사용자의 계좌번호와 연계된 사용자 번호의 공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기존 지인들이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번호를 제공할 경우에는 43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를 통해 1회용 번호의 생성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208)는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의 1회용 번호 생성부(306)를 통해 1회용 전화 번호를 생성하고, 434단계에서 해당 1회용 번호와 연계하여 입금 목록을 입출금 서비스 장치(140)에 등록시키게 된다.
이후 436단계에서 특정 사용자로부터 입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438단계에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통해 입금한 보낸 사람 및 입금 금액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또는 단체와 현금의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및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또는 단체의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계좌 번호 또는 모바일 결제를 통하여 각종 회비, 경조사 부조금, 불우이웃 돕기, 종교 후원금 등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현금 입출금 서비스를 통하여 상대방 또는 단체의 계좌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상대방 또는 단체에 대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입출금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전달해 주지 못한 경조사비나 종교 및 정치 후원금, 불우이웃 돕기 등에 일정 금액을 지불할 수 있으며, 입금을 받을 수 있는 상대방 및 단체에서는 자신의 전화번호에 계좌번호를 연동해 둠으로써, 입금을 수행할 사용자들로부터 전화번호를 통해 일정 금액을 입금 받기 위한 것에 적합하다.
100, 110, 120 : 사용자 단말 130 : 유무선 통신망
140 : 입출금 서비스 장치 150 : 금융기관 서비스 장치
200 : 제어부 202 : 입력부
204 : 송수신부 206 : 메모리부
208 : 입출금 어플리케이션부 210 : 디스플레이부
212 : 스피커부 300 : 인터페이스부
302 : 사용자 인증부 304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306 : 1회용 번호 생성부 308 : 계좌 연동 관리부
310 : 입금 서비스 생성부 312 : 결제 수행부

Claims (4)

  1.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금 서비스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출금할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번호가 확인되면, 상기 계좌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에 의해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입금 목록을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계좌번호로 출금을 수행하기 위한 출금 방식 및 출금 관련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계좌 번호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 번호로 출금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계좌 번호에 예치된 금액이 부족할 경우, 모바일 결제를 통해 출금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상기 모바일 결제는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 번호로 입금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입금한 비용을 청구하는 결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 서비스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되면, 출금 서비스 모드의 사용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금 서비스 모드의 실행 요청이 확인됨에 따라 출금 서비스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계좌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전화번호의 재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더 실행시키기 위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계좌 번호에서 상기 출금 방식에 해당하는 출금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72527A 2018-12-28 2018-12-28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90002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27A KR20190002409A (ko) 2018-12-28 2018-12-28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82315A KR20210081319A (ko) 2018-12-28 2021-06-24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27A KR20190002409A (ko) 2018-12-28 2018-12-28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32A Division KR20160119433A (ko) 2016-09-30 2016-09-30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15A Division KR20210081319A (ko) 2018-12-28 2021-06-24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09A true KR20190002409A (ko) 2019-01-08

Family

ID=650211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27A KR20190002409A (ko) 2018-12-28 2018-12-28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082315A KR20210081319A (ko) 2018-12-28 2021-06-24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15A KR20210081319A (ko) 2018-12-28 2021-06-24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024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3717A1 (en) * 2018-07-17 2021-05-06 Glory Ltd. Cash handling system and cash hand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013B1 (ko) 2000-11-20 2002-10-11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3717A1 (en) * 2018-07-17 2021-05-06 Glory Ltd. Cash handling system and cash handling method
US11694177B2 (en) * 2018-07-17 2023-07-04 Glory Ltd. Cash handling system and cash handl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319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 processing to link user accounts
JP5144514B2 (ja) モバイル口座管理
US943283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ount creation using a feature phone
US20090281948A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ulti-part alias identifier
US20220351185A1 (en) Automatic data pull requests using a secure communication link between online resources
CN104718555A (zh) 自鉴证对等交易
CN101647040A (zh) 使用别名的移动支付系统和方法
KR20160054033A (ko) 모바일 송금/결제
US20120215694A1 (en) Method for the quasi real-time preparation and consecutive execution of a financial transaction
CN110494878A (zh) 通过电信运营商经由电话号码的数字财产汇款
US20170068937A1 (en) Mobile payment method and system
EP2056246A1 (en) Electronic payments using payment cards
KR101138938B1 (ko) 무선 단말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금융서비스 서버
KR20190002409A (ko)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30232084A1 (en) Mobile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11612465A (zh) 支付系统、收款和付款方法、匿名付客户端和服务器
KR20120080405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
US11010733B2 (en)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for monetary transfers through a displayable contact list
US20180096320A1 (en) Account top-up feature to interface with a vendo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KR20160119433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출금 방법, 입출금 장치
KR20140003270A (ko) Sns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은행업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30012315A (ko) 전화 인증을 통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98972B1 (ko) 온라인 그룹 이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50062A (ja) 現金自動振込システム
NL2020534B1 (en) Mobile payment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