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10A - Mountain climbing stick - Google Patents

Mountain climbing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10A
KR20190002310A KR1020180068106A KR20180068106A KR20190002310A KR 20190002310 A KR20190002310 A KR 20190002310A KR 1020180068106 A KR1020180068106 A KR 1020180068106A KR 20180068106 A KR20180068106 A KR 20180068106A KR 20190002310 A KR20190002310 A KR 20190002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adjusting
fixing
ba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379B1 (en
Inventor
강혜근
유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유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유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Publication of KR2019000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stick comprising: a first pole; a second pole retractabl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ole; and a length adjustment part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pole to adjust ejection/retraction of the second pole. The length adjustment part comprises: a guide member mounted on a lower end part of the first pole and having a coupling hole radially formed thereon; a fixing ball mounted in any one moun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outside the guide member and moved between a fixing position for mounting the fixing ball in any one mounting groove and an adjustment position for separating the fixing ball from the mounting groove; and a spring returning the adjustment member from the adjustment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Accordingly, the climbing stick moves the adjustment member to the adjustment position to adjust an ejection/retraction degree of the second pole, thereby facilitating length adjustment and improving stability by strongly maintaining the adjusted length.

Description

등산용 스틱{MOUNTAIN CLIMBING STICK}Mountain climbing stick {MOUNTAIN CLIMBING STICK}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절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mbing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mbing stick which can be used in a stable manner while maintaining a fixed length.

일반적으로 등산용 스틱은 등산 시 사용자의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스틱의 길이가 성인용과 유아용으로만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 신체에 맞지 않는 스틱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mountain climbing sticks are used to support or balance the user's body weight during climbing. At this time, since the length of the stick is limited to adults and infan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tick which does not fit the user's body can not be us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537호에는 등산용 스틱이 공개된 바 있으며, 이는 제1 및 제2 폴대 사이에 설치된 작동부의 돌출부가 폴대의 고정홈에 결합되면서 폴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37537 discloses a stick for mountain climbing, in which a protrusion of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les is coupled to a fixing groove of a pol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447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가 공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부폴대 내부로 출몰되는 하부폴대의 길이를 조절한 후, 길이조절링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스토퍼 핀이 하부폴대의 걸림홈에 결합되면서 폴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50447 discloses a walking aiding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a lower pole. The length of the lower pole is controlled by moving the length adjusting ring downward, The length of the pole can be adjusted by connecting the pin to the latching groove of the lower pole.

그러나 선 공개된 발명들은 지속적이 하중이 가해지면, 홈에 결합되는 돌출부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어 조절된 길이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ventions disclosed in the prior art have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tinuous load is applied, deformation of the projections coupled to the grooves may occur, so that the adjusted length is not maintained.

또한 하산 등과 같은 사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돌출부가 홈에서 분리되면서 조절된 길이가 유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중심을 잃으면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oad of the user such as a driver is concentrated, the protrude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and the adjusted length is not maintained. As a result, the user is lost in the center and a safety accident occurs.

(특허문헌 000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537호(2014.12.03 공개)(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37537 (published on Dec. 13, 2014)

(특허문헌 000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447호(2016.12.30 공개)(Patent Document 000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50447 (published on December 30, 2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지속적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조절된 길이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mbing stick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of a stick more easily and maintaining a fixed length when a continuous load is applied The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일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결합공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안내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안내부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볼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2 폴대의 출몰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pole, a second pole protruding and retracted inside the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fixed to the first pole, And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and the length adjuster, the length adjuster being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first pol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radially through the guide member; A fixed ball that is seated in any one of the seat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guide member and moves to a fixed position where the fixed ball is seated in the one of the seating grooves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adjusting member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wherein the adjusting member is moved to the adjusting position to control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이때,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 폴대의 수용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폴대의 수용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된 제2 안내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폴대가 상기 제1 폴대 내부로 출몰되도록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2 안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이 상기 제2 폴대와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may be formed of a first guide portion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to receive the first pole,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ed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to receive the second pole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pole is projected into the first pole and the engag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adjusting member.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 안내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면과 상기 제2 안내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가압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위치에서 조절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안내면과 상기 제2 안내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고정볼이 상기 결합공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이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guid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at a fixed position and a pressing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When the guide member is moved from the fixed position to the adjustment position, And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o that the fixing ball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ap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member to prevent the spring from coming off.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 측에 고정되는 제1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로 형성되는 폴대부와,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을 따라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wl, comprising: a grip portion; a first pole fixed to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a pole formed of a second pole protruding and retracted inside the first pole And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wherein the length adjuster comprises: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first pole disposed outside; A sea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fixing member mounted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ole disposed outside; A fixed ball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moved to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adjusting member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상기 조절부재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면;과 조절위치에서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도록 요입되어 이탈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면;과 상기 스프링의 일 단과 접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mber includes a pressing surface that presses the fixing ball in the fixing position so as to be sea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 recessed surface that is recessed to separate the fixing ball from the mounting groove in the adjusting position, And a fixing protrusion contacting on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 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that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ole and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the protrusion being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And the spr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고정볼과 맞닿는 테두리 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with a flat surface by cutting a rim portion contacting the fixing ball.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폴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1 이탈방지홈에 안착되는 제1 이탈방지링과 출몰되는 제2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2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링에 걸림되는 제2 이탈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a second departure preventing ring which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which protrudes and retracts;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ring that is se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ring.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출몰되는 방향의 일 단에 형성되는 유격방지홈과 상기 유격방지홈에 안착되는 유격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lay preventing portion formed of a play preventing groove formed at one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le is protruded and retracted and a play preventing ring seated in the play preventing groove.

폴대부는 상기 제2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3 폴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3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 길이조절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을 따라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po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ole protruding and retract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pole. The length adjuster includes a first length adjuster for controll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a second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And a length adjus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pole portions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sea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said second and third pole pieces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fixing member mounted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fixing ball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moved to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adjusting member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that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disposed on the outer side and guides movement of the regulating member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that extend from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고정볼과 맞닿는 테두리 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with a flat surface by cutting a rim portion contacting the fixing ball.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출몰되는 방향의 일 단에 형성되는 유격방지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1 이탈방지홈에 안착되는 제1 이탈방지링과,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2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링과 걸림되는 제2 이탈방지링으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홈과 상기 유격방지홈에 안착되는 유격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deviation preventing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learance preventing formed at one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pole pieces are projected and retracte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to be protruded and retracte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engaged with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ring, The release preventing ring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portion that is formed as a release preventing ring, and a play preventing portion formed of a groove and a play preventing ring that is seated in the play preventing groove.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폴대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폴대는 상기 제1,2 폴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ole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hav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은 조절부재를 고정위치와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결합공에 안착되는 고정볼의 이탈에 의해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볼을 조절부재의 가압면으로 가압하여 고정볼이 임의로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절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climbing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by moving the adjusting member to the fixing position and the adjusting position and thereby releasing the fixing ball that is seated on the fitting hole. Further, the fixing ball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to prevent the fixing ball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fitting hole, thereby firmly maintaining the adjusted length and using it in a stable manner,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또한 안착홈은 고정볼과 맞닿는 테두리 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되므로써, 반복적 사용에 따른 테두리 부분의 마찰에 따른 버(burr) 형성을 방지하고, 고정볼이 안착홈에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abuts against the fixing ball is cut to form a flat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urr formation due to rubbing of the edge portion due to repeated use and prevent the fixing ball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이때 폴대와 폴대 사이에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폴대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격방지부가 형성되어 폴대와 폴대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구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At this time, a departure preven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pole and the pole to prevent the pole part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play preventing part is formed to improv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pole and the pole, thereby maximizing durability and stability.

또한 제2 길이조절부의 고정부재만을 가압하여 폴대부의 길이를 원모션으로 스틱의 줄일 수 있도록하고, 파지부와 제3 폴대가 결합 고정되도록 하여 임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다 작은 사이즈로 휴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only the fixing member of the second length adjuster is pressed so that the length of the pole claw portion can be reduced by one motion, and the grip portion and the third pole are engaged and fixed to prevent it from being stretched.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폴대부의 길이 조절 구조를 간소화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the length adjusting structure of the pol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ified to reduce the number of required parts,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e manufacturing cost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Ⅲ-Ⅲ 방향의 길이조절부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XⅠ- XⅠ방향의 길이조절부의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의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
도 16은 도 10의 안착홈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길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c)에 제1,2 결합부의 결합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aineering stick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 the III-III direction in Fig.
Figs. 4 to 7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 3.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aineering sti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XI-XI in Fig.
Figs. 12 to 15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 11. Fig.
1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seating groove of Fig. 10; Fig.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ick for mountain climb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in FIG. 17 (c).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본 출원의 우선권주장의 기초가 되는 출원의 최초로 첨부된 명세서 또는 기재된 발명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요소의 명칭 및 부호를 일부 수정하였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ally modified with the name of the component and the reference numerals thereof for the convenience of conveni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priority claim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의 Ⅲ-Ⅲ 방향의 길이조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1, Fig. 3 is a cross- 7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00)은 제1 폴대(11)와, 상기 제1 폴대(11)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12)와, 상기 제1 폴대(11) 일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폴대(12)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20)는 상기 제1 폴대(1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결합공(21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재(21), 상기 결합공(215)을 통해 상기 제2 폴대(12)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안착홈(121)에 안착되는 고정볼(22), 상기 안내부재(21)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볼(22)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홈(121)에 안착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볼(22)이 상기 안착홈(121)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23) 및 상기 조절부재(23)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4)을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재(23)를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2 폴대(12)의 출몰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7, the climbing sti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le 11, a second pole 12 which is protruded and retracted within the first pole 11, And a length adjuster 20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pole 11 to adjus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12. The length adjuster 20 adjusts the length of the first pole 11, A guide member 21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ole 12 and having a coupling hole 215 radially formed thereon, A fixing ball 22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guide member 21 and adapted to be seated in one of the seating recesses 121; And a spring (24) for returning the adjusting member (23)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23) The adjusting member 23 is moved to the adjusting position to control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12.

길이조절부(20)는 안내부재(21), 고정볼(22), 조절부재(23) 및 스프링(24)으로 형성되어 제1 폴대(11)의 하단부에 장차되어 제1 폴대(11) 내부로 제2 폴대(12)의 출몰을 안내하는 구성이다.The length adjuster 20 is formed of a guide member 21, a fixed ball 22, an adjusting member 23 and a spring 24 and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ole 11, To guide the second pole (12) to come and go.

안내부재(21)는 상단부에 제1 폴대(11)를 수용하도록 관통된 제1 통공(213)이 형성된 제1 안내부(211)와 하단부에 제2 폴대(12)를 수용하면서 제1 통공(213)과 연통되돌록 관통된 제2 통공(214)이 형성된 제2 안내부(212)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안내부(212)의 외주면에는 고정볼(22)이 안착되도록 방사상으로 결합공(215)이 관통 형성된다.The guide member 21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211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with a first through hole 213 penetrated to receive the first pole 11 and a second guide portion 21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second guide portion 212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14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213.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1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15 through which the fixing ball 22 is radially inserted.

고정볼(22)은 금속의 재질로 볼 형상으로 제작되어 안내부재(21)의 결합공(215)에 안착된다.The fixed ball 2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ball-shaped, and is seated in the coupling hole 215 of the guide member 21.

조절부재(23)는 제2 폴대(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면서 안내부재(21)의 결합공(215)에 결합된 고정볼(22)이 제2 폴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21)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The adjusting member 23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le 12 by a fixing ball 22 which is lif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12 and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215 of the guide member 21, And is guided to be seated or removed in the groove 121.

조절부재(23)는 안내부재(21)를 수용하면서 제2 폴대(12)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하고, 하단부의 내주면에 고정볼(22)을 가압하는 가압면(232)이 구비되며, 가압면(232)의 상부에 요입되어 안내부재(21)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결합공(215)으로부터 고정볼(22)의 출몰의 안내하는 이탈공간(233)을 형성하는 안내면(231)이 구비되고, 상단부 내주면에는 캡(25)이 체결되도록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adjusting member 23 is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232 for holding the guide member 21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12 and pressing the fixing ball 22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a guiding surface 231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3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uiding member 21 and form a guiding releasing space 233 for guiding and retracting the fixed ball 22 from the engaging hole 215,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read formed to fasten the cap 25.

가압면(232)은 안내부재(21)의 제2 통공(214)이 형성된 제2 안내부(212)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안내면(231)은 안내부재(21)의 제1 통공(213)이 형성된 제1 안내부(21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surface 232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12 formed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214 of the guide member 21 is closely contacted and the guide surface 231 is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The first guiding portion 211 is 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ing portion 211.

스프링(24)은 안내부재(21)와 캡(25) 사이의 제1 폴대(1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조절부재(23)를 복원시키는 구성으로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다.The spring 24 is a conventional coil spring configured to res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ole 11 between the guide member 21 and the cap 25 to restore the adjustment member 23.

캡(25)은 조절부재(23)의 나사산에 체결 고정되어 제1 폴대(11)에 장착된 스프링(24)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제1 폴대(11)의 외주면 따라 승강하도록 내부가 관통되면서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cap 25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adjusting member 23 to prevent the spring 24 mounted on the first pole 11 from coming off.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while being penetrated.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의 길이조절부(20)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operating the length adjuster 20 of the climbing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과 같이, 제1 폴대(11)의 하단부에 안내부재(21)의 제1 안내부(211)에 관통된 제1 통공(213)을 결합하는데, 제1 통공(213)은 제1 폴대(11)의 하단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3, a first through hole 213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portion 211 of the guide member 2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e 11, 1 pole 11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parated.

또한 제1 폴대(11)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스프링(24)을 결합하여 안내부재(21)의 제1 안내부(211)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캡(25)을 제1 폴대(11)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결합하여 스프링(24)의 상단부에 안착시킨다.A spring 24 is coupl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e 11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211 of the guide member 21 and then the cap 25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le 11,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24).

한편, 안착홈(121)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게 형성된 제2 폴대(12)를 안내부재(21)의 제2 통공(214)을 통해 제1 폴대(11) 내부로 결합한 후, 제2 폴대(12)의 하단부에 상단부로 조절부재(23)를 결합하여 제1 폴대(11) 하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내부재(21)의 제1 안내부(21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공(215)에 고정볼(22)을 장착하여 제2 폴대(12)의 어느 하나의 안착홈(121)에 결합되도록 한다.After the second pole 12 formed by stacking the mounting grooves 121 at regular intervals is coupled into the first pole 11 through the second hole 214 of the guide member 21, The first guide portion 211 of the guide member 21 has a coupling hole 215 radially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1 in a state where the adjustment member 2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1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e 11, The fixed ball 22 is attached to one of the seating grooves 121 of the second pole 12.

고정볼(22)이 결합공(215)에 장착되면, 제2 폴대(12)에 결합된 조절부재(23)를 제1 폴대(11)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부재(23)의 내부에 안내부재(21)가 위치하도록 한다.When the fixing ball 22 is mounted on the coupling hole 215, the adjusting member 23 coupled to the second pole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ole 11, (21).

이때, 조절부재(23)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면(232)은 안내부재(21)의 제2 안내부(212)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 통공(21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고정볼(22)이 결합공(21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ressing surface 23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12 of the guide member 2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ll 2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215.

또한 가압면(232)의 상부에 요입된 안내면(231)은 안내부재(21)의 제1 통공(21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캡(25)을 제2 폴대(1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캡(25)이 스프링(24)을 가압하면서 제2 폴대(12)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후 캡(25)을 회전시켜 캡(25)의 나사산이 조절부재(23)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면서 길이조절부(20)의 결합이 완료된다.The guide surface 231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2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3 of the guide member 21 and the cap 25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12 The cap 25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12 while pressing the spring 24 and the cap 25 is rotated after the cap 25 is moved so that the thread of the cap 25 is moved to the upper end The coupling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 is completed while being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은 폴대의 길이 조절하려면, 도 4와 같이, 조절부재(23)를 제2 폴대(12) 방향으로 가압한다.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ole, the climbing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adjusting member 23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12 as shown in FIG.

이때 조절부재(23)가 제2 폴대(1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부재(23)의 나사산에 체결된 캡(25)이 조절부재(23)와 같이 제2 폴대(1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4)을 가압하여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압축시킨다.At this time, as the adjusting member 23 moves toward the second pole 12, the cap 25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adjusting member 2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12 like the adjusting member 23 And presses the spring 24 to compress it so that a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스프링(24)은 안내부재(21)와 캡(25) 사이의 제1 폴대(11)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캡(25)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The spring 24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ole 11 between the guide member 21 and the cap 25 so that the restoring force can be generated while being compressed by the pressing of the cap 25. [

또한, 도 5와 같이, 제2 폴대(12) 방향으로 조절부재(23)가 이동하면, 조절부재(23)의 상단부에 요입된 안내면(231)이 안내부재(21)의 제1 안내부(211)를 따라 이동한다.5, when the adjusting member 2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e 12, the guide surface 231 recessed in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23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ortion 21 of the guide member 21 211).

안내부재(21)를 따라 조절부재(23)가 소정거리 이동하면, 조절부재(23)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면(232)이 안내부재(21)의 제2 안내부(212)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폴대(11) 및 안내부재(21)로부터 제2 폴대(12)를 출몰시킬 수 있다.The pressing surface 23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member 23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guiding portion 212 of the guiding member 21 when the adjusting member 23 moves along the guiding member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ole 12 can come and go out from the first pole 11 and the guide member 21. [

제2 폴대(12)가 제1 폴대(11)로부터 출몰될 때, 제2 폴대(12)의 안착홈(121)에 위치한 고정볼(22)은 제2 폴대(12)의 이동에 따라 안착홈(121)이 가압되면서 결합공(215)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조절부재(23)의 가압면(232)과 안내면(231) 사이의 이탈공간(233)에 일부가 위치하면서 제2 폴대(12)의 외주며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제2 폴대(12)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When the second pole 12 is projected and retracted from the first pole 11, the fixed ball 22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121 of the second pole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cond pole 12, The second pole 12 is partly protruded by the coupling hole 215 while being partially pressed into the separation space 233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232 of the regulating member 23 and the guide surface 231, So that the second pole 1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pole 12.

여기서, 고정볼(22)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제2 폴대(12)의 외주면에 점접촉되면서 제2 폴대(12)의 이동시 회전하여 제2 폴대(12)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제2 폴대(12)가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ed ball 2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12 to rotate when the second pole 12 is mov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pole 12, So that the second pole 12 can be moved smoothly.

또한 고정볼(22)이 결합공(215)과 이탈공간(233)에 위치하면, 도 6과 같이, 조절부재(23)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도 고정볼(22)이 제2 폴대(12)의 외주면에 접촉이 유지되어, 제2 폴대(12)는 제1 폴대(11) 및 안내부재(21)를 통해 출몰될 수 있으며, 스프링(24)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조절부재(23)의 복원을 방지할 수 있다.6, even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djusting member 23 is released, the fixing ball 22 is moved to the second pole 12 (see FIG. 6) So that the second pole 12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through the first pole 11 and the guide member 21 and the second pole 12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23 despit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4. [ Restoration can be prevented.

상기의 과정으로 제2 폴대(12)가 제1 폴대(11) 및 안내부재(21)를 통해 일정 길이 출몰되어 제2 폴대(12)에 형성된 안착홈(121)에 위치하면, 도 7과 같이,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부재(23)의 가압면(232)이 고정볼(22)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볼(22)은 결합공(215)을 통해 제2 폴대(12)에 형성된 어느 다른 하나의 안착홈(121)에 안착되면서 제1 폴대(11) 및 안내부재(21)를 통해 출몰된 제2 폴대(12)를 지지한다.When the second pole 12 is protrud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first pole 11 and the guide member 21 and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121 formed in the second pole 12, The pressing surface 232 of the adjusting member 23 presses the fixing ball 2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4 and the fixing ball 22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pole 12 through the coupling hole 215, And supports the second pole 12 protruding and retracted through the first pole 11 and the guide member 21 while being seated in any other one of the seating grooves 121 formed in the first pole 11. [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제1 폴대(11) 및 안내부재(21)로부터 제2 폴대(12)의 출몰길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잇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조절부재(23)가 고정볼(22)을 견고하게 가압하여 고정볼(22)이 제2 폴대(12)의 안착홈(121)에서 이탈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등산용 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length of the second pole 12 from the first pole 11 and the guide member 21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while repeating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ball 22 from being deformed by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121 of the second pole 12 by pressing the fixing ball 22 firmly to use the climbing stick more stably.

여기서,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00)의 길이조절부(20)는 도 1과 같이, 제1 폴대(11)에서 제2 폴대(12)가 출몰되는 것을 안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과 같이, 제2 폴대(12)에서 또 다른 폴대가 출몰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폴대(11)에는 파지부(30)가 형성되고, 지면에 닿는 폴대에는 지면에 박힐 수 있는 박힘부재(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1, the length adjuster 20 of the climbing sti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 guide the second pole 12 to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first pole 11 8, at least one or more other poles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pole 12. The first pole 11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30, and a pole A blind member 40 can be further formed which can be stuck to the ground.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00)과 그 목적 및 일부 구성이 동일한바, 이하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in purpose and configuration as the climbing sti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points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XⅠ- XⅠ방향의 길이조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의 길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안착홈(1122)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의 길이 조절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의 (c)에 제1,2 결합부의 결합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9,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 the XI- 15 is an operating stat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of Fig. 1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of FIG. 17 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은 파지부(1130)와, 상기 파지부(1130) 일 측에 고정되는 제1 폴대(1111)와, 상기 제1 폴대(1111)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1112)로 형성되는 폴대부(1110)와, 상기 제2 폴대(1112)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120)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1120)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1111)에 형성되는 결합공(1121),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1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1122),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1111)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1123), 상기 결합공(1121)을 통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고정볼(1124), 상기 고정부재(1123)의 외면을 따라 상기 고정볼(1124)이 상기 안착홈(1122)에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상기 고정볼(1124)이 상기 안착홈(1122)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1125) 및 상기 조절부재(1125)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to 18,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1130, a first pole 1111 fixed to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1130, A pole bobbin 1110 formed of a second pole 1112 protruding and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ole 1111 and a length adjuster 1120 controll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1112,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includes an engaging hole 1121 formed in the first pole 1111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seating groove 112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1112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fixing member 1123 moun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e 1111, a fixing ball 1124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The adjusting ball 1124 is moved to the seating position where the fixing ball 1124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and the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1124 is disengaged from the seating groove 1122, And a spring (1126) for returning the ash (1125) and the adjusting member (1125)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또한 폴대부(1110)는 제2 폴대(1112)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3 폴대(11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길이조절부(1120)는 제2 폴대(1112)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1120)와 제3 폴대(1113)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1120)를 포함한다.The pole base 11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ole 1113 that protrudes and retracts within the second pole 1112. The pole adjuster 1120 may include a second pole 1112, 1 length adjuster 1120 and a second length adjuster 1120 for controlling the appearance of the third pole 1113.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1100)은 길이조절부(112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각 길이조절부(1120)의 조절 방식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길이조절부(1120)가 2개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1100)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length adjusting unit 1120,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1120 may be adjust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control unit 1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formed of two pieces.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는 제2 폴대(11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폴대(1111)와 제3 폴대(1113)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폴대(1112) 각각의 의미하는 것이며,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 또한 제1 폴대(1111)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1112)와 제2 폴대(1112)에서 출몰되는 제3 폴대(1113)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disposed outside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pole 1111 and the third pole 1113 disposed outside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which are projected and retracted also come and go from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second pole 1112 which are projected and retracted from the first pole 1111, And the third pole 1113 that is the third pole 1113.

폴대부(1110)는 제1 폴대(1111)와 제1 폴대(1111)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1112)와 제2 폴대(1112)의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3 폴대(1113)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제2 폴대(1112)와 제3 폴대(1113)의 출몰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The pole bobbin 1110 is formed of a first pole 1111 and a second pole 1112 which protrudes and retracts within the first pole 1111 and a third pole 1113 that protrudes and retracts inside the second pole 1112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third pole 1113 in accordance with his / her body size, thereby providing improved convenience to the user.

구체적으로 제1,2,3 폴대(1111,1112,1113)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는 외부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1 폴대(1111)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1112)의 상측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1 폴대(1111)의 하측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3 폴대(1113)의 상측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2 폴대(1112)의 하측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폴대부(1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poles 1111, 1112, and 1113 are arranged such that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which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gradually decreasing in cross section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bars 1111 and 1112. [ The size of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ole 1112 that is projected and retracted from the first pole 1111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ole 1111 and the size of the cross-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ole 1112, thereby preventing the pole base 1110 from being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1100)의 폴대부(1110)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로부터 출몰되는 제2,3 폴대의 출몰이 원활하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져,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Thus, the pole piece 1110 of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protrudes and retracts from the second and third poles that are projected and re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1111 and 1112 disposed outside, So as to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의 폴대부(1110)에는 이탈방지부(1150) 및 유격방지부(116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1150)와 유격방지부(1160)는 각 폴대 사이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한다.The pole rest 1110 of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part 1150 and a play preventing part 1160.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150 and the play prevention The portion 1160 makes the fixing between the poles more rigid to improve durability and prevents shaking at the time of use to provide improved stability.

이탈방지부(1150)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홈(1151)과, 제1 이탈방지홈(1151)에 안착되는 제1 이탈방지링(1152)과,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상측 외주면에는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홈(1153)과 제2 이탈방지홈(1153)에 안착되는 제2 이탈방지링(1154)으로 형성되어, 제1 이탈방지링(1152)과 제2 이탈방지링(1154)의 걸림에 의해 제1 폴대와 제2 폴대 및 제2 폴대와 제3 폴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1150 includes a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1151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ortion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153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to be projected and withdrawn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1153 which is se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153, Ring 1154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poles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eparture prevention rings 1152 and 1154 .

따라서 제1 이탈방지홈(1151)의 깊이는 제1 이탈방지링(1152)의 지름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제2 이탈방지홈(1153)의 깊이는 제2 이탈방지링(1154)의 지름보다 낮도록 형성되어, 제1 이탈방지링(1152)과 제2 이탈방지링(1154)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pth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51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ring 1152 and the depth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53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ring 1154.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ring 1152 an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ring 1154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제1 이탈방지홈(1151)은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 이탈방지링(1152)은 제1 이탈방지홈(1151)에 안착되며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측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또한 제2 이탈방지홈(1153)은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 이탈방지링(1154)은 제2 이탈방지홈(1153)에 안착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측으로 일부가 돌출된다.Specifically,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s 1151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And partially protrudes toward the second and third pole portions 1112 and 1113 which are seated in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1151 and which protrude and retract.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grooves 1153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1153 and partially protrud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1111,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이때 제1 이탈방지홈(1151)은 제2 이탈방지홈(1153)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에서 제1 이탈방지홈(1151)이 형성된 거리이상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폴대부(1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은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51 is formed below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53,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which are protruded and retracted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Preventing the first pole piece 1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ole piece 1110 by preventing the first pole piece 1110 from being pulled. Therefore,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proved durability.

유격방지부(1160)는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격방지홈과 유격방지홈(1161)에 안착되는 유격방지링(1162)으로 형성된다. 이때 유격방지링(1162)은 그 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가져, 폴대부(1110) 인장 시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와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유격을 매꾸어 폴대부(11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The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1160 is formed of a clearance preven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 portions 1112 and 1113 to be projected and withdrawn and a clearance preventing ring 1162 seated on the clearance preventing groove 1161. At this time, the play preventing ring 1162 has a shape in which its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convex outward,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which are projected and withdrawn when the pole base 1110 is pulled, (1111, 1112) to prevent shaking of the pole cradle (1110).

길이조절부(1120)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측에 형성되는 결합공(1121)과,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122)과,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1123)와, 결합공(1121)을 통해 안착홈(1122)에 안착되는 고정볼(1124)과, 고정부재(1123)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조절부재(1125)와, 조절부재(1125)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126)으로 형성되며, 제1 폴대(1111)의 내부에서 제2 폴대(1112)의 출몰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1120)와 제2 폴대(1112) 내부에서 제3 폴대의 출몰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1120)를 포함한다.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includes a coupling hole 112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ortion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and a coupling hole 112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 portions 1112 and 1113 A fixing member 1123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and a fixing member 1123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1122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 A ball 1124 and an adjusting member 1125 which is mo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123 and a spring 1126 which returns the adjusting member 1125. Inside the first pole 1111, A first length adjuster 1120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ole 1112 and a second length adjuster 1120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third pole in the second pole 1112.

길이조절부(1120)는 제1 폴대(1111)와 제2 폴대(1112) 사이 및 제2 폴대(1112)와 제3 폴대(11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길이조절부(1120)와 제2 길이조절부(1120)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 제1 길이조절부(1120)와 제2 길이조절부(1120)는 구별하지 않고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한번에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le 1111 and the second pole 1112 and between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third pole 1113 respectively, The first length adjusting unit 1120 and the second length adjusting unit 1120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xplain it at once.

결합공(1121)은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측을 관통 형성되어, 고정볼(1124)의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결합공(1121)은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holes 1121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side to guid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fixing balls 1124.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hole 1121 is radi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1111 and 1112 disposed outside.

안착홈(1122)은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결합공(1121)을 통해 고정볼(1124)이 안착된다. 이때 안착홈(1122)은 필요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하나의 폴대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등산용 스틱(1100)을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The seating groove 11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 portions 1112 and 1113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nd the fixing ball 1124 is sea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22 are formed on one p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need, so that the mountain climbing stick 1100 can be adjusted to various lengths, thereby providing improved convenience to the user.

이때 안착홈(1122)의 테두리 부분은 절삭되어 평탄면(11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볼(1124)의 반복적인 착탈에 의한 마찰에 의해 안착홈(1122)의 테두리 부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테두리 부분이 고정볼(1124)과의 마찰에 의해 버(burr)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rim of the seating groove 1122 is preferably cut so that a flat surface 11221 is formed. This prevents the rim of the seating groove 1122 from being worn by friction due to repetitiv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xed ball 1124 and prevents the rim portion from being burred by friction with the fixed ball 1124 .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고정볼(1124)이 임의로 안착홈(1122)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산 시와 같이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고정볼(1124)이 이탈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한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ixing ball 1124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eating groove 1122 arbitrarily, even during continuous and repetitive use, It also prevents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the fixed ball 1124 is unintentionally disengaged, thereby providing more improved safety.

또한 버(burr) 생성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폴대부(1110)가 원활하게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등산용 스틱(1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Also, the generation of burrs is minimized, so that the pole cushion 1110 can smoothly protrude / retract even during continuous and repeated us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이때 평탄면(11221)은 안착홈(1122)의 테두리 부분을 약 45도 정도 절삭하는 모따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at surface 11221 can be formed by chamfer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22 by about 45 degrees.

고정부재(1123)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이드부(11231)와 가이드부(11231)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1232)로 형성된다.The fixing member 1123 includes a guide portion 11231 tightly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disposed at the outer side and a guide portion 11231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11231, And extension portions 11232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les 1112 and 1113.

따라서 가이드부(11231)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단에 고정되어 조절부재(1125)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연장부(11232)는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며 하측에 형성된 다른 길이조절부(1120)의 조절부재(1125)를 가압하도록 가이드부(11231)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refore, the guide portion 11231 is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ortions 1111 and 1112 disposed outside, guides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1125, and the extension portion 11232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And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guide portion 11231 so as to press the adjusting member 1125 of the other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formed on the lower side.

고정볼(1124)은 결합공(1121)은 통해 안착홈(1122)에 안착되어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와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를 고정시킨다. 구제적으로 고정볼(1124)의 일 측은 결합공(1121)에서 돌출되어 안착홈(1122)에 안착되고, 타 측은 결합공(1121) 내에 위치하면서 폴대부(1110)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fixed ball 1124 is fixed to the seating groove 1122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so as to fix the first and second poles 1111 and 1112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1112 and 1113, . One side of the fixed ball 1124 is reliev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hole 1121 to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and the other side to be positioned in the coupling hole 1121 so that the pole piece 1110 is maintained in a controlled state do.

조절부재(1125)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의 하단 외측에 가이드부(11231)의 상측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가이드부(11231)를 따라, 고정볼(1124)이 안착홈(1122)에 안착되는 고정위치와 고정볼(1124)이 안착홈(1122)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를 이동하며 출몰되는 제2,3 폴대(1112,1113)의 출몰을 조절한다.The adjusting member 1125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1231, And 1113 move in the fixed position where the fixed ball 1124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and the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ed ball 1124 is disengaged from the seating groove 1122.

따라서 조절부재(1125)는 고정위치에서 안착홈(1122)에 안착된 고정볼(1124)을 안착홈(1122)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1251)과 조절위치에서 고정볼(1124)이 안착홈(1122)에서 이탈되도록 요입되어 이탈공간(11254)을 형성하는 요입면(11252)과 스프링(1126)의 일 단과 접하는 고정돌기(11253)로 형성된다.The adjusting member 1125 has a pressing surface 11251 for pressing the fixing ball 1124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in the fixing position to the seating groove 1122 side and a pressing surface 11252 in the adjusting position, 1122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pring 1126 and a recessed surface 11252 which is recessed to be separated from the recess 1122 and forms the release space 11254.

스프링(1126)은 일 단이 조절부재(1125)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1253)에 접하고, 타 단은 가이드부(11231)의 상측에 접하여 조절부재(1125)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126)은 조절부재(1125)의 고정위치에서 조절위치로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복원력이 발생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별도의 외력 없이도 조절부재(1125)가 고정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The other end of the spring 1126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rotrusion 11253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1125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11231, do. Specifically, the spring 1126 is urged by the movement of the adjusting member 1125 from the fixed position to the adjusting position, so that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auses the adjusting member 1125 to return to the fixed position .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1100)은 조절부재(1125)의 이동만으로 용이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길이 조절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품 수를 감소하여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nly by the movement of the adjusting member 1125, and simplify the length adjusting structur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reby providing improved productivity.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의 길이조절부(1120)의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1 길이조절부(1120)와 제2 길이조절부(1120)의 작동 방법이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길이조절부(1120)의 작동 방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120 of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er 1120 and the second length adjuster 1120 are the sam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er 1120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초기 인장 시에는 고정볼(1124)이 안착홈(1122)에 안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3 폴대(1113)가 제2 폴대(1112)에 고정될 때까지 제3 폴대(1113)를 당겨 폴대부(1110)를 인장한다. 제3 폴대(1113)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홈(1122)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절부재(1125)를 이동시켜 폴대부(1110)의 길이를 조절한다.The user does not move the third pole 1113 until the third pole 1113 is fixed to the second pole 1112 because the fixed ball 1124 is not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during the initial pulling And pulls the pole bobbin 1110.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pole piece 1110 by moving the adjusting member 1125 as necessary because the seating groove 1122 is formed in the third pole 11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구체적으로는, 도 12와 같이 고정볼(1124)은 가압면(11251)에 의해 가압되어 결합공(1121)을 통해 안착홈(1122)에 안착 고정되어 제3 폴대(1113)를 제2 폴대(1112)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볼(1124)은 결합공(1121)을 통해 안착홈(1122)과 가압면(11251)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3 폴대(1113)는 더 이상 인장되지 않는다.12, the fixed ball 1124 is pressed by the pressing surface 11251 and is seated and fixed in the seating groove 1122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to fix the third pole 1113 to the second pole 1112). At this time, since the fixed ball 1124 is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groove 1122 and the pressing surface 11251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the third pole 1113 is not further pulled.

사용자가 조절부재(1125)를 가압하면, 도 13과 같이, 조절부재(1125)는 가이드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가압면(11251)이 하측으로 이동되며 고정볼(1124) 측면에는 요입되어 이탈공간(11254)을 형성하는 요입면(11252)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3 폴대(1113)를 출몰시키면 안착홈(1122)이 이동되면서 제3 폴대(1113)의 외주면에 의해 고정볼(1124)은 이탈공간(11254)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2 폴대(1112)와 제3 폴대(1113)의 고정이 해제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adjusting member 1125, the adjusting member 1125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surface as shown in FIG. 13, the pressing surface 11251 is moved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ball 1124 And an incision surface 11252 forming the release space 11254 is positioned. When the user projects the third pole 1113, the mounting groove 1122 is moved and the fixing ball 1124 is moved to the separation space 11254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pole 1113 and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third pole 1113 are released.

이때 스프링(1126)은 고정돌기(11253)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되어 탄성복원력이 발생한다. 다만 이탈공간(11254)에 고정볼(1124)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도 14와 같이, 고정볼(1124)의 일 부분이 결합공(1121)에 배치되어, 제2 폴대(1112)와 제3 폴대(1113)의 고정을 방지하고, 고정볼(1124)이 결합공(1121)을 통해 안착홈(1122)에 쉽게 탈착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볼(1124)은 제3 폴대(1113)의 외주면과 점접촉되어 제3 폴대(1113)의 상하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pring 1126 is pressed while the fixing protrusion 11253 is moved downward,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14, a part of the fixed ball 1124 is disposed in the coupling hole 1121 so that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third pole 1124 are disposed in the engaging hole 1121, The pole 1113 is prevented from being fixed and the fixing ball 1124 is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seating groove 1122 through the coupling hole 1121. [ Further, the fixed ball 1124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pole 1113 to facilitat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third pole 1113.

따라서 제3 폴대(1113)의 이동에 의해 고정볼(1124)이 다른 안착홈(1122)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도 15와 같이, 고정볼(1124)은 이탈공간(11254)에서 이탈되어 다른 안착홈(1122)에 안착되고, 스프링(11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절부재(1125)는 고정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고정볼(1124)은 가압면(11251)에 의해 안착홈(1122)으로 가압되면서 제2 폴대(1112)와 제3 폴대(1113)를 다시 고정한다.Therefore, when the fixed ball 1124 is positioned in the other seating groove 1122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pole 1113, the fixed ball 1124 is detached from the leaving space 11254, And the adjustment member 1125 is returned to the fixed position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126. [ At this time, the fixed ball 1124 is pressed by the pressing surface 11251 to the seating groove 1122 to fix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third pole 1113 again.

이상 폴대부(1110)의 인장 방법에 대해 제2 길이조절부(112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길이조절부(1120)의 경우, 제2 폴대(1112)에 하나의 안착홈(1122)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2 폴대(1112)가 제1 폴대(1111)에 고정될 때까지 제2 폴대(1112)를 당겨 폴대부(1110)를 인장한다.The length of the second pole 1112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pole 1112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econd pole 1112. In this case, The second pole 1112 is pulled until the second pole 1112 is fixed to the first pole 1111 so that the pole 1110 is pulled.

또한 폴대부(1110)의 길이를 줄이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나, 다만 제1 길이조절부(1120)를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제2 폴대(1112)를 제1 폴대(1111)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제1 길이조절부(1120)의 연장부(11232)가 다시 제2 길이조절부(1120)의 조절부재(1125)의 상측을 가압하여 제2 길이조절부(1120)의 조절부재(1125)를 조절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모션에 의해 등산용 스틱(110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pole piece 1110 may be reduced by moving the first length adjuster 1120 to the adjusting position and moving the second pole 1112 into the first pole 1111 The extension portion 11232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presses the upper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1125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again so that the adjusting member 1120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1120, (1125) to the adjustment position, the user can reduce the length of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by one mo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1100)은, 도 18과 같이, 파지부(1130) 저면에 제1 결합부(1131)가 형성되고, 최내측에 배치되는 제3 폴대(1113)의 상측 말단에 제1 결합부(1131)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1131)가 형성된다.18, the climbing stick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11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130 and a third pole 1113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131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1 at the upper end thereof.

이때 제1 결합부(1131)와 제2 결합부(11131)는 나사 결합에의해 용이하게 체결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131 can be unlocked easily by screwing.

따라서 제3 폴대(1113)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1,2 폴대(1111,1112) 내부를 관통하여 파지부(1130)에 결합되어, 폴대부(1110)가 임의로 인장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등산용 스틱(1100)을 보다 작은 사이즈로 휴대 가능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third pole 1113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113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le portions 1111 and 1112 disposed on the outer sid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pole portion 1110 from being stretched So that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can be carried in a smaller size.

또한 제3 폴대(1113) 즉, 지면에 닿는 폴대에는 지면에 박힐 수 있는 박힘부재(1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third pole 1113, that is, the pole that touches the ground, may further include a blind member 1140 that can be stuck to the ground.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등산용 스틱(1100)은 원모션에 의해 폴대부(1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등산용 스틱(1100)이 임의로 인장되는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ength of the pole piece 1110 by one motion and fundamentally prevent the mountaineering stick 1100 from being arbitrarily stretched, to provid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등산용 스틱
11 제1 폴대 12 제2 폴대 121 안착홈(1122)
20 길이조절부 21 안내부재 211 제1 안내부
212 제2 안내부 213 제1 통공 214 제2 통공
215 결합공 22 고정볼
23 조절부재 231 안내면 232 가압면
233 이탈공간 25 캡
30 파지부 40 박힘부재
1100 등산용 스틱
1110 폴대부 1111 제1 폴대 1112 제2 폴대
1113 제3 폴대 11131 제2 결합부
1120 길이조절부, 제1,2길이조절부
1121 결합공 1122 안착홈 11221 평탄면
1123 고정부재 11231 가이드부 11232 연장부
1124 고정볼 1125 조절부재 11251 가압면
11252 요입면 11253 고정돌기 11254 이탈공간
1126 스프링 1130 파지부 1131 제1 결합부
1140 박힘부재 1150 이탈방지부 1151 이탈방지홈
1152 이탈방지링 1153 고정홈
1160 유격방지부 1161 유격방지홈 1162 유격방지링
100 mountain climbing stick
11 first pole 12 second pole 121 seating groove 1122,
20 length adjusting portion 21 guide member 211 first guide portion
212 second guide portion 213 first through hole 214 second through hole
215 Coupling ball 22 Fixing ball
23 adjusting member 231 guide surface 232 pressing surface
233 Exit space 25 Caps
30 grip portion 40 < RTI ID =
1100 mountain climbing stick
1110 Paul's loan 1111 1st pole 1112 2nd pole
1113 Third pole 11131 Second coupling part
1120 length adjusting unit, first and second length adjusting units
1121 engaging hole 1122 seating groove 11221 flat surface
1123 fixing member 11231 guide portion 11232 extension portion
1124 fixed ball 1125 regulating member 11251 pressing surface
11252 Entrance surface 11253 Fixing projection 11254 Exit space
1126 spring 1130 grip portion 1131 first engagement portion
1140 blind member 1150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1151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52 Disengagement prevention ring 1153 Fixing groove
1160 Noise prevention part 1161 Noise prevention groove 1162 Noise prevention ring

Claims (16)

제1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일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결합공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안내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안내부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볼이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2 폴대의 출몰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And a length adjuster mounted on the first pole stage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and the retraction of the second pole, wherein the second pole has a first pole, a second pole protruding and retracted inside the first pole,
The length adjuster
A guide membe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first pol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radially therethrough;
A fixed ball that is seated in any one of the seat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guide member and moves to a fixed position where the fixed ball is seated in the one of the seating grooves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regulating member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wherein the regulating member is moved to the regulating position to regulat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 폴대의 수용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폴대의 수용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된 제2 안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폴대가 상기 제1 폴대 내부로 출몰되도록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은 연통되며,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2 안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이 상기 제2 폴대와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A first guide portion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first pole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second pole,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into the first pole,
The coupling ball
Wherein the fixing ball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ole and the adjustment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 안내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안내면과 상기 제2 안내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가압면으로 형성되고,
고정위치에서 조절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안내면과 상기 제2 안내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고정볼이 상기 결합공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이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justment member
A guid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at a fixed position and a pressing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Wherein when the guide member is moved from the fixed position to the adjustment position, an unlock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guide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unit so that the stationary ball can be detached from the engagemen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p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member to prevent the spring from coming off.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일 측에 고정되는 제1 폴대와, 상기 제1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2 폴대로 형성되는 폴대부;와,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을 따라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A pole piece formed by a grip section, a first pole fixed to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a second pole protruding and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ole; and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and retraction of the second pole Including,
The length adjuster
An engaging hole formed in the first pole disposed outside the first pole;
A sea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fixing member mounted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ole disposed outside;
A fixed ball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moved to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adjustment member from the adjustment position to the fixed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면;과
조절위치에서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도록 요입되어 이탈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면;과
상기 스프링의 일 단과 접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djustment member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fixing ball in a fixed position so as to be sea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 recessed surface formed at the adjusting position so as to be recessed so that the fixed ball is disengag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p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폴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 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xing member
A guide part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ole disposed outsid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part and enclos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The spring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고정볼과 맞닿는 테두리 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ting groove
And a rim portion contacting the fixed ball is cut to form a fla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폴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1 이탈방지홈에 안착되는 제1 이탈방지링과 출몰되는 제2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2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링에 걸림되는 제2 이탈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폴대와 상기 제2 폴대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a second departure preventing ring which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le which protrudes and retracts; And a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ring which is se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separation preventing ring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pole and the second pole, Wherein said stick is a mountain.
제5항에 있어서,
출몰되는 상기 제2 폴대의 출몰되는 방향의 일 단에 형성되는 유격방지홈과 상기 유격방지홈에 안착되는 유격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 폴대와 상기 제2 폴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formed of a clearance preventing groove formed at one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le is protruded and retracted and a clearance preventing ring seated in the clearance preventing groove, And the second pole are prevented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폴대부는
상기 제2 폴대 내부에서 출몰되는 제3 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2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3 폴대의 출몰을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길이조절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에 형성되는 결합공;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고정볼;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을 따라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위치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조절위치로 이동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조절위치에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고정부재만을 조절위치로 이동시켜,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출몰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le section
And a third pole protruding and retracting within the second pole,
The length adjuster
A first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le and a second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protrusion of the third pole,
The first and second length adjusters
An engaging hol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pole pieces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sea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said second and third pole pieces to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fixing member mounted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disposed on the outer side;
A fixing ball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hrough the coupling hole;
An adjusting member which is moved to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an adjusting position in which the fixing ball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adjusting member from the adjusting position to the fixing position, wherein only the fixing member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unit is moved to the adjusting position to control the degree of protrusion and retraction of the second and third pole Mountain climbing stick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 단에서 연장되어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 연장부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가 조절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3 폴대의 출몰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ing member
A guide unit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 members disposed outside the guide member and guiding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configur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 portions,
And the first length adjuster is moved to the adjusting position by the extens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er to control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third p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고정볼과 맞닿는 테두리 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ating groove
And a rim portion contacting the fixed ball is cut to form a flat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2 폴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1 이탈방지홈에 안착되는 제1 이탈방지링과,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이탈방지홈과, 상기 제2 이탈방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링과 걸림되는 제2 이탈방지링으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폴대와 상기 제2 폴대 및 상기 제2 폴대와 상기 제3 폴대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12. The method of claim 11,
A first release preventing ring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ring which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poles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ring which is seated in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ring, where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the second pole and the third pole are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출몰되는 방향의 일 단에 형성되는 유격방지홈과 상기 유격방지홈에 안착되는 유격방지링으로 형성되는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 폴대와 상기 제2 폴대 사이 및 상기 제2 폴대와 상기 제3 폴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learance preventing portion formed of a clearance preventing groove formed at one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poles are projected and retracted and a clearance preventing ring seated in the clearance preventing groove, To prevent clearance between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nd between the second pole and the third p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폴대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폴대는
상기 제1,2 폴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출몰되는 상기 제2,3 폴대의 출몰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ole is formed,
The third pole
A second engag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oles and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second and third poles that are protruded and retra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limited.
KR1020180068106A 2017-06-29 2018-06-14 Mountain climbing stick KR1019943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2294 2017-06-29
KR1020170082294 201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10A true KR20190002310A (en) 2019-01-08
KR101994379B1 KR101994379B1 (en) 2019-06-28

Family

ID=6502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06A KR101994379B1 (en) 2017-06-29 2018-06-14 Mountain climbing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5B1 (en) * 2019-02-26 2019-12-02 윤영태 Mountain climbing sti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77Y1 (en) * 1999-12-31 2000-06-01 김영보 A stick for mountain-climbing
JP2002336017A (en) * 2001-05-18 2002-11-26 Torina Kk Walking auxiliary implement
KR200334041Y1 (en) * 2003-08-14 2003-11-20 이상규 Climbing Stick
KR101276577B1 (en)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A climbing stick
KR20140137537A (en) 2013-05-23 2014-12-03 최진홍 Stick for mountain climbing
KR20160150447A (en) 2015-06-22 2016-12-30 윤동현 Length adjust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77Y1 (en) * 1999-12-31 2000-06-01 김영보 A stick for mountain-climbing
JP2002336017A (en) * 2001-05-18 2002-11-26 Torina Kk Walking auxiliary implement
KR200334041Y1 (en) * 2003-08-14 2003-11-20 이상규 Climbing Stick
KR101276577B1 (en)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A climbing stick
KR20140137537A (en) 2013-05-23 2014-12-03 최진홍 Stick for mountain climbing
KR20160150447A (en) 2015-06-22 2016-12-30 윤동현 Length adjust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5B1 (en) * 2019-02-26 2019-12-02 윤영태 Mountain climbing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79B1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7975B2 (en) Post mounting fixtures
US6457210B1 (en)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US6758229B2 (en) Umbrella frame device
US10092068B2 (en) Length adjustment device
WO2014073250A1 (en) Buckle
KR101994379B1 (en) Mountain climbing stick
US7624484B2 (en) Clasp
KR101871890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US20080171488A1 (en) Yo-yo having side-located roller members
WO2022016922A1 (en) Gear adjusting mechanism for support leg of child safety seat
CN205381233U (en) Safety belt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nd car
JP2000135103A (en) Synthetic resin buckle
US10791801B2 (en) Seat belt buckle release assist device
EP3296188A1 (en) Control mechanism for dynamic balancing vehicle
JP5049399B1 (en) Buckle with locking mechanism
KR102046845B1 (en) Mountain climbing stick
JP2010029357A (en) Connecting fitting and walking stick
KR20070108963A (en) Height adjustable hand strap for passenger
US11528962B2 (en)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JP4081505B1 (en) Binding device for snowboard
KR102139422B1 (en) Optional 3-point belt device on bus seat
CN212878035U (en) Hand-wrist-band-adjustable stick rod handle
TWM582083U (en) Structure for reducing height of fastener
KR101014538B1 (en) A folding device of head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