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08U -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08U
KR20190001908U KR2020190003001U KR20190003001U KR20190001908U KR 20190001908 U KR20190001908 U KR 20190001908U KR 2020190003001 U KR2020190003001 U KR 2020190003001U KR 20190003001 U KR20190003001 U KR 20190003001U KR 20190001908 U KR20190001908 U KR 20190001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main body
inner diameter
beverag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철
Original Assignee
(주)브로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우맥스 filed Critical (주)브로우맥스
Priority to KR2020190003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908U/ko
Publication of KR20190001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합성수지재로 사출기로 사출 성형되어 생산되는 음료용 용기의 내경과 바닥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본체의 보관 운송은 물론 음료를 충진하기 위해 적층되어 있는 음료용기가 용이하게 이탈되어 공급되도록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음료용기에 음료의 자동으로 충전 전후에 이송되는 컨베이어에서 음료용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개방된 상부가 넓고 밀폐된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함몰부(121)가 형성된 바닥면(120)을 갖는 합성수지소재의 본체(110)의 외면에는 라벨지(P)가 일체로 부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경(113) 상부에는 경사부(112)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112)에 연속하여 비닐재질의 덮개(130)를 부착하기 위한 프렌지(114)를 형성하며 내경(113)하부의 소정 위치에 환상의 스토퍼(111)를 구비하고 본체(110)의 하단에는 환상의 돌출턱(12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120)에 형성한 함몰부(121)의 가장자리에는 돌출형성되어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22)에 연속하여 돌출턱사이에는 지지부(123)를 만드는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사출기로 사출 성형되어 생산되는 음료용 용기의 내경과 바닥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본체의 보관 운송은 물론 음료를 충진하기 위해 적층되어 있는 음료용기가 용이하게 이탈되어 공급되도록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음료용기에 음료의 자동으로 충전 전후에 이송되는 컨베이어에서 음료용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음료 커피 등이 충진된 음료용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피 등의 음료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용기의 일종이다.
이와 같이 음료를 충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음료용기는 본체의 측면은 라운딩형태이고 바닥면은 내측 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단순히 음료를 용기에 음료를 충진하는 것이지만 대량으로 생산 판매하기 위해 자동화시스템으로 음료를 충진하는 충진부에 컵을 공급되는 전후공정에서 음료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한 실용신안등록 제442588호는 개방된 상부가 넓고 밀폐된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폭의 받침면(11a)을 두면서 그 중앙에는 함몰부(11b)가 형성된 합성수지소재의 아이엠엘컵본체(11) 성형과 아울러 아이엠엘 컵 본체(11)의 외표면에는 라벨필름(P)이 일체감 있게 입혀지도록 인몰드 사출 성형 제작되는 아이엠엘 컵(10)에 있어서, 상기 아이엠엘 컵본체(11)의 받침면 가장자리에는 아이엠엘 컵본체(10)가 안착되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바닥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컵본체(11)가 안착되는 바닥으로부터 0.1mm 내지 2.0mm의 간격을 갖는 돌출턱(11c)이 형성되고, 돌출턱(11c)으로 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바닥과 선(線)접촉하는 받침돌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라벨필름(P)의 종단은 상기 돌출턱(11c)의 종단에 접하여 인몰드 사출 성형되 것을 제안되었다.
또 성형된 음료용기의 운반과 저장의 편의를 위해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컵본체를 적층하여 이동하게 되고 또 컵본체에 음료를 충진하기 위하여는 컵본체를 일정한 시간과 간극을 주고 컵본체 하나씩 공급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컵본체는 적층된 상태의 컵본체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적층된 용기중에서 가장 밑에 있는 컵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반복하여 하나씩 공급하여 음료를 충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실용신안은 컵본체가 충진부로 이동하는 콘베이어벨트 위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컵본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위에 적층된 컵본체의 외면과 아래에 위치하는 컵본체의 내경이 면접촉되어 적층되는 것이므로 적층된 상.하 컵본체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어 가장 밑에 있는 컵본체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못하거나 이탈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못하여 이탈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동시에 상.하에 적층된 컵본체가 분리되지 못하고 동시에 두개의 컵본체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음료를 충진하는 충진부에 컵본체를 공급하는데 에러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258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적층된 빈 음료용기에 음료를 충진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콘베이어벨트 위에 용이하게 공급하고 음료의 충진 전.후 콘베이어벨트 위에서 이동한 과정에서 음료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개방된 상부가 넓고 밀폐된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함몰부가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합성수지소재의 본체의 외면에는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경 상부에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 연속하여 비닐재질의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프렌지를 형성하며 내경 하부의 소정 위치에 환상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본체의 하단에는 환상의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한 함몰부의 가장자리에는 돌출형성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에 연속하여 돌출턱사이에는 지지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의 내부지름은 받침대의 외부지름과 동일하게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 다수개의 돌기를 돌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의 밑면은 소정의 넓이를 갖고 본체의 하단에 형성한 돌출턱의 끝점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음료용기를 적층보관하여 운송비가 저렴해지고 음료용기에 음료를 충진하는 충진부에 음료용기를 공급할 시에 적층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맨밑에 적층되어 있는 음료용기가 용이하게 순차적으로 이탈되고 일정 간극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의 하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음료용기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가 적층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적층된 음료용기가 공급된 것을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음료용기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음료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가 적층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적층된 음료용기가 공급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개방된 상부가 넓고 밀폐된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함몰부(121)가 형성된 바닥면(120)을 갖는 합성수지소재의 본체(110)의 외면에는 라벨지(P)가 일체로 부착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110)의 내경(113) 상부에는 경사부(112)와 프렌지(114)를 형성하고 내경(113)하부에는 스토퍼(111)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돌출턱(124)이 형성되고, 바닥면(120)에 함몰부(121), 상기 함몰부(121)의 가장자리에는 받침대(122), 상기 받침대(122)의 연속하여 지지부(123)가 형성된다.
음료용기(100)는 음료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넓고 개방되고 하부는 좁게 만든 바닥면(120)을 구비한 본체(110)와 본체(110)에 음료를 충진한 후에는 본체(110)의 상부에 비닐 재질의 덮개(130) 등으로 부착밀봉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외면에는 제품명, 제조년월, 사용방법, 제조자의 연락처 등을 문자, 도형, 사진을 인쇄하여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되어 사출성형된다.
상기 본체(110)를 상부는 넓고 하부를 좁게 만드는 것은 음료용기(110)에 음료를 충진하기 전에 음료용기(10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본체(110)를 적층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고 또 음료용기(110)에 음료를 충진하기 위해 콘베이어벨트 위에 빈 음료용기(10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충진하는 과정에서 적층되어 보관하고 있던 음료용기(100)의 가장하부에 있던 빈 음료용기(100)가 하나씩 이탈되어 콘베이어벨트에 위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빈 음료용기(100)가 자중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부(112)는 본체(110)의 내경(113) 상부에 형성하는데 외부로 경사를 갖는 둔각으로 하고 상기 경사부(112)의 일단에는 프렌지(114)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는 일직선으로 만들지 않고 둔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112)를 만들어 음료용기(100)의 상부가 넓어 위에 있는 음료용기(100)가 아래 음료용기(100)에 들어가는 음료용기(100)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쉽게 들어가 적층되도록 하였고 또 적층된 빈 음료용기(100)가 용이하게 이탈되어 음료용기(100)를 콘베이어밸트에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한 프렌지(114)는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필름형상의 덮개(130)가 입체적으로 접착 실링되어 보다 완벽한 접착력과 밀봉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10)의 내경(113) 하단에 형성한 스토퍼(111)의 상부면은 평면의 단턱을 만들고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111)는 음료용기(100)의 좁은 하부의 외경이 밑에 있는 음료용기(100)의 내경(113)으로 들어가 놓여 적층되는데 상기 스토퍼(111)가 형성된 부분 아래로 위에 적층되는 음료용기(100)의 받침대(112)가 더이상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적층된 음료용기(100)들의 바닥면(120)과 바닥면(1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위에 얹져진 음료용기(100)의 바닥면(120)에 형성한 받침대(122) 및 돌출턱(124)과 아래에서 받치는 음료용기(100)의 바닥면(12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용기의 바닥면(120)이 파손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본체(11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마찰력을 줄여 음료용기(100)를 콘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111)의 내경(113) 지름(D1)은 받침대(122)의 외부지름(D2)과 동일하게 만들어 사용한다
음료용기(100)의 적층시에 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124)이 스토퍼(111)에 단턱(115)에 얹져지고 스토퍼(111)의 내경(D1)으로 받침대(112)가 인입되면서 음료용기(100)가 적층하는 것으로 스토퍼(111)의 상면에 만든 단턱(115)의 넓이(W1)는 지지부(123)의 길이와 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턱(124)의 두께를 합한 넓이(W2)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만들고 스토퍼(111)의 내경지름(D1)은 본체(110)의 받침대(122)의 외경지름(D2)만큼의 넓이로 만들어 컵 적층시에 받침대(112)는 환형의 스토퍼(111)의 내경으로 들어가고 돌출턱(124)은 단턱(115)의 상부에 얹져져 지지되도록 하였다.
또 스토퍼(111)의 하부면에 형성한 경사면(116)은 단턱(115)의 내경으로 받침대(112)가 들어가는 경우에도 단턱(115)의 하부면과 받침대(112)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밑의 음료용기(110)와 위의 음료용기(110)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하였다.
따라서 아래의 음료용기(100)에 위의 음료용기(100)가 얹져 있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대량으로 음료를 충진하여 생산하는 자동시스템에 음료용기(100)를 공급할시에 가장 밑에 있던 음료용기(100)가 쉽게 콘베이어벨트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11)는 내경(113) 전체에 돌출형성하여 환상으로 만들수도 있고 일정한 간극을 두고 다수개의 돌기를 돌출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바닥면(120)의 중앙을 함몰시켜 함물부(121)를 만들고 상기 함몰부(121)의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부분에는 함몰하지 않는 받침대(122)를 만들고 상기 받침대(122)에 연속하여 지지부(123)를 만들고 상기 지지부(123)에 연속하여 본체(110)의 하단에는 돌출턱(124)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122)는 본체(110)의 하단에 형성한 돌출턱(124)의 끝점보다 더 아래(G)에 위치되고 소정의 넓이(W3)를 갖도록 형성하여 음료용기(100)가 콘베이어벨트 위에 얹져져 이동하는 과정에서 받침대(12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안정적으로 음료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123)는 받침대(122)와 돌출턱(124)을 일체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것으로 돌출턱(124)과 받침대(122)의 간극을 부여하는 것으로 지지부(123)의 길이는 단턱(115)의 넓이 보다 약간 짧게 만든다.
본체(110)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돌출턱(124)은 음료용기(100)가 평상의 콘베이어벨트위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받침대(122)에 의하여 지지되지만 콘베이어벨트 위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콘베이어벨트 흔들림 등으로 음료용기(100)가 기울어 졌을시에는 돌출턱(124)이 콘베이어벨트에 지지되어 음료용기(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음료용기 110 : 본체
111 : 스토퍼 112 : 경사부
113 : 내경 114 : 프렌지
115 : 단턱 116 : 경사면
120 : 바닥면 121 : 함몰부
122 : 받침대 123 : 지지부
124 : 돌출턱 P : 라벨지
D : 지름 W : 넓이

Claims (1)

  1. 개방된 상부가 넓고 밀폐된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함몰부(121)가 형성된 바닥면(120)을 갖는 합성수지소재의 본체(110)의 외면에는 라벨지(P)가 일체로 부착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렌지(114)는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필름형상의 덮개(130)가 입체적으로 접착 실링되어 보다 완벽한 접착력과 밀봉력을 가진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경(113) 상부에는 경사부(112)와 프렌지(114)를 형성하고 내경(113)하부에는 스토퍼(111)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돌출턱(124)이 형성되고, 바닥면(120)에 함몰부(121), 상기 함몰부(121)의 가장자리에는 받침대(122), 상기 받침대(122)의 연속하여 지지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경(113) 하단에 형성한 스토퍼(111)의 상부면은 평면의 단턱을 만들고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111)는 내경(113) 전체에 돌출형성하여 환상으로 만들고, 또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 다수개의 돌기를 돌출성형하고,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바닥면(120)의 중앙을 함몰시켜 함물부(121)를 만들고 상기 함몰부(121)의 가장자리와 연속되는 부분에는 함몰하지 않는 받침대(122)를 만들고 상기 받침대(122)에 연속하여 지지부(123)를 만들고 상기 지지부(123)에 연속하여 본체(110)의 하단에는 돌출턱(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KR2020190003001U 2019-07-17 2019-07-17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KR201900019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01U KR20190001908U (ko) 2019-07-17 2019-07-17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01U KR20190001908U (ko) 2019-07-17 2019-07-17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59U Division KR20170003853U (ko) 2017-10-30 2017-10-30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08U true KR20190001908U (ko) 2019-07-26

Family

ID=6743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01U KR20190001908U (ko) 2019-07-17 2019-07-17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90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88B1 (ko) 2001-10-31 2004-08-0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멀티보일러의 온수제어장치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88B1 (ko) 2001-10-31 2004-08-0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멀티보일러의 온수제어장치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266B (fi) Kaerlhaollande saete foer formgjuten bricka.
US3612342A (en) Container lid
CN102791591A (zh) 具有位于封闭件中的盛舀器皿和盛舀器皿保持器的容器
US20140001179A1 (en) Integrated measuring scoop apparatus
US20090294460A1 (en) Coffee cup lid
US3269588A (en) Plastic overcap
CN105143058A (zh) 低型面量取勺
US11155390B2 (en) Coupled structure between pouring spout of refill container and pouring unit of packaging container
JPH06507594A (ja) 大容積の蓋付き容器
CN103096950A (zh) 用于柱形容器的包装件
US5947319A (en) Paint can lid with wire handle engagement
US6745900B2 (en) Case with a foldable lid
EP1337439B1 (en) Liquid container
KR20190001908U (ko)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KR20170003853U (ko)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US20030111468A1 (en) Beverage container
KR20170001172U (ko) 스토퍼가 구비된 음료용 용기
KR102270703B1 (ko) 리필용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US8261935B2 (en) Hinged lid with retaining feature
US11312559B2 (en) Packaging tray
US11845591B2 (en) Pouring spout
WO2006053035A1 (en) Pouring closure
EP0667300A1 (en) Package with a lightweighted closure system
JPH07149335A (ja) ボトル状プラスチック容器
CN207072496U (zh) 罐盖扣合结构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