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53A -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1853A KR20190001853A KR1020170082025A KR20170082025A KR20190001853A KR 20190001853 A KR20190001853 A KR 20190001853A KR 1020170082025 A KR1020170082025 A KR 1020170082025A KR 20170082025 A KR20170082025 A KR 20170082025A KR 20190001853 A KR20190001853 A KR 20190001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output
- frequency signal
- signal
- output pad
-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18/1233—Generators therefor with circuits for assuring patient saf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지방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지방 제거 장치는 인체 피부와 접하도록 면 형태를 이루는 저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주파 신호와 상기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중고주파 합성부; 및 상기 저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인체 피부와 접하면서 상기 합성 신호를 상기 인체 피부에 통전시키는 외부 출력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출력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방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이어트 장치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이어트에는 여러가지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이어트는 복부에 있는 피하 지방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하 지방은 셀루라이트로 둘러싸인 지방 과립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셀루라이트 층에 의해 지방 분해 효소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셀루라이트로 둘러싸인 지방은 운동을 한다고 해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복부지방 제거 장치는 크게 기계적인 운동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방식인 장치와 초음파나 전기 자극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방식인 장치가 존재한다.
기계적인 운동방식의 지방 제거 장치로는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117612호가 있으며, 초음파 자극 방식과 전기 자극 방식을 병용한 지방 제거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0611142가 있다.
본 발명에 언급되는 중주파 및 고주파의 피하 지방 제거 효과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주파(의료 및 피부 미용분야에서는 예컨대 1KHz 내지 10KHz(혹은 100KHz)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는 전자기파의 주파수에 의한 분류에서 볼 때 저주파와 고주파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는 파를 말하며, 중주파를 이용한 기기는 근육을 강화시키는 목적 또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주파는 의료 및 피부 미용분야에서는 예컨대 100KHz 이상의 주파수로 정의될 수 있으며, 피부 미용기술분야에서는 그 범위가 다양하며, 파장이 매우 짧기 때문에 상당히 강한 진동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고주파를 피부 미용에 이용하는 경우에, 그 물리적 기능으로서 고주파가 피부내로 침투하면 세포핵 내에까지의 진동을 전달하게 되고, 세포와 세포끼리 서로 충돌하게 되어, 결국 세포운동을 자극함으로써 세포 물질대사나 재생활동이 활성화 되도록 하며, 특히 지방세포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에 셀루라이트(비만세포의 확장으로 인하여 늘어진 피부)층의 배출효과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한편, 강한 진동에 의하여 유발되는 열은 대부분 혈액에 흡수되어 이동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혈관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그 화학적 기능으로서, 섬유아 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 단백질 합성능력을 개선시킴으로써 주름살이 펴지는 등의 기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주파는 중주파, 저주파와 비교할 때 가장 우수한 지방 분해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만 고주파는 인체가 인지하기 어려운 주파수로서 사용자가 고주파로 인한 지방 분해 효과를 체감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하여 지방 분해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가 지방 분해 작용을 체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지방 분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배치된 외부 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지방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는, 인체 피부와 접하도록 면 형태를 이루는 저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주파 신호와 상기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중고주파 합성부; 및 상기 저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인체 피부와 접하면서 상기 합성 신호를 상기 인체 피부에 통전시키는 외부 출력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출력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운동으로 쉽게 제거되지 않는 피하 지방을 고주파 신호 성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음은 물론 중주파 신호 성분을 이용하여 근육에 자극을 줌으로써 지방이 분해되고 있다는 점을 사용자의 촉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지방 제거 장치를 이용하는 심리적 만족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지방 제거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중고주파 합성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중고주파 합성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의 복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지방 제거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중고주파 합성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중고주파 합성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의 복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의 사시도 및 저면도가 도시되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지방 제거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1 (a)를 참조하면, 지방 제거 장치(100) 는 본체(101)저면(101b) 및 조작모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지방 제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도 1에 도시된 구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1)는 조작모듈(131)이 형성된 상면(101a)과 인체 피부와 접하도록 면 형태를 이루는 저면(10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101a)과 저면(101b)는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1)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작모듈(131)은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제어 또는 조작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원 스위치(132), 제어 스위치(133) 및 상태 표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모듈(131)은 본체(101)의 상면(101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조작모듈(131)는 원, 타원,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방 제거 장치(100)는 조작모듈(131)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본체(101)에 전원 스위치(132), 제어 스위치(133) 및 상태 표시부(141)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 상에는 근접 센서(134), LED 소자(142) 및 외부 출력 패드(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출력 패드(170)에 온도 센서(135)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저면(101b)은 사용자가 지방 제거 장치(100)를 사용할 때 인체 피부와 접하는 쪽에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저면(101b)은 편평한 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체 피부와 접하는 면적을 제한하기 위해 굴곡이 있는 면일 수도 있다.
근접 센서(134)는 지방 제거 장치(100)와 대상 물체(예컨대 인체 피부) 간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근접 센서(134)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제거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지방 제거 장치(100)를 사용할 준비가 된 것으로 판단되어 지방 제거 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4)는 광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4)는 예컨대 빛의 송신에서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 또는 송신된 빛과 수신된 빛의 상대적인 세기 차이를 이용하여 지방 제거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5)는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35)는 고주파에 의한 온도상승을 감지하고,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135)는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고주파에 의한 온도 상승 정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지나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 제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LED 소자(142)는 광테라피(Phototherapy)를 통해 인체 피부의 세포활성화를 시킬 수 있다. 세포활성화 촉진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재생이 촉진될 수 있다.
외부 출력 패드(170)는 저면(101b)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인체 피부와 접하면서 고주파 신호, 중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인체 피부에 통전시킬 수 있다. 외부 출력 패드(170)는 전극단자일 수 있으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출력 패드(170)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주파 신호, 중주파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인체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외부 출력 패드(170) 이외에, 고주파 신호만을 인체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외부 출력 패드(170) 또는 중주파 신호만을 인체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외부 출력 패드(170)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방 제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저장 장치(150), 송수신 장치(160) 및 버스(bu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 장치(160)는 지방 제거 장치(100)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버스(180)는 지방 제거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5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지방 제거 장치(100) 중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는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방 제거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고주파 발생기(111), 고주파 발생부(112), 고주파 출력 제어부(113), 중주파 발생기(114), 중주파 발생부(115), 중주파 출력 제어부(116), 중고주파 합성부(117), 입력 인터페이스(130) 및 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전원 스위치(132), 제어 스위치(133), 근접 센서(134) 및 온도 센서(135)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상태 표시부(141), LED 소자(142), 중고주파 출력부(143) 및 열전 소자(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135), 중고주파 출력부(143) 및 열전 소자(144)는 외부 출력 패드(17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표시부(141)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지방 제거 장치(100)가 출력하고 있는 신호에 대한 정보,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 작동 시간 및 남은 작동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41)는 디스플레이, LED, 스피커, 진동 장치 등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110)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예컨대 입력 인터페이스(130)에 포함된 전원 스위치(132), 제어 스위치(133), 근접 센서(134) 및 온도 센서(135)로부터 수신된 신호(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스위치(132)를 통해 입력된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가 프로세서(110)에 수신될 수 있고, 제어 스위치(133)를 통해 입력된 지방 제거 장치(100)의 출력 강도 또는 작동 기능을 결정하는 신호가 프로세서(110)에 수신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신호(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134)를 통해 지방 제거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산출된 거리가 프로세서(1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신호를 통해 파악되는 지방 제거 장치(100)와 대상 물체 사이의 산출된 거리에 따라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135)가 외부 출력 패드(170)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온도 센서(135)를 통해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에 관한 정보가 프로세서(110)에 전송되어 프로세서(110)는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에 기초하여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고주파 출력부(143)로부터 외부 출력 패드(170)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온도 센서(135)를 통해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온도 센서(135)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 증가를 막기 위해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열전 소자(144)를 작동시키거나 지방 제거 장치(10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여기서, 열전 소자(144)는 펠티어 소자로서 펠티에 효과에 의해 열전 소자(144)의 한쪽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열전 소자(144)의 다른 쪽은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열전 소자(144)의 흡열하는 쪽이 외부 출력 패드(17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열전 소자(144)가 외부 출력 패드(170)를 냉각시킴으로써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고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지방 제거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로서 3~4V, 1,800mA 정도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를 구동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중고주파 출력부(143)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 또는 고주파 신호의 출력이 크지 않아 외부 출력 패드(170)의 온도 증가의 폭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는 열전 소자(14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어 스위치(133)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가 외부 출력 패드(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지방 제거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 및 합성 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고주파 발생기(111)는 크리스탈(또는 레조네이터)를 이용하여 고주파 신호의 소스인 구형파 또는 사인파(예컨대 약 0.5MHz 또는 약 1MHz)를 발생시킬 수 있고, 중주파 발생기(114)는 중주파 신호의 소스인 구형파 또는 사인파(예컨대 약 1KHz 내지 1.1KHz)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고주파 발생기(111) 및 중주파 발생기(114)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 및 중주파는 전술한 파장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고주파 발생부(112)는 고주파 발생기(111)로부터 발생한 약 0.5MHz 또는 약 1MHz 구형파 또는 사인파를 통해 실제 출력될 고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고주파 출력 제어부(113)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고주파 발생부(112)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신호의 출력(또는 세기)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고주파 출력 제어부(113)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진폭, 작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중주파 발생부(115)는 중주파 발생기(114)로부터 발생한 약 1KHz 내지 1.1KHz 구형파 또는 사인파를 통해 실제 출력될 중주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중주파 출력 제어부(116)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중주파 발생부(115)에서 생성되는 중주파 신호의 출력(또는 세기)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중주파 출력 제어부(116)는 중주파 신호의 주파수, 진폭, 작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112) 및 중주파 발생부(115)는 중고주파 합성부(117)로 각각 생성된 고주파 신호 및 중주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본체(101)에 내설되고 고주파 발생부(112) 및 중주파 발생부(115)로부터 각각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합성 신호를 외부 출력 패드(170)에 포함된 중고주파 출력부(143)로 전송할 수 있으며, 중고주파 출력부(143)는 중고주파 합성부(117)로부터 수신한 합성 신호를 외부 출력 패드(170)에 전달함으로써 합성 신호를 인체 피부에 통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합성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합성 신호의 변화를 위해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가 동시에 변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합성 신호 중 중주파 신호만 단독으로 변화하거나 고주파 신호만 단독으로 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반복적으로 출력을 온/오프(on/off)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드미컬한 합성 신호를 통해 자극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합성 신호의 주파수 또는 세기의 변화는, 제어 스위치(133)로부터 감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가 '강, 중, 약' 3가지인 경우 '강' 신호가 지방 제거 장치(100)로 입력되면 상대적으로 큰 진폭의 합성 신호를 출력하면서, 진폭의 크기를 자동으로 키웠다 줄였다 할 수 있다.
만약 '약' 신호가 지방 제거 장치(100)로 입력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진폭의 합성 신호를 출력하면서, 진폭의 크기를 자동으로 키웠다 줄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로부터 사용자는 출력의 가변을 체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고주파 출력부(143)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세기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서히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갑자기 큰 출력의 신호가 통전되어 신경이 충격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지방 제거 장치(100)는 전원이 켜지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 후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배터리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많은 자극을 받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인체 피부에 통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피하 지방을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음은 물론 중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근육에 자극을 줌으로써 지방 제거 장치(100)에 의한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신호뿐 아니라 중주파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지방이 분해되고 있다는 점을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중고주파 합성부(117)에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 및 중주파 신호(예컨대 세기)는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몇몇 실시예에서 중고주파 합성부(117)에 고주파 신호 및 중주파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되는 경우, 중고주파 합성부(117)에 의해 생성되는 합성 신호는 고주파 신호이거나 중주파 신호일 수 있다. 즉, 중고주파 합성 합성부(117)는 고주파 신호 또는 중주파 신호 중 하나의 신호만 중고주파 출력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고주파 출력부(143)는 고주파 신호 또는 중주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만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는 외부 출력 패드(170)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거나 중주파 신호를 출력하거나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지방 제거 장치(100)가 고주파 신호나 중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지방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주파 신호나 중주파 신호의 출력 세기(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고주파 신호나 중주파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예컨대 고주파인 경우 약 0.5MHz 내지 약 1MHz, 중주파인 경우 약 1KHz 내지 1.1KHz)로 출력을 온/오프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의 변화를 체감하여 지방 분해되고 있다는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지방 제거 장치(100)는 저면(101b)에 광테라피(Phototherapy)가 가능한 LED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방 제거 장치(100)는 LED 소자를 통해 인체 피부의 세포활성화를 시킬 수 있다. 세포활성화 촉진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재생이 촉진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고주파 합성부(117)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고주파 합성부(117)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가 도시된다.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고주파 발생부(112)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발생부(115)에서 발생된 중주파 신호를 전자 유도 방식을 통해 합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제1 내지 제3 인덕터(L1, L2, L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고주파 발생부(112)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고주파 발생부(112)와 연결된 제1 인덕터(L1)에 인가시킬 수 있고, 중주파 발생부(115)에서 생성된 중주파 신호를 중주파 발생부(115)와 연결된 제2 인덕터(L2)에 인가시킬 수 있다.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에서 흐르는 전류는 중고주파 합성부(117)에 포함된 변환기를 통해 합성될 수 있다. 합성 신호는 중고주파 출력부(143)와 연결된 제3 인덕터(L3)를 통해 중고주파 출력부(143)로 전달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에 각각 고주파 신호 및 중주파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 유도 방식을 통해 제3 인덕터(L3)에 합성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고주파 합성부(117)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고주파 합성부(117)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가 도시된다.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직류(DC) 신호와 교류(AC) 신호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112)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발생부(115)에서 발생하는 중주파 신호를 비교할 때, 중주파 신호는 실제로는 교류(AC)이지만 상대적으로 직류(DC) 직류 신호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발생부(112)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교류(AC) 신호로 가정하고, 중주파 발생부(115)에서 생성된 중주파 신호를 직류(DC) 신호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 하에,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교류 신호인 고주파 신호를 캐패시터(Capacitor; C)를 통해 필터시킬 수 있다. 캐패시터(C)를 통해 필터된 교류 신호와 직류로 가정된 중주파 신호를 도 5에 기재된 회로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중고주파 출력부(143)는 직류 신호와 교류 신호를 합성하는 방법을 통해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캐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중주파 신호를 기본 신호로 하고 중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중고주파 합성부(117)를 통해 합성된 합성 신호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가 도시되고, 도 7을 참조하면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가 도시되고, 도 8을 참조하면 중고주파 합성부에서 합성된 신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가 도시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고주파 발생부(112)로부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b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중주파 발생부(115)로부터 수신한 중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c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이 중주파 신호의 진폭의 1/2일 경우, 중고주파 합성부(117)에서 합성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합성 신호는 중주파 신호와 비교할 때, 마루와 골이 2배가 될 수 으며, 쉽게 말해 합성 신호의 진폭은 중주파 신호의 진폭이 2배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고주파 발생부(112)로부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b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중주파 발생부(115)로부터 수신한 중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c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이 중주파 신호의 진폭의 1/4일 경우, 중고주파 합성부(117)에서 합성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합성 신호는 중주파 신호와 비교할 때, 마루와 골이 1.5배가 될 수 으며, 쉽게 말해 합성 신호의 진폭은 중주파 신호의 진폭이 1.5배가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고주파 발생부(112)로부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b는 중고주파 합성부(117)가 중주파 발생부(115)로부터 수신한 중주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c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이 중주파 신호의 진폭과 동일할 경우, 중고주파 합성부(117)에서 합성된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합성 신호는 중주파 신호와 비교할 때, 마루와 골이 3배가 될 수 으며, 쉽게 말해 합성 신호의 진폭은 중주파 신호의 진폭이 3배가 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중고주파 합성부(117)는 중주파 신호를 기본 신호로 하고 중주파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 신호를 생성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합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외부 출력 패드(170)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의 복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저면도가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에 배치된 외부 출력 패드(17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외부 출력 패드(170)의 형상은 도 9a, 9b 및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외부 출력 패드(170)는 적어도 하나의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의 타원의 경계면을 따라서 LED 소자(142)가 배치될 수 있다. LED 소자(142)는 정형적으로 배치되어 LED 소자(14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는, LED 소자(142)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LED 소자(142)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 상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출력 패드(170)의 형상 및 크기, 외부 출력 패드(170) 사이의 거리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방 제거 장치(100)는 근접 센서(134)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출력 패드(170)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170a, 170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170a, 170b)는 각각 복수개이고,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170a, 170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쌍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출력 패드(170)는 미리 설정된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와 미리 설정된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로 구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170a, 170b)는 중주파 신호, 고주파 신호 및 합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170a, 170b)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는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출력하는데 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고주파 신호를 집약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고주파 신호가 넓은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방 분해 효과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제한되는 경우,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에 비해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정형적으로 배치되어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의 거리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의 타원의 경계면을 따라서 LED 소자(142)가 배치될 수 있다. LED 소자(142)는 정형적으로 배치되어 LED 소자(14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는, LED 소자(142)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는 외부 출력 패드(170)의 크기 및 외부 출력 패드(17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다양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와 LED 소자(14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와 LED 소자(142)는 정형적으로 배치되어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도 11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는 도 10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와 달리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를 외곽에 배치함으로써 고주파 신호가 지방 제거 장치(100)의 둘레를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도 12a, 도 12b). 또한 외부 출력 패드(17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12c). 또한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도 12d).
도 12a의 경우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일자 형태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고주파 자극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a를 참조하면, 4개의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의 극성이 차례로 +, -, +, -로 배치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4개의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의 극성이 차례로 +, +, -, -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한 +극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와 -극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에 고주파 자극이 형성될 뿐 아니라, 서로 이격된 +극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와 -극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에도 고주파 자극이 형성되므로써 다양한 조합의 고주파 자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b의 경우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링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c의 경우 외부 출력 패드(170)는 링의 중심을 분리해 놓은 분리된 링 형태로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d의 경우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둘레를 따라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고 있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2개의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서로 이격되어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즉,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2d에 도시된 지방 제거 장치(100)에 따르면,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와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인접하여 배치됨에 따라 서로 다른 2가지 자극이 사용자 피부의 같은 위치를 자극함으로써 지방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LED 소자(142)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에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받깥쪽에서 타원의 경계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저면(101b)의 중심에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12a).
또한, LED 소자(142)는 지방 제거 장치(100)의 저면(101b)에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의 받깥쪽에서 타원의 경계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제1 외부 출력 패드(170a)와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될 수 있고,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LED 소자(142)는 정형적으로 배치되어 LED 소자(14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는, LED 소자(142)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LED 소자(142)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온도 센서(135)는 외부 출력 패드(170)에 포함될 수 있다(도 12c). 온도 센서(135)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에 포함될 수 있다(도 12a, 도 12b, 도 12d).도 13을 참조하면,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가 비정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의 거리는,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도 13에 따른 지방 제거 장치(100)에서 제2 외부 출력 패드(170b)는 비정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규칙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지방 분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 인체 피부와 접하도록 면 형태를 이루는 저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고 고주파 신호와 중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주파 신호와 상기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중고주파 합성부; 및
상기 저면에 노출하도록 배치되며, 인체 피부와 접하면서 상기 합성 신호를 상기 인체 피부에 통전시키는 외부 출력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출력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고주파 합성부에 수신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중주파 신호의 세기는 조절 가능하고,
상기 중고주파 합성부에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중주파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고주파 합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합성 신호는 상기 고주파 신호이거나 상기 중주파 신호인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패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외부 출력 패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외부 출력 패드를 냉각시키는 열전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지방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고주파 합성부는 상기 중주파 신호를 기본 신호로 하고 상기 중주파 신호에 상기 고주파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합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고주파 합성부는 제1 내지 제3 인덕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에 각각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중주파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 유도 방식을 통해 제3 인덕터에 상기 합성 신호가 발생하는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패드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는 각각 복수개이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출력 패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외부 출력 패드에 의해 둘러싸인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출력 패드는 상기 제2 외부 출력 패드에 의해 둘러싸인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출력 패드는 상기 제2 외부 출력 패드에 비해 크기가 큰 것인, 지방 제거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출력 패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외부 출력 패드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2 외부 출력 패드 사이의 거리와 다른 것인, 지방 제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025A KR101975594B1 (ko) | 2017-06-28 | 2017-06-28 |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025A KR101975594B1 (ko) | 2017-06-28 | 2017-06-28 |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853A true KR20190001853A (ko) | 2019-01-07 |
KR101975594B1 KR101975594B1 (ko) | 2019-08-23 |
Family
ID=6501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2025A KR101975594B1 (ko) | 2017-06-28 | 2017-06-28 |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59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2005A (ko) | 2005-12-29 | 2006-01-06 | 임수향 |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
JP2010057805A (ja) * | 2008-09-05 | 2010-03-18 | Techno Link Co Ltd | 生体刺激装置 |
KR20110039970A (ko) | 2009-10-13 | 2011-04-20 | 윤학균 | 복부지방 제거장치 |
JP2015163145A (ja) * | 2014-02-28 | 2015-09-10 | バイオアイ株式会社 | 生体電気刺激装置 |
KR101715647B1 (ko) * | 2016-12-09 | 2017-03-13 |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 고주파 자극으로 피부결과 탄력을 동시에 개선하는 페이스 리프팅 장치 |
-
2017
- 2017-06-28 KR KR1020170082025A patent/KR1019755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2005A (ko) | 2005-12-29 | 2006-01-06 | 임수향 |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
JP2010057805A (ja) * | 2008-09-05 | 2010-03-18 | Techno Link Co Ltd | 生体刺激装置 |
KR20110039970A (ko) | 2009-10-13 | 2011-04-20 | 윤학균 | 복부지방 제거장치 |
JP2015163145A (ja) * | 2014-02-28 | 2015-09-10 | バイオアイ株式会社 | 生体電気刺激装置 |
KR101715647B1 (ko) * | 2016-12-09 | 2017-03-13 |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 고주파 자극으로 피부결과 탄력을 동시에 개선하는 페이스 리프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594B1 (ko) | 2019-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33595B2 (en) |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 |
KR200498115Y1 (ko) | 환자의 미용 시술을 위한 디바이스 | |
US10639229B2 (en) | Three-dimensional negative pressure stimul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customized composite stimulation for improvement of skin functions | |
KR100866378B1 (ko) | 뇌파를 주요치료정보로 사용하는 저주파 자기물리치료장치 | |
JP6768788B2 (ja) | フェイスリフト機 | |
KR101999088B1 (ko) | 모션 감지 기능을 구비한 복합형 피부 미용기기 | |
KR200412781Y1 (ko) |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 |
CN204864563U (zh) | 具复合功能的电极贴片 | |
KR101034029B1 (ko) |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 |
KR100649935B1 (ko) | 고주파 전기 발모기 | |
CN101138519A (zh) | 电热疗法设备 | |
JP2005245585A (ja) | 顔面マッサージのための電気的刺激装置 | |
US20170348520A1 (en) | Electroceutical device and wrap for using the same | |
KR101692931B1 (ko) | 저주파의 갈바닉 전류를 이용하여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피부 미용기기 | |
WO2018071426A1 (en) |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 |
KR20190001853A (ko) | 중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의 합성 신호를 이용한 지방 제거 장치 | |
CN106038245A (zh) | 一种智能复合声波通经络养生仪 | |
KR20180074465A (ko) | 고주파 조사량 및 습도 조절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주파를 이용한 미용의료 장치 | |
KR102341817B1 (ko) | 스마트 스킨 케어 디바이스의 구동 제어 방법 | |
CN216091369U (zh) | 皮肤护理设备 | |
CN210447859U (zh) | 一种脑电仿生刺激仪 | |
CN210078618U (zh) | 一种组合式反向生物波保健设备及保健仪器 | |
KR20020065308A (ko) | 휴대용 안면피부 미용/비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
JP5780432B2 (ja) | 脳疲労及び/又はうつ治療装置の作動方法 | |
KR102341818B1 (ko) | 스마트 스킨 케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