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767U - A Trampolines - Google Patents

A Trampol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767U
KR20190001767U KR2020180000004U KR20180000004U KR20190001767U KR 20190001767 U KR20190001767 U KR 20190001767U KR 2020180000004 U KR2020180000004 U KR 2020180000004U KR 20180000004 U KR20180000004 U KR 20180000004U KR 20190001767 U KR20190001767 U KR 20190001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rame
trampoline
fixed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신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철 filed Critical 신승철
Priority to KR2020180000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767U/en
Publication of KR20190001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6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Abstract

본 고안은 점핑시 손잡이를 잡고 운동할 수 있는 트램펄린(trampolin)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 기둥과 고정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 만곡받침부와 고정날개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고정부싱을 장착하기만 하면 손잡이의 기둥이 똑 바로 직립되어 용이하여 조립할 수 있고, 상기 만곡받침부에 의해 결속구 내측에 위치한 기둥이 조임된 상태로 위치되게 되어 상기 손잡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capable of gripping a knob during jum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mpoline which is capable of holding a knob during jumping, The column of the handle can be easily erected and assembled with ease only by mounting the bushing, and the column located inside the binding opening by the curved receiv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tightened state so that the handle is stably fixed without sha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mpoline.

Description

조립의 용이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트램펄린.{A Trampolines}Trampolines with improved ease of assembly and stability. {A Trampolines}

본 고안은 점핑시 손잡이를 잡고 운동할 수 있는 트램펄린(trampolin)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capable of holding a knob during jumping. More specifically, the knob can be easily assembled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and the knob can be stably fixed to the trampoline .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본디 체조선수들이 회전기술이나 착지기술을 익히기 위해 사용하던 기구로써, 특히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유아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노약자들의 건강기구와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In general, trampoline is a device used by bodied gymnasts to learn rotation techniques and landing techniques. Especially, trampolines are used as infant play facilities and athletic athletic facilities because they provide users with the pleasure of flying in the sky. Recently, It is focused on the apparatus and the diet apparatus.

그리고 이러한 트램펄린은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고 특정 개인만을 위해 만들어진 이동식 트램펄린과, 전체적으로 크기가 크고 다수의 사용자들을 위해 만들어져 지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식 트램펄린으로 나뉘어 진다.These trampolines are divided into mobile trampolines, which are small in size overall and made only for a specific individual, and fixed trampolines, which are large in size and fixedly mounted on the ground surface for many users.

즉, 종래의 고정식 트램펄린의 경우는, 점핑매트와 고정 프레임 사이를 탄성부재로 연결하고 동시에 높은 점핑으로 인해 점핑매트 밖으로 사용자가 이탈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두리에 안전 그물망이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동용 트램펄린의 경우는 휴대 및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크기가 작고 절첩되게 구성되면서 별도의 보호장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xed trampoline, a safety net is provided at the rim in order to connect the jumping mat with the fixed frame by an elastic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user from deviating out of the jumping mat due to high jumping and being hurt.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ving trampoline, the size of the trampoline is small and folded in order to secure the ease of carrying and moving, and there is no separate protection device.

이에 본원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원통형의 기둥과 끼움부가 형성된 지지봉을 나란히 형성하여, Therefore,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bar having a cylindrical column and an insert portion is formed side by side,

점핑매트가 장착된 고정 프레임의 받침다리가 상기 지지봉의 끼움부에 끼워지면서 직립되는 한 쌍의 기둥을 연결한 고정 손잡이를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손잡이를 붙잡고 점핑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트램펄린(등록실용신안 제447000호)이 개발되었던 것이다.A trampoline (registration room) for allowing a user to safely grip the jaw and perform a jumping motion through a fixed knob connecting a pair of upright pillars that ar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leg of the fixed frame equipped with the jumping mat, Shinan No. 447000) was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트램펄린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가정집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둥(100)과 지지봉(110) 하단에 점핑시 층간소음 및 충격을 방지를 위하여 고무패킹(120)이 장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받침다리(130)가 지지봉(110)의 내측에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기둥(100)과 지지봉(110)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However, since the movable trampoline is installed in most households as shown in FIGS. 1 to 3, a rubber packing 12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olumn 100 and the support rod 110 to prevent noise and impact between layers when jumping. And the support legs 130 must be fitt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rods 110 so that the posts 100 and the support rod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이러한 받침다리(130)가 지지봉(110)에 끼워진 후에는 만곡된 결속구(140)를 사용해 고정 프레임(150) 외측에 손잡이의 기둥(100)을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데, After the support leg 13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110, the handle 10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ary frame 150 by using a curved binding member 140,

이때 고정 프레임(150)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둥(1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수직을 이루는 고정 프레임(150)과 기둥(100)이 선 접촉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특히 지지봉(110)과 기둥(100)이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프레임(150)과 기둥(110) 역시 서로 이격되어 있어,At this time, the stationary frame 15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column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tationary frame 150 and the column 100, And the column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tationary frame 150 and the column 110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 틈새(160)로 인해 상기 기둥(100)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려고 하면서 결속구(140)의 홀과 고정 프레임(150)의 구멍 위치가 서로 통공되게 맞지 않아 나사와 볼트를 체결하는 데 상당한 불편한 점이 있어 조립시간이 오래 걸렸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The column 100 tends to tilt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e clearance 160 and the hole of the binding hole 140 and the hole position of the fixing frame 150 do not fit each other, The disadvantage was that it took a long time to assemble.

더욱이 결속구(140)로 고정 프레임(150) 외측에 손잡이의 기둥(100)을 고정하더라도 기둥(100)과 고정 프레임(150) 사이는 이격된 틈새(16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 흔들릴 수밖에 없고, 특히 점핑운동을 할 때 기둥(100)이나 지지봉(110)이 충격/하중을 받아 더욱 크게 흔들리면서 손잡이를 잡고 점핑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Since the gap 100 between the column 100 and the fixed frame 150 is formed even if the column 100 of the handle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xed frame 150 with the binding member 140, In particular, when the jumping movement is performed, the shaft 100 or the support rod 110 receives a shock / load and is shaken to a greater extent, so that even if the jumping movement is performed while holding the handle, the handle can not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이러한 고정 프레임(150)은 속이 비어 있고, 손잡이의 기둥(100)이나 지지봉(110)이 흔들릴 때, 결속구(140)를 체결하고 있는 볼트와 나사가 풀어져 버리려고 하고, The fixing frame 150 is hollow and the bolt and the screw fastening the binding opening 140 tries to be loosened when the handle 100 and the supporting bar 110 shake.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타이트(Tight)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 또는 나사의 머리가 손잡이의 흔들림에 의해, 속이 빈 고정 프레임(150) 안쪽으로 파고들어가려고 하면서 볼트의 머리나 나사가 마모되거나 혹은 고정 프레임이 손상되는 일들이 생겨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지 못 하였던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ead of the bolt or screw tightly tightened tends to dig into the hollow fixing frame 150 due to the shaking of the handle, and the head or the screw of the bolt is worn or the fixing frame is damaged There were things that could not be stably supported.

KRKR 20-044700020-0447000 Y1Y1 KRKR 20-026554020-0265540 Y1Y1 KRKR 10-066628010-0666280 B1B1 JPJP 0818277308182773 AA

이에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트램펄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shortening the assembling time because of easy assembly of the handle, and also aiming at the trampoline in which the handle is stably fixed without shaking.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점핑매트가 장착된 고정 프레임에, 원통형의 기둥과 끼움부가 형성된 지지봉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받침다리가 지지봉의 끼움부에 끼움되어지면서 직립될 때,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frame having a cylindrical column and a fitting portion is formed in parallel on a fixed frame equipped with a jumping mat, and when the supporting leg of the fixing frame is held uprightly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rod,

상기 기둥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는, 일측면이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끼워질 때 타측면에는 직립된 기둥이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만곡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받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면서 결속구의 요임부에 안쪽에 위치한 기둥이 조임된 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점핑 운동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손잡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한편, 상기 만곡받침부를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확장된 한 쌍의 고정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개에 결속나사가 고정 프레임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속구의 홀에 끼움되어 지도록 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부싱을 일체로 형성하여,A curved support portion for holding the upright column so as not to be til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hen the one side is closely fitted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xed frame in the spaced space form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fixed frame, The supporting portion is protruded outward so that the pillar positioned inward is positioned in the pivot axis of the binding pivot so that the handle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load or impact generated in the jumping movement while the curved supporting portion is stably supported by the center A fixed bushing having a pair of fixed blade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binding screw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inding hole, Respectively,

상기 기둥과 고정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 고정부싱을 장착하기만 하면 손잡이의 기둥이 기울어짐 없이 바로 조립될 뿐만 아니라 점핑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ly the stationary bushing is mounted on the spaced-apart gap between the column and the stationary frame so that the column of the handle can be assembled straight without being tilted, and stably supported without jolting during jumping.

본 고안은 기둥과 고정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고정부싱을 장착하기만 하면 만곡받침부에 의해 기둥이 흔들림없이 똑바로 직립되고, 이때 상기 만곡받침부의 양측으로 확장된 고정날개의 가이드홀을 통해 결속나사가 고정 프레임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속구의 홀에 용이하게 끼움되어지면서, 손잡이를 조립하고, 그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if a fixed bushing is mounted in a spaced-apart space between a column and a fixed frame, the column is straight upright by the curved support portion without swinging, The screw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inding port through the hole of the fixing frame, and the knob can be assembled, the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기둥과 고정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고정부싱을 장착하기만 하면 만곡받침부가 결속구의 요임부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직립된 기둥이 요임부 안쪽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됨으로써, 점핑 운동시 손잡이를 잡고 운동하더라도 그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흔들림에 의해 결속나사가 풀림되거나 파손/손상되는 일이 최소화되어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inserting the fixing bushing into the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column and the fixed frame, the curved support portion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inding port, and the uprighted column is fixed so as not to move inside the recessed portion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knob while the knob is moved during the jumping exercise can be minimized and stably supported, but also the work of loosening or breaking / damaging the binding screw due to the shaking can be minimized and the quality thereof can be improved .

도 1은 종래 이동식 트램펄린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종래 이동식 트램펄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종래 이동식 트램펄린의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손잡이의 조립 순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 손잡이의 조립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conventional movable trampolin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vable trampolin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movable trampolin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trampo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mpolin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y flow diagram of a trampolin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trampolin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램펄린의 손잡이 기둥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고정 프레임과 기둥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 장착되는 고정날개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날개에 의해 손잡이가 똑바로 직립되면서 용이하게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7은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의 고정부싱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ed blade mounted in a spaced gap between a fixed frame and a colum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lade attached to a gap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colum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fixed bushing when assembling is complet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andle is erected upright by a fixed blade and is easily assembl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식 트램펄린(1)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핑시 손잡이(60)를 잡고 운동하더라도 하중/충격에 의한 손잡이(6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6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trampoline 1. More particularly, even if the grip 60 is moved during jumping, the shake of the grip 60 due to a load / impact is minimized and stably supported, 60 are easily assembled to the trampoline.

이때의 트램펄린(1)은 고정 프레임(30) 안쪽으로 탄성부재(20)에 의해 점핑매트(10)가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승/하강되게 구성한 상태에서, At this time, in the trampoline 1, the jumping mat 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30 by the elastic member 20 and the user is raised / lowe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고정 프레임(30)의 받침다리(33)가 지지봉(41)의 끼움부(42)에 끼워지면서 직립되는 한 쌍의 기둥(40)을 연결하는 고정 손잡이(6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붙잡고 점핑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축한 것으로,A fixing handle 60 for connecting the pair of pillars 40 to be erected while the supporting leg 33 of the fixing frame 30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42 of the supporting bar 41 is provided, It is built to be able to hold jumping movement,

특히 상기 기둥(40)과 지지봉(41)의 하단에는 점핑시 발생하는 층간소음 및 충격을 방지를 위하여 고무패킹(46)이 장착되어지면서 상기 지지봉(41)과 기둥(40) 사이에 이격된 공간(44)을 형성한 상태로 결속구(50)에 의해 기둥(40)이 고정 프레임(30)의 외측면(31)에 고정된다.Particularly, a rubber packing 46 is mounted on the lower ends of the pillars 40 and the support rods 41 to prevent noise and shocks generated during jumping,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rods 41 and the pillars 40 The column 4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tationary frame 30 by the binding port 50 in a state in which the stationary frame 44 is formed.

이때 고정 프레임(30)과 기둥(40) 사이에는 고정부싱(70)이 끼워지면서 이격된 틈새(44a)를 매워주고,At this time, a stationary bushing 70 is inserted between the stationary frame 30 and the column 40 to widen the spaced gap 44a,

특히 상기 고정부싱(70)은 고정 프레임(30)의 외측면(31)을 따라 일측면(71)이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면서 타측면에 형성된 만곡받침부(72)가 직립된 기둥이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고,Particularly, the fixed bushing 70 is fitted in the state where the one side surface 71 is closely attached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31 of the fixed frame 30, while the curved supporting portion 72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is inclined Catch me,

이때 만곡받침부(72)를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30)을 따라 확장된 고정날개(73)에 형성된 가이드홀(74)을 통해 결속나사(2)가 고정 프레임(30)의 구멍(32)을 관통하여 결속구(50)의 홀(52)에 바로 끼움되게 가이드함으로써,The binding screw 2 is screwed into the hole 32 of the fixing frame 30 through the guide hole 74 formed in the fixed blade 73 extending along the fixing frame 30 with the center of the curved supporting portion 72 And is guided to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hole 52 of the binding port 50,

직립된 기둥(40)이 기울어지지 않게 위치된 상태에서 바로 결속나사(2)로 체결되어 용이하게 손잡이가 조립되게 하는 것이다.The upright column 40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screw 2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so as not to be inclined so that the handle can be easily assembled.

이때 고정부싱(70)의 만곡받침부(72)는, 일측면(71)이 고정 프레임(30)의 외측면(31)을 따라 밀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기둥의 외경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며,At this time, the curved support portion 72 of the fixed bushing 70 is formed to be flat so that the one side surface 71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surface 31 of the fixed frame 30, and the other side can cover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umn Respectively,

특히 상기 만곡받침부(72)가 만곡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결속시 기둥(40)이 결속구(80)의 요임부(51)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조임되게 함으로써,Particularly, the curved receiving portion 72 is projected outward in a curved state so that the column 40 is fasten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prong portion 51 of the binding port 80 at the time of binding,

점핑 운동시 받침다리(33)나 기둥(40)이 하중/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기둥(40)이 밀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Even when the pedestal legs 33 and the pillars 40 are subjected to a load / impact during the jumping motion, the pillars 4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pillars 4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winging is minimized and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기둥(40)은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40)의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고정 손잡이(60)의 연결부 역시 상기 기둥(40)과 동일한 간격으로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어, A height adjustment hol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xing handle 6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olumn 40 is also adjusted in height at the same interval as the column 40 A hole is formed,

상기 고정 손잡이(60)의 연결부가 기둥(40)의 삽입구멍에 끼워진 후, 높이조절구멍을 통공되게 위치 조정한 후, 높이조절나사를 끼워 넣어, 손잡이(60)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Afte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xing handle 6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olumn 40, the height adjusting hole is adjusted to be pierced, and then the height adjusting screw is inserted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knob 60. [

또한, 상기 기둥(40)은 점핑매트(10) 하단에 고정 프레임(30)의 받침다리(33)가 끼움부(42)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봉(41)에 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체결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43)에 연결봉(45)을 끼워 넣어 조립함으로써, 상기 기둥(40)이 외측으로 벗어나거나 혹은 점핑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의해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 pillar 40 is fixed to a pair of support rods 41 which ar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42 of the fixing frame 30 at the lower end of the jumping mat 1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rod 45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art 43 so as to prevent the column 40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mpact or load generated when the column 40 is moved outward or jumped. do.

이때 체결부(43)는 연결봉(45)이 끼워지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부(43)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기둥(40)과 지지봉(41)이 서로 수평하게 연결되게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art 43 is for fitting the connecting rod 45,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necting part 43 is extended outward, and the column 40 and the supporting rod 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rizontally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또한, 상기 지지봉(41)과 기둥(40)의 하단에는, 점핑시 발생하는 충격량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점핑시 발생하는 소음이 하부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패킹(46)이 장착되고, A rubber packing 46 is mounted on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rods 41 and the pillar 40 so as to prevent noise generated during jumping from spreading downward while preventing slippage due to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during jumping,

더불어 상기 기둥(40)과 지지봉(41)은 체결부(43)에 의해 수평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봉(41)과 기둥(4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44)이 형성되고, In addition, the column 40 and the support rod 41 are horizontally connected by the fastening portion 43, and a spaced space 44 formed between the support rod 41 and the column 40 is formed,

상기 이격된 공간(44)에는 원통형의 고정핀(47)이 이격된 공간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이격된 공간(44)을 일부 연결하면서 상기 기둥(40)이 흔들림없이 지지되게 한다.A cylindrical fixing pin 47 is joined to the spaced space 44 in a state where the cylindrical fixing pin 47 is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art of the spaced space 44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column so that the column 40 can be supported without shaking do.

또한, 점핑매트(10)와 고정 프레임(30)를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20)에는, 상기 점핑매트(10)와 고정 프레임(30)의 연결부위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너비와 두께를 가진 테두리마감부재가 씌워지고, 결속끈에 의해 테두리마감부재가 고정되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탄성부재나 그 사이 공간에 끼워져 다치거나 부상당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20 connecting the jumping mat 10 and the fixed frame 30 has a width and thickness sufficient to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jumping mat 10 and the fixed frame 30 The frame closing member is put on and the frame closing member is fixed by the binding strap so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does not get caught in the elastic member or the space therebetween and is not hurt or injured.

또한, 고정 프레임(30)은 압출방식에 의해 성형된 내측이 비어 있는 다각형의 프레임으로써, 특히 일측은 탄성부재(20)가 연결되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부싱(7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외측면(31)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에는 복수의 받침다리(33)에 의해 받침되어 진다.The fixed frame 30 is a polygonal frame formed by an extrusion method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Particularly, a means for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20 to one side is formed, and a fixing bushing 70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And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33 at the lower end thereof.

이때 고정 프레임(30)은 한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프레임이 절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 프레임(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이동프레임(34)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프레임(34)이 펴지면서 이동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이 고정 프레임의 받침턱에 걸려 일자로 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이나 사무실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하기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ed frame 30 may be formed as one body, but i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am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each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That is, a movable frame 34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frame 30 is formed, and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movable frame 34 while the movable frame 34 is extended is caught by the base of the fixed frame,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and easily moved even in a narrow space such as a house or an office.

따라서 본 고안은 기둥(40)과 고정 프레임(30) 사이의 이격된 틈새(44a)에 고정부싱(70)을 장착하기만 하면 만곡받침부(72)에 의해 기둥(40)이 흔들림없이 똑바로 직립되고, 이때 상기 만곡받침부(72)의 양측으로 확장된 고정날개(73)의 가이드홀(74)을 통해 결속나사(2)가 고정 프레임(30)의 구멍(32)을 관통하여 결속구(50)의 홀(52)에 끼움되면서, 용이하게 손잡이(60)를 조립하고, 그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xed bushing 70 is mounted on the spaced gap 44a between the column 40 and the fixed frame 30, the column 40 can be stood upright The binding screw 2 passes through the hole 32 of the fixing frame 30 through the guide hole 74 of the fixed blade 73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curved receiving portion 72, 50,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handle 60, shorten the tim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또한, 본 고안은 기둥(40)과 고정 프레임(30) 사이의 이격된 틈새(44a)에 고정부싱(70)을 장착하기만 하면 만곡받침부(72)가 결속구(50)의 요임부(51) 안쪽에서 밀착된 상태로 조임되게 위치되면서 점핑 운동시 손잡이(60)를 잡고 운동하더라도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게 되었으며,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fixing bushing 70 is mounted on the spaced gap 44a between the column 40 and the fixed frame 30, 51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60 safely by moving the knob 60 while the user grips the knob 60. As a result,

특히 점핑시 발생하는 하중(충격량)에 의해 손잡이의 흔들림으로 결속나사(2)가 풀림되거나 파손/손상되는 일이 최소화되어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Especially, since the load (impact) generated during jumping causes the binding screw 2 to be loosened or broken / damaged due to the shaking of the knob, the quality thereof can be improved.

1:트램펄린 2:결속나사
3:볼트 10:점핑매트
20:탄성부재 30:고정 프레임
31:외측면 32:구멍
33:받침다리 34:이동프레임
40:기둥 41:지지봉
42:끼음부 43:체결부
44:이격된 공간 44a:이격된 틈새
45:연결봉 46:고무패킹
47:고정핀 50:결속구
51:요입부 52:홀
60:고정손잡이 70:고정부싱
71:일측면 72:만곡받침부
73:고정부 74:가이드홀
100:기둥 110:지지봉
120:고무패킹 130:받침다리
140:결속구 150:고정 프레임
160:이격된 틈새
1: Trampoline 2: Coupling screw
3: Bolt 10: Jumping mat
20: elastic member 30: fixed frame
31: outer surface 32: hole
33: support leg 34: movable frame
40: column 41: support rod
42: fastening part 43: fastening part
44: Spaced space 44a: Spaced space
45: connecting rod 46: rubber packing
47: fixing pin 50:
51: Nipple 52: Hole
60: stationary handle 70: stationary bushing
71: one side 72: curved bearing portion
73: Fixing portion 74: Guide hole
100: column 110: support rod
120: rubber packing 130:
140: Joint 150: Fixed frame
160: Clearance gap

Claims (2)

점핑매트(10)가 장착된 고정 프레임(30)에, 원통형의 기둥(40)과 끼움부(42)가 형성된 지지봉(41)이 이격된 공간(44)을 가진 상태로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30)의 받침다리(33)가 지지봉(41)의 끼움부(42)에 끼움되어지면서 직립될 때,
상기 기둥(40)과 고정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틈새(44a)에는, 일측면(71)이 고정 프레임(30)의 외측면(31)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면서 타측면에는 직립된 기둥(40)이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만곡받침부(72)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받침부가 조립시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속구(50)의 요임부(51)에 안쪽에 위치한 기둥(40)이 조임된 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점핑 운동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손잡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한편, 상기 만곡받침부(72)를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30)의 외측면(31)을 따라 양방향으로 확장된 고정날개(7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개(73)에는 결속나사(2)가 고정 프레임(30)의 구멍(32)을 관통하여 결속구(50)의 홀(52)에 끼움되어 지도록 하는 가이드홀(74)을 가진 고정부싱(70)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기둥(40)과 고정 프레임(30) 사이의 이격된 틈새(44a)에 고정부싱(70)을 장착하기만 하면 손잡이(60)의 기둥(40)이 기울어짐 없이 바로 조립될 뿐만 아니라 점핑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A supporting rod 41 formed with a cylindrical column 40 and an engaging portion 42 is formed side by side in a state of having a spaced space 44 in the fixed frame 30 on which the jumping mat 10 is mounted, When the support leg 33 of the frame 30 is held uprightly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42 of the support rod 41,
One side surface 71 is fitted into the spaced gap 44a formed between the column 40 and the fixed frame 30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along the outer surface 31 of the fixed frame 30, A curved support portion 72 for holding the upright column 40 so as not to be tilted is formed and the curved support portion is protruded outward at the time of assembly so that the column 40 So that the knob is stably supported by the load or impact generated during the jumping motion and the outer surface 31 of the fixing frame 30 is fixed around the curved support portion 72 And the binding screw 2 is passed through the hole 32 of the fixing frame 30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inding port 50 And a guide bore (74)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bore (52)
If the stationary bushing 70 is mounted on the spaced gap 44a between the column 40 and the stationary frame 30, the column 40 of the handle 60 can be assembled without being tilted, Wherein the trampoline is stably supported without sha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40)과 지지봉(41) 사이의 이격된 공간(44)에는 원통형의 고정핀(47)이 이격된 공간(44)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용접기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rical fixing pin 47 is joined to the spaced space 44 between the column 40 and the support bar 41 by a welding machine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paced space 44, And the trampoline is stably supported.
KR2020180000004U 2018-01-02 2018-01-02 A Trampolines KR2019000176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04U KR20190001767U (en) 2018-01-02 2018-01-02 A Trampo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04U KR20190001767U (en) 2018-01-02 2018-01-02 A Trampol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67U true KR20190001767U (en) 2019-07-10

Family

ID=6722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04U KR20190001767U (en) 2018-01-02 2018-01-02 A Trampoli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767U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773A (en) 1994-12-20 1996-07-16 William T Wilkinson Elastic stand exercise training device
KR200265540Y1 (en) 2001-11-28 2002-02-21 황인철 Sporting goods using trampolin
KR100666280B1 (en) 2004-06-26 2007-01-11 주득욱 The combination trampoline and horizontal bar
KR200447000Y1 (en) 2007-12-13 2009-12-17 이정연 The trampoline which the handlehave been form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773A (en) 1994-12-20 1996-07-16 William T Wilkinson Elastic stand exercise training device
KR200265540Y1 (en) 2001-11-28 2002-02-21 황인철 Sporting goods using trampolin
KR100666280B1 (en) 2004-06-26 2007-01-11 주득욱 The combination trampoline and horizontal bar
KR200447000Y1 (en) 2007-12-13 2009-12-17 이정연 The trampoline which the handlehave been form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011A (en) Exerciser and playpen structure having a trampoline like bottom
US11247113B2 (en) Trampoline with handrail
US8585557B2 (en) Trampoline with collapsible enclosure assembly
US5386987A (en) Two-in-one batting tee
US4225131A (en) Portable exercising device for multiple routines
US11154739B2 (en) Plyometric exercise ladder
US20070236056A1 (en) Reconfigurable infant activity center
US20120252634A1 (en) Trampoline with collapsible enclosure assembly
US20050043142A1 (en) Children's trampoline with supporting character
US20090131184A1 (en) Playground Equipment
EP0716865A1 (en) Resilient platform exercise device
US7993208B2 (en) Rotatable teeter totter
US20040204292A1 (en) Horizontal bar
KR20190001767U (en) A Trampolines
US7994407B2 (en) Harp stand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460564A1 (en) Leg assembly and platform assembly for a trampoline
KR101791558B1 (en) Playing device for jumping
US20120142499A1 (en) Leg assembly and platform assembly for a trampoline
KR102091932B1 (en) Folding trampoline with safe and easy hinge structure
FR2654942A1 (en) DEVICE FOR PROPRIOCEPTIVE REHABILITATION AND SPORTS TRAINING BY PODAL SUPPORT AND FOLLOWING SEVERAL DEGREES OF FREEDOM OF MOVEMENT.
KR101694696B1 (en) Folding type Hurdles
KR20080005282U (en) Functional trampoline reinforcing stability
KR200325894Y1 (en) trampoline
JP3246201U (en) hurdle bar attachment
US20220379152A1 (en) Playgrou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