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558B1 - Playing device for jumping - Google Patents

Playing device for jum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558B1
KR101791558B1 KR1020160111065A KR20160111065A KR101791558B1 KR 101791558 B1 KR101791558 B1 KR 101791558B1 KR 1020160111065 A KR1020160111065 A KR 1020160111065A KR 20160111065 A KR20160111065 A KR 20160111065A KR 101791558 B1 KR101791558 B1 KR 10179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handle
support leg
jump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임식
Original Assignee
윤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식 filed Critical 윤임식
Priority to KR102016011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laying device for jumping configured to enable peop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The playing device for jum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composed of a pair of horizontal and vertical rods, and connecting members; a bounce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ods with a ring-type elastic member and made of an elastic sheet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base frame; a protective cover having a skirt part covering the base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rectangular through-hole sewed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and a handle and a support leg detachably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s of the base frame to be vertical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ods.

Description

점핑용 놀이기구{Playing device for jumping}[0001] Playing device for jumping [0002]

본 발명은 점핑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 위에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점핑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mping ri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umping riding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일반적으로 '트렘폴린(Trampoline)'으로 잘 알려진 점핑용 놀이기구는, 바닥으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의 각형 또는 원형의 프레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를 걸어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탄성시트에 올라서 적정 높이로 점핑 동작을 행할 경우 스프링이 발생시키는 반발력으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jumping riding device, commonly known as a 'trampoline', is constructed by hanging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by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frame at a height of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loor, Is jumped on the elastic sheet to perform the jumping operation at an appropriate height, the jumping play can be enjoyed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y the spring.

트렘폴린은 성장기 유아에게 재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신체의 유연성 내지 균형 감각을 길러줄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스트레칭 효과도 뛰어나고 에어로빅 효과가 있기 때문에 놀이터나 체육시설 등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구조상 큰 소음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때문에 최근에는 실내에서 사용 가능한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Trempolin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can enhance the flexibility and the sense of balance of the body while giving fun to the infants in the growing period, and is widely used in playgrounds and sports facilities because of its excellent stretching effect and aerobic effect. In particular, since it does not cause a large noise in the structure, it can be used without difficulty indoors, and recently it is in a trend to be provided in a compact size that can be used indoors.

한국공개특허 제2008-0066183호에는 '트램폴린 홀더'라는 명칭으로, 횡단관, 지지관, 연결 슬리브 등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한 트렘폴린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잠금쇠와 잠금장치, 연결 슬리브를 결합하여 트램폴린의 사용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조립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 후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66183 discloses a trampoline in which a cross tube, a support tube, a connection sleeve and the like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under the name " trampoline holder ". It combines locks, locks and connecting sleeve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trampoline in use and allows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after storage.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08-0066183호의 트렘폴린은 단순히 연결 슬리브를 사용하여 횡단관과 지지관을 단순히 결속시킨 구성으로서, 연결 슬리브와 횡단관 및 연결 슬리브와 지지관 사이의 연결이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횡단관과 연결하는 스프링과 탄성부재가 그대로 노출된 관계로 부상의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66183, Trampolin, is merel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ransverse tube and a support tube by using a connection sleev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sleeve and the transverse tube and the connection sleeve and the support tube is structurally weak In particul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injury is high because the spring and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are directly exposed.

다른 형태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666280호에는 트렘폴린의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에 철봉부를 부가한 구성의 '점프놀이 겸용 철봉'이 나타나 있다. 이는 프레임에 부가된 고정 브라켓에 철봉부를 연결하고, 프레임 상부에 일정 높이로 안전 펜스를 부가한 구조로서, 점핑 운동과 철봉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고, 안전 펜스를 통해 안정성을 증대시킨 것이 특징이다.As 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No. 0666280 discloses a 'jumping play bar' in which a stem is attached to a fram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trepoline.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a steel bar is connected to a fixed bracket attached to a frame, and a safety fence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jigging movement and the bar movement can be enjoyed at the same time.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0666280호를 통해 제안된 기술의 경우 철봉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프레임에 형성된 관계로, 철봉부를 잡고 탄성시트에서 점프 놀이를 할 경우 프레임이 휘거나 이에 지지되는 철봉부가 심하게 흔들려 안전성이 떨어지고 시트 위에서 균형 잡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철봉부와 프레임 사이의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technique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0666280, when the bracket for supporting the iron bar is formed on the frame, when the player holds the iron bar and jumps from the elastic sheet, the frame bends or the supporting bar is shaken severe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all off and balance on the sea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ar and the frame is complica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한국공개특허 제2008-0066183호(공개일 2008. 07. 16)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8-0066183 (published on June 7, 2008) 한국등록특허 제10-0666280호(등록일 2007. 01. 0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66280 (Registered on Jan., 2007)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5282호(공개일 2008. 11. 12)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8-0005282 (Published on November 12, 2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조립이 용이한 점핑용 놀이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umping riding apparatus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structurally stable and easy to assemb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호 커버를 적용하여 자칫 넘어져도 큰 부상의 우려가 없는 점핑용 놀이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umping riding apparatus which does not cause a serious injury even if it falls down by applying a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밴드 고정구를 사용하여 탄성부재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바운스부의 평면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핑용 놀이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umping riding device capable of fixing an elastic memb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all times by using a band fixture and suppressing a variation of a plane position of the bounce part through the band fixing member I would like to.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 위에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로서,A jumping riding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로봉, 가로봉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세로봉, 그리고 상기 가로봉과 세로봉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로 이루어진 기초 프레임;A base frame comprising a pair of transverse bars parallel to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bar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transverse bar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to connect the corner portions where the bar and the vertical bar meet at right angles;

상기 가로봉과 세로봉에 고리형 탄성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 A bounce part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ar and the vertical bar by an annular elastic member and formed of an elastic sheet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base frame;

상기 기초 프레임 및 탄성부재를 덮는 스커트부 및 탄성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사각형 모양의 통공이 형성된 보호 커버; 및A skirt portion covering the base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protective cover sewed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and having a rectangular through-hole; And

상기 기초 프레임의 접속부재에 상기 가로봉 및 세로봉과 수직으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받침다리;를 포함하며,And a handle and a support le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base frame vertically to the bar and the vertical bar,

상기 접속부재는 가로봉과 세로봉의 선단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나사로 결속되는 가로봉 접속관과 세로봉 접속관, 그리고 두 접속관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상기 손잡이와 받침다리가 동시에 결속되는 받침다리 접속관이 수직으로 형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를 제공한다.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and a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which are inserted into a fixing screw by inserting a part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and a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which is connected to a support leg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supporting leg at the corner por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umping riding device in which a tube is vertically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접속부재는, 받침다리 접속관과 가로봉 접속관, 받침다리 접속관과 세로봉 접속관, 그리고 가로봉 접속관과 세로봉 접속관에 걸쳐 덧대지는 보강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a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and a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and a reinforcing rib padded over the bar connecting pipe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상부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진 덮개부와, 상기 상부 개구를 통해 받침다리 접속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형 끼움부로 이루어진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t bridge comprising: a lid portion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covering an upper opening of the foot bridge connecting pip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curved upwardly convex; And a cap made of a tubular fitting part.

또한, 상기 가로봉 접속관과 세로봉 접속관에 가로봉과 세로봉의 일부가 겹쳐지게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체결구멍에 결속되는 상기 고정나사에 의하여 상기 가로봉과 세로봉이 접속부재에 결속될 수 있다.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the fixing screws which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which are mutually coincided in a state wher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cross bar connecting pipe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또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내경부는, 받침다리 접속관의 상부 개구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상기 손잡이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축경부가 형성되고, 받침다리 접속관의 하부 개구에서부터 상기 축경부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경부가 형성된 단차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축경부와 확경부의 경계에 환형의 마모 방지판이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받침다리와의 마찰로 인한 상기 경계 부위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oot-leg connecting pipe is formed with a diameter-reduced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from an upper opening of the foot-leg connecting pipe to an arbitrary height, Wherein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is insert-mol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to insert-form the boundary portion wear due to friction with the support leg,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상부 개구를 통해 축경부에 삽입되는 손잡이의 외경이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확경부에 삽입되는 받침다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 내에서 상기 받침다리의 안쪽으로 손잡이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결속핀에 의해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에 받침다리와 손잡이가 동시에 결속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through the upper opening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leg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through the lower opening, The support leg and the handle can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by the fastening pin which is fitted outside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handle is assembled inward.

또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에 대한 손잡이의 삽입 높이를 일정 높이로 제한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임의 각도로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end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n arbitrary angl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o as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handle to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to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상기 접속부재는 가로봉 접속관과 세로봉 접속관 외면부의 체결구멍 주변에 상기 고정나사의 유격을 억제하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scape prevention projection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of the transverse barrel connecting tube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tube to restrict the clearance of the fastening screw.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 위에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로서,A jumping riding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다수의 곡관봉과 곡관봉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로 이루어진 기초 프레임;A base frame made of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so as to connect a plurality of curved and curved rods to each other;

상기 곡관봉에 고리형 탄성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 A bounce part connected to the curved barrel by an annular elastic member and formed of an elastic sheet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base frame;

상기 기초 프레임 및 탄성부재를 덮는 스커트부 및 탄성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원형의 통공이 형성된 보호 커버; 및A skirt portion covering the base frame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protective cover sewed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and having a circular through-hole; And

상기 기초 프레임의 접속부재에 상기 곡관봉과 수직으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받침다리;를 포함하며,And a handle and a support le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base frame vertically to the curving bar,

상기 접속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곡관봉의 선단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나사로 결속되는 좌우 쌍을 이루는 곡관봉 접속관 사이에 상기 손잡이와 받침다리가 동시에 결속되는 받침다리 접속관이 수직으로 형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를 제공한다.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a jumping play formed by vertically forming a support leg connection pipe in which the handle and the support leg are bou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curved pipe connecting tubes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pair in which the tip ends of the curved rods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spectively inserted,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접속부재는, 좌측의 곡관봉 접속관과 받침다리 접속관 및 우측의 곡관공 접속관과 받침다리 접속관에 걸쳐 덧대지는 보강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rved pipe connecting pipe on the left side and a leg connecting pipe and a reinforcing rib padded on the right curved pipe connecting pipe and the leg connecting pi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상부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진 덮개부와, 상기 상부 개구를 통해 받침다리 접속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형 끼움부로 이루어진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trest connecting pipe, comprising: a cover portion formed to a size large enough to cover an upper opening of the foot bridge connecting pip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curved upwardly convex; And a cap made of a tubular fitting part.

또한, 상기 곡관봉 접속관에 곡관봉의 일부가 겹쳐지게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체결구멍에 결속되는 상기 고정나사에 의하여 곡관봉이 상기 접속부재에 결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ed rods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the fixing screws which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which are mutually coincided in a state in which the curved rods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curved rope connecting pipe.

그리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내경부는, 받침다리 접속관의 상부 개구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상기 손잡이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축경부가 형성되고, 받침다리 접속관의 하부 개구에서부터 상기 축경부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경부가 형성된 단차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축경부와 확경부의 경계에 환형의 마모 방지판이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받침다리와의 마찰로 인한 상기 경계 부위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is formed with a diameter-reduced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from an upper opening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to an arbitrary height, And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is insert-mol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whereby the wear of the boundary portion due to the friction with the support leg is reduced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상부 개구를 통해 축경부에 삽입되는 손잡이의 외경이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확경부에 삽입되는 받침다리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 내에서 상기 받침다리의 안쪽으로 손잡이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결속핀에 의해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에 받침다리와 손잡이가 동시에 결속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through the upper opening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leg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a part of the handle The support leg and the handle can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by the fastening pin that is fitted outside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in an overlapping manner.

그리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에 대한 손잡이의 삽입 높이를 일정 높이로 제한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임의 각도로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ending part may be formed at an arbitrary angl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o as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handle to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to a predetermined height.

바람직하게는, 곡관봉 접속관 외면부의 체결구멍 주변에 상기 고정나사의 유격을 억제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n escape preventing protrusion for suppressing the clearance of the fixing screw may be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tube connecting pipe.

본 발명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에 의하면,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보호 커버가 적용됨으로써 자칫 넘어져도 큰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nd has a structurally stable structure, and a large injury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jumping rim is applied.

또한, 기초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손잡이가 받침다리와 함께 접속부재에 연결되어 지지되되, 접속부재 내에서 받침다리와 일부 겹쳐지는 구조로 결속됨에 따라, 손잡이를 잡고 뛰어도 종래 기술과 같이 기초 프레임이 휘거나 손잡이가 흔들리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a handl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ase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legs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in a structure partially overlapping the supporting leg in the connecting member, It does not happen that the base frame is bent or the handle is shaken.

또한, 밴드 고정구를 통해 탄성부재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탄성시트의 어느 한 쪽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탄성부재가 한 쪽으로 밀려나는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즉 바운스부의 탄성 균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점핑 운동 시 더욱 안정된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elastic member is always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band fixing member,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sheet, the positional fluctua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pushed to one side can be suppressed. That is, the elastic balance of the bounce portion is kept constant, so that a more stable balance feeling can be maintained in the jumping motion.

또한, 받침다리가 착탈 자유롭게 구성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초 프레임으로부터 받침다리를 탈거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 않는 공간 상의 이점이 있고, 손잡이 또한 필요에 따라 부착 또는 탈거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목적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점핑 운동을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ot leg is detachabl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ot from the base frame when not in use and to store the foot in a state where the volume is minimized, which is advantageous in space that does not require much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enjoy various types of jumping exercises suitable for the purpo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기초 프레임의 평면도.
도 2b는 기초 프레임에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기초 프레임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접속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절개 단면도.
도 6은 손잡이 미사용 시 접속부재 상단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받침다리 하단에 결합되는 레그 캡의 단면도.
도 8a, 도 8b는 도 1의 밴드 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를 기초 프레임에 결속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조립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기초 프레임의 평면도.
도 11b는 기초 프레임에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기초 프레임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shown in FIG. 1; FIG.
FIG. 2B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with the bounce portion forme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sheet mounte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ase frame with the handle engaged;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s. 1 to 2B;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3;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connecting member when a handle is not us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g cap coupled to the lower end of a foot.
Fig. 8A and Fig. 8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and fastener of Fig. 1; Fig.
9 is an assembled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unce section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and an elastic sheet is fastened to a base fram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shown in Fig.
11B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in a state in which a bounce portion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and an elastic sheet is mounte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base frame of Fig. 10 in a state where the handle is engaged;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제1 실시 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기초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기초 프레임에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기초 프레임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shown in Fig. 1, Fig. 2b is a plan view of the bounce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base frame with the handle engag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는, 기초 프레임(10) 및 기초 프레임(10)에 결속되는 바운스부(30)를 포함하여 이들 기초 프레임(10) 및 바운스부(30)를 덮는 보호 커버(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 프레임(10)에 손잡이(70) 및 기초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받침다리(20)를 자유롭게 부착/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to 3,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base frame 10 and a bounce unit 30 bound to the base frame 10, And a protective cover 50 covering the bounce portion 30 so that the handle 70 and the base leg 20 supporting the base frame 10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ase frame 10 do.

기초 프레임(10)은 강한 탄성을 갖고 있는 상기 바운스부(30)를 평팽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기초 프레임(10)은 접속부재(12)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상기 받침다리(20)를 통해 설치 대상면, 예컨대 실내 바닥으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강한 탄성력을 갖는 고리형 탄성부재(32)를 통해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31)가 기초 프레임(10)에 연결됨으로써 바운스부(30)를 구성하게 된다.The base frame 10 functions as a support for firmly supporting the bounce portion 30 having a strong elasticity in a flat state. The base frame 10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for example, the floor of the room, through the support leg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and the annular elastic member A thin elastic sheet 31 having elasticity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 through the elastic member 32 to constitute the bounce unit 30. [

기초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 구조의 복수의 봉을 포함한다. 복수의 봉은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로봉(11A) 및 가로봉(11A)과 직각 배치를 이루는 평행한 한 쌍의 세로봉(11B)으로 구성되고,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접속부재(12)로 연결하여 평면상의 하나의 사각틀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base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rods of a circular or rectangular pipe structure, as shown in Figs. The plurality of rods are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transverse rods 11A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parallel vertical rods 11B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transverse rods 11A and the transverse rods 11A and the vertical rods 11B, And a corner portion that meets at a right ang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so as to form a single rectangular frame.

바운스부(30)는 상기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리형 탄성부재(32)와, 탄성부재(32)를 통해 상기 기초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3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2)는 탄성시트(31)에 탄력을 부여하는 고무재질의 얇은 밴드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탄성시트(31)는 나일론을 가로 세로로 직조하여 제작된 사각형 시트 형상의 그물망일 수 있다.The bounce unit 30 includes an annular elastic member 32 fixed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nd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base frame 10 through the elastic member 32 And an elastic sheet (31). The elastic member 32 may be in the form of a thin band of rubber material that gives elasticity to the elastic sheet 31. The elastic sheet 31 may be a rectangular sheet- have.

탄성부재(32)는 밴드의 중앙을 접은 상태에서 양 끝단의 포개진 부분을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에 걸쳐 재봉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의 접힌 부분은 대향 배치된 탄성부재(32) 열을 동시에 벌려줄 수 있는 구조의 전용 지그를 이용한 상기 기초 프레임(10) 조립과정에서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된다.The elastic members 32 can be fixed by sewing the folded portions of the both ends along the edges of the elastic sheet 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band is folded.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se frame 10 using a dedicated ji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folded portion can simultaneously open the rows of the elastic members 32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 part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s shown in FIG.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고 탄성시트(31)의 사방 가장자리에 재봉된 복수의 상기 탄성부재(32)에 의하여 상기 탄성시트(31)에 탄성이 부여되며, 이에 따라 탄성시트(31)는 주름지거나 처지는 부분 없이 팽팽하게 펼쳐져 긴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Elasticity of the elastic sheet 31 is secured to the elastic sheet 31 by a plurality of the elastic members 32 which are bound in the form of wrapp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nd sewed to the four sides of the elastic sheet 31 So that the elastic sheet 31 can be stretched and held in a taut state without wrinkling or sagging.

탄성부재(32)의 개수와 설치 간격, 길이 등은 기초 프레임(10)의 크기와 탄성시트(31)의 크기,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허용하중이나 반발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개수 및 간격, 그리고 길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시트(31)의 크기 역시도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기초 프레임(10)의 크기에 맞춰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number, spacing, and length of the elastic members 32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se frame 10, the size of the elastic sheet 31, and the allowable load or repulsive forc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refore, the elastic sheet 31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number, interval, and length, and the size of the elastic sheet 31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se frame 10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사용자가 탄성시트(31) 위에 올라 뛰어 오를 경우, 뛰어 오르기 위한 도약 준비 단계에서 탄성시트(31)와 탄성부재(32)가 신장됨에 따라 뛰어 오르는 순간 사용자를 위쪽으로 밀어내기 위한 반력이 저장되며, 이에 따라 뛰어 오르는 순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상기 탄성시트(31)와 탄성부재(32)의 반발력으로 흥미로운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ser jumps over the elastic sheet 31, the reaction force for pushing the user upwards is stored as the elastic sheet 31 and the elastic member 32 are stretched in the jump preparing step for jump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joy exciting jump play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sheet 31 and the elastic member 32 transmitted to the user at the moment of jumping.

보호 커버(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10) 및 탄성부재(32)를 덮어 씌울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된 스커트부(53)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어 탄성시트(31)를 노출시키는 사각형 모양의 통공(51)이 형성된다. 이때 스커트부(53)의 사방 모서리에는 상기 접속부재(12)의 상단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멍(52)이 형성된다. The protective cover 50 has a skirt portion 53 of a size and shape capable of covering the base frame 10 and the elastic member 32, as shown in Fig. And a rectangular through hole 51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31 to expose the elastic sheet 31. At this time, the holes 52 are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kirt 53 so as to expose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

스커트부(53)에 형성된 상기 구멍(52)을 통해 손잡이(70)가 기초 프레임(10) 상부에서 상기 접속부재(12), 구체적으로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삽입되어 결속핀(P)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상기 손잡이(70)와 동심(同心) 구조를 이루도록 받침다리(20)가 손잡이(70) 하부에서 조립되고 상기 결속핀(P)으로 고정됨으로써 기초 프레임(10)이 적절한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e handle 70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52 formed in the skirt portion 53 into the connecting member 12, specifically the back leg connecting pipe 1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 ). &Lt; / RTI &gt; The support leg 20 is assemb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70 and fixed to the binding pin P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handle 70 in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Can be supported at a suitable height spacing.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접속부재와 접속부재에 대한 가로봉과 세로봉, 그리고 손잡이와 받침다리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the vertical rod, and the handle and the supporting le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접속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절개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s. 1 to 2B,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속부재(12)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서로 직각 배치를 이루도록 결속된다.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상기 손잡이(70)와 받침다리(20)가 착탈 자유롭게 결속된다. 4 to 5, the connecting rod 12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od 11A and the vertical rod 11B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andle 70 and the support leg 20 are detach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를 위해 접속부재(12)는, 기초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받침다리 접속관(120)과, 받침다리 접속관(120) 외면부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 형성되는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member 12 includes a foot leg connecting pipe 120, which is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12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leg connecting pipe 120, (126) and a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가로봉 접속관(126)에는 상기한 가로봉(11A)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고 외부에서 체결되는 고정나사(B)로 결속되며, 세로봉 접속관(128)에는 상기한 세로봉(11B)의 선단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B)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는 그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손잡이(70)와 받침다리(20)가 동심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하나의 결속핀(P)으로 동시에 고정된다. The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126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by a fixing screw B inserted into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 11A and fastened to the outside, And is fastened and fixed by a fixing screw B which is fastened to the outside. The handle 70 and the support leg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so as to have a concentric structure and are simultaneously fixed with one binding pin P.

접속부재(12)의 상기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 외면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나사(B)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H) 주변에는 이탈방지돌기(127A, 127B)가 외부를 향하여(outwardly) 돌출된다. 이탈방지돌기(127A, 127B)는 고정나사(B)의 머리부와 반대편에 체결되는 너트(부호 생략)의 유격을 억제하고 임의 회전을 방지하여 고정나사(B)가 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준다. Preventing protrusions 127A and 127B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pipe connecting pipe 126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of the connecting member 12 and concretely, Is protruded outwardly .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s 127A and 127B suppress the clearance of a nut (not shown) which is fast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ead of the fixing screw B and prevent any rotation so that the fixing screw B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or released .

접속부재(12)에는 복수의 보강용 리브(129)가 형성된다. 복수의 보강용 리브(129)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가로봉 접속관(126)의 처짐 변형을 막는 수직방향 리브(129A)와,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세로봉 접속관(128)의 처짐 변형을 막는 다른 수직방향 리브(129B), 그리고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덧대지는 리브(129C)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29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12.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29 include a vertical rib 129A for preventing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transverse pipe connecting pipe 126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ridge connecting pipe 120, Another vertical rib 129B that prevents sag deformation of the tube 128 and ribs 129C that are horizontally padded over the transverse pipe 126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접속부재(12)에 부가되는 리브(129)의 크기나 두께 등은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기초 프레임(10)과 탄성시트(31)의 크기나 허용 하중, 그리고 접속부재(12)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특정 두께나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곳에 두 개 이상씩 쌍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도 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ribs 129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allowable load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elastic sheet 31 and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12 Of course, it can be chang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thickness or size, and in some cases, two or more pairs may be provided in one place to further reinforce the rigidity.

전술했듯이 기초 프레임(10)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70)와 기초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받침다리(20)는 각각,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와 하부에서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끼워지되,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동심 구조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 외측에서 결속되는 하나의 결속핀(P)으로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70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frame 10 and the support legs 20 supporting the base frame 10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s 120 120), and are simultaneously fixed to one coupling pin (P) bounded outside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concentric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m overlap each other in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내경부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상기 손잡이(7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축경부(123)와,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부 개구(122)에서부터 상기 축경부(123)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확경부(124)를 포함하는 단차진 구조일 수 있다.5,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from an upper opening 121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o an arbitrary height A diameter portion 123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leg 20 from the lower opening 122 of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to the lower end of the diameter reduction portion 123 124). &Lt; / RTI &gt;

상부 개구(121)를 통해 축경부(123)에 삽입되는 손잡이(70)의 외경(D1) 하부 개구(122)를 통해 확경부(124)에 삽입되는 받침다리(20)의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받침다리(20)의 안쪽으로 손잡이(70)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결속핀(P)이 결속됨에 따라 받침다리(20)와 손잡이(70)의 동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upport leg 20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through the lower opening 122 of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handle 70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And a part of the handle 70 can be assembl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support leg 20 in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In this state, as the binding pin P is bound, the support leg 20 And the grip 70 can be concurrently tied together.

한편,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손잡이(70)의 삽입 높이를 일정 높이로 제한하도록 상기 손잡이(70)의 하단에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임의 각도로 꺾임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경부(123)와 확경부(124)의 경계에는 받침다리(20)와의 마찰로 인한 상기 경계 부위 마모가 방지되도록 금속재질로 된 환형의 마모 방지판(125)이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A bent portion 75 may be formed at an arbitrary angl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70 so as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handle 70 with respect to the foot leg connecting pipe 120 to a predetermined height .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125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insert-mol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duced-diameter portion 123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to prevent abrasion of the boundary portion due to friction with the support leg 20 .

물론 접속부재(12)를 금속재질로 구성한 경우 마모 방지판(125)은 생략 가능하다. 즉 마모 방지판(125)은 접속부재(12)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선택사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과 마찰 시 마모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재질로 접속부재(12)를 구성한 경우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질로 구성한 경우에는 생략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wear prevention plate 125 may be omitted. That is, the wear-resistant plate 125 may be an option that is selectively appl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12.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dd the connecting member 12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plastic material having wear characteristics when it is in friction with meta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12 is omitted if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도 6은 손잡이 미사용 시 접속부재 상단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connecting member when a handle is not used.

손잡이(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의 예시와 같이 기초 프레임(10)에 결속되어 안전 바 역할을 하거나, 기초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손잡이(70)를 분리시킨 상태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단을 탄성재질, 예컨대, 고무재질로 된 마개(80)로 막아 부상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The handle 70 can be bound to the base frame 10 as a safety bar or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70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6, the upper end of the foot connecting pipe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by clogging with the plug 80.

마개(80)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진 덮개부(82)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82) 하면부에 일체형으로 관형 끼움부(84)를 형성시킨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관형 끼움부(84)가 상기 상부 개구(121)를 통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단 내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6, the cap 80 includes a cover portion 82 that is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and is curved upwardly and convexly, And the tubular fitting portion 84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cover portion 82. [ At this time, the tubular fitting portion 84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도 7은 받침다리 하단에 결합되는 레그 캡(90)의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g cap 9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도 7 및 앞서 첨부된 도 1과 도 3의 도시와 같이, 받침다리(20) 하단에는 레그 캡(Leg cab, 90)이 설치될 수 있다. 레그 캡(90)은 설치 대상면에 대한 받침다리(20)의 안전한 접지를 도모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놀이 도중 기구의 들썩거림으로 인하여 설치 대상면, 예컨대 실내 바닥면이 받침다리(20)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As shown in FIG. 7 and FIGS. 1 and 3, a leg cab 9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leg 20. The leg cap 90 functions to securely ground the pedestal 20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n addition, it also prevents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for example, the floor of the room from being damag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leg 20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apparatus during the play.

레그 캡(90)이 설치 대상면과 접하는 면, 즉 레그 캡(90)의 하부면에는 상기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막고, 기구가 위, 아래로 들썩거릴 경우 바닥에 전가되는 충격을 흡수/감쇄시키는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고무재질의 오링(92)이 오링 홈(9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캡(90)의 내측 저면에는 금속재질의 마모 방지판(95)이 인서트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leg cap 9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of the leg cap 90, is prevented from damage to the floor, and when the device is swung up and down, And an O-ring 92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improving the contact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can be provided in the O-ring groove 91. [ A wear-resistant plate 95 made of a metal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eg cap 90.

한편, 도 8a, 도 8b는 도 1의 밴드 고정구(25)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and fixture 25 of FIG. 1 is installed.

도 8a 및 도 8b, 그리고 앞서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기초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의 외면부에는 밴드 고정구(25)가 장착될 수 있다. 밴드 고정구(25)는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상기 탄성부재(32)가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 상에서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억제한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and FIG. 1 attached herewith, a band fixture 25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that constitute the base frame 10. The band fixture 2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32 bounded in the form of wrapp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is moved ou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So as not to move to the side.

밴드 고정구(25)는 몸체(25a)의 양측에 가로봉(11A)이나 세로봉(11B)의 외면부 일부에 대응되어 밀착 가능한 원호형의 홈(25c)을 갖는 지지대(25b)로 된 구성일 수 있으며, 스크류(26)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전술한 탄성부재(32) 및 탄성시트(31) 유동을 억제한다. The band fixture 25 may be constituted by a support base 25b having arc-shaped grooves 25c which ar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11A or vertical bar 11B on both sides of the body 25a. And is fixed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26 so as to suppress the flow of the elastic member 32 and the elastic sheet 31 described above.

밴드 고정구(25)는 탄성부재(32)에 대응하여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된 위치의 일부 탄성부재(32)만을 고정하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다.The band fixtures 25 may be provided one by on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astic members 32, or may be provided so as to fix only a part of the elastic members 32 in mutually opposed positions.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의 조립 및 작동,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The assembly, operation and effect of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9는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를 기초 프레임에 결속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조립 상태도이다. 9 is an assembled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unce part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and an elastic sheet is fastened to a base frame.

도 9 및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서로 대향되는 가로방향 탄성부재(32) 열과 세로방향 탄성부재(32) 열에 각각의 탄성부재(32)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을 끼운 후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을 전용 지그의 한 쌍의 가로봉 고정대(100A)와 세로봉 고정대(100B)에 각각 걸어준다. 9 and Fig. 1 and Fig. 2, a transverse bar 11A and a vertical bar 32 are provided so as to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elastic members 32 in the rows of the transverse elastic members 32 and the longitudinal elastic members 32,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re hooked to a pair of the transverse bar fixing member 100A and the vertical bar fixing member 100B of the exclusive jig, respectively.

그리고 대향된 가로봉 고정대(100A)와 세로봉 고정대(100B)를 동작시켜 도 9의 (a)와 같이 한 쌍의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다.Then, the opposed transverse bar fixing table 100A and the vertical bar fixing table 100B are operated so that the pair of transverse bar 11A and vertical bar 11B are spaced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9A.

그 상태에서 세로봉(11B, 또는 가로봉) 각각의 한 쪽 끝에 접속부재(12)를 고정나사(B)로 결속하고, 도 9의 (b)와 같이 접속부재(12)가 연결되지 않은 쪽의 고정대(도면 상 가로봉 고정대(100A))를 통해 가로봉(11A, 또는 세로봉)을 상기 접속부재(12)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파선으로 표현된 가로봉(11A) 위치 참조)에 정렬시킨다.In this state, the connecting member 12 is fastened to one end of each of the vertical bars 11B (or the transverse bar) with the fixing screw B, and as shown in Fig. 9B, And aligns the transverse bar 11A (or vertical bar) with a position (refer to the position of the bar 11A represented by the broken line) that can be fit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through the fixing table (the transverse bar fixing member 100A in the drawing).

그런 다음 접속부재(12)가 연결된 한 쌍의 세로봉(11B, 또는 가로봉)을 해당 고정대(도면상 세로봉 고정대(100B))를 동시에 오므려 접속부재(12)가 연결되지 않은 가로봉(11A, 또는 세로봉)의 단부가 상기 접속부재(12)에 끼워지도록 한다.Then the pair of vertical bars 11B or the horizontal bars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s 12 are connected are simultaneously pinched by the corresponding fixing bars (vertical bar fixing members 100B in the drawing) so that the connecting rods 11A, Or the vertical bar) is fitted in the connecting member 12. [

접속부재(12)가 연결되지 않은 가로봉(11A, 또는 세로봉)의 단부가 접속부재(12)에 끼워지고 나면 고정나사(B)로 결속을 마무리하고, 바운스부(30)가 결속된 상태의 기초 프레임(10)을 전용 지그로부터 탈거한다. 전용 지그에서 탈거된 기초 프레임(10)에는 탄성부재(32)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틀어짐이나 임의 이탈 없는 견고한 조립상태가 유지되며, 탄성시트(31) 역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된다.After the ends of the transverse bar 11A (or the vertical bar)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2 is not connected ar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2, the binding is finished by the fixing screw B and the bounce portion 30 is engaged The base frame 10 is detached from the dedicated jig.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2 acts on the base frame 10 detached from the exclusive jig, and the elastic sheet 31 is kept in a tightly tensioned state.

기초 프레임(10)과 바운스부(30)로 구성된 본체 제작이 완료되면, 기초 프레임(10)의 사방 모서리에 형성된 접속부재(12), 구체적으로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측에서 받침다리(20)를 끼우고, 이웃하는 두 개의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손잡이(70)를 끼운 다음 결속핀(P)으로 고정하면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형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When the main body 10 including the base frame 10 and the bounce portion 30 is completed, the connecting member 12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10, specifically, The handle 70 is inserted into the two adjacent foot leg connecting pipes 120 by inserting the handle 20 and then fastened with the fastening pins P so that the assembly is completed in a usable form.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스프링의 사용을 배제하고 보호 커버가 적용됨으로써 놀이 또는 운동 도중 균형을 잃고 탄성시트 위에서 넘어지더라도 큰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erit of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well as a structure that is structurally stable while being easy to assemb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large injuries even if the balance is lost during exercise and falls over the elastic sheet.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는, 기초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손잡이가 받침다리와 함께 접속부재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이룬다. 즉 접속부재 내에서 받침다리와 일부 겹쳐지는 구조로 결속되는 구성임에 따라, 손잡이(70)를 잡고 뛰어도 종래와 같이 기초 프레임이 휘거나 손잡이가 흔들리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uch that a handl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ase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leg. That is,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frame partially overlaps with the supporting leg in the connecting member,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base frame is bent or the handle is shaken even when the handle 70 is hel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는, 밴드 고정구를 통해 탄성부재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탄성시트의 어느 한 쪽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탄성부재가 한 쪽으로 밀려나거나 하는 위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바운스부의 탄력 균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점핑 운동 시 더욱 안정된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always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band fixture. Thus,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sheet, the positional fluctuation of the elastic member to one side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resilient balance of the bounce portion is kept constant, so that a more stable sense of balance can be maintained in the jumping motion.

<제2 실시 예>&Lt; Embodiment 2 >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기초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기초 프레임에 탄성부재와 탄성시트로 구성된 바운스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기초 프레임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plan view of the base frame shown in Fig. 10, Fig.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base frame of Fig. 10 with the handle engaged.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는, 기초 프레임(10)과 바운스부(30)의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보호 커버(5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점핑용 놀이기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구성부분만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10 to 12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hape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bounce portion 30 and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the same as the jumping r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and only the other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참조 도면부호 중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제2 실시 예는 기초 프레임(10)과 바운스부(30)로 이루어진 본체의 평면상의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기초 프레임(10)은, 다수의 곡관봉(11C)과 곡관봉(11C)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12)들로 구성되며, 바운스부(30)는 곡관봉(11C)에 연결되는 고리형 탄성부재(32)와 원형의 탄성시트(31)로 구성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body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bounce portion 30 has a circular shape on the plane. The base frame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12 provided to mutually connect portions of the curved rods 11C and the curved rods 11C to each other, An annular elastic member 32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1C and a circular elastic sheet 31. [

보호 커버(50)는 상기 기초 프레임(10) 및 탄성부재(32)를 덮는 스커트부(53) 및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원형의 통공(51)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기초 프레임(10)의 접속부재(12) 각각에는 수직방향으로 받침다리(20)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된다. 그리고 복수의 접속부재(12) 중 두 개의 접속부재(12)에 양단이 동시에 결속되도록 손잡이(70)가 착탈 자유롭게 구비된다.The protection cover 50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r through hole 51 is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skirt portion 53 and the elastic sheet 31 covering the base frame 10 and the elastic member 32, The pedestal legs 2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12 of the base fram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andle 70 is detachably provided so th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 are connected to the two connecting members 12 at the same time.

접속부재(12)는 서로 이웃하는 곡관봉(11C)의 선단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나사(B)로 결속되는 좌우 쌍을 이루는 곡관봉 접속관(130, 132)과, 곡관봉 접속관(130, 132) 사이에 상기 손잡이(70)와 받침다리(20)가 동시에 결속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이 수직으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좌측과 우측의 곡관봉 접속관(130, 132)과 받침다리 접속관(120) 사이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용 리브(139)가 덧대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pair of curved tube connecting pipes 130 and 132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curved tube rods 11C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bound by the fixing screws B, And a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provided so that the handle 70 and the support leg 20 can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reinforcing ribs 139 for reinforcement of rigidity can be pour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rved pipe connecting pipes 130 and 132 and the leg connecting pipe 120.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내경부는 도 12의 요부 확대도의 도시와 같이,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상기 손잡이(7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축경부(123)와,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부 개구(122)에서부터 상기 축경부(123)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확경부(124)를 포함하는 단차진 구조일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an upper opening 121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o an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through an arbitrary height, Diameter portion 123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nd a lower opening 122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123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leg 20, May be a stepped structure including a neck 124.

바람직하게는, 상부 개구(121)에서 축경부(123)에 삽입되는 손잡이(70)의 외경을 하부 개구(122)에서 확경부(124)에 삽입되는 받침다리(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받침다리(20)의 안쪽으로 손잡이(70)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결속핀(P)을 끼워 받침다리(20)와 손잡이(70)가 동시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at the upper opening 121 is mad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leg 20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at the lower opening 122 A part of the handle 70 can be assembl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support leg 20 in the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In this state, the support pin 20 is held by the support leg 20 and the handle 70) can be bound together at the same time.

한편,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축경부(123)와 확경부(124)의 경계에는 받침다리(20)와의 마찰로 인한 상기 경계 부위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된 환형의 마모 방지판(125)이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접속부재(12)를 금속재질로 구성한 경우 마모 방지판(125)은 생략 가능하다. 즉 마모 방지판(125)은 접속부재(12)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abrasion of the boundary portion due to friction with the support leg 20,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made of a metal (for example, 125 may be insert molded. Of course,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wear prevention plate 125 may be omitted. That is, the wear-resistant plate 125 may be selectively appl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12. [

이상의 본 발명에서는 기초 프레임과 바운스부로 구성된 본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제1 실시 예)과 원형으로 형성된 것(제2 실시 예)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사각형 또는 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의 평면상의 형상은 어떤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변형 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composed of the base frame and the bounce portion is formed in a square shape (first embodiment) and the shap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econ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 That is, the shape on the plane of the body may be deformed in any form, so that such a modifica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기초 프레임 11A : 가로봉
11B : 세로봉 11C : 곡관봉
12 : 접속부재 20 : 받침다리
25 : 밴드 고정구 26 : 스크류
30 : 바운스부 50 : 보호 커버
53 : 스커트부 51 : 통공
52 : 구멍 70 : 손잡이
75 : 꺽임부 80 : 마개
82 : 덮개부 84 : 관형 끼움부
90 : 레그 캡 91 : 오링 홈
92 : 오링 120 : 받침다리 접속관
121 : 상부 개구 122 : 하부 개구
123 : 축경부 124 : 확경부
125 : 마모 방지판 126 : 가로봉 접속관
127A, 127B : 이탈방지돌기 128 : 세로봉 접속관
129 : 리브 B : 고정나사
H : 체결구멍 P : 결속핀
10: base frame 11A: horizontal bar
11B: vertical bar 11C:
12: connecting member 20:
25: Band clamp 26: Screw
30: Bounce part 50: Protective cover
53: skirt portion 51: through hole
52: hole 70: handle
75: bent portion 80: stopper
82: lid 84: tubular fitting part
90: Leg cap 91: O-ring groove
92: O-ring 120: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1: upper opening 122: lower opening
123: an axial neck portion 124:
125: abrasion prevention plate 126: cross bar connection pipe
127A, 127B: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128: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9: rib B: set screw
H: fastening hole P: fastening pin

Claims (14)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 위에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로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로봉(11A), 가로봉(11A)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세로봉(11B), 그리고 상기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12)로 이루어진 기초 프레임(10);
상기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에 고리형 탄성부재(32)로 연결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31)로 구성된 바운스부(30);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접속부재(12)에 상기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과 수직으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받침다리(20); 및
상기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2)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가로봉(11A) 및 세로봉(11B)의 외면부에 결합되는 밴드 고정구(25);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재(12)는,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의 선단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나사(B)로 결속되는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 그리고 두 접속관(126, 128)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리(20)가 결속되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으로 구성되되,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내경부 측 축경부(123)와 확경부(124)의 경계에 환형의 마모 방지판(125)이 인서트 성형되며,
상기 밴드 고정구(25)는, 몸체(25a)와, 몸체(25a)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로봉(11A) 또는 세로봉(11B)의 외면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원호형의 홈(25c)을 갖는 지지대(25b)로 이루어진 점핑용 놀이기구.
A jumping riding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A pair of transversal bars 11A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bars 11B which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orner portion 11B at which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meet at right angles (10)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12)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bounce portion 30 formed of an elastic sheet 31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by an annular elastic member 32 and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base frame 10;
A pedestal leg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12 of the base frame 10 vertically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nd
The transverse rod 11A and the band 11B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1B so as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32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from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fixture (25)
The connecting member 12 includes a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126 and a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to which a front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od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re inserted and fixed by a fixing screw B, And a support leg connection pipe 120 formed vertically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ipes 126 and 128 meet at right angles and to which the support leg 20 is connected,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125 is insert-mol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ortion 123 and the thickened portion 124,
The band fixture 25 includes a body 25a and arc-shaped grooves 25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5a and closely contactab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11A or the vertical bar 11B And a support table (25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20)와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결속되는 손잡이(70);를 더 포함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andle (70) bound to the foot leg connecting pipe (120) such that the leg (20) partially overlaps with the foot leg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10) 및 탄성부재(32)를 덮는 스커트부(53) 및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사각형 모양의 통공(51)이 형성된 보호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cover 50 having a skirt portion 53 covering the base frame 10 and the elastic member 32 and a rectangular through hole 51 sewn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31, Jumping ri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12)는, 받침다리 접속관(120)과 가로봉 접속관(126), 받침다리 접속관(120)과 세로봉 접속관(128), 그리고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에 걸쳐 덧대지는 보강용 리브(129)를 포함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nnected to the leg connecting pipe 120 and the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126, the leg connecting pipe 120 and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And a reinforcing rib (129) padded over the tube (1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진 덮개부(82)와, 상기 상부 개구(121)를 통해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형 끼움부(84)로 이루어진 마개(80);를 더 포함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d portion 82 which is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cover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pedestal leg connecting pipe 120 and which is curved upwardly and convexly upward and a pedestal leg connecting pipe 120 And a cap (80) made up of a tubular fitting part (84) inserted and fixed to the base (8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에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의 일부가 겹쳐지게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체결구멍(H)에 결속되는 상기 고정나사(B)에 의하여 상기 가로봉(11A)과 세로봉(11B)이 접속부재(12)에 결속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screws (11) and the vertical rods (11B), which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s (H) that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B and the transverse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are boun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123)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손잡이(7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4)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부 개구(122)에서부터 상기 축경부(123)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축경부(123)에 대해 단차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over an arbitrary height from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leg 20 from the lower opening 122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o the lower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Wherein the jumping rim is formed to have a step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jumping ri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121)를 통해 축경부(123)에 삽입되는 손잡이(70)의 외경(D1)이 상기 하부 개구(122)를 통해 확경부(124)에 삽입되는 받침다리(20)의 내경(D2)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상기 받침다리(20)의 안쪽으로 손잡이(70)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결속핀(P)에 의해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받침다리(20)와 손잡이(70)가 동시에 결속되는 점핑용 놀이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handle 70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leg 20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through the lower opening 122 D2,
A connecting pin P that is fit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120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handle 70 is assemb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leg 20 in the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120, Wherein the support leg (20) and the handle (70) are bound to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t the same ti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대한 손잡이(70)의 삽입 높이를 일정 높이로 제한하도록 상기 손잡이(70)의 하단에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에 임의 각도로 꺾임부(75)가 형성된 점핑용 놀이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A jumping playground 75 having a bent portion 75 formed at an arbitrary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70 so as to limit the insertion height of the handle 70 to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봉 접속관(126)과 세로봉 접속관(128) 외면부의 체결구멍(H) 주변에 상기 고정나사(B)의 유격을 억제하는 이탈방지돌기(127A, 127B)가 형성된 점핑용 놀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s 127A and 127B for reducing the clearance of the fixing screw B are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s 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connecting pipe 128 and the horizontal bar connecting pipe 126. [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 위에서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점핑용 놀이기구로서,
다수의 곡관봉(11C)과 곡관봉(11C)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12)로 이루어진 기초 프레임(10);
상기 곡관봉(11C)에 고리형 탄성부재(32)로 연결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시트(31)로 구성된 바운스부(30);
상기 기초 프레임(10)의 접속부재(12)에 상기 곡관봉(11C)과 수직으로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받침다리(20); 및
상기 곡관봉(11C)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2)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곡관봉(11C)의 외면부에 결합되는 밴드 고정구(25);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재(12)는, 서로 이웃하는 곡관봉(11C)의 선단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나사(B)로 결속되는 좌우 쌍을 이루는 곡관봉 접속관(130, 132)과, 곡관봉 접속관(130, 132)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리(20)가 결속되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으로 구성되되,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내경부 측 축경부(123)와 확경부(124)의 경계에 환형의 마모 방지판(125)이 인서트 성형되며,
상기 밴드 고정구(25)는, 몸체(25a)와, 몸체(25a)의 양측에 형성되며 곡관봉(11C)의 외면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원호형의 홈(25c)을 갖는 지지대(25b)로 이루어진 점핑용 놀이기구.
A jumping riding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jumping play on a thin elastic sheet having elasticity,
A base frame 10 made up of a connecting member 12 provided so as to interconnec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curved rods 11C and the curved rods 11C with each other;
A bounce part 30 connected to the curved barrel 11C by an annular elastic member 32 and composed of an elastic sheet 31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base frame 10;
A pedestal leg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 of the base frame 10 vertically to the curved barrel 11C; And
And a band clamp 25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urved barrel 11C so as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32 connected to the curved barrel 11C from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pair of curved tube connecting pipes 130 and 132 which are inserted into a pair of adjacent curved tube rods 11C and are fastened with fixing screws B, And a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vertically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130 and 132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20, An annular wear-resistant plate 125 is insert-molded at the boundary of the ring-
The band fixture 25 includes a body 25a and a support 25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5a and having an arc-shaped groove 25c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tube rod 11C Jumping rid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20)와 일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결속되는 손잡이(70); 및
상기 기초 프레임(10) 및 탄성부재(32)를 덮는 스커트부(53) 및 탄성시트(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되고 원형의 통공(51)이 형성된 보호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A handle 70 bound to the foot leg connecting pipe 120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foot leg 20; And
And a protection cover (50) having a skirt portion (53) covering the base frame (10) and the elastic member (32) and a circular through hole (51) sewn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sheet (31) Playground equipm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123)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상부 개구(121)에서부터 임의 높이에 걸쳐 손잡이(7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4)는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하부 개구(122)에서부터 상기 축경부(123) 하단에 걸쳐 상기 받침다리(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축경부(123)에 대해 단차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용 놀이기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over an arbitrary height from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leg 20 from the lower opening 122 of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to the lower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Wherein the jumping rim is formed to have a step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jumping ri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121)를 통해 축경부(123)에 삽입되는 손잡이(70)의 외경이 상기 하부 개구(122)를 통해 확경부(124)에 삽입되는 받침다리(20)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 내에서 상기 받침다리(20)의 안쪽으로 손잡이(70)의 일부가 겹쳐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결속핀(P)에 의해 상기 받침다리 접속관(120)에 받침다리(20)와 손잡이(70)가 동시에 결속되는 점핑용 놀이기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70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3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leg 20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4 through the lower opening 122,
A connecting pin P that is fit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120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handle 70 is assemb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leg 20 in the supporting leg connecting pipe 120, Wherein the support leg (20) and the handle (70) are bound to the support leg connecting pipe (120) at the same time.
KR1020160111065A 2016-08-30 2016-08-30 Playing device for jumping KR101791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65A KR101791558B1 (en) 2016-08-30 2016-08-30 Playing device for jum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65A KR101791558B1 (en) 2016-08-30 2016-08-30 Playing device for jum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58B1 true KR101791558B1 (en) 2017-11-20

Family

ID=6080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65A KR101791558B1 (en) 2016-08-30 2016-08-30 Playing device for jum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5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5605A (en) * 2018-10-22 2020-04-30 株式会社岡部 Net toy
EP3725379A1 (en) * 2019-04-15 2020-10-21 Bellicon AG Bar hold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190B2 (en) * 1993-02-09 2001-08-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ubber crawler
CN201027739Y (en) 2007-03-21 2008-02-27 永基旅游用品(中山)有限公司 T shaped connection element used for jumping bed
US20100240496A1 (en) * 2009-03-18 2010-09-23 Samuel Chen Trampoline frame
CN203417428U (en) * 2013-09-06 2014-02-05 浙江天鑫运动器材有限公司 Novel trampo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190B2 (en) * 1993-02-09 2001-08-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ubber crawler
CN201027739Y (en) 2007-03-21 2008-02-27 永基旅游用品(中山)有限公司 T shaped connection element used for jumping bed
US20100240496A1 (en) * 2009-03-18 2010-09-23 Samuel Chen Trampoline frame
CN203417428U (en) * 2013-09-06 2014-02-05 浙江天鑫运动器材有限公司 Novel trampoli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8190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5605A (en) * 2018-10-22 2020-04-30 株式会社岡部 Net toy
JP6999939B2 (en) 2018-10-22 2022-01-19 株式会社岡部 Net playset
EP3725379A1 (en) * 2019-04-15 2020-10-21 Bellicon AG Bar ho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101320A4 (en) Trampoline
CN101601897B (en) Mini-trampoline with support bar
US20050148433A1 (en) Water trampoline
US10463171B2 (en) Activity jumper
US7568998B2 (en) Trampoline balance beam
US9694224B1 (en) Integrated step and jump exercise device
US5374225A (en) Resilient platform exercise device
US20070049463A1 (en) Trampoline frame structure
KR101791558B1 (en) Playing device for jumping
US20050043142A1 (en) Children&#39;s trampoline with supporting character
US7762927B1 (en) Game apparatus
KR20210081373A (en) Stable movable trampoline
CN212730847U (en) Tension rod for supporting tension rope
KR101873688B1 (en) JumPing Mat Fixing Device for Trampoline
KR102091932B1 (en) Folding trampoline with safe and easy hinge structure
US20120142499A1 (en) Leg assembly and platform assembly for a trampoline
KR101974454B1 (en) Multi-purposed exercise apparatus
KR101780901B1 (en) A drum provided on a trampoline
KR102455185B1 (en) Physical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muscle
CN212631611U (en) Exercise device
KR102369522B1 (en) House Type Trampoline
KR101471100B1 (en) A balance sporting apparatus
KR20100034457A (en) Board for jumping exercise
GB2429659A (en) Trampoline frame structure
KR20230089261A (en)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