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48U - 식재료 건조대 - Google Patents
식재료 건조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1648U KR20190001648U KR2020170006659U KR20170006659U KR20190001648U KR 20190001648 U KR20190001648 U KR 20190001648U KR 2020170006659 U KR2020170006659 U KR 2020170006659U KR 20170006659 U KR20170006659 U KR 20170006659U KR 20190001648 U KR20190001648 U KR 2019000164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fixed
- receiving container
- groove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조절 가능하며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난간에 설치 가능한 식재료 건조대가 제공된다. 식재료 건조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된 복수 개의 제1통기구가 형성된 수용용기, 상면을 덮도록 수용용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 난간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일단부가 클램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용용기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및 고정프레임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수용용기에 고정되어 난간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재료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조절 가능하며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난간에 설치 가능한 식재료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고추, 버섯과 같은 식재료는 자연광에 의한 건조 시 영양파괴가 적고 향미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어 건조식품으로 선호된다. 이러한 식재료는 통상, 받침판에 골고루 펼쳐 널어진 상태로 태양광에 의해 자연 건조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이, 마당이 없는 공동주택에서는 고추, 버섯 등의 식재료를 펼쳐 건조시키고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하여 베란다 또는 실내에서 식재료를 건조시키고 있다. 식재료를 말리는 작업은 장시간을 요하는 작업으로, 건조되는 시간 동안 베란다 또는 실내를 이용하는 데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실내 건조의 경우, 태양광에 의한 자연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료에 수분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맛과 빛깔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조절 가능하며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난간에 설치 가능한 식재료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건조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된 복수 개의 제1통기구가 형성된 수용용기와, 상기 상면을 덮도록 상기 수용용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와, 난간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난간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수용용기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용용기와 상기 난간대 사이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수용용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하는 원호상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돌기와 상기 홈부는 각각 복수 개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진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을 둘러싸고 하부로 만입된 고랑형태의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은 상기 배수홈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투명창과 상기 배수홈 사이에 측부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2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구는 상기 배수홈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덮개는 각각 상기 수용용기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난간대와 가까운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난간대와 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식재료 건조대는, 상기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를 받치는 내부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건조대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회전 가능하여 식재료가 태양광을 받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재료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날씨 또는 벌레와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외에서 건조할 수 있어, 식재료의 맛과 빛깔을 최대한 본연의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프레임과 수용용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용용기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지지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프레임과 수용용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용용기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지지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는 고추, 버섯과 같은 식재료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베란다의 난간에 걸어 사용될 수 있다.
식재료 건조대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회전 가능하여 식재료가 태양광을 받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재료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날씨 또는 벌레와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실외에서 건조할 수 있어, 식재료의 맛과 빛깔을 최대한 본연의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식재료 건조대(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고정프레임과 수용용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된 복수 개의 제1통기구(110)가 형성된 수용용기(100)와, 상면을 덮도록 수용용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난간대(600)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300)와, 일단부가 클램프(3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수용용기(10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00), 및 고정프레임(400)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수용용기(100)에 고정되어 난간대(6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1)는 수용공간이 덮개(200)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용기(100)가 클램프(300)와 고정프레임(400)에 의해 난간대(600)에 고정되고, 지지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우선, 수용용기(10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수용용기(100)는 식재료의 건조를 위해 햇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측면 또는 전체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수용용기(100)의 측면 또는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햇빛이 수용용기(100)의 상부와 측면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조사될 수 있어 식재료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말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수용용기(100)는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용기(100)는 식재료의 효과적인 건조를 위하여 복수 개의 제1통기구(110)가 관통 형성된다. 제1통기구(110)는 수용공간에 바람이 통하게 하며, 동시에, 식재료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제1통기구(110)는 통기가 가능하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기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0)의 측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 형성된 제1통기구(110)는 통기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서로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면에 형성된 제1통기구(110)는 식재료가 통과하여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용기(100)는 내부에 식재료를 받치는 내부받침대(120)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받침대(120)는 복수 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바람이 통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식재료의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관통공(121)은 수용용기(100)에 형성된 제1통기구(1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분이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받침대(120)는 수용용기(100)의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내부받침대(120)를 수용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수용용기(100)의 바닥면 혹은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받침대(120)가 바닥면과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식재료가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면에 형성된 제1통기구(110)에 벌레나 날파리 등이 닿더라도, 내부받침대(120)에 위치한 식재료에 직접 닿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용기(100)를 바닥에 내려놓더라도, 내부받침대(120)에 의해 식재료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 식재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용기(100)는 양 측면에 한 쌍의 끈삽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끈삽입부(130)는 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끈삽입부(130)에 고리가 달려 있는 끈을 삽입할 경우, 난간대(600) 뿐만 아니라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다른 구조물에 수용용기(100)를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200)는 수용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수용용기(100)의 폭과 길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00)가 수용용기(100)의 폭과 길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됨으로써, 수용용기(100)와 동일한 크기의 덮개(200)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덮개(200)에서 흐르는 비 또는 눈에 의한 물이 제1통기구(110)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덮개(200)는 상부 또는 측면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미닫이 또는 여닫이 등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용용기(1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200)는 난간대(600)와 먼 수용용기(100)의 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덮개(200)가 난간대(600)와 먼 위치에 힌지결합될 경우, 수용용기(100)를 난간대(600)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용용기(100)를 완전하게 밀폐하기 위하여, 난간대(600)와 인접하는 면의 덮개(200)에는 결합돌기(240)가 형성되고, 수용용기(100)에는 결합돌기(24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날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0)의 결합돌기(240)와 수용용기(100)의 결합날개(140)가 결합되면, 덮개(200)를 수용용기(100)에 결합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덮개(200)는 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진 투명창(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창(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덮개(200) 또한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210)은 덮개(2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용용기(100)의 형상에 맞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210)을 포함한 덮개(20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햇빛이 투과될 수 있어 식재료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덮개(200)는 배수홈(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홈(220)은 투명창(210)을 둘러싸고 하부로 만입된 고랑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홈(220)은 투명창(210)과 덮개(200)의 베젤 보다 낮게 형성된다. 배수홈(220)이 고랑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건조 중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 배수홈(220)에 물이 모아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배수홈(220)의 일 측에는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배수홈(220)에 모아진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할 수도 있다.
투명창(210)은 배수홈(220)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투명창(210)과 배수홈(220) 사이에는 측부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2통기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통기구(230)는 배수홈(220)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0)에 제2통기구(230)가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의 통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2통기구(230)가 배수홈(220)보다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배수홈(220)에 모아진 물이 제2통기구(230)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따라서, 날씨에 관계없이 덮개(200)에 형성된 제2통기구(230)를 통해 식재료의 건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용기(100)는 클램프(300)와 고정프레임(400)에 의하여 난간대(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500)에 의하여 난간대(600)에 지지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고정프레임(400)과 난간대(600)를 연결한다. 클램프(300)는 제1클램프부(310), 제2클램프부(320), 및 체결나사(330)를 포함한다. 클램프(300)는 적어도 하나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클램프(300)가 수용용기(100)의 크기에 맞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30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00)은 클램프(300)에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클램프부(310)는 제2클램프부(320)와 결합하여 난간대(600)를 결속한다. 제1클램프부(310)는 판 상의 고정부(311)와 경사부(312)를 포함하며, 경사부(312)는 고정부(311)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되 고정부(311)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클램프부(3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체결나사(330)가 삽입되는 체결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클램프부(310)가 난간대(600)를 결속하는 경우, 고정부(311)와 경사부(312)의 내측면은 난간대(60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제1클램프부(310)는 고정프레임(400)과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311)의 외측면에는 고정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400)의 일단에는 고정돌기(313)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클램프부(310)의 고정돌기(313)는 고정프레임(400)의 고정홈(420)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돌기(313)가 고정홈(420)에 삽입되거나 고정홈(420)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제1클램프부(310)는 고정프레임(4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즉, 난간대(600)에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300)를 분리하지 않아도, 고정프레임(400)을 제1클램프부(310)로부터 빼는 간단한 조작으로 수용용기(100)를 난간대(600)와 분리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11)는 외측면에 고정홈(420)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400)은 일단에 고정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클램프부(320)는 제1클램프부(3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1클램프부(310)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체결나사(330)는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의 상하 측에 위치한 체결홀(314) 에 삽입되며,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를 체결한다. 체결나사(330)는 난간대(600)가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에 체결된다.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는 체결나사(330)에 의해 서로 결속되며, 체결나사(33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제1클램프부(310)와 제2클램프부(320)가 난간대(600)를 결속하는 결속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400)은 수용용기(100)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즉, 한 쌍의 고정프레임(400)은 일단부가 한 쌍의 클램프(300)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수용용기(100)의 양단부에 힌지핀(410)과 연결된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다. 고정프레임(400)은 난간대(600)와 가까운 수용용기(100)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프레임(400)에는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돌기(430)가 형성되고, 수용용기(100)에는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탄성돌기(43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프레임(400)에 복수 개의 탄성돌기(430)가 형성되고, 수용용기(100)에는 탄성돌기(43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돌기(430)와 홈부(160)가 맞물린 상태에서 힌지핀(410)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프레임(400)과 수용용기(100)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탄성돌기(430)와 홈부(160)는 각각,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력이 증대되어 수용용기(100)가 난간대(6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수용용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돌기(430)가 형성되고, 고정프레임(400)에는 탄성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0)는 고정프레임(400)과 힌지결합하며, 이러한 수용용기(100)를 난간대(600)에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0)는 제1지지부재(510), 제2지지부재(520), 및 체결부재(53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510)는 난간대(600)를 마주하는 수용용기(100)의 하면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510)는 수용용기(1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나사(150)가 제1지지부재(510)에 형성된 지지홈(511)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고, 제1지지부재(510)의 상부는 'ㄴ'자 형으로 형성되어 수용용기(10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510)는 하부에 체결부재(530)가 결합하기 위한 제1관통홈(5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51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결착돌기(512)가 톱니모양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착돌기(512)는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결착돌기(512)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520)는 제1지지부재(5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지지부재(520)의 상면은 제1지지부재(510)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지지부재(520)의 상면에는 결착돌기(512)에 대응하는 결착홈(521)들이 형성되며, 결착홈(521)이 형성되는 면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부재(530)가 결합하기 위한 제2관통홈(5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홈(52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520)는 제1지지부재(510)에 접하는 면과 난간대(600)에 접하는 면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체(52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530)는 제1지지부재(510)와 제2지지부재(520)를 결착돌기(512)와 결착홈(521)이 맞물린 상태로 결착시킨다. 체결부재(530)는 제1지지부재(510)의 제1관통홈(513)과 제2지지부재(530)의 제2관통홈(523)에 체결된다. 체결부재(53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제1지지부재(510)과 제2지지부재(520)의 결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식재료 건조대(1)의 동작 및 사용상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재료 건조대(1)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각도에 맞게 수용용기(100)의 회전이 가능하여 식재료가 태양광을 받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재료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날씨 또는 벌레와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 없이 실외에서 건조할 수 있어, 식재료의 맛과 빛깔을 최대한 본연의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수용용기의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용용기(100)는 고정프레임(400)의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400)은 클램프(300)에 의해 고정되고, 수용용기(100)는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400)과 힌지결합되어있어 수용용기(100)가 회전할 수 있다. 수용용기(100)와 고정프레임(400)의 힌지결합은 고정프레임(400)의 탄성돌기(430)와 수용용기(100)의 홈부(160)가 맞물린 상태에서 힌지핀(410)을 고정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탄성돌기(430)와 홈부(160)가 힌지축(4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있으므로, 수용용기(100)의 회전 시에도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탄성돌기(430) 및 홈부(160)는 수용용기(100)가 회전함에 따라 각각 다른 홈부(160) 및 탄성돌기(43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수용용기(100)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홈부(160)가 이동되므로, 각각 다른 탄성돌기(43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되는 탄성돌기(430)와 홈부(160)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지지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용용기(100)가 회전하면, 수용용기(100)와 난간대(600) 사이의 길이가 변하는데, 이 길이 변화에 따라 지지부재(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520)는 제1지지부재(510)와 결착되는 면적이 변경되도록 제1지지부재(5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관통홈(513)과 제2관통홈(523)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30)의 결합력을 약하게 한 후, 수용용기(100)와 난간대(600) 사이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제2지지부재(520)를 재결착시키며, 체결부재(530)를 다시 조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2관통홈(523)이 복수 개로 형성될 경우 체결부재(530)를 완전히 분리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제2관통홈(523)이 하나로 길게 형성될 경우 체결부재(530)의 결합력을 약하게 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관통홈(523)은 하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식재료 건조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식재료 건조대(1)는 회전각을 조절하여 난간대(600)에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재료 건조대(1)를 난간대(600)에 고정한 후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수용용기(100)를 회전하여 식재료(700)가 태양광을 받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수용용기(100) 및 덮개(200)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투명창(210)뿐만 아니라 다른 측에서도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700)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받침대(120)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건조함으로써, 외부와 직접 접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중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 물이 배수홈(220)으로 유입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제2통기구(230)가 배수홈(220) 보다 상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배수홈(220)에 물이 가득 차더라도 수용공간 내부로 흐르지 않고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0)가 난간대(600)로부터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을 때, 난간대(600)와 가까운 쪽의 배수홈(220)에 고인 물이 난간대(600)와 먼 쪽의 배수홈(220) 쪽으로 흘러가므로 제2통기구(230)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끈삽입부(130)에 고리가 달려있는 끈을 삽입할 경우, 난간대(600) 뿐만 아니라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다양한 구조물에 고리를 걸어 수용용기(100)를 고정할 수 있다. 고리가 달려있는 끈을 이용하면, 수용용기(100)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용용기(100)가 사방으로 흔들릴 수 있어 식재료(700)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식재료 건조대
100: 수용용기
110: 제1통기구 120: 내부받침대
121: 관통공 130: 끈삽입부
140: 결합날개 150: 지지나사
160: 홈부 200: 덮개
210: 투명창 220: 배수홈
230: 제2통기구 240: 결합돌기
300: 클램프 310: 제1클램프부
311: 고정부 312: 경사부
313: 고정돌기 314: 체결홀
320: 제2클램프부 330: 체결나사
400: 고정프레임 410: 힌지핀
411: 힌지축 420: 고정홈
430: 탄성돌기 500: 지지부재
510: 제1지지부재 511: 지지홈
512: 결착돌기 513: 제1관통홈
520: 제2지지부재 521: 결착홈
522: 지지체 523: 제2관통홈
530: 체결부재 600: 난간대
700: 식재료
110: 제1통기구 120: 내부받침대
121: 관통공 130: 끈삽입부
140: 결합날개 150: 지지나사
160: 홈부 200: 덮개
210: 투명창 220: 배수홈
230: 제2통기구 240: 결합돌기
300: 클램프 310: 제1클램프부
311: 고정부 312: 경사부
313: 고정돌기 314: 체결홀
320: 제2클램프부 330: 체결나사
400: 고정프레임 410: 힌지핀
411: 힌지축 420: 고정홈
430: 탄성돌기 500: 지지부재
510: 제1지지부재 511: 지지홈
512: 결착돌기 513: 제1관통홈
520: 제2지지부재 521: 결착홈
522: 지지체 523: 제2관통홈
530: 체결부재 600: 난간대
700: 식재료
Claims (8)
-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된 복수 개의 제1통기구가 형성된 수용용기;
상기 상면을 덮도록 상기 수용용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
난간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용기에 고정되어 상기 난간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식재료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수용용기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용용기와 상기 난간대 사이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식재료 건조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수용용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하는 원호상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상기 탄성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식재료 건조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와 상기 홈부는 각각 복수 개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식재료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진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을 둘러싸고 하부로 만입된 고랑형태의 배수홈이 형성된 식재료 건조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배수홈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투명창과 상기 배수홈 사이에 측부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2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기구는 상기 배수홈보다 상부에 형성된 식재료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덮개는 각각 상기 수용용기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난간대와 가까운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난간대와 먼 단부에 결합되는 식재료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를 받치는 내부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건조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659U KR200489788Y1 (ko) | 2017-12-21 | 2017-12-21 | 식재료 건조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659U KR200489788Y1 (ko) | 2017-12-21 | 2017-12-21 | 식재료 건조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648U true KR20190001648U (ko) | 2019-07-01 |
KR200489788Y1 KR200489788Y1 (ko) | 2019-08-07 |
Family
ID=6722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6659U KR200489788Y1 (ko) | 2017-12-21 | 2017-12-21 | 식재료 건조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788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770Y1 (ko) * | 1990-04-11 | 1995-09-21 |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 씨-모스 트랜지스터 구조 |
KR20120002472U (ko) * | 2010-09-30 | 2012-04-09 | 김은선 | 베란다용 고추 건조대 |
KR101426910B1 (ko) | 2012-11-13 | 2014-08-05 | 서달근 |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
KR101560284B1 (ko) * | 2014-07-11 | 2015-10-19 | 우서현 | 식품 건조 바구니 |
-
2017
- 2017-12-21 KR KR2020170006659U patent/KR20048978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770Y1 (ko) * | 1990-04-11 | 1995-09-21 |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 씨-모스 트랜지스터 구조 |
KR20120002472U (ko) * | 2010-09-30 | 2012-04-09 | 김은선 | 베란다용 고추 건조대 |
KR101426910B1 (ko) | 2012-11-13 | 2014-08-05 | 서달근 |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
KR101560284B1 (ko) * | 2014-07-11 | 2015-10-19 | 우서현 | 식품 건조 바구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788Y1 (ko) | 2019-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19679A (en) | Storage device for bodies, which shall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such as bodies for the absorption of humidity | |
US20040134444A1 (en) | Folding aluminum dog box having knockdown walls | |
US7383836B2 (en) | Firepit with pivoting sliding door | |
KR101609977B1 (ko) | 루프어닝 장치 | |
EP2982919B1 (en) | Refrigerator | |
EP1933676A2 (en) | Hinged window screen | |
KR20190001648U (ko) | 식재료 건조대 | |
US4467535A (en) | Laundry drier dividers | |
AU2003208726A1 (en) | Modular flower box comprising water drainage system and clamp/support which is used to connect modules and which can house a lighting element | |
RU1836563C (ru) | Способ сушки на открытом воздухе орган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пример соломы, торфа, древесной щепы и т.п.,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 |
KR20180001714U (ko) | 다기능 접이식 건조망 | |
CN209585460U (zh) | 一种新型翻转式雨棚钢结构 | |
CN108814127A (zh) | 一种折叠蚊帐架 | |
US92113A (en) | Improvement in fruit-driers | |
KR200462256Y1 (ko) |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WO1995014142A2 (en) | Plastic sectional shelter | |
KR101290825B1 (ko) | 햇볕 조절이 가능한 용기 캡 | |
GB2550434A (en) | Dehumidifier | |
RU2138238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ажной процедуры в парильне бани | |
KR20160101788A (ko) | 제습기용 물건 건조 키트 | |
RU2001114092A (ru) | Гелиосушилка для сушки фруктов и овощей | |
KR20040029191A (ko) | 장력조절이 가능한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고정구조 | |
EP0990762B1 (en) | Shutter with adjustable lamellae and outer covering | |
US1121186A (en) | Drier. | |
CN215189120U (zh) | 新型带鱼风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