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92A -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 Google Patents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92A
KR20190001392A KR1020170081316A KR20170081316A KR20190001392A KR 20190001392 A KR20190001392 A KR 20190001392A KR 1020170081316 A KR1020170081316 A KR 1020170081316A KR 20170081316 A KR20170081316 A KR 20170081316A KR 20190001392 A KR20190001392 A KR 2019000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orting
wind power
rice br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392A/en
Publication of KR2019000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ran sorting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are built in a wind screening unit inside the rice bran sorting machine and the whole shape is made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tetrahedrons, so that rice bran sorting can be performed trough the plurality of sorting plates, thereby maximizing the production of rice bran and allowing mass production in a small area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0002]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본 발명은 미강선별기 내부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내부에 선별판을 다수로 구성하면서 전체모양을 사면체 등과 같이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선별판을 통해 동시에 선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쌀눈 등의 생산량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좁은면적에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는 미강선별기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are formed inside a wind power sorting unit constructed inside a rice grate sorting machine, and the whole shape is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tetrahedron or the like, an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imultaneously sort through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to maximize production of rice husk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mass-produced in a small area.

일반농가에서 생산된 벼를 도정하는 과정을 보면, 탈각 공정을 거쳐 현미가 생산되며, 현미는 정미소나 미곡종합처리장의 정미공정을 거쳐 백미가 생산되며, 이때 부산물인 쌀눈(胚芽), 쌀겨(米糠) 및, 싸라기를 포함하는 미강이 생산되어 배출된다.The process of rice paddy production in general farms is followed by the dismantling process to produce brown rice, and the brown rice is processed through the rice milling process at the rice mills and rice paddy fields. At that time, rice germ, rice bran ) And rice bran are produced and discharged.

이들의 영양분포는 쌀눈에 약 66%, 쌀겨에 약 29%가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쌀눈을 포함하는 쌀겨의 경우엔 그 구성성분이 탄수화물 중 당질이 약 40%, 식이섬유가 약 15%, 지방이 약 20%, 단백질이 약 15%, 회분이 약 10% 함유하고 나머지는 비타민과 기능성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The nutritional distribution of these rice flour is about 66% in rice and about 29% in rice bran. In the case of rice bran containing these rice flour, its constituents include about 40% of carbohydrates, about 15% of dietary fiber, , About 20% fat, about 15% protein, about 10% ash, and the rest contain vitamins and functional ingredients.

미강에는 작은 크기의 싸라기와 쌀눈 및 쌀겨가 혼합되어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제와 산화효소인 리폭시게나제에 의해 지질이 변화되어 산패가 시작되며 지질이 산패하면서 세균이나 진균류가 번식하면서 섬유질(fiber)와 전분질(starch)의 분해가 개시되어 식품으로는 사용하기 어려워 현재까지는 사료나 퇴비용으로 주로 사용하여 왔다.Rice bran is mixed with rice husk and rice bran in a small size, and lipase is changed by lipase which is a lipolytic enzyme and lipoxygenase which is an oxidase enzyme, and rancidity starts, and bacteria and fungi reproduce due to sourness of lipids, Since starch decomposition has been started, it has been difficult to use as a food and has been mainly used for feed or compost.

그러나, 근래에 쌀눈 영양 가치에 대한 홍보가 홈쇼핑 등의 홍보 매체에서 활발해짐에 따라 쌀눈의 영양가 및 건강식품으로의 우수성이 입증되어 쌀눈 소비가 급격히 늘어나며, 쌀눈 생산 공장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promotion of rice nourishment value has been actively promoted by promotional media such as home shopping. As a result, nutritional value and healthful food of rice have been proved to be excellent, and rice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ing.

이에, 도정공정의 부산물인 미강에서 쌀눈을 선별하기 위하여 미강선별기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a rice gruel sorting machine has been manufactured and used to select rice husk from rice bran, which is a byproduct of rice bran processing.

도 1은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conventional cross-section type raw-material separator.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wind turbine sorting unit constructed in a conventional cross-sectional type raw material separator.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미강선별기에는 미강이 투입되는 원료투입구(10)가 구성되며, 진동선별기(20)에서 이물질 등이 제거된 미강을 보조탱크(30)로 이동하며, 이물질 등은 걸러져서 분쇄기(40)로 이동하여 분쇄된 상태로 다시 원료투입구(10)로 재투입되어 활용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raw water separator includes a raw material inlet 10 into which raw rice is introduced. Raw cores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are removed from the vibration discriminator 20 are moved to the auxiliary tank 30, And then is transferred to the crusher 40 and is reused into the raw material input port 10 in a pulverized state and utilized.

보조탱크(30)로 이동되어 담겨진 미강은 풍력선별부(60)로 투여되는데, 풍력선별부(60)의 한측면에는 선별판(60a)이 일정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하면서 경사지게 구성되며, 미강은 상기 선별판(60a)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구성된다.The untreated rice which is moved to the auxiliary tank 30 and is then sent to the wind power sorting unit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 power sorting unit 60 so that the sorting plate 60a is inclined while forming a space at regular intervals, And flows down along the sorting plate 60a.

상기 풍력선별부(60)의 내부는 송풍기(50)와 연결되어 있고, 송풍기(50)가 동작하면 풍력선별부(60)의 선별판(60a)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가벼운 쌀겨는 공기에 빨리면서 사이클론(70)으로 투입되고, 이에 쌀겨는 쌀겨용기(90)에 담기도록 구성된다.The inside of the wind power discriminating unit 60 is connected to the blower 50. When the blower 50 operates, light rice bran is blown into the air flowing downward along the discriminating plate 60a of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60 The rice is put into the cyclone 70 at a high speed, and the rice bran is contained in the rice bran vessel 90.

또한, 송풍기(50)가 동작하면 풍력선별부(60)의 선별판(60a)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싸라기와 쌀눈은 공기에 빨리지 않고 상기 선별판(60a)을 따라 계속 흘러내려가 쌀눈용기(80)에 담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쌀겨는 싸라기와 쌀눈과 별도로 분리 선별되어 각각의 용기에 선별되게 된다. When the air blower 50 operates, relatively heavy air and rice balls flowing downward along the sorting plate 60a of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60 continue to flow along the separating plate 60a The rice bran is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rice husk and the rice husk, so that the rice bran is sorted into the respective containers.

즉, 기존의 풍력선별부의 선별방식은 도정공정의 부산물인 미강에서 쌀겨와 쌀눈/싸라기를 선별하기 위하여 소형이면서 한쪽 단면에만 선별판(60a)을 갖는 풍력선별부(60)를 사용하였다.That is, in order to sort rice bran and rice husk / rice husk from the rice bran, which is a byproduct of the blanching process, the conventional wind gauge sorting method uses a wind power sorter 60 having a small sorting plate 60a on only one sid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ross-section type raw-material separato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번째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미강선별기의 풍력선별부(60)의 한쪽 측면을 따라 흐르는 미강에서만 쌀겨와 쌀눈/싸라기를 선별하게 되므로, 일단 선별되는 용량이 작을 수밖에 없다.First, in such a structure, rice bran and rice husk / rice blanks are selected only in the rice bran flowing along one side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 of the rice bran separator, so the capacity to be once selected is inevitably small.

실제로 이런 방식의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는 시간당 300kg 정도의 쌀눈을 생산할 수 있는 소량용이기 때문에, 현재 시간당 1톤의 쌀눈 생산이 요구되는 대형 미곡종합처리장 등에 사용되기에는 용량처리상의 문제점이 있다.In practice,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type rice gruel sorting machine of this type has a disadvantage in terms of capacity processing to be used in a large rice grain processing plant requiring a production of 1 ton of rice grain per hour, since it is a small-sized rice grain production device capable of producing 300 kg of rice grain per hour.

즉, 현재 미강선별기로는 소량 생산만이 가능하며, 대용량의 쌀눈 생산이 어려우며, 특히 농협 및 민간에서 운영 중인 대형 미곡종합처리장 등에선 미강이 대량으로 생산되는 대규모 RPC이므로 대용량 미강선별기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a large-capacity Rice Grader because it is a large-scale RPC that can produce only a small amount of rice ginseng,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rice ginseng. .

두번째로, 이에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를 그대로 활용해서 시간당 1톤의 쌀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풍력선별부(60)를 다수로 설치하거나, 미강선별기 기기 자체를 여러대로 구축하여야 가능하다.Secondly, in order to produce 1 ton of rice husk per hour by utilizing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type rice grate sorting machine as it i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wind power sorting units 60 or to construct several rice grate sorting machines themselves.

도 3은 다수의 풍력선별부가 설치된 종래의 방식의 미강선별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처럼, 이런 구축상태에서는 풍력선별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요구되어 공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ype of rice gauge sorting mach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d power sorting units. As shown in the drawing, in such a construction state, a space for installing the wind power selector is additionally required, which causes space problems.

세번째로, 종래구조의 미강선별기는 상기 경사진 선별판(60a)을 따라 미강이 중력에 의해 계속 흘러내려 가다가 무거운 싸라기와 쌀눈은 송풍기의 공기압에 의해 빨리지 않고 가벼운 쌀겨만이 빨리는 방식이다. Third, in the conventional rice bins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rice bran flows down along the inclined separating plate 60a by gravity, and the rice bran is not quickened by the air pressure of the blower and only light rice bran is fast.

이러한 방식은 송풍기가 작동될 때에 풍력선별부(60)의 한쪽 측면의 선별판(60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수평적으로 발생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쌀겨가 흡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풍력선별부(60)의 한쪽 측면에서만 형성되는 공기흐름양 자체가 적고, 풍력선별부(60) 내부의 압력도 고르지 않고, 쌀겨에 작용하는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공기압이 작용되다보니 쌀겨를 한번에 다량으로 흡수하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This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rice bran is sucked by the horizontally generated air flow caused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scriminating plate 60a on one side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 when the blower is operated, The amount of the airflow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wind turbine 60 is small and the pressure inside the wind power selector 60 is not uniform and the air pressure is appli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cting on the rice br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다시말해, 종래의 단면형 풍력선별부(60)에서는 내부의 공기흐름이 선별판 앞에서 흡입되어 뒤쪽으로 배출되는 수평적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한쪽면에서만 공기가 유입되므로 공기량이 작고, 한쪽면에서만 공기가 유입되므로 내부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풍력선별부(60) 내부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지 않아서, 선별효율이 높지 않았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wind force sorter 60, the air flow inside is sucked in front of the sorting plate to form a horizontal air flow discharged to the rear side. Since the air flows in only one side, Since the air is introduced only from one side, the internal pressure is not constant, and the force acting inside the wind power selector 60 is not uniform, so that the sorting efficiency is not high.

즉, 종래의 단면형 풍력선별기는 송풍기가 작동시에 한쪽면의 선별판의 앞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뒤쪽에 설치된 송풍기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비중이 작은 쌀겨는 배출하고 무거운 쌀눈 과 싸라기를 분리 선별하는 방식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wind-powered sorter, when the blower is in operation, air is introduced in front of the sheet discriminating plate on one side, and air sucked by the blow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is used to discharge rice bran with low specific gravity, .

따라서, 투입되는 미강의 양이 많아질수록 송풍기의 공기압에 의해 쌀겨가 흡입되지 않고, 그대로 선별판(60a)을 따라 싸라기와 쌀눈과 함께 흘러내리는 양이 많아질 수밖에 없어 쌀겨는 그대로 싸라기와 쌀눈과 함께 쌀눈용기(80)에 담기게 되어, 선별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as the amount of rice bran added increases, the rice bran is not sucked by the air pressure of the blower, and the rice bran is forced to flow along with the rice bran 60a along with the rice bran 60a. Which is contained in the rice husk vessel 80, and the uniformity of sorting is deteriorated.

특허문헌 1: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02497호(공개일: 2006.01.09)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02497 (published on January, 2006) 특허문헌 2: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02653호(공개일: 2009.01.09)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02653 (Published Date: 2009.01.09) 특허문헌 3: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4-0134005호(공개일: 2014.11.21)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34005 (published on November 21, 2014)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당 1톤의 쌀눈 생산이 요구되는 현재 정미시장의 추세에 따라, 쌀눈 생산 용량을 확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강선별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gonade selector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capacity of rice husk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rice market which requires production of 1 ton of rice per hour.

또한, 본 발명은 종래처럼 미강선별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도 좁은공간에서 쌀눈 생산용량이 확대하도록 구성된 미강선별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gonad discriminator in which the production capacity of rice husk is increased in a narrow space without expand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rice gonad discriminator.

또한, 본 발명은 미강선별기에 투입되는 미강의 선별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송풍기에 의한 공기압에 의해 풍력선별부 내에 형성되어 흐르는 공기의 양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미강선별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gonote separator configured to maximize the amount of air that is formed in a wind power sorter by air pressure by a blower to maximize the sorting efficiency of rice bran into a rice bran separat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강을 투입하여 풍력을 통해 쌀겨, 쌀눈 및 싸라기를 선별하는 미강선별기에 있어서, 미강이 투입되는 원료투입기; 상기 원료투입기에 투입된 미강이 이동되어 담기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미강을 선별하는 풍력선별부; 및 상기 풍력선별부와 연결되어 풍력선별부 내부에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풍력선별부는 투입되는 미강이 흘러내리기 위한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되어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를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gonader for sorting rice bran, rice gruel, and rice gruel through wind power by introducing rice gruel, comprising: a raw material feeder into which rice bran is introduced; Wherein the raw rice introduced into the raw material feeder is moved to the auxiliary tank; A wind power selector for selecting the raw rice supplied from the auxiliary tank; 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wind power selector to generate an air flow inside the wind power selector, wherein the wind power se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for flowing down the raw cor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gauge sort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상기 보조탱크에 담겨진 미강을 일정하게 풍력선별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탱크와 풍력선별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탱크에서 떨어지는 미강을 수용하는 피더기; 및 상기 피더기에 진동을 주어 미강을 고르게 분포시켜서 일정하게 미강을 상기 풍력선별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진동기;가 구성된다.A feeder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and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and accommodates rice bran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so as to uniformly supply the rice bran contained in the auxiliary tank to the wind power selecting unit; And a vibrator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feeder to uniformly distribute the raw water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wind power separator.

상기 풍력선별부에는 공기구가 형성된 외측면이 구성되며, 상기 외측면 내부로 일정공간을 두고 상기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한 선별판을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선별판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단이 계단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Wherein the wind screen separating unit is configured to have an outer surface formed with an air hole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outer surface to position the screen having the multi-sided body structure,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ends.

상기 선별판에 쌀눈과 싸라기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판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풍력선별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공기총과 상기 공기총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가 구성된다.An air gun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ind screening unit to spray air to the screen, and a timer for operating the air g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of rice balls and rice balls to the screen.

송풍기의 연결관이 상기 각각의 선별판이 형성한 다측면체 구조의 바닥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의 동작시 상기 각각의 선별판의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바닥면의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flow path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of each of the sorting plates i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

본 발명인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through a rice gonad discrimina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번째로,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는 풍력선별부의 선별판을 다수로 구성하여, 동시에 선별을 하도록 하여 많은양의 미강을 선별할 수 있게 되어, 쌀눈 생산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rice gona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of a wind power sorter and is capable of selecting a large amount of rice bran by sorting at the same time, thereby maximizing the rice bran production capacity.

두번째로,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추가 설치공간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아 좁은 장소에 장비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Secondly, since the rice gona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ss-produced and requires no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the apparatus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세번째로, 본 발명의 풍력선별부에는 공기통로를 갖는 선별판을 사면체, 삼면체 또는 원통형 등으로 구조화하여 미강선별에 동시에 사용되도록 하여, 송풍기 동작시에 많은 양의 공기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풍력선별부 내부 압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쌀겨와 쌀눈 및 싸라기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ly, in the wind power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plate having the air passage is structured by a tetrahedron, a triple-sided body, or a cylindrical type so that it can be simultaneously used for the selection of bare steel, thereby inducing a large amount of air flow during operation of the blower, By making the inner pressure unifor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of rice bran, rice gruel and rice gruel.

네번째로, 본 발명의 송풍기의 연결관은 풍력선별부의 바닥면으로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쌀겨에 작용하는 중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압이 작용되다보니 쌀겨에 작용되는 공기압의 세기가 커져 쌀겨와 쌀눈 및 싸라기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connection pipe of the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 screening portion, the air pressure acts on the rice breez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air pressure acting on the rice breeze increas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creening efficiency of the screening can be increased.

다섯번째로, 본 발명의 보조탱크와 풍력선별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탱크에서 떨어지는 미강을 수용하는 피더기와 상기 피더기에 진동을 주는 진동기를 통해 상기 보조탱크에 담겨진 미강을 일정한 양으로 풍력선별부로 공급하여 균일한 미강공급으로 선별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Fifthly, a feeder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and the wind power sor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mmodates rice bran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and a vibrator that vibrates the feeder, And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by supplying a uniform raw rice.

여섯번째로, 본 발명의 풍력선별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공기총과 상기 공기총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를 통해, 풍력선별부의 선별판으로 일정시간마다 공기를 분사하도록하여, 쌀눈과 싸라기가 선별판에 미세미강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ly, the air gun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nd scree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 gun are sprayed to the screening plate of the wind screening unit every certain time through the timer operating the air g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cropores from adhering to the plate.

도 1은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단면형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다수의 풍력선별부가 설치된 종래의 방식의 미강선별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피더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conventional cross-section type raw-material separator.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wind turbine sorting unit constructed in a conventional cross-sectional type raw material separator.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ype of rice gauge sorting mach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d power sorting units.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ice goncho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nd power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eeder constructed in the rice gonad from the rice gum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wind turbine sorting part constructed in a rice goncho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변형 미강선별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에는 미강이 투입되는 원료투입구(100)가 구성된다.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ultivariable coreless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nd turbine sorting part constructed in a coreless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aw material sor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w material input port 100 into which raw materials are fed.

쌀눈과 싸라기 및 쌀겨를 포함하는 미강이 투입되면, 진동선별기(200)에서 이물질 등이 제거된 미강을 보조탱크(300)로 이동하며, 이물질 등은 걸러져서 분쇄기(400)로 이동하여 분쇄된 상태로 만든 후에 다시 원료투입구(100)로 재투입되어 활용되게 된다. When rice bran containing rice husks, rice bran and rice bran is put in, the untreated rice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 or the like is removed from the vibration discriminating device 200 is moved to the auxiliary tank 300,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moved to the crusher 400, And then re-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ort 100 for utilization.

상기 보조탱크(300)로 이동되어 담겨진 미강은 풍력선별부(600)로 투여된다.The untreated rice moved to the auxiliary tank 300 and contained therein is administered to the wind power discriminating unit 600.

상기 풍력선별부(600) 내부에는 투입되는 미강이 흘러내리기 위한 선별판(620)이 다수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된다.The wind screen separator 600 has a multi-sided body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620 for flowing down the raw cores are inclined.

상기 풍력선별부(600)에는 공기구(610a)가 형성된 외측면(610)이 구성되며, 상기 외측면(610) 내부로 일정공간을 두고 상기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한 선별판(620)을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wind screen separator 600 includes an outer surface 610 having an air hole 610a formed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620 having a multi-sided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outer surface 610, .

상기 다측면체 구조는 선별판(610)을 다수로 하여 형성한 구조로서 사면체형이나 원뿔형, 삼면체형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The multi-sided body structure can be structured by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610, and can be structured as a slope, a cone, or a three-sided body.

상기 외측면(610)과 선별판(620)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공간은 쌀눈과 싸라기의 선별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A certain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610 and the plate 620 forms a sorting space S of rice husks.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단(620a)이 계단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620a)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기통로(620b)가 형성된다.The protrusion 620a forms a stepped structur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each of the sorting plates 620 and an air passage 620b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620a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의 돌출단(620a)은 일정간격으로 공기통로(620b)를 형성하며, 풍력선별부(600)에 투입되는 미강은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protruding ends 620a of the respective sorting plates 620 form air passageways 620b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rrugated iron that is input to the wind force sorting unit 600 is moved along the respective plate 620 And then flows downward.

상기 풍력선별부(600)의 내부는 송풍기(500)와 연결되어 있고, 송풍기(500)가 동작하면 풍력선별부(600)의 선별판(620)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가벼운 쌀겨는 공기에 빨리면서 사이클론(700)으로 투입되고, 이에 쌀겨는 쌀겨용기(900)에 담기도록 구성된다.The inner portion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is connected to the blower 500. When the blower 500 operates, light rice bran flows downward along the plate 620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The rice bran is put into the cyclone 700 at a high speed and the rice bran is contained in the rice bran container 900.

즉, 송풍기(500)는 상기 풍력선별부(600)와 연결되어 풍력선별부 내부에 공기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blower 500 is connected to the wind power selector 600 to generate an air flow inside the wind power selector.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는 풍력선별부(600)의 선별판(620)을 다수로 구성하여, 많은양의 미강을 한번에 선별할 수 있게 되어, 쌀눈 생산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선별판(620)을 다측면체 구조로 형성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추가 설치공간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아 좁은 장소에 장비설치가 가능하다.The rice gona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620 of the wind power classifying unit 600 so that a large amount of raw rice can be selected at a time to maximize the production capacity of rice gruel.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nd install equipment in a narrow space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송풍기(500)가 동작하면 풍력선별부(600)의 각각의 선별판(620)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싸라기와 쌀눈은 공기에 빨리지 않고 상기 선별판(620)을 따라 계속 흘러내려가 선별공간(S)을 통과하여 저장용기에 별도로 담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쌀겨는 싸라기와 쌀눈과 별도로 분리 선별되게 된다. When the blower 500 is operated, relatively heavy rice and rice husk in the rice blanks that have flowed down along the respective sorting plates 620 of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600 continue to flow along the separating plate 620 So that the rice bran can be separated separately from the rice husk and the rice husk.

선별공간(S)을 통과한 싸라기와 쌀눈은 풍력선별부(600)에 구성된 열개(미도시)를 오픈하여 쌀눈용기로 담게 된다.The rice husk and the rice husk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sorting space S are opened in the wind power selection unit 600 and are contained in the rice husk vessel.

본 발명은, 미세한 쌀눈과 싸라기가 흘러내리다가 선별판(620), 특히 선별판(620)의 돌출단(620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판(620)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외측면(610)에 장착되는 공기총(Air-gun, 630)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sprayed to the sorting plate 620 in order to prevent the minute rice balls and the loosening of the rice leaves from adhering to the separating plate 620 and particularly to the protruding end 620a of the sorting plate 620 An air gun 63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610 is formed.

또한, 상기 공기총(630)을 일정 시간간격, 이를테면 10분단위, 또는 1시간 단위등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640)가 구성된다.Also, a timer 640 for operating the air gun 63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uch as 10 minutes, or 1 hour, may be configured.

상기 외측면(610)에 구성되는 공기총(630)과 타이머(640)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air gun 630 and the timer 64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61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eded.

즉, 본 발명의 풍력선별부(600)의 외측면(610)에 장착되는 공기총(630)과 상기 공기총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640)를 통해, 풍력선별부(600)의 선별판(620)으로 일정시간마다 공기를 분사하도록하여, 쌀눈과 싸라기가 선별판(620)에 달라붙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rough the air gun 63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610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imer 640 operating the air g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ir is sprayed to the plate 620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rice balls and the rice balls from adhering to the plate 620.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피더기의 작동상태도이다.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eeder constructed in the rice gonad from the rice gum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조탱크(300)에서 떨어지는 미강의 양만큼 그대로 상기 풍력선별부(600)로 투입되게 되면, 풍력선별부(600)의 순간적 용량초과로 인한 선별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the rice blanks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300 is supplied to the wind turbine selector 600 as it is, the wind turbine 600 may be overcharged due to the excess capacity of the wind turbine 600.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상기 보조탱크(300)에 담겨진 미강을 일정하게 풍력선별부(6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탱크(300)와 풍력선별부(60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탱크(300)에서 떨어지는 미강을 수용하는 피더기(800)가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uxiliary tank 300 and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are connected to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in order to uniformly supply the rice bran contained in the auxiliary tank 300 to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 And a feeder unit 8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s to receive the rice bran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300.

상기 피더기(800)는 깔대기 형태로 미강을 중간에서 수용하면서 수용된 미강을 일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The feeder 800 serves to feed the rice bran in a predetermined amount while receiving the rice bran in the form of a funnel.

또한, 상기 피더기(800)에 진동을 주어 일정하게 미강을 상기 풍력선별부로 공급하는 진동기(810)가 더 구성된다.The vibrator 810 further vibrates the feeder 800 to supply the raw wind to the wind power selector.

상기 진동기(810)의 진동에 의해 피더기(800)로 수용되는 미강이 상기 피더기(900)에서 고르게 분산된 상태에서 풍력선별부(600)로 일정하게 떨어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raw water contained in the feeder 800 can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feeder 900 while being uniformly dispersed in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810.

즉, 본 발명의 보조탱크(300)와 풍력선별부(6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탱크에서 떨어지는 미강을 수용하는 피더기(800)와 상기 피더기에 진동을 주는 진동기(810)를 통해 상기 보조탱크에 담겨진 미강을 일정하게 풍력선별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feeder 800,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300 and the wind power selecto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mmodates rice bran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and a vibrator 810 that vibrates the feeder,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rice bran contained in the tank constantly to the wind power sorting sec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강선별기에 구성된 풍력선별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wind turbine sorting part constructed in a rice goncho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rice gonolph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보조탱크(300)에서 풍력선별부(600)로 투입되는 미강은 경사진 다측면체 구조를 이룬 각각의 선별판(620)을 따라 밑으로 흘러내리게 된다.The raw rice which is fed into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600 from the auxiliary tank 300 flows downward along each of the separating plates 620 having an inclined multi-sided body structure.

상기 풍력선별부(600)에는 공기구(610a)가 형성된 외측면(610)이 구성되며, 상기 외측면(610) 내부로 일정공간을 두고 상기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한 선별판(620)을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wind screen separator 600 includes an outer surface 610 having an air hole 610a formed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620 having a multi-sided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outer surface 610, .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단(620a)이 계단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620a)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기통로(620b)가 형성된다.The protrusion 620a forms a stepped structur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each of the sorting plates 620 and an air passage 620b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620a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의 돌출단(620a)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공기통로(620b)를 형성하며, 풍력선별부(600)에 투입되는 미강은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의 돌출단(620a)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간다.That is, an air passage 620b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rotruding ends 620a of the respective sorting plates 620, And flows down along the protruding end 620a.

풍력선별부(600)의 내부와 연결되는 송풍기(500)가 동작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풍력선별부(600)의 내부에는 상기 풍력선별부(600)의 외측면의 공기구(610a)와 선별판에 형성된 일정간격의 공기통로(620b)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흐름이 형성된다.The air inlet 610a of the outer side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and the air outlet 610a of the outer side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ind power separator 600 by operating the blower 50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An air flow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formed through the air passage 620b at regular intervals formed on the plate.

상기 공기통로(620b)의 간격은 미강중에 쌀겨는 통과하되, 쌀눈이나 싸라기는 통과하지 못하는 공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e between the air passageways 620b is preferably a space that allows the rice bran to pass through the rice bra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ice bran or the rice bran.

선별판(620)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가벼운 쌀겨는 송풍기(500)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에 의해 빨리면서 사이클론(700)으로 투입되고, 이에 쌀겨는 쌀겨용기(900)에 담기도록 구성된다.The light rice bran in the rice bran which flows downward along the sorting plate 620 is fed into the cyclone 700 quickly by the air flow formed by the blower 500 and the rice bran is configured to be contained in the rice bran vessel 900.

또한, 상기 외측면(610)과 선별판(620)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공간에는 선별판(620)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중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쌀눈과 싸라기가 선별공간(S)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610 and the sorting plate 620, relatively heavy rice grains and unevenness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orting plate 620 are passed through the sorting space S .

즉, 송풍기(500)가 동작하면 풍력선별부(600)의 각각의 선별판(620)를 따라 하부로 흐르던 미강 중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싸라기와 쌀눈은 공기에 빨리지 않고 상기 선별판(620)을 따라 계속 흘러내려가 선별공간(S)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쌀겨는 싸라기와 쌀눈과 별도로 분리 선별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blower 500 operates, relatively heavy rice and rice husk that have flowed downward along the respective sorting plates 620 of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600 are not quickly moved to the air but are moved along the separating plate 620 So that the rice bran is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rice husk and the rice husk.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송풍기(500)의 연결관(510)이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이 형성한 다측면체 구조의 바닥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500)의 동작시 상기 각각의 선별판(620)의 공기통로(620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바닥면의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ipe 510 of the blower 5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ulti-sided structure formed by the respective sorting plates 620, so that, when the blower 500 is operated, The flow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620b of the sorting plate 620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풍력선별부(600)에는 공기통로를 갖는 선별판을 사면체, 삼면체 또는 원통형 등으로 구조화하여 미강선별에 동시에 사용되도록 하여, 송풍기(500) 동작시에 각각의 선별판의 공기통로(620b)를 통해 유입되는 많은 양의 공기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한쪽면이 아닌 전체면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풍력선별부(600) 내부 압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공기흐름의 세기를 강하게 해서 쌀겨와 쌀눈 및 싸라기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wind power selecto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plate having the air passage is structured by a tetrahedron, a triple-sided body,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620b,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entire surface, not the one surface, uniformiz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thereby enhancing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creening efficiency of the screening can be increased.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미강선별기의 풍력선별부(600)에는 다수개의 선별판(620)을, 이를테면, 사면체 등의 모양으로 구성하여, 송풍기(500)동작시에 각각의 사면에 설치된 선별판(620)의 앞쪽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풍력선별부(600)의 밑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구성하여, 쌀겨를 풍력선별부(600) 밑으로 배출하는 방식이다.In more detail, the wind screening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620, such as a tetrahedron or the like, The air sucked from the front of the plate 620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and the rice bran is discharged under the wind power selector 600.

본원발명의 경우는 풍력선별부(600)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여러측면에서 동시에 공기가 흡입되어 90도 가량 꺾이어 바닥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하여 풍력선별부(600) 내부를 균일한 내부압력을 조성할 수 있어, 풍력선별부(600)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나 풍력선별부(600) 바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균일하게 흐르면서 미강의 선별효율을 높일수가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ind power discriminating unit 600 is sucked in from various sid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to the bottom,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ind power selector 600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can be uniformly flowed to increase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rice bran.

또한, 본 발명의 송풍기(500)의 연결관(510)은 풍력선별부(600)의 바닥면으로 연결이 되도록 구조화 함으로써, 쌀겨에 작용하는 중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압이 작용되다보니 쌀겨에 작용되는 공기압의 세기가 커져 쌀겨와 쌀눈 및 싸라기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pipe 510 of the blowe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 power selector 600 so that air pressure acts on the rice bran in the same direction as gravity acting on the rice bran, The air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sorting of rice bran, rice gruel, and rice gruel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원료투입구 200: 진동선별기
300: 보조탱크 400: 분쇄기
600: 풍력선별부 610: 외측면
610a: 공기구 620: 선별판
620a: 돌출단 620b: 공기통로
630: 공기총 640: 타이머
700: 사이클론 800: 피더기
810: 진동기 900: 쌀겨용기
100: Feed inlet 200: Vibrating sorter
300: auxiliary tank 400: crusher
600: Wind force selection unit 610: Outside surface
610a: Air hole 620:
620a: protruding end 620b: air passage
630: air gun 640: timer
700: Cyclone 800: Feeder
810: Vibrator 900: Rice brew container

Claims (6)

미강을 투입하여 풍력을 통해 쌀겨, 쌀눈 및 싸라기를 선별하는 미강선별기에 있어서,
미강이 투입되는 원료투입기;
상기 원료투입기에 투입된 미강이 이동되어 담기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미강을 선별하는 풍력선별부; 및
상기 풍력선별부와 연결되어 풍력선별부 내부에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풍력선별부는 투입되는 미강이 흘러내리기 위한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되어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A rice gonader for sorting rice bran, rice gruel, and rice gruel through a wind power,
Raw material feeder into which rice bran is introduced;
Wherein the raw rice introduced into the raw material feeder is moved to the auxiliary tank;
A wind power selector for selecting the raw rice supplied from the auxiliary tank; And
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wind power selector to generate an air flow inside the wind power selector,
Wherein the wind screening uni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orting plates for flowing down the raw corpuscle, and has a multi-sided body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 담겨진 미강을 일정하게 풍력선별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탱크와 풍력선별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탱크에서 떨어지는 미강을 수용하는 피더기; 및
상기 피더기에 진동을 주어 미강을 고르게 분포시켜서 일정하게 미강을 상기 풍력선별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진동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uniformly supply the rice bran contained in the auxiliary tank to the wind power selector,
A feeder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and the wind power sorting unit and accommodates rice bran falling from the auxiliary tank; And
And a vibrator that vibrates the feeder to uniformly distribute the rice bran to supply the rice bran to the wind power separating unit uniform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선별부에는 공기구가 형성된 외측면이 구성되며, 상기 외측면 내부로 일정공간을 두고 상기 다측면체 구조를 형성한 선별판을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선별판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단이 계단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단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 screen separating unit is configured to have an outer surface having an air hole formed therein and a screen having the multi-sided structure with a certain space inside the outer surface,
Wherein each of the sorting plates has a stepped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end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과 선별판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공간은 쌀눈과 싸라기의 선별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screening sheet forms a sorting space for rice husks and rough r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에 쌀눈과 싸라기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판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풍력선별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공기총과 상기 공기총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ir gun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ind screening unit for spraying air to the screen and a timer for operating the air gu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of the rice balls and the rice balls to the sorting board. Raw steel separator with multiple plates.
제 3항에 있어서,
송풍기의 연결관이 상기 각각의 선별판이 형성한 다측면체 구조의 바닥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의 동작시 상기 각각의 선별판의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바닥면의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이 다수로 구성된 미강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low path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passage of each of the sorting plates i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plurality of sorting plates are configured to be moved.
KR1020170081316A 2017-06-27 2017-06-27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KR201900013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16A KR20190001392A (en) 2017-06-27 2017-06-27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16A KR20190001392A (en) 2017-06-27 2017-06-27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92A true KR20190001392A (en) 2019-01-04

Family

ID=6501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16A KR20190001392A (en) 2017-06-27 2017-06-27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3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7796A (en) * 2020-09-03 2021-02-09 安徽鑫泉米业股份有限公司 Three-stage screening device for rice processing and screen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7796A (en) * 2020-09-03 2021-02-09 安徽鑫泉米业股份有限公司 Three-stage screening device for rice processing and screen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86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lour and/or semolina
CN104556762A (en) Tower-type machine-made sand preparation and grading adjustment system
US5158182A (en) Sifter
JPH09267076A (en) Coarsely sorted stone withdrawal device
CN203803615U (en) Horizontal multistage pulverizer
US11833523B2 (en) Fluidized bed opposed jet mill for producing ultrafine particles from feed material of a low bulk density and a process for use thereof
US4978078A (en) Apparatus for dehusking grain
CN206997091U (en) A kind of agricultural product screening device
CN2041490U (en) Electrostatic separating machine for kernel and peel
KR200393681Y1 (en) VWM (Vibro Wind Magnetic) SEPARATOR
KR20190001392A (en) The rice bran sorting equipment with multi-sorting plate
CN104923330B (en) Wholemeal processing unit (plant) and whole wheat flour producing process
CN111248453A (en) Sunflower seed huller
CN201815488U (en) High-efficiency environment-friendly sundry cleaner for material
CN203184054U (en) Tartary buckwheat athermal unshelling device
CN217303499U (en) Ventilation drying device is used in rice processing
JPH07222956A (en) Unit type sorting apparatus
CN203140314U (en) Specific gravity selecting device of seed fine selecting machine
CN212713286U (en) Three-dimensional integrated processing production line for common gypsum, special gypsum and machine-made sand
CN211839051U (en) Chaff device in rice processing
CN210726626U (en) Sunflower seed huller
CN210207640U (en) Granular fluid dust remover for granary
CN209093899U (en) A kind of walnut inane fruit sorting machine
CN206966104U (en) A kind of multipass sort device for walnut
CN2243334Y (en) Rape-seed hull removing and separ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