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51U -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51U
KR20190001351U KR2020170006142U KR20170006142U KR20190001351U KR 20190001351 U KR20190001351 U KR 20190001351U KR 2020170006142 U KR2020170006142 U KR 2020170006142U KR 20170006142 U KR20170006142 U KR 20170006142U KR 20190001351 U KR20190001351 U KR 20190001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teel pipe
space
integrally weld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혜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퍼스
Priority to KR2020170006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351U/ko
Publication of KR20190001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2Details of panel top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실내·외 공간을 구획 가능한 크기를 가진 각형의 강판과, 상기 강판의 테두리에 둘러지는 틀형의 마감대로 구성된 구획판; 상기 마감대의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마감캡으로 구성된 기둥; 상기 강관의 일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핀과, 타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핀에 삽입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경첩; 및 상기 강관의 하단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기립시키는 ㄷ형의 절곡관과, 상기 강관과 절곡관의 하단에 바닥으로부터 구름 운동시키는 바퀴로 구성된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구름 운동하는 바퀴를 적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편리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경첩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임의의 길이로 연장 및 축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Variable partition with excellent space utilization}
본 고안은 사무실이나 전시관의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을 원하는 위치나 길이 및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편의성과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외 사무실이나 전시관에서는 개방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의 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파티션을 설치하여 장소나 상황에 맞게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파티션은 공간에 따라 원하는 위치나 길이 및 형태로 가변시키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원하는 공간연출을 위해서는 전문 시공업자를 통하여 특정 파티션을 구매하여 시공해야만 했다. 따라서 별도의 파티션을 구매하는 비용과 재시공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취향이나 공간의 환경을 고려하여 원하는 위치나 길이 및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99호 (발명의 명칭: 칸막이)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867호 (발명의 명칭: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파티션은 이동이 용이하고 절첩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나 형태로 가변시킬 수가 있어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파티션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공간에 따라 길이를 연장 및 축소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즉, 파티션끼리 연결하면서 절첩을 유도하는 경첩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파티션에 부착되는 판들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제안된 파티션은 연결된 개수에 따라 규격화 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공간연출에 따라 해당하는 파티션을 개별적으로 구매해서 구획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99호 (발명의 명칭: 칸막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867호 (발명의 명칭: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티션에 경첩과 바퀴를 채택하여 이동의 편의성과 다양한 형태변환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경첩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공간에 따라 파티션을 원하는 개수대로 연장 또는 축소할 수가 있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 적어도 실내·외 공간을 구획 가능한 크기를 가진 각형의 강판과, 상기 강판의 테두리에 둘러지는 틀형의 마감대로 구성된 구획판; 상기 마감대의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마감캡으로 구성된 기둥; 상기 강관의 일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핀과, 타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핀에 삽입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경첩; 및 상기 강관의 하단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기립시키는 ㄷ형의 절곡관과, 상기 강관과 절곡관의 하단에 바닥으로부터 구름 운동시키는 바퀴로 구성된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파티션은 구획할 공간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파티션들을 강관의 측면에 마련된 회전핀과 연결관을 서로 이음시켜 연속으로 연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파티션은 구획할 공간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을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파티션은 공간의 구획여부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을 기준으로 절첩시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티션에 경첩과 바퀴를 채택하여 이동의 편의성과 절첩에 의한 다양한 형태변환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경첩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공간에 따라 파티션을 원하는 개수대로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어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의 이음 과정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관련되며, 도 1처럼 구획판(10)과 기둥(20) 그리고 경첩(30) 및 다리(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100)이다.
본 고안의 파티션(100)은 공간에 따라 원하는 위치나 길이 및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편의성과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획판(10)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차단판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각형의 강판(11)과 틀형의 마감대(15)로 구성된다. 강판(11)은 적어도 실내·외 공간을 구획 가능한 크기와 3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양면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다. 마감대(15)는 ㄴ형 또는 ㄷ형의 단면으로 압출된 알루미늄 압출재로서, 강판(11)의 테두리에 둘러져 마감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기둥(20)은 구획판(10)을 지지하는 몸통으로 도 1 및 도 2처럼 원형의 강관(21)과 마감캡(25)으로 구성된다. 강관(21)은 마감대(15)의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며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감캡(25)은 사출 성형된 수지재로서, 강관(21)의 상단에 삽입된다. 이러한 마감캡(25)은 노출된 강관(21)의 상단을 밀폐시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경첩(30)은 구획판(10)끼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음대로 도 1 및 도 2처럼 회전핀(31)과 연결관(35)으로 구성된다. 회전핀(31)은 강관(21)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용접되고, 연결관(35)은 강관(21)의 타 측면에 회전핀(31)과 동일선상에 용접된다. 이러한 회전핀(31)과 연결관(35)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구획판(10)을 서로 연결할 수가 있다.
즉, 공간에 따라 단일의 구획판(10)만으로 구획이 어려운 경우 타 구획판(10)을 준비한 다음, 서로 대향하는 회전핀(31)과 연결관(35)을 부착시키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착과정과 각도조절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재설명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다리(40)는 구획판(10)을 바닥으로부터 기립시키는 지지체로 도 1 및 도 2처럼 ㄷ형의 절곡관(41)과 바퀴(45)로 구성된다. 절곡관(41)은 강관(21)의 하단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에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다. 이러한 절곡관(41)은 양측 강관(21) 중 어느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고, 일측 강관(21)에만 구성할 수도 있다. 바퀴(45)는 구름 운동하는 캐스터로 강관(21)과 절곡관(41)의 하단에 부착되어 구획판(10)을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바퀴(45)는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므로 이동 후에는 바닥 상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1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연출할 공간에 따른 개수(한 쌍)의 파티션(100)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파티션(100)을 서로 연결이 가능한 위치로 맞춰준다. 즉,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경첩(30) 중 일측 파티션(100)은 회전핀(31)으로 두고, 타측 파티션(100)은 연결관(35)이 되도록 맞춰준다.
이어서 도 4와 같이 타측 파티션(100)을 상승시켜 회전핀(31)과 연결관(35)을 동심선상에 위치시킨 뒤에 도 5와 같이 회전핀(31)이 연결관(35)에 삽입되도록 하강시키면 일렬로 연결이 완료된다. 이때, 회전핀(31)이 도시된 것과 반대로 하향으로 돌출된 것이라면, 회전핀(31)의 파티션(100)을 상승시켜 연결관(35)에 삽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연속으로 거치면, 연출공간에 따라 원하는 길이의 파티션(100)으로 가변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파티션(100)끼리는 경첩(30)을 기점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도 6처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원하는 공간을 연출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파티션(100)의 이음과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바퀴(45)의 구름 운동을 저지하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설정 위치를 유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100)은 구획할 공간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파티션(100)들을 강관(21)의 측면에 마련된 회전핀(31)과 연결관(35)을 서로 이음시켜 연속으로 연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획할 공간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30)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을 전환이 가능하다. 특히, 공간의 구획여부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30)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절첩시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구획판 11: 강판
15: 마감대 20: 기둥
21: 강관 25: 마감캡
30: 경첩 31: 회전핀
35: 연결관 40: 다리
41: 절곡관 45: 바퀴

Claims (4)

  1.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
    적어도 실내·외 공간을 구획 가능한 크기를 가진 각형의 강판과, 상기 강판의 테두리에 둘러지는 틀형의 마감대로 구성된 구획판;
    상기 마감대의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형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마감캡으로 구성된 기둥;
    상기 강관의 일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핀과, 타 측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회전핀에 삽입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경첩; 및
    상기 강관의 하단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용접되어 바닥으로부터 기립시키는 ㄷ형의 절곡관과, 상기 강관과 절곡관의 하단에 바닥으로부터 구름 운동시키는 바퀴로 구성된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구획할 공간에 따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파티션들을 강관의 측면에 마련된 회전핀과 연결관을 서로 이음시켜 연속으로 연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구획할 공간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을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공간의 구획여부에 따라 서로 이음된 경첩을 기준으로 절첩시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KR2020170006142U 2017-11-29 2017-11-29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KR201900013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42U KR20190001351U (ko) 2017-11-29 2017-11-29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42U KR20190001351U (ko) 2017-11-29 2017-11-29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51U true KR20190001351U (ko) 2019-06-07

Family

ID=6681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42U KR20190001351U (ko) 2017-11-29 2017-11-29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35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702A (ko) 2019-12-19 2021-06-29 (주)혜덕 다기능 가변형 파티션
KR20220056943A (ko) 2020-10-29 2022-05-09 이성은 가변형 파티션
SE2151377A1 (en) * 2021-11-10 2023-02-14 Silentia Ab A modular wall screen system and the use of such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99Y1 (ko) 2002-05-14 2002-09-19 김순화 칸막이
KR200292867Y1 (ko) 2002-07-08 2002-10-25 이준한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99Y1 (ko) 2002-05-14 2002-09-19 김순화 칸막이
KR200292867Y1 (ko) 2002-07-08 2002-10-25 이준한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702A (ko) 2019-12-19 2021-06-29 (주)혜덕 다기능 가변형 파티션
KR20220056943A (ko) 2020-10-29 2022-05-09 이성은 가변형 파티션
SE2151377A1 (en) * 2021-11-10 2023-02-14 Silentia Ab A modular wall screen system and the use of such system
SE544969C2 (en) * 2021-11-10 2023-02-14 Silentia Ab A modular wall screen system and the use of such system
WO2023083514A1 (en) * 2021-11-10 2023-05-19 Silentia Aktiebolag A modular wall screen system and the use of such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351U (ko) 공간 활용이 우수한 가변형 파티션
EP3245438A1 (en) Configurable device comprising a screen and suitable to support a computer
CN106894552A (zh) 幕墙龙骨单元、幕墙单元件及幕墙结构
CN104019533B (zh) 一种天井机面板以及天井机
CN109229738A (zh) 一种帽子盛装展示装置
CN209468961U (zh) 一种压角架空活动地板
CN207553310U (zh) 可调螺栓球定位支座
CN204555230U (zh) 导风框及空调室内机
CN206310173U (zh) 一种带有可调支架的电视机
CN203897889U (zh) 多功用拼接式夏布屏风
CN206422814U (zh) 一种手机保护壳
CN205894547U (zh) 一种免工具快速安装的立柱外包结构
CN208415513U (zh) 快速扩展箱形房
CN107269062B (zh) 一种基于液压举升的简易立体车库
CN211016212U (zh) 一种建筑模型展示窗
CN205540441U (zh) 一种具有存储空间的带有黑板的计算机显示器
JP7180047B2 (ja) 家具用の脚装置
CN210378206U (zh) 魔方屏
CN208447080U (zh) 一种用于会展厅的防倾倒展览架
CN204930948U (zh) 一种旋转折叠件
CN218729779U (zh) 一种展示支撑台
CN106263511A (zh) 移动式书桌
CN209932045U (zh) 一种室内设计用展架
CN107374196B (zh) 一种半隐藏式服饰推展箱
CN220226373U (zh) 一种衣柜布局可变的衣帽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