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43A -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243A
KR20190001243A KR1020170080918A KR20170080918A KR20190001243A KR 20190001243 A KR20190001243 A KR 20190001243A KR 1020170080918 A KR1020170080918 A KR 1020170080918A KR 20170080918 A KR20170080918 A KR 20170080918A KR 20190001243 A KR20190001243 A KR 2019000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chain
chat
authentication
loo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367B1 (ko
Inventor
문명국
고재종
Original Assignee
문명국
고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국, 고재종 filed Critical 문명국
Priority to KR102017008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3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04L9/3265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using certificate chains, trees or paths; Hierarchical trust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키 체인(KeyChain) 생성 후 최초 Identity Service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여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키 체인(KeyChain)을 발급받아 최초 인증 서비스 서버에 인증을 하고, 키 체인 생성 후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며,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루프에 연결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시스템, 키 체인 발급자를 통해 특정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시스템의 키 체인 인증 요청에 따라 키 체인 인증을 하고 채팅 루프를 초대하며, 최초 키 체인 인증 후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인증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Server independent chat system}
본 발명은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chat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체인(KeyChain) 생성 후 최초 Identity Service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여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팅 시스템은 네트워크와 서비스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 간에 운영, 광고, 컨텐츠, 서비스 들과 같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채팅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서비스 서버를 통해 인증,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채팅 시스템에 대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해 제1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자 특정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사용자 특정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을 결정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특정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운영, 광고, 콘텐츠 및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제1 채팅 시스템에 개설된 제1채팅방과 제2 채팅 시스템에 개설된 제2채팅방을 채팅 통합모듈로 통합하여, 더욱 많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더욱 활발한 정보교류를 가능토록 한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38867(2015.12.10. 공개)(멀티미디어 운영, 광고, 콘텐츠 및 서비스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9589(2010.09.13. 공개)(채팅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채팅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채팅을 위해 발급받은 Key Chain을 다양한 앱(App)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연결 정보의 변경 시에도 서버를 통해 변경된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키 체인(KeyChain) 생성 후 최초 Identity Service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여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Block Chain)을 이용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은 키 체인(KeyChain)을 발급받아 최초 인증 서비스 서버에 인증을 하고, 키 체인 생성 후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며,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루프에 연결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시스템; 키 체인 발급자를 통해 특정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채팅 루프를 초대하며, 최초 키 체인 인증 후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인증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증 서비스 서버는 키 체인 생성 요청이 발생하면 키 체인을 생성하는 키 체인 생성기; 상기 키 체인 생성기에서 생성된 키 체인을 저장하고, 키 체인 인증이 요청되면 사용 가능한 키 체인인지를 확인하며, 키 체인 발급자 변동정보를 저장하여 채팅 루프 익명 이용자를 관리하는 키 체인 관리기; 키 체인 인증 요청 시 상기 키 체인 관리기와 연동하여 키 체인 인증을 하는 키 체인 인증기; 상기 키 체인 인증기와 연동하여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동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 인스턴스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시스템과 주기적인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 시스템은 변경된 연결정보를 채팅 루프를 통하여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 시스템은 키 체인을 발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발급받은 키 체인에 대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키 체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후 채팅 루프 접속을 제어하는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의 제어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와 최초 키 체인 접속 인증 시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인증정보 소실 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채팅 루프부는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접속 인증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비스부;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팅을 위해 발급받은 Key Chain을 다양한 앱(App)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 정보의 변경 시에도 인증 서비스 서버를 통해 변경된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므로, 서버 독립적으로 편리하게 사용자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Block Chain)을 이용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인증 서비스 서버와는 독립적으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증 서비스 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시스템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채팅 루프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은 사용자 시스템(100) 및 인증 서비스 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시스템(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시스템 ~ 제N 사용자 시스템)(110, 120, 110+N)을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시스템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 시스템(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키 체인(KeyChain)을 발급받아 최초 인증 서비스 서버(200)에 인증을 하고, 키 체인 생성 후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며,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루프에 연결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변경된 연결정보를 채팅 루프를 통하여 상호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체인을 발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발급받은 키 체인에 대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와 접속하여 키 체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후 채팅 루프 접속을 제어하는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의 제어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는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와 최초 키 체인 접속 인증 시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인증정보 소실 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재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채팅 루프부(1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된 블록체인(Block Chain)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접속 인증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비스부(112a),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채널부(112b)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는 키 체인 발급자를 통해 특정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채팅 루프를 초대하며, 최초 키 체인 인증 후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증 서비스 서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체인 생성 요청이 발생하면 키 체인을 생성하는 키 체인 생성기(201), 상기 키 체인 생성기(201)에서 생성된 키 체인을 저장하고, 키 체인 인증이 요청되면 사용 가능한 키 체인인지를 확인하며, 키 체인 발급자 변동정보를 저장하여 채팅 루프 익명 이용자를 관리하는 키 체인 관리기(202), 키 체인 인증 요청 시 상기 키 체인 관리기(202)와 연동하여 키 체인 인증을 하는 키 체인 인증기(203), 상기 키 체인 인증기(203)와 연동하여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동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 인스턴스 관리기(2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증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제1 사용자 시스템(110)과 주기적인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에서 인증 서비스 서버(200)와 접속하여, 키 체인 생성을 요청한다.
키 체인 생성 요청에 따라 인증 서비스 서버(200) 내의 키 체인 생성기(201)는 키 체인 발급자와 연동을 통해 키 체인을 생성하고, 이를 키 체인 관리기(202)에 저장한다.
키 체인 관리기(202)는 상기 키 체인 생성기(201)에서 생성되어 저장되는 키 체인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어 사용 가능한 키 체인이면 키 체인 인증기(203)에 유효한 키 체인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키 체인 인증기(203)는 키 체인 생성을 요청한 제1 사용자 시스템(110)으로 생성한 키 체인 정보를 제공하여, 키 체인 생성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발급받은 키 체인을 저장하고, 다른 사용자 시스템과 데이터 교환을 위해 키 체인(KeyChain_1)을 인증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하고 인증을 요청한다.
키 체인 인증 요청이 발생하면, 인증 서비스 서버(200)의 키 체인 인증기(203)는 키 체인 관리기(202)와 연동을 통해 키 체인 인증을 수행한다. 즉, 키 체인 관리기(202)는 키 체인 발급자와 연동하여 인증 요청된 키 체인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유효성 검증 결과 사용 가능한 키 체인 정보일 경우, 키 체인 인증기(203)에 사용 가능한 키 체인 정보라는 유효성 검증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키 체인 인증기(203)는 키 체인 인증정보를 제1 사용자 시스템(110)으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의 채팅 루프 인스턴스 관리기(204)는 키 체인 생성 후 최초 접속 인증시 키 체인 발급자를 통하여 특정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키 체인 인증을 통하여 채팅 루프를 초대한다. 여기서 채팅 루프 인스턴스 관리기(204)는 키 체인 발급 시 특정 코드의 익명 인스턴스(Instance)로 채팅 루프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익명 인스턴스는 특수한 연결 식별자를 가지는 가상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키 체인 인증 시 익명 인스턴스에 접근하는 허용코드를 제1 사용자 시스템(110)에 제공해준다.
이어, 최초 키 체인 인증 후 상기 생성한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키 체인 관리기(202)는 키 체인 발급자의 변동정보가 발생하면 이를 저장하여, 채팅 루프 익명 이용자를 관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에서 키 체인 인증이 이루어지면, 채팅 루프부(112)에 접속 요청을 한다. 채팅 루프부(112)의 블록체인 서비스부(112a)는 접속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을 등록하고, 등록 결과에 대해 응답을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에 전달한다. 여기서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어디에나 존재하는 1:1 전송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는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접속 인증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를 한다. 아울러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1)는 변경된 연결정보를 채팅 루프부(112)를 통해 서로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이어, 데이터 채널부(112b)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채널부(112b)는 데이터 전송시 옵션을 통하여 직접전송 또는 간접전송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전송은 익명의 사용자들에게 모든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채팅 데이터를 n회 발송). 와이-파이(Wi-Fi) 또는 정액권 통신망 내에서 사용할 때 유리하다. 간접 전송은 익명의 사용자들에게 데이터를 분산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기존 채팅방식과 같이 1회 발송). 통신사(영업망)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키 체인 인증 후, 인증 서비스 서버(220)와는 독립적으로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인증 서비스 서버(200)는 주기적인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유효성 검사를 실행하게 되며, 물리적 통신 중단에 의한 채팅 루프 이탈 시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인증 서비스 서버(200)와 접속하여 재인증을 받아 채팅을 한다. 제1 사용자 시스템(110)은 인증 정보의 소실 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재인증을 수행하고, 키 체인을 다시 인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사용자 시스템
110: 제1 사용자 시스템
111: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112: 채팅 루프부
112a: 블록체인 서비스부
112b: 데이터 채널부
200: 인증 서비스 서버
201: 키 체인 생성기
202: 키 체인 관리기
203: 키 체인 인증기
204: 채팅루프 인스턴스 관리기

Claims (7)

  1. 서버에 독립적인 채팅 시스템으로서,
    키 체인(KeyChain)을 발급받아 최초 인증 서비스 서버에 인증을 하고, 키 체인 생성 후 최초 접속 인증시 채팅 루프(Chat Loop)를 생성하며, 채팅 루프에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채팅루프에 연결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시스템;
    키 체인 발급자를 통해 특정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시스템의 키 체인 인증 요청에 따라 키 체인 인증을 하고 채팅 루프를 초대하며, 최초 키 체인 인증 후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인증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는 키 체인 생성 요청이 발생하면 키 체인을 생성하는 키 체인 생성기; 상기 키 체인 생성기에서 생성된 키 체인을 저장하고, 키 체인 인증이 요청되면 사용 가능한 키 체인인지를 확인하며, 키 체인 발급자 변동정보를 저장하여 채팅 루프 익명 이용자를 관리하는 키 체인 관리기; 키 체인 인증 요청 시 키 체인 관리기와 연동하여 키 체인 인증을 하는 키 체인 인증기; 상기 키 체인 인증기와 연동하여 채팅 루프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동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 인스턴스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시스템과 주기적인 키 체인 인증을 통해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사용자 시스템은 변경된 연결정보를 채팅 루프를 통하여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사용자 시스템은 키 체인을 발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발급받은 키 체인에 대하여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키 체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후 채팅 루프 접속을 제어하는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의 제어하여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채팅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6. 청구항 5에서,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와 최초 키 체인 접속 인증 시 채팅 루프를 생성하고, 인증정보 소실 시 상기 인증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재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7. 청구항 5에서, 상기 채팅 루프부는 등록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접속 인증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비스부; 채팅 루프에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KR1020170080918A 2017-06-27 2017-06-27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KR10204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18A KR102040367B1 (ko) 2017-06-27 2017-06-27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18A KR102040367B1 (ko) 2017-06-27 2017-06-27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43A true KR20190001243A (ko) 2019-01-04
KR102040367B1 KR102040367B1 (ko) 2019-11-04

Family

ID=6501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18A KR102040367B1 (ko) 2017-06-27 2017-06-27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4331A (zh) * 2019-06-28 2019-10-11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力系统安全稳定控制终端身份认证方法
CN113364666A (zh) * 2021-05-25 2021-09-07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即时通讯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589A (ko)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씽크풀 채팅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8867A (ko) 2007-10-23 2015-12-10 비아클릭스, 인코퍼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운영, 광고, 컨텐츠 및 서비스 시스템
KR101795696B1 (ko) * 2016-07-14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795695B1 (ko) * 2016-07-14 2017-12-0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867A (ko) 2007-10-23 2015-12-10 비아클릭스, 인코퍼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운영, 광고, 컨텐츠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00099589A (ko)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씽크풀 채팅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5696B1 (ko) * 2016-07-14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795695B1 (ko) * 2016-07-14 2017-12-0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4331A (zh) * 2019-06-28 2019-10-11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力系统安全稳定控制终端身份认证方法
CN110324331B (zh) * 2019-06-28 2021-08-10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力系统安全稳定控制终端身份认证方法
CN113364666A (zh) * 2021-05-25 2021-09-07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即时通讯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364666B (zh) * 2021-05-25 2022-06-28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即时通讯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367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58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dentity and asset sharing management
US20230245019A1 (en) Use of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for service provisioning
US20190305949A1 (en) System for credential storage and verification
CN100580610C (zh) 动态网络中的安全链路管理方法
US8332920B2 (en) Token-based client to server authentication of a secondary communication channel by way of primary authenticated communication channels
US69936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ient privacy when requesting content from a public server
CN106302510B (zh) 虚拟钥匙的授权方法、系统、移动终端及服务器
US20140365781A1 (en) Receiving a Delegated Token, Issuing a Delegated Token, Authenticating a Delegated User, and Issuing a User-Specific Token for a Resource
US20190306151A1 (en) Digital credentials for visitor network access
US2010015404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tributed delegation and verification
KR101210260B1 (ko) 통합센터를 이용한 유심칩기반 모바일 오티피 인증장치 및 인증방법
KR20210095093A (ko)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KR20150036371A (ko) 클라우드 서버를 위한 바우처 인가
US20200349566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0305878B2 (en) Virtual device authorization method and device
US11082236B2 (en) Method for providing secure digital signatures
CN112187826A (zh) 区块链网络中数据授权及数据访问方法及系统
RU2363985C2 (ru) Аутентификация на основе вызова, не требующая знания секретных аутентификационных данных
KR102040367B1 (ko) 서버 독립적 채팅 시스템
KR102372503B1 (ko)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CN107409043B (zh) 基于中央加密的存储数据对产品的分布式处理
WO20182071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 network enabled entity
KR20160100078A (ko) 금융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이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KR20150116537A (ko) 가상 사설 클라우드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가상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
KR101568940B1 (ko) 모바일 개방형 iptv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인증 방법 및 모바일 개방형 iptv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