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48A -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 Google Patents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48A
KR20190001148A KR1020170080682A KR20170080682A KR20190001148A KR 20190001148 A KR20190001148 A KR 20190001148A KR 1020170080682 A KR1020170080682 A KR 1020170080682A KR 20170080682 A KR20170080682 A KR 20170080682A KR 20190001148 A KR20190001148 A KR 2019000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ater
container
magnetic body
disposed
bui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구
김성복
김광원
김윤기
Original Assignee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헵시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148A/en
Publication of KR2019000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with a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and particularly, to a 3d printer with a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wherein the recoater is moved by the magnetic force to make a device compact, and the recoat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container, thereby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device.

Description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having a recoater using a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리코터가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는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having a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in which a recoater is moved by a magnetic force.

일반적으로 삼차원 프린터는 삼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물건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며, 크게 절삭형, 적층형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절삭형은 덩어리 형상의 재료를 깎거나 갈아내서 원하는 삼차원 형상의 입체 물건을 얻는 방식이여, 적층형은 얇은 층을 적층하여 원하는 삼차원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는 방식이다.Generally, a three-dimensional printer is a devic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types, a cutting type and a stacking type. The cutting type is a method in which a lumpy material is cut or worn to obtain a desired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laminate type is a method of laminating thin layers to realize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적층형 방식으로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등이 있다. FDM 방식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한 층씩 적층하여 삼차원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은 프로젝터에서 제공되는 자외선(UV light)을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조금씩 굳혀가며 삼차원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SLA 방식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지를 경화시켜서 삼차원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SLA 방식은 DLP 방식과 함께 액체 기반 광조형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SLS 방식은 분말 소결방식으로 불리기도 하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말을 녹여 이를 소결하는 방식으로 삼차원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는 방식이다.Examples of the stacking type include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A), and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The FDM method is a method of embody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by layering materials such as plastics one by one. The DLP method uses a UV light provided by a projector to harden the photocurable resin gradually, thereby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sculpture. The SLA method is a method of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sculpture by hardening a resin using a laser. The SLA system can be divided into the DLP system and the liquid-based stereolithography system. The SLS method is also referred to as a powder sintering method and is a method of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sculpture by melting a powder using a laser and sintering the powder.

DLP 방식의 경우, 최종 조형물을 구현하기 위하여 얇은 층 단위로 경화 과정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DLP 방식의 경우, 최종 조형물을 얻기 위해서 조형물의 기본 베이스가 부착된 빌드 플레이트(build plate)를 이동시켜 기본 베이스를 광 경화성 수지가 담긴 용기(VAT)에 침지시키고, DLP 프로젝터를 통하여 자외선을 광 경화성 수지에 노광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중간 조형물에 해당하는 하나의 층을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하나의 층을 경화한 이후에는, 중간 조형물이 부착된 빌드 플레이트(build plate)를 이동시켜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광 경화성 수지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빌드 플레이트를 광 경화성 수지에 침지하여 상기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층을 형성한 후에 다음 층을 형성할 때 리코터를 통해 수지를 평탄화시킨다. In the case of the DLP method,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thin layer unit in order to implement the final mold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LP method, in order to obtain the final molding, a build plate having a basic base of a molding is moved to immerse the basic base in a container (VAT) containing a photocurable resin, By exposing ultraviolet rays to a photo-curing resin and curing, the process proceeds in such a way that one layer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molding is cured. After one layer is cured, the build plate with the intermediate molding is moved and separated from the non-cured photocurable resin,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by immersing the build plate in the photocurable resin do. The resin is planarized through the recoater when the next layer is formed after the layer is formed in this manner.

도 1은 일본특허공보 제5896253호의 도 1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종래의 스테레오 리소그래피 기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ereo lithography machine, as shown in Fig. 1 of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896253.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응고층(6)을 바닥부(2a)에서 떼는 이동 후, 용기(2)에 수용되는 유체물질(3) 중에는 모델링 플레이트(5) 및/또는 형성된 3차원 물체(11)에 의해 이전에 차지할 수 있었던 위치의 레벨로 오목부(3a)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오목부(3a)를 충전하기 위해, 유체물질(3)과 접촉해서 배치된 수평화 수단(8)에 의해 유체물질(3)을 오목부(3a)편에 누름으로써 유체물질(3)이 용기(2)에 재분산된다. 수평화 수단(8)은 동력 수단에 연결되고, 동력수단은 유체물질(3)을 상기와 같이 재분산하기 위해, 유체물질(3)과 접촉해 용기(2)의 바닥부(2a)에 대해서 수평화 수단(8)을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은 리소그래피 기계이고, 4는 조사 수단이고, 9는 패들이다.Referring to FIG. 1, after moving the solidification layer 6 away from the bottom portion 2a, the fluid material 3 contained in the container 2 is transferred to the modeling plate 5 and / or the formed three- The recesses 3a are still present at the level of the position previously occupied by 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11,11. By pressing the fluid material 3 on the side of the concave portion 3a by means of the water-relaxing means 8 placed in contact with the fluid material 3 in order to fill the concave portion 3a, Dispersed in the vessel (2). The hydrator means 8 are connected to the power means and the power means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a of the container 2 in contact with the fluid material 3 in order to redisperse the fluid material 3, So as to move the water-separating means 8 along the moving direction.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lithography machine, 4 denotes an irradiating means, and 9 denotes paddles.

이러한 동력수단은 미국특허 제8105066호 및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57177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수평화 수단에 직접연결되고, 용기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Such a power means is provided with a motor or the like as shown in U.S. Patent No. 8105066 and U.S. Patent Publication No. 2017-0057177,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decontamination means an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ssel.

이로 인해 수평화 수단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층을 형성한 후에 모델링 플레이트(5)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높이가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형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water-purifying means is increased, and the height for moving the modeling plate 5 upward after the layer is formed has a proble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lding speed is slowed down.

또한, 동력수단이 용기(2) 아래 부분에 배치되어 용기(2)를 교체할 경우에는 수평화 수단(8)과 동력수단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urther, when the power means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2 and the container 2 is to be replac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water-cooling means 8 and the power means must be separated.

일본특허공보 제5896253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896253 일본공표특허공보 제2016-53815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538151 미국특허 제8105066호U.S. Patent No. 8105066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57177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7-0057177 미국특허 제7052263호U.S. Patent No. 705226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printer capable of improving the molding speed,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터는, 소재가 담겨지는 용기와, 상기 소재가 부착되어 조형물이 형성되는 빌드 플레이트와, 상기 용기에 대해 이동하는 리코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코터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ree-dimensional printer including a container containing a material, a build plate attached with the material to form a molding, and a recoater moving relative to the container, And is moved by a magnetic force.

상기 리코터는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체부와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ater may include a 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magnetic body and a non-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non-magnetic body.

상기 리코터는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빌드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재를 경화시키는 광원은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코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coater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the build plate is disposed on the container, a light source for curing the material is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ater is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have.

상기 리코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조형된 층의 형상 또는 상기 소재의 종류 또는 다음에 조형될 층의 형상에 따라 상기 리코터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r the moving method of the recoat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eviously formed layer or the type of the material or the shape of the layer to be formed next, can do.

상기 리코터는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봉형상이거나 그물망형태일 수 있다.The recoater may be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circular, square or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r in the form of a mes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리코터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어, 리코터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빌드 플레이트의 이동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조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코터와 구동부의 연결부재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기계적 고장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용기를 교체할 때 별도의 구조물 제거 및 탈착없이 용기를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리코터는 구동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동되어 구동부로부터의 진동 등이 전달되지 않아서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coater is moved by the magnetic forc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recoater,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build plate, thereby improving the molding speed. Further, since the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recoater and the driving unit can be omitted, the structure is simple,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mechanical failu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replaced, the container can be replaced without removing or removing the separate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Further, the recoater is drive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and vibration or the like from the driving unit is not transmit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ccuracy.

상기 리코터는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체부와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체부를 포함하여, 리코터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recoater includes a 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magnetic body and a non-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non-magnetic body, so that the weight of the recoater can be minimized.

상기 리코터는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빌드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재를 경화시키는 광원은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코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Wherein the recoater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the build plate is disposed on the container, a light source for curing the material is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ater is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The structure can be further simplified.

상기 리코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조형된 층의 형상 또는 상기 소재의 종류 또는 다음에 조형될 층의 형상에 따라 상기 리코터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방법을 제어하여, 조형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고, 더욱 신속하게 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r the moving method of the recoat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eviously formed layer or the type of the material or the shape of the layer to be formed next, So that molding can be made more smooth and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상기 리코터는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봉형상이거나 그물망형태로 형성되어, 일정한 두께로 공급, 단순 공급, 믹싱, 기포 및 기공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The recoater may have a circular, square or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to effectively supply, supply, mix, bubble, and remove pores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도 1은 종래의 스테레오 리소그래피 기계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3차원 프린터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용기 및 리코터 부분을 일측에서 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
도 6은 도 3의 정면도.
도 7은 도 3의 평면도.
도 8은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용기 및 리코터 부분을 타측에서 본 사시도.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ereolithography machin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nd a recoater portion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side. FIG.
Figs. 4 and 5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3;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nd a recoater portion of a three-dimensional prin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other 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If any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part or may be accompanied by another part therebetween. In contrast, when referring to a part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part, no other par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례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Terms representing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 above ", and the lik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to another portion of a portion shown in the figures.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acts of the apparatus in use, as well as intended meaning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 device in the figures, certain parts that are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art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 other parts. Thus, an exemplary term "below" includes both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may be rotated 90 degrees before or at another angle, and the term indicating relative space is interpreted accordingly.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3차원 프린터는, 소재(300)가 담겨지는 용기(110)와, 상기 소재(300)가 부착되어 조형물이 형성되는 빌드 플레이트(200)와, 상기 용기(110)에 대해 이동하는 리코터(400)를 포함하며, 상기 리코터(400)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9,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110 in which a material 300 is placed, a build plate 200 on which the material 300 is attached to form a molding, And a recoater 400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10. The recoater 400 is moved by a magnetic forc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는 바닥면과 측벽을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용기(110)의 수평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ainer 110 is formed with an open top,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side walls.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container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or a circle.

용기(110) 내부에는 소재(300)가 담겨진다. 소재(300)는 광 경화성 수지가 될 수 있다. 소재(300)는 레진(액상) 또는 파우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material (300)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The material 300 may be a photocurable resin. The material 300 may be in the form of resin (liquid) or powder.

용기(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용기 플랜지(11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용기 플랜지(111)는 수평하게 형성되며, 용기(110)의 전후방 및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A container flange 11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110 so as to protrude outward. The container flange 111 is formed horizontally, and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ntainer 110, respectively.

용기(110)의 하부에는 소재(300)를 경화시키는 광원(600)이 배치된다.A light source 600 for curing the work 300 is disposed below the vessel 110.

따라서, 용기(110)는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container 110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광원(600)은 소재(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소재(300)를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ight source 600 functions to cure the work 300 by irradiating light to at least a part of the work 300.

광원(600)은 자외선, 레이저 등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는 자외선이 사용된다.As the light source 600, various light source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lasers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ultraviolet rays are used.

용기(110)는 이하 서술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The container 110 is fixed by a fixing member described below.

빌드 플레이트(200)의 하부에는 경화된 소재(300)가 부착되어 조형물이 형성된다.A cured material 300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ild plate 200 to form a molding.

빌드 플레이트(200)는 용기(110) 상부에 배치된다.The build plate 200 is disposed above the vessel 110.

빌드 플레이트(200)는 광원(600)과 대향하도록 즉, 소재(300)가 배치되어 있는 용기(110)를 사이에 두고 광원(6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build plate 200 is arranged to face the light source 600 with the container 110 in which the material 300 is disposed with the interposition of the light source 600.

빌드 플레이트(200)에는 빌드 플레이트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어, 빌드 플레이트(2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build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build plate driving unit (not shown), so that the build plate 200 can be moved up and down.

리코터(400)는 한 층을 조형한 후에 다음 층을 조형하기 전에 소재(300)를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리코터(400)는 빌드 플레이트(200)와 광원(600) 사이에 소재(300)를 일정한 두께로 공급 및/또는 소재(300)를 빌드 플레이트(200) 쪽으로 단순 공급 및/또는 소재(300)를 믹싱 및/또는 광경화 소재(300)의 화학 반응이나 소재(300)의 투입 등의 핸들링 과정 중에 생기는 소재(300)에 포함된 기포 및 기공 제거한다.The recoater 400 serves to planarize the material 300 before molding the next layer after molding one layer. The recoater 400 may supply the material 3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build plate 200 and the light source 600 and / or simply supply the material 300 toward the build plate 200 and / And removes bubbles and pores contained in the material 300 that occurs during the handling process such as mixing and / or 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urable material 300 or injection of the material 300.

리코터(400)는 용기(110) 내부에 배치되어 용기(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The recoater 400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110 and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10.

리코터(400)는 외주면이 원호형상이 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리코터(400)는 일정한 두께로 공급, 단순 공급, 믹싱, 기포 및 기공 제거 등의 목적에 따라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봉형상이거나 그물망형태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coater 40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so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n arc shape. Alternatively, the recoater 4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or a triangle shape, a rod shape, or a mesh shape depending on purposes such as supply, simple supply, mixing, bubble and pore removal at a constant thickness .

리코터(400)는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체부(420)와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체부(410)를 포함한다. The recoater 400 includes a magnetic body portion 420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and a non-magnetic material portion 410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자성체부(420)는 비자성체부(4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자성체부(420)의 좌우길이는 비자성체부(410)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magnetic body portions 4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n-magnetic body portion 410,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magnetic body part 420 ar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non-magnetic body part 410.

자성체부(420)의 외경은 비자성체부(4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리코터(400)는 양측의 외경이 중간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양측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비자성체부(410)의 하단의 높이는 자성체부(420)의 하단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자성체부(420)의 외경은 비자성체부(410)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이 리코터(4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magnetic body portion 4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non-magnetic body portion 410. That is, both sides of the recoder 400 are formed so as to be stepped so that the outer diameters of both sides ar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iddle par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non-magnetic body portion 41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magnetic body portion 420. Alternatively, the outer diameter of the magnetic body 420 may be variously form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recoater 400, such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non-magnetic body 410.

따라서, 자성체부(420)는 빌드 플레이트(200)와 광원(600) 사이에 배치되는 용기(110)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비자성체부(410)는 용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The magnetic body part 4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disposed between the build plate 200 and the light source 600 and the nonmagnetic part 4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

이로 인해, 리코터(400)가 이동될 때 용기(110)의 바닥면에는 자성체부(420)와 비자성체부(410)의 외경의 차이 만큼의 두께를 갖는 소재(300)의 층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리코터(400)가 이동될 때 소재(300)가 단순 공급되거나, 소재(300)가 믹싱되거나, 소재(300)의 기포 및 기공 제거될 수 있다.A layer of the material 300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s of the magnetic body part 420 and the non-magnetic body part 4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when the recoater 400 is moved . Alternatively, when the recoater 400 is moved, the material 300 may be simply supplied, the material 300 may be mixed, or the bubbles and pores of the material 300 may be removed.

나아가, 자성체부(420)는 비자성체부(410)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소재(300)의 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magnetic body part 4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non-magnetic body part 410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material 3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구동부(500)는 리코터(400)를 구동시킨다.The driving unit 500 drives the recoater 400.

구동부(500)는 광원(600)과 용기(110) 사이에 배치된다.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600 and the container 110.

상세하게는, 구동부(500)는 용기(110) 하부에 배치되고, 광원(600)은 구동부(50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구동부(500)는 용기(110) 외부에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110, and the light source 600 is disposed below the driving unit 500. That is, the driving unit 500 is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11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자석(510)과, 자석(510)이 설치되는 설치부(526)와, 액츄에이터(560)와, 액츄에이터(560)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523)와, 풀리(523)에 끼워지는 벨트(524)와, 벨트(524)와 설치부(526)를 연결하는 제1,2연결부(521, 522)를 포함한다.3 and 4, the driving unit 500 includes a magnet 510, a mounting portion 526 on which the magnet 510 is mounted, an actuator 560, and an actuator 560 A belt 524 fitted to the pulley 523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521 and 522 connecting the belt 524 and the mounting portion 526.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521 and 522 connect the belt 524 and the mounting portion 526 to each other.

자석(510)은 리코터(400)의 자성체부(420)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자석(510)으로 인해 리코터(400)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된다. 따라서, 리코터(400)는 구동부(500)와 분리된 상태로 구동되어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장치의 부피도 줄어들게 된다.The magnet 510 is disposed under the magnetic body portion 420 of the recoder 400. Due to the magnet 510, the recoater 400 is moved by magnetic force. Accordingly, the recoater 400 is drive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volume of the apparatus is reduced.

자석(510)은 용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자석(510)의 좌우폭은 자성체부(420)의 좌우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The magnet 51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downwar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gnets 510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gnetic body portions 420.

설치부(526)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설치부(526)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설치부(526)의 양측 상부에 자석(510)이 각각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The mounting portion 526 is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mounting portion 526 is formed in a frame shape. Magnets 510 are detach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526.

설치부(526)의 양측 하부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연결부(521)가 각각 설치된다.A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formed in a 'C' shap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526.

액츄에이터(560)는 모터로 구비되고, 판형상의 브라켓(550)의 외측에 설치된다.The actuator 560 is provided as a motor and is disposed outside the plate-shaped bracket 550.

브라켓(550)은 용기(110)의 양측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The brackets (550) are arr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both lower sides of the container (110).

브라켓(550)에는 액츄에이터(560)의 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actuator 560 passes is formed in the bracket 550 so as to pass throug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액츄에이터(560)의 축에는 풀리(523)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560)의 축에 설치된 풀리(523)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풀리(523)가 브라켓(550)의 후방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두 개의 풀리(523)에는 벨트(524)가 끼워진다.A pulley 523 is mounted on the shaft of the actuator 560. A pulley 523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pulley 523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actuator 56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ar inner side of the bracket 550. A belt 524 is fitted to these two pulleys 523.

제1연결부(521)의 하단에 설치된 제2연결부(522)에 의해 제1연결부(521)는 벨트(524)에 설치된다. 제1연결부(521)와 판형상의 제2연결부(522) 사이에 벨트(524)를 배치시켜서 제1연결부(521)를 벨트(52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자석(510)과 액츄에이터(560)는 연결되게 된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is installed on the belt 524 b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2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The belt 52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and the plate-like second connection portion 522 to fix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to the belt 524. Thus, the magnet 510 and the actuator 560 are connected.

자석(510)의 이동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moving the magnet 510 is as follows.

액츄에이터(560)를 작동시키면 풀리(523)가 회전하게 된다. 풀리(523)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524)도 회전하게 된다. 벨트(524)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524)의 일측에 고정된 제1,2연결부(521, 522) 및 설치부(526) 및 자석(5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풀리(5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석(5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actuator 560 is operated, the pulley 523 rotates. As the pulley 523 rotates, the belt 524 also rotates. As the belt 524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521 and 522 and the mounting portion 526 and the magnet 510 fixed to one side of the belt 524 are moved forward or backward. The magnet 510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ey 523.

나아가, 자석(51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베어링(531)과, 리니어 베어링(53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532)로 구비된다.Furth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gnet 510 is further provided.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531 and a guide rail 532 for guiding the linear bearing 531.

리니어 베어링(531)은 제1연결부(521)의 외측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532)는 브라켓(550)의 내측에 설치된다.The linear bearing 531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21 and the guide rail 532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racket 550.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풀리(523) 및 벨트(524)보다 상부에 배치된다.The guide member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disposed above the pulley 523 and the belt 524. [

나아가, 자석(5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40)가 더 구비된다. 감지부(540)는 브라켓(55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다. 감지부(540)는 풀리(523) 및 가이드 레일(53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감지부(540)는 풀리(523)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532)보다 하부에 배치된다.Further, a sensing unit 540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510 is further provided. The sensing unit 540 is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550 in the front side. The sensing unit 540 is disposed forward of the pulley 523 and the guide rail 532. [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540 is disposed above the pulley 523 and below the guide rail 532.

감지부(540)는 리미트 센서로 구비된다. 감지부(54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개의 감지 돌기를 구비한다.The sensing unit 540 is provided as a limit sensor. The sensing unit 540 includes two sensing projection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감지부(540)는 자석(510)이 초기 위치(제1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와 다르게, 감지부(540)를 여러개 구비하여 자석(510)이 후방으로 이동(제2위치)되었는지 여부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54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560)는 제어된다.The sensing unit 540 senses whether the magnet 510 is in the initial position (first position).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540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magnet 510 is moved backward (second position). The actuator 56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540.

이러한 감지부(540)로 인해 자석(510) 및 리코터(4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magnet 510 and the recoater 40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the sensing unit 540.

제1연결부(521)의 내측에는 감지부(540)에 의해 감지되는 돌출부(525)가 형성된다. 돌출부(525)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 protrusion 525 sensed by the sensing unit 54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521. The protrusion 52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돌출부(525)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하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감지부(540)의 두 개의 감지 돌기 사이에 삽입된다.The protrusion 52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front lower end is bent outward and inserted between the two sensing projections of the sensing portion 540.

나아가, 리코터(4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액츄에이터(560)를 제어하여 리코터(4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조형된 층의 형상 또는 상기 소재(300)의 종류 또는 다음에 조형될 층의 형상에 따라 리코터(400)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방법(편도 또는 왕복)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물을 형성하기 전에 빌드 플레이트(200)에 넓게 형성하는 베이스 층을 형성한 후에는 리코터(400)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제어하고, 소재(300)의 점도가 높으면 리코터(400)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제어하고, 다음에 조형될 층의 형상의 면적이 아주 작을 경우(점에 가까울 경우)에는 리코터(400)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ecoater 400.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ctuator 56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ecoater 40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speed or moving method (one-way or one-way) of the recoater 4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eviously formed layer or the type of the material 300 or the shape of the layer to be formed next. For example, after the base layer formed on the build plate 200 is formed before forming the mold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speed of the recoater 400 to be slow, and when the viscosity of the material 300 is high The moving speed of the recoater 400 is controlled to be slow and the moving speed of the recoater 400 can be rapidly controlled when the area of the shape of the layer to be formed next is very small (near the point).

이러한 3차원 프린터의 조형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molding process of such a three-dimensional printer is as follows.

광원(600)의 빛을 조사하면 조사된 빛은 소재(300)를 담고 있는 용기(110)를 투과하여 빌드 플레이트(200)와 용기(110) 사이에 채워져 있는 소재(300)를 경화시킨다. 경화가 완료된 후 상기 빌드 플레이트 구동부에 의해 빌드 플레이트(200)가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빌드 플레이트(200)와 경화된 소재(300)는 붙어 있고 용기(110)와 경화된 소재(300)는 분리된다. 용기(110)와 경화된 소재(300)는 분리되고 리코터(400)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까지 빌드 플레이트(200)가 상승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60)에 의해 자석(51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자성체부(420)를 구비한 리코터(400)도 자기력에 의해 같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리코터(400)의 비자성체부(410)로 인해 소재(300)는 평탄화되어 공급된다. 리코터(4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빌드 플레이트(200)가 하강하고, 다시 빛을 조사하면 소재(300)는 경화되고 빌드 플레이트(200)는 다시 상승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25)가 감지부(540)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액츄에이터(560)를 작동시켜서 자석(5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자석(510)에 의해 리코터(400)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3차원 형상의 조형물이 형성된다.The irradiated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iner 110 containing the material 300 to cure the material 300 filled between the build plate 200 and the container 110. After the curing is completed, the build plate 200 is moved upward by the build plate driving unit. At this time, the build plate 200 and the cured material 300 are attached, and the container 110 and the cured material 300 are separated. When the build plate 200 is lifted up to a height at which the container 110 and the cured material 300 are separated and the recoater 400 can pass through, the actuator 560, as shown in FIG. 4, The rotor 510 is moved rearward and the recoater 400 having the magnetic body part 420 is also moved backward by the magnetic force. Due to the non-magnetic body portion 410 of the recoater 400, the work 300 is flattened and supplied. When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ecoater 400 is completed, the build plate 200 descends, and when light is again irradiated, the material 300 hardens and the build plate 200 rises again. Next, as shown in FIG. 5, the actuator 560 is operated until the protrusion 525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540, thereby moving the magnet 510 forward. The recoater 400 is also moved forward by the magnet 510. This process is repeat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d sculpture.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를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재는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s. 6 to 9,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ontainer 110 is as follows.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50)의 상단에 각각 고정설치된다.The fixing member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brackets 550 disposed on both sides.

상기 고정부재는 제1프레임(121)과, 제1프레임(121)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123)을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rst frame 121 and a second frame 123 mounted on the first frame 121.

제1프레임(121)은 용기(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프레임(121)은 용기(11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The first frame 121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 respectively. The first frame 121 is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110.

제1,2프레임(121, 123)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1 and 123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2프레임(123)의 상부에는 상판(122)이 형성된다.An upper plate 12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23.

상판(122)의 내측은 제2프레임(123)의 내측보다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122 is arrang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123.

이러한 상판(122)은 용기 플랜지(111)의 상부에 배치된다.This top plate 122 is disposed on top of the container flange 111.

제2프레임(123)의 하단에는 브라켓(550)의 상단이 설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123 is provided with an upper end of the bracket 55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23)의 내측에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124)가 복수개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rollers 124 are disposed in the second frame 123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2프레임(123)에는 롤러(124)의 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roller 124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123 in the left-right direction.

롤러(124)는 제2프레임(123)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판(122)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roller 124 is arranged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23 and is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122.

이러한 롤러(124)에 용기 플랜지(111)의 하면이 선접촉되어 지지되고, 용기 플랜지(111)의 상면은 상판(122)의 하면에 접촉되어, 용기(110)는 고정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flange 111 is held in line contact with the roller 12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flange 1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2 so that the container 110 is fix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은 SLA, DLP 등의 Vat Photopolymeraization Process방식의 3차원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of a Vat Photopolymerization process such as SLA and DLP.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용기 111: 용기 플랜지
121: 제1프레임 123: 제2프레임
124: 롤러
200: 빌드 플레이트 300: 소재
400: 리코터 410: 비자성체부
420: 자성체부 500: 구동부
510: 자석 521: 제1연결부
522: 제2연결부 523: 풀리
524: 벨트 525: 돌출부
526: 설치부 531: 리니어 베어링
532: 가이드 레일 540: 감지부
550: 브라켓 560: 액츄에이터
600: 광원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10: container 111: container flange
121: first frame 123: second frame
124: Roller
200: Build plate 300: Material
400: Recoater 410: Nonmagnetic part
420: magnetic body part 500: driving part
510: magnet 521: first connection part
522: second connecting portion 523: pulley
524: Belt 525:
526: Installation part 531: Linear bearing
532: guide rail 540:
550: Bracket 560: Actuator
600: light source

Claims (5)

소재가 담겨지는 용기;
상기 소재가 부착되어 조형물이 형성되는 빌드 플레이트;
상기 용기에 대해 이동하는 리코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코터는 자기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
A container containing the material;
A build plate to which the material is attached to form a molding;
And a recoater moving relative to the vessel,
Wherein the recoater is moved by a magnetic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코터는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체부와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ater includes a 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magnetic body and a non-magnetic body portion formed of a non-magnetic bod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코터는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빌드 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재를 경화시키는 광원은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코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coater i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Wherein the build plate is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A light source for curing the material is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coater is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코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조형된 층의 형상 또는 상기 소재의 종류 또는 다음에 조형될 층의 형상에 따라 상기 리코터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방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ecoate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a moving speed or a moving method of the recoater according to a shape of a previously formed layer, a type of the material, or a shape of a layer to be formed next. prin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코터는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봉형상이거나 그물망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리코터를 갖는 3차원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ater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 quadrangular or triangular cross section, or a net shape.
KR1020170080682A 2017-06-26 2017-06-26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KR201900011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82A KR20190001148A (en) 2017-06-26 2017-06-26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82A KR20190001148A (en) 2017-06-26 2017-06-26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48A true KR20190001148A (en) 2019-01-04

Family

ID=6501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82A KR20190001148A (en) 2017-06-26 2017-06-26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14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32A (en) * 2019-02-22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slurry for Lithography-based Ceramic 3D Printing Technique
KR20210125659A (en) * 2020-04-08 2021-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eramic 3D printing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lumina parts for dental appl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32A (en) * 2019-02-22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slurry for Lithography-based Ceramic 3D Printing Technique
KR20210125659A (en) * 2020-04-08 2021-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eramic 3D printing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lumina parts for dental appl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7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three dimensional objects
JP4855998B2 (en) Material supply device for use in solid-state imaging
US10434725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construction
US20150042016A1 (en) Stereolithography machin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stereolithography method applicable to said machine
CN109219511B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volume
JP20011459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e shaping of photosetting resin three-dimensional shaped article
CN105014970B (en) A kind of molding equipment and its forming method of photocuring three-dimensional model
CN108068311B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device
KR102150879B1 (en) Stereo lithography 3d printer comprising floating solution for reducing resin usage
KR101715587B1 (en) automatic tilted three-dimensional printer
JP71271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thographic-Based Additiv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s
KR20190001148A (en) 3D printer with recoater using magnetic force
KR102234197B1 (en) Apparatus for stereolithography of layer form
KR101669627B1 (en) Anti-fall device for 3D printer of the DLP method
KR101691945B1 (en) 3d printer with improved tilting structure
CN108357098A (en) A kind of working method of SLA 3D printers
KR20170003103U (en) 3D printer using photopolymer material
CN218315255U (en) High accuracy 3D printer
JP684935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3D modeling equipment and 3D modeled objects
JP2000025118A (en) Three-dimensionally shaping device, three-dimensionally shaping method, and medium having three-dimensional shap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in
CN112590213B (en) Photocur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KR101882574B1 (en) Three-dimension printing apparatus using photocurable resin
KR101773949B1 (en) 3D printer vat design for selective layered composite material and printing method
KR101665939B1 (en) A material supply apparatus for 3D manufacturing, a rapid 3D printer therewith, and 3D manufacturing method using it.
CN112497753A (en) Liquid level adjusting system, 3D printing equipment and 3D pri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