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27A -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27A
KR20190001127A KR1020170080627A KR20170080627A KR20190001127A KR 20190001127 A KR20190001127 A KR 20190001127A KR 1020170080627 A KR1020170080627 A KR 1020170080627A KR 20170080627 A KR20170080627 A KR 20170080627A KR 20190001127 A KR20190001127 A KR 20190001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message
user
time
pus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998B1 (ko
Inventor
김홍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8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는,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ush Massage Management}
본 발명은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고객 반응을 분석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과 스마트기기의 대중화가 시작된 이후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최근,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수단으로 모바일 메신저, 모바일용 메일, 소셜네트워크, 앱을 이용한 푸시(Push) 메시지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푸시(Push) 메시지는 마케팅, 실시간 정보 공지, 알림 등 다양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SMS와 달리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푸시 메시지 서비스는 고객에게 정보제공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어, 사업자가 일단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면 수신받은 고객의 반응(reaction)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즉, 사업자가 마케팅용으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고객이 수신받은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거나, 확인 즉시 삭제하더라도 사업자는 그런 상황을 전혀 알지 못하였다. 설사 고객이 푸시 메시지를 확인하여 응답 메시지를 피드백하더라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해당 광고를 확인한 사실이나,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질문에 대한 답과 같은 매우 제한적인 내용뿐인바 이를 마케팅의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6667호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저전력 음파 수신 방법 및 시스템"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고객의 적극적인 응답행위뿐만 아니라 푸시 메시지 미확인, 확인하였으나 즉시 메시지 삭제와 같은 소극적인 응답행위까지 수집함으로써 푸시 메시지 서비스에 고객반응 기능을 지원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소극적인 응답행위들의 조합으로 고객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고객의 행동패턴을 고객 정보와 관련지어 통계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일 측면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는,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적극적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분석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산출한 통계정보를 사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은,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적극적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메시지 터치 횟수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계정보 산출단계 이후, 산출한 통계정보를 사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고객의 적극적인 응답행위뿐만 아니라 소극적인 응답행위까지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푸시 메시지 서비스에 고객반응 기능을 추가하여 마케팅용 메시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객의 소극적인 응답행위들의 조합으로 고객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고객의 행동패턴을 고객 정보와 관련지어 통계자료를 산출함으로써 강력한 마케팅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는 모바일 단말(100),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 사업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휴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 단말(100) 및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모바일 단말(100)의 일 실시예는 핸드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과 같이 와이파이 또는 다른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그와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100)의 수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100)은,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디바이스이다.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푸시 메시지(Push Massage)를 운영한다. 여기서, 푸시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제작자(사업자)의 요청에 의해 고객(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광고를 전달하는 통신 수단으로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을 참고하면,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모바일 단말(100)은 푸시 메시지에 따른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을 식별하고, 푸시 메시지 삭제(①), 터치(②), 보낸 시간(③), 사용자 확인 시간(③), 앱 실행(④) 등과 같은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100a)를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100a)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사업자 단말(300)의 요청으로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환경에 따라서 규격과 방식을 달리하여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에 따라 통계정보를 산출하여 사업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제작자(사업자)가 이용하는 장치이다. 제작자는 사업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로 푸시 메시지를 고객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고객(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제작자는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고객의 행동패턴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부(150), 그리고 제어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모바일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100)과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거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모바일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푸시 메시지, 응답 메시지)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위치, 터치 횟수 정보를 터치스크린 상의 광고 내용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모바일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푸시 메시지에 대한 어떤 종류의 광고, 정보가 표시되는지, 그리고 어느 영역(위치)이 터치 되는지, 얼마나 터치 되는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controller, 16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모바일 단말(100)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잠금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림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 확인 또는 광고 확인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푸시 메시지의 출처, 현재 표시되는 화면 종류 그리고 터치의 위치 및 횟수에 대한 정보의 연관관계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6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푸시 메시지 수신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패턴 수집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망을 통해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의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서버 제어부(23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50, D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서버 통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00) 및 사업자 단말(300) 사이에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사업자 단말(300)의 푸시 메시지 송신요청을 수신받고 사업자 단말(300)로 송신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100)로 푸시 메시지 전송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사업자 단말(300)의 푸시 메시지 송신요청을 수신받으면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제어부(23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의 소극적 행동패턴 및 적극적 행동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극적 행동패턴이란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광고, 정보, 설문조사 등에는 적극적으로 응답하지 않으나 묵시적인 응답을 수행하는 행동으로 정의한다. 소극적 행동패턴의 일 실시예로,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등이 있다. 적극적 행동패턴이란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광고, 정보, 설문조사 등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거나 행동하는 의식적인 행동으로 정의한다. 적극적 행동패턴의 일 실시예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제어부(23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짧은 경우, 푸시 메시지에 대한 궁금증은 있어 확인은 했으나 곧바로 삭제한바 푸시 메시지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길더라도 터치 횟수가 적은 경우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서버 제어부(230)는,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짧은 경우,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를 확인하고 앱을 실행하여 광고 또는 정보를 확인하였으므로, 광고 또는 정보에 대한 궁금증은 있다고 보나 곧바로 앱을 종료한바 광고 또는 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길더라도 광고화면에 대한 터치 횟수가 적은 경우는 특정 광고 또는 특정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30)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관심이 높을수록 빨리 확인할 것인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가 적은 것에 기초하여 푸시 메시지에 대한 접근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230)는,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연령을 푸시 메시지 접근율과 종합하여 어느 세대가 마케팅용 푸시 메시지 타겟으로 유용한지 분석할 수 있다. 또는, 서버 제어부(230)는,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횟수를 기초로 특정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연령, 성별로 구별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유형별 마케딩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 DB)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 제어부(230)의 요청시 저장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란 성별, 나이, 주거 지역정보와 같은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 DB)는, 서버 제어부(230)가 분석한 사용자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거나, 산출한 통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사업자 단말(300)의 푸시 메시지 송신요청을 수신받고(S101),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103). 푸시 메시지는 고객에게 알려야 하는 정보나 광고 또는 설문조사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 별로 푸시 메시지를 객체 지향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여기서, 객체 지향적 전송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0)에 대한 일반적인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받은 모바일 단말(100)은, 푸시 메시지에 따른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소극적 행동패턴 또는 적극적 행동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07). 소극적 행동패턴의 일 실시예로,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등이 있다. 적극적 행동패턴의 일 실시예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등이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S107),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였던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로 생성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1).
다음으로,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받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113).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짧은 경우, 푸시 메시지에 대한 궁금증은 있어 확인은 했으나 곧바로 삭제한바 푸시 메시지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길더라도 터치 횟수가 적은 경우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짧은 경우,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를 확인하고 앱을 실행하여 광고 또는 정보를 확인한바, 광고 또는 정보 자체에 대한 궁금증은 있다고 보나 곧바로 앱을 종료하여 광고 또는 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에 대해 시간차가 길더라도 광고화면에 대한 터치 횟수가 적은 경우는 특정 광고 또는 특정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관심이 높을수록 빨리 확인할 것인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가 적다는 것은 사용자의 푸시 메시지에 대한 접근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13). 예를 들어,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사용자의 연령을 푸시 메시지 접근율과 종합하여 어느 세대가 마케팅용 푸시 메시지 타겟으로 유용한지 분석할 수 있다. 또는,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특정 광고에 대한 터치 횟수를 기초로 특정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연령, 성별로 구별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유형별 마케딩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200)는, 산출한 통계정보를 사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5). 사업자 단말(300)은, 수신받은 통계정보를 기초로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통계정보는 성별, 나이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자료인바 타겟 마케팅 용도로서 푸시 메시지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모바일 단말 200: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300: 사업자 단말

Claims (12)

  1.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적극적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분석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분석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산출한 통계정보를 사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장치.
  7. 푸시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앱 종료시간, 푸시 메시지 터치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행동패턴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연결, 설문조사 참여, 이벤트 참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적극적 행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 및 푸시 메시지 삭제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푸시 메시지 착신 후 앱 실행시간 및 앱 종료시간으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푸시 메시지 수신시간 및 푸시 메시지 확인시간에 대한 시간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로부터 사용자 접근율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패턴 분석 단계는,
    메시지 터치 횟수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광고에 대한 호감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 산출단계 이후,
    산출한 통계정보를 사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방법.
KR1020170080627A 2017-06-26 2017-06-26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및 방법 KR10248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27A KR102480998B1 (ko) 2017-06-26 2017-06-26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27A KR102480998B1 (ko) 2017-06-26 2017-06-26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27A true KR20190001127A (ko) 2019-01-04
KR102480998B1 KR102480998B1 (ko) 2022-12-22

Family

ID=6501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27A KR102480998B1 (ko) 2017-06-26 2017-06-26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9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18A (ko) * 2021-06-30 2023-01-06 (주)알에프캠프 전자 장치, 알림 신호들에 대한 반응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값을 산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113392A1 (en) * 2021-12-13 2023-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636533B1 (ko) * 2023-07-04 2024-02-14 (주)래셔널아울 실시간 푸시수신확인을 위한 푸시 알림 솔루션 장치및 방법
US11985372B2 (en) 2021-12-13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038A (ko) * 2007-03-08 2007-05-02 주식회사에이메일 이메일 수신자의 온라인 행동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9363A (ko) * 2013-02-01 2014-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반응 기반의 사용자 관심도 예측 방법
KR20140109569A (ko) * 2013-03-05 2014-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장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50113412A (ko) * 2014-03-28 2015-10-08 (주)지란지교소프트 푸쉬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7368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푸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12213A (ko) * 2014-04-02 2017-02-02 상하이 출러 (쿠텍)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에 상가(商家)의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06667B1 (ko) 2014-11-20 2017-02-27 주식회사 사운들리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저전력 음파 수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038A (ko) * 2007-03-08 2007-05-02 주식회사에이메일 이메일 수신자의 온라인 행동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9363A (ko) * 2013-02-01 2014-08-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반응 기반의 사용자 관심도 예측 방법
KR20140109569A (ko) * 2013-03-05 2014-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장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50113412A (ko) * 2014-03-28 2015-10-08 (주)지란지교소프트 푸쉬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12213A (ko) * 2014-04-02 2017-02-02 상하이 출러 (쿠텍)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에 상가(商家)의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37368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푸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06667B1 (ko) 2014-11-20 2017-02-27 주식회사 사운들리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저전력 음파 수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18A (ko) * 2021-06-30 2023-01-06 (주)알에프캠프 전자 장치, 알림 신호들에 대한 반응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값을 산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113392A1 (en) * 2021-12-13 2023-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apparatus
US11985372B2 (en) 2021-12-13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636533B1 (ko) * 2023-07-04 2024-02-14 (주)래셔널아울 실시간 푸시수신확인을 위한 푸시 알림 솔루션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998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1456B (zh) 消息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86600A1 (en) Method for activating service based on user scenario perception,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100885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ather forecasting
US10762542B2 (en) Item transf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480998B1 (ko) 푸시 메시지 관리서버 및 방법
US20200320509A1 (en) Electronic transaction method and terminal
CN113727406B (zh) 通信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391198B (zh) 任务调度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
CN108305065B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CN109428871B (zh) 防御策略确定方法及装置
CN112183953A (zh) 客服资源的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6294087B (zh) 一种对业务执行操作的操作频率的统计方法及装置
WO2023173666A1 (zh) 人脸支付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程序和产品
KR101516997B1 (ko) 스미싱 차단 방법 및 장치
CN116362206A (zh) 文件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90106373A (ko)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반의 타겟 광고를 위한 세그먼트 추출 방법 및 광고 서버
US94856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elp via a mobile device
CN114186894A (zh) 项目风险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97947A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광고 방법 및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가 가능한 컴퓨팅 장치
CN115361590B (zh) 直播视频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980132B2 (en) Method for detecting messages and call request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102588743B1 (ko) 의료 문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69373B1 (ko) 태그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방법
KR20120133859A (ko) 단말기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784136B (zh) 数据查询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