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35A -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 Google Patents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35A
KR20190001035A KR1020170080335A KR20170080335A KR20190001035A KR 20190001035 A KR20190001035 A KR 20190001035A KR 1020170080335 A KR1020170080335 A KR 1020170080335A KR 20170080335 A KR20170080335 A KR 20170080335A KR 20190001035 A KR20190001035 A KR 2019000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inge member
bracket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6931B1 (en
Inventor
남용현
김정현
김형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0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05D7/105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with snap-fitt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assembly with an improved convenience of assembling, by which a door may enter a vehicle body to a predetermined loca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such that the door is hinge-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hinge assembly with an improved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door hinge assembly including: a hinge member (11) for a vehicle body coupled to one side of a vehicle body (1); a hinge member (12) for a door coupled to one side of a door (2); and a hinge shaft (13) passing through the hinge member (11) for a vehicle body and the hinge member for a door, wherein the door is hinge-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 wherein a push bracket (14) that slides in a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13) is installed in the hinge member (11) for a vehicle body, wherein the push bracket (14) restricts positioning of the hinge shaft (13) at a predetermined assembling location before the hinge member (11) for a vehicle body is inserted into the hinge member (12) for a door, and the hinge shaft (13)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hinge member (12) for a door if the hinge member (12) for a door is inserted into the hinge member (11) for a vehicle body.

Description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0001]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차체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도어를 차체에 정해진 위치로 진입시킴으로써, 도어가 차체에 힌지연결되도록 한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inge assembly used for mounting a door of a vehicle to a vehicl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hinge assembly for mounting a doo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vehicle body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hing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venience.

통상적으로 차량의 측면에는 탑승자의 승하차시 상기 차량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가 설치된다.Generally, a door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hicle so that a side surface of the vehicle is opened when a passenger gets on and off.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에 힌지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설치된다.The door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by using a door hinge assem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whereby the door is installed.

한편, 통상적으로는 상기 도어 힌지 어셈블리의 힌지축이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스윙식 도어가 대부분의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swing-type door in which the hinge axis of the door hinge assembly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s applied to most vehicles.

하지만, 일부 차량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이 상기 스윙식 도어와 다른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However, in some vehicles,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may be opened / clo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wing door.

예컨대, 도 1에는 상기 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의 하나인 버터플라이 도어(2)가 차체(1)에 장착된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버터플라이 도어(2)는 A필러와 나란한 방향으로 힌지축이 배치되어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Fig. 1 shows a vehicle in which a butterfly door 2, which is one of the vertically openable doors opened vertically,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 As shown in Fig. In this butterfly door 2, a hinge axis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 pillar, so that the butterfly door 2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지만, 이러한 버터플라이 도어(2)는 차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butterfly door 2 is not easy to install on the vehicle body.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는 개방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하는데, 조립하는 동안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작업자 들이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를 들고 있거나,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의 자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utterfly door 2 is assembled in an open state, and in order to keep the butterfly door 2 open during assembly,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hold the butterfly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facility for fixing the posture of the butterfly door 2 is required.

도 1을 보면, 상기 도어(2)를 들어올려 상기 도어(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도 1의 ① 참조), 차량의 사이드 아우터에 장착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110)를 수작업으로 조정하고, 상기 도어(2)를 힌지홀이 맞추며(도 1의 ② 참조), 조립공구(T1)를 사용하여 힌지 어셈블리(10)와 상기 도어(2)를 볼트로 체결한다(도 1의 ③ 참조). 도 1의 ①, ②는 작업 난이도가 높은 공정이고, 특히 ②는 작업 난이도가 매우 높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는 오픈 궤적의 특성상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를 들어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를 체결해야 한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의 중량이 수 십 kg에 달하기 때문에,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유지하기 위해 2명 이상의 작업자 또는 행거와 같은 장비가 소요된다. 많은 수의 작업자 또는 행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소요된다.1, the door 2 is lifted to keep the door 2 open (see 1 in Fig. 1), and the door hinge assembly 110 mounted on the side outer of the vehicle is manually adjusted The hinge hole is aligned with the door 2 and the hinge assembly 10 and the door 2 are bolted to each other using the assembly tool T1 (see (3) in FIG. 1) ). 1 and 2 in FIG. 1 are processes with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operation, and in particular, task difficulty is very high in step 2. The butterfly door 2 is required to fasten the door 2 and the hinge assembly 10 in a state in which the butterfly door 2 is lifted due to the nature of the open track. Since the weight of the butterfly door 2 reaches several tens of kilograms, it requires not only lifting the butterfly door 2 up, but also equipment such as two or more workers or hanger to maintain it.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large number of workers or hangers is required.

이러한 문제는 버터플라이 도어(2)뿐만 아니라, 시저 도어나 걸윙 도어와 같은 상하방향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모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Such a problem is a problem that occurs not only in the butterfly door 2, but also in a vehicle to which a vertically openable door is vertically opened, such as a cascade door or a gullwing door.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 도어를 위한 선회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reference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 turn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

JP 2011-501712 AJP 2011-50171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를 상기 도어가 설치된 위치로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에 힌지연결되도록 한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hinge assembly improved in assembling convenience by allowing the door to be hinged to the vehicle body only by closely contacting the door with the door.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의 일측에 체결되는 차체측 힌지부재와, 도어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측 힌지부재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를 관통하는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에 대하여 힌지연결시키는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는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푸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브라켓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삽입되기전에는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조립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도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hinge assembly including: a body side hinge member coupled to a side of a vehicle body; a door side hinge member coupled to a side of the door; And a hinge shaft passing through the door-side hinge member, wherein the door hinge assembly hinges the door to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vehicle-side hinge member is provided with a pushing bracket that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And the push-bracket restricts the hinge axis from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ssembling position before the door-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vehicle-side hinge member, and the door-side hinge member And when the door is inserted, the hinge shaft is allowed to penetrate the door-side hinge member.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이 슬라이딩하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 수용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푸시 브라켓이 수용되는 푸시 브라켓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 브라켓은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의 내부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includes a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to which the hinge shaft slides, and a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pushing bracket is recei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s formed And the push bracke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조립위치로 위치하도록 상기 푸시 브라켓을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ide hinge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vehicle-body-side hinge member, and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such that when the door-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vehicle-body-side hinge member, the hinge shaf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ssembling position And the push-bracket is inserted into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에는 상기 푸시 브라켓을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bracket with the door-side hinge member.

상기 푸시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정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one end of the push bracket is formed with a stopper portion that contacts the tip of the hinge shaft and restricts the protrusion of the hinge shaft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푸시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의 돌출부의 단부와 접축되도록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ush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door side hinge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ush bracke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door side hinge member when the door 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side hinge member.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는 상기 푸시 브라켓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is form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detachment of the push bracket from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상기 푸시 브라켓은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정지부와 상기 누름부는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bracket is formed in a U-shape, and the stop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are formed in parallel.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 브라켓쪽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inge shaf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toward the push bracket.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단부에 체결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p which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ap and the hinge shaf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hinge shaft.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힌지축이 분리되도록 외부로부터 분리용 공구가 출납되는 힌지축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of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is formed with a hinge shaft separ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parating tool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hinge shaft is separated from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상기 힌지축 분리홈의 직경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separation groov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oor is a vertically openable door which i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oor is a butterfly doo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를 설치될 부위로 진입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에 힌지연결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door hing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oor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by simply entering the door of the vehicle.

또한, 도어를 차체에 장착시킬 때, 조립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도어의 조립과정의 편의성이 향상된다.Further, when the door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assembling tool, so that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door is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버터플라이 도어를 차량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서, 도어측 힌지부재와 푸시 브라켓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가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tterfly door is mounted on a vehicle using a door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 related art;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a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details of a door hinge member and a push bracket in a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assumption of assembling the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is de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oor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1)의 일측에 체결되는 차체측 힌지부재(11)와, 도어(2)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측 힌지부재(12)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를 관통하는 힌지축(13)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2)가 상기 차체(1)에 대하여 힌지연결시키는 도어 힌지 어셈블리(10)에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는 상기 힌지축(13)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푸시 브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브라켓(14)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 삽입되기전에는 상기 힌지축(13)이 정해진 조립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13)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도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A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side hinge member 11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a body 1, a door side hinge member 12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2, A door hinge assembly (10) comprising a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and a hinge shaft (13) passing through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and hinging the door (2) Side hinge member 11 is provided with a push bracket 14 that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13 and the push bracket 14 is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by the vehicle-side hinge member 11 while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door-side hinge member 11, , The hinge shaft (13) is allowed to penetrate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

차체측 힌지부재(11)는 차량의 차체(1), 예컨대 차량의 사이드 아우터에 체결된다.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는 블록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1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side out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block.

도어측 힌지부재(12)는 차량의 도어(2)의 일측에 체결된다. 도어측 힌지부재(12)도 블록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2 of the vehicle.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block.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를 관통하도록 힌지축(13)이 관통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어(2)가 상기 차체(1)에 힌지연결되도록 한다.The door 2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1 by providing the hinge shaft 13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and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

본 발명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10)는 바람직하게는 버터플라이 도어(2), 시저 도어, 걸윙 도어와 같은 상하방향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The door hinge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cable to vertically openable doors that open upwardly and downwardly, such as a butterfly door 2, a scissor door, and a gullwing door.

특히,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를 차체(1)에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butterfly door 2 to the body 1.

뿐만 아니라, 힌지 방식으로 차체에 연결되는 모든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door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n a hinge manner.

차체측 힌지부재(11)는 힌지축(13)이 삽입되는 힌지축 수용홈(11a)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내부에 상기 힌지축(13)이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13)는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formed with a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into which the hinge shaft 13 is inserted. When the hinge shaft 13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the hinge shaft 13 may slide inside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반대쪽에는 상기 힌지축(13)을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공구(T2)가 출납되는 힌지축 분리홈(1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 분리홈(11b)을 상기 힌지축(13)이 상기 힌지축 분리홈(11b)을 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A hinge shaft (13)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opposite 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and a separating tool (T2) for separating the hinge shaft The separation groove 11b is formed. The hinge shaft separation groove 11b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in order to prevent the hinge shaft 13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hinge shaft separation groove 11b. do.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는 후술되는 푸시 브라켓(14)이 수용되는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formed with a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n which a push-bracket 14 to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또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서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의 상부에는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opper 11d for preventing the push bracket 14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desirable.

도어측 힌지부재(12)는 일측이 돌출되는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a)에 상기 힌지축(13)이 관통할 수 있는 힌지축 관통홈(12b)이 형성된다.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a on one side thereof and a hinge shaft through groove 12b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13 can penetrate is formed on the protrusion 12a.

푸시 브라켓(14)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로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의 힌지축 수용홈(11a)으로부터 상기 힌지축(13)이 정해진 조립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가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13)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힌지축 관통홈(12b)을 관통하도록 허용한다.The push bracket 14 extends from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of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to the hinge shaft 13 before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 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12 of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when the door-side hinge member 11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12 of the door- To allow the groove 12b to pass therethrough.

이를 위하여, 상기 푸시 브라켓(14)은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어, 일측은 도어측 힌지부재(12)의 삽입전에는 상기 힌지축(13)의 선단에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의해 눌려진다. 즉, 상기 푸시 브라켓(14)은 U자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으로부터 정지부(14a)와 누름부(14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정지부(14a)는 상기 힌지축(13)의 선단에 접촉하여 상기 힌지축(13)의 돌출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14b)는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삽입될 때,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돌출부(12a)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누름부(14b)의 중심축과 상기 돌출부(12a)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the push bracket 14 is formed in the push-bracket accommodating groove 11c so that one side of the push bracket 14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hinge shaft 13 before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Side hinge member 12 is pressed. That is, the push bracket 14 is formed in a U-shape so that the stop portion 14a and the pressing portion 14b protrude from both ends. The stopper 14a contacts the tip of the hinge shaft 13 to restrict the protrusion of the hinge shaft 13. [ The pushing portion 14b is pushed by the projecting portion 12a of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when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so that the pushing bracket 14 is inserted into the push-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c.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pushing portion 14b and the central axis of the protrusion 12a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푸시 브라켓(14)은 중간부분은 상기 스토퍼(11d)에 걸려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ush bracket 14 is caught by the stopper 11d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ush bracket receiving groove 11c.

이때, 상기 힌지축(13)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내부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13)은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축 관통홈(12b)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가 서로 힌지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단부에는 캡(16)이 체결되고, 상기 캡(16)과 상기 힌지축(13)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홈(13a) 사이에는 탄성부재, 즉 스프링(15)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스프링(15)이 상기 힌지축(13)을 탄성지지한다.At this time, the hinge shaft 13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When the push bracket 14 is released, the hinge shaft 13 passes through the hinge shaft through-groove 12b, so that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and the vehicle body side So that the hinge members 11 are hinged to each other. A cap 16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or spring 15 is inserted between the cap 16 and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3a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inge shaft 13. [ So that the spring 15 elastically supports the hinge shaft 13. The hinge shaft 13,

또한,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에는 상기 푸시 브라켓(14)을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4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4c)는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에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을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13)이 후퇴하면, 사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승하여, 상기 푸시 브라켓(14)은 상기 힌지축(13)이 힌지축 수용홈(11a)으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탄성부재(14c)는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4c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bracket 14 by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The elastic member 14c elastically supports the push bracket 14 in the push-bracket accommodating groove 11c toward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side. Thus, when the hinge shaft 13 is retreated, the threader pusher bracket 14 is raised so that the push bracket 14 prevents the hinge shaft 13 from protruding in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do. The elastic member 14c may be a coil spring.

한편, 상기 힌지축(13)과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힌지축(13)과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hinge shaft 13 and the push bracket 14 are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The hinge shaft 13 and the push bracket 14 are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However, It may be provided on the hinge member 1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door hinge assembly 10 with improved assembl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어(2)를 차체(1)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초기 세팅한다.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는 상기 차체(1)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내부에 상기 힌지축(13)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13)을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상기 푸시 브라켓(14)을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에서 최대로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축(13)의 선단이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정지부(14a)에 결려 정해진 조립위치(힌지축이 차체측 힌지부재와 도어측 힌지부재를 모두 관통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door 2 on the vehicle body 1,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initially set to a state as shown in Fig.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1 so that the hinge shaft 13 is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i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The hinge shaft 13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and then the push bracket 14 is lifted up to the maximum in the push bracket receiving groove 11c. In this state, the tip of the hinge shaft 13 is positioned at an assembling position (a position at which the hinge shaft passes through both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and the door side hinge member) defined by the stop portion 14a of the push bracket 14 .

또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는 상기 도어(2)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다.Further,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2.

상기 도어(2)를 상기 차체(1)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는 상기 차체(1)에 조립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2)는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돌출부(12a)는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로 삽입되면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의 상기 누름부(14b)를 눌러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In order to assemble the door 2 to the vehicle body 1, as shown in FIG. 5, the door 2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1 to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6 . When the door 2 is moved, the projecting portion 12a of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body-side hinge member 11 and the pushing portion 14b of the pushing bracket 14 is pushed So that the push bracket 14 is inserted into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으로 삽입되면, 상기 정지부(14a)도 하강하면서, 상기 정지부(14a)가 상기 힌지축(14)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push bracket 14 is inserted into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11c, the stopper 14a is also lowered so that the stopper 14a is spaced from the tip of the hinge shaft 14.

상기 힌지축(13)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의 힌지축 수용홈(11a)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힌지축 관통홈(12b)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13)이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를 관통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힌지연결되도록 한다.The hinge shaft 13 protrudes from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of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and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through groove 12b of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Side hinge member 11 and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as shown in Fig. 2, the door-side hinge member 11 and the door- To be hinged.

이와 상기 도어(2)를 상기 차체(1)에 조립할 때, 별도의 공구없이, 상기 도어(2)를 상기 차체(1)에 밀어 넣는 조작으로도 상기 도어(2)가 상기 차체(1)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oor 2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1, the door 2 is pushed into the vehicle body 1 by an operation of pushing the door 2 into the vehicle body 1 without a separate tool. It can be assembled.

한편, 상기 도어(2)의 정비, 교환 등을 위하여, 상기 차체(1)로부터 상기 도어(2)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6)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 분리홈(11b)으로 분리용 공구(T2)를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힌지축(13)을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11)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도어(2)를 상기 차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oor 2 from the vehicle body 1 for maintenance, exchange, and the like of the door 2. 7, when the separating tool T2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separating groove 11b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with the cap 16 removed, the hinge shaft 13 And can be released from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When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can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 (1).

이때, 상기 탄성부재(14c)에 의해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를 향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이 상기 스토퍼(11d)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ushing bracket 14 is elevated toward the door side hinge member 12 by the elastic member 14c, so that the push bracket 14 is retained in the stopper 11d.

이후, 상기 힌지축(13)을 다시 삽입한 상태에서 스프링(15)으로 상시 힌지축(13)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캡(16)으로 상기 힌지축(13)의 후단을 폐쇄하면, 초기의 상태와 같아진다. 즉, 상기 힌지축(13)은 상기 스프링(15)에 의해 전진하려 하지만, 상기 힌지축(13)의 선단은 상기 푸시 브라켓(14)에 의해 전진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힌지축 수용홈(11a)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rear end of the hinge shaft 13 is closed with the cap 16 while the hinge shaft 13 is alway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5 in the state where the hinge shaft 13 is inserted again, State. That is, the hinge shaft 13 is advanced by the spring 15, but the tip end of the hinge shaft 13 can not advance by the push bracket 14,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도어(2)를 장착하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12)의 돌출부(12a)가 힌지축 수용홈(11a)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푸시 브라켓(14)을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11c)으로 삽입시키면서, 상기 힌지축(13)의 전진이 가능해져 다시 조립이 완료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oor 2 is mounted again, the projecting portion 12a of the door-side hinge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a, and the push bracket 14 is inserted into the push- 11c, the hinge shaft 13 is allowed to advance, and the assembly is completed again.

1 : 차체
2 : 도어
10 : 힌지어셈블리
11 : 차체측 힌지부재
11a : 힌지축 수용홈
11b : 힌지축 분리홈
11c : 푸시 브라켓 수용홈
11d : 스토퍼
12 : 도어측 힌지부재
12a : 돌출부
12b : 힌지축 관통홈
13 : 힌지축
13a : 스프링 수용홈
14 : 푸시 브라켓
14a : 정지부
14b : 누름부
14c : 탄성부재
15 : 스프링
16 : 캡
110 : 힌지어셈블리
1: Body
2: Door
10: Hinge assembly
11: a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11a: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1b: Hinge shaft separation groove
11c: Push-bracket retention groove
11d: Stopper
12: door side hinge member
12a:
12b: Hinge shaft penetration groove
13: Hinge axis
13a: Spring receiving groove
14: Push bracket
14a:
14b:
14c: elastic member
15: spring
16: Cap
110: Hinge assembly

Claims (14)

차체의 일측에 체결되는 차체측 힌지부재와, 도어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측 힌지부재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와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를 관통하는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에 대하여 힌지연결시키는 도어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는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푸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브라켓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삽입되기전에는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조립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도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A door hing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and a hinge shaft passing through the vehicle side hinge member and the door side hinge member, wherein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 door hinge assembly for hinge-connecting,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is provided with a push bracket slid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The push-bracket restricts the hinge shaft from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before the door-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vehicle-side hinge member. When the door-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Wherein the shaft-side hinge member also allows the shaft to pass through the door-side hing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이 슬라이딩하는 힌지축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 수용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푸시 브라켓이 수용되는 푸시 브라켓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 브라켓은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의 내부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ide hinge member is formed with a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on which the hinge shaft is slid,
A push-bracket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the push-bracke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shaft accommodating groove,
Wherein the push bracke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 삽입되면,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조립위치로 위치하도록 상기 푸시 브라켓을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side hinge member,
Wherein the push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pushing bracket receiving groove such that the pushing bracke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ssembling position when the door 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Door hinge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에는 상기 푸시 브라켓을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sh-bracket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bracket with the door-side hing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의 선단과 접촉하여 상기 힌지축이 정해진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정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bracket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stopper portion for restricting the hinge shaft from protrud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by contacting the tip of the hinge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가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의 돌출부의 단부와 접축되도록 상기 도어측 힌지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ush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door side hinge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ush bracket so as to be engaged with an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door side hinge member when the door side hing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dy side hinge member. Door hinge assembly with improved convenien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는 상기 푸시 브라켓이 상기 푸시 브라켓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dy hinge member is formed with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pushing bracke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ushing bracket receiving gro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브라켓은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정지부와 상기 누름부는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ush bracket is formed in a U-shape, and the stopp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 브라켓쪽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shaf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toward the push bra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단부에 체결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A cap which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ap and the hinge shaf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ing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힌지부재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힌지축이 분리되도록 외부로부터 분리용 공구가 출납되는 힌지축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inge shaft separat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in the vehicle body side hinge member to receive the separating tool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hinge shaft is separated from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Hinge assemb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분리홈의 직경은 상기 힌지축 수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diameter of the hinge shaft separation groove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하 개방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s a vertically openable door that opens in a vertical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힌지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oor is a butterfly door.
KR1020170080335A 2017-06-26 2017-06-26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KR101976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35A KR101976931B1 (en) 2017-06-26 2017-06-26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35A KR101976931B1 (en) 2017-06-26 2017-06-26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35A true KR20190001035A (en) 2019-01-04
KR101976931B1 KR101976931B1 (en) 2019-05-09

Family

ID=6501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35A KR101976931B1 (en) 2017-06-26 2017-06-26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3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290A (en) * 1994-11-15 1996-05-28 Murakoshi Mfg Corp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2147096A (en) * 2000-11-09 2002-05-22 Murakoshi Mfg Corp Door opening/closing device
EP2020476A2 (en) * 2007-05-10 2009-02-04 W. HAUTAU GmbH Conductor component mountable without the use of tools
JP2011501712A (en) 2007-10-10 2011-01-13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Swivel device for vehicle door
KR20130039519A (en) * 2011-10-12 2013-04-22 (주)태환공조시스템 The doorway hinge where the disjointing assembly is eas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290A (en) * 1994-11-15 1996-05-28 Murakoshi Mfg Corp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2147096A (en) * 2000-11-09 2002-05-22 Murakoshi Mfg Corp Door opening/closing device
EP2020476A2 (en) * 2007-05-10 2009-02-04 W. HAUTAU GmbH Conductor component mountable without the use of tools
JP2011501712A (en) 2007-10-10 2011-01-13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Swivel device for vehicle door
KR20130039519A (en) * 2011-10-12 2013-04-22 (주)태환공조시스템 The doorway hinge where the disjointing assembly is eas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31B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498A (en) Lift-off door hinge
US7735195B2 (en) Integrated hinge and temporary door checker
US3067453A (en) Torsionally balanced hatchway door constructions
CN101103163A (en) A door modul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closing and opening mechanism in a vehicle door and a handle
US7469446B1 (en) Integrated hinge and temporary door checker
KR101976931B1 (en) Door hinge assemb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WO2007000570A2 (en) Sash hinge
US5911264A (en) Hinge pin ramp, retainer and doorstop for a frame door
CN115949311A (en) American damping hinge capable of being quick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US3124829A (en) Hinge embodying hold-open means
KR100736789B1 (en) Door fixing jig for car
KR102363523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hinged door
KR101547763B1 (en) Hood hinge for vehicle
EP1787840B1 (en) Side door for motor vehicles
CN205201359U (en) Side sliding door anchor clamps
US20240133230A1 (en) Connection system for a header and a jamb of a door assembly
KR0166543B1 (en) Fitting apparatus of luggage door for a car
CN103551777A (en) Shop truck cab door lock catch location tool
CN219316744U (en) Damping toggle assembly and sliding door and window system
AU2017204668B2 (en) An offsetable retainer
US4754997A (en) Glider doors
KR20180004500A (en) Emergency door of Platform screen door system and emergency door replacement method
JP7372135B2 (en) Jig structure for back door installation
KR200379717Y1 (en) A door checker's bracket structure
KR100552185B1 (en) Hinge apparatus for tailgat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