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09U -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 Google Patents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09U
KR20190001009U KR2020170005423U KR20170005423U KR20190001009U KR 20190001009 U KR20190001009 U KR 20190001009U KR 2020170005423 U KR2020170005423 U KR 2020170005423U KR 20170005423 U KR20170005423 U KR 20170005423U KR 20190001009 U KR20190001009 U KR 20190001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lay panel
fixing
base plate
produc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고균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오고균
이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고균, 이미정 filed Critical 오고균
Priority to KR2020170005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009U/ko
Publication of KR20190001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76Display stands with fixed brackets or hooks for suspend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38Rails or bars; Article supports therefor, e.g. brackets being slidably attached on the outsid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3/00Shop or like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려지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 공간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양측 공간 모두를 잡화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판매점 등 직원이 상품진열대의 측면 공간에 전시된 상품을 보다 쉽게 구분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수직의 앵글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고 상기 앵글 사이의 전면부에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앵글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게 베이스판의 배면에, 상기 앵글의 고정공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를 갖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턱 형태를 이루는 고정돌부가 양단부에 상.하 복수개로 구비된 고정브라켓트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Goods displaying plate use side space of display stand}
본 고안은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 공간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양측 공간 모두를 잡화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판매점 등 직원이 상품진열대의 측면 공간에 전시된 상품을 보다 쉽게 구분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통,판매점 등은 슈퍼보다 체계적으로 물품을 진열 및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서, 소비자가 입구에서 들어오는 동선을 고려하여 가장 시야에 잘 들어오는 곳과 가장 충동적으로 구매하기 쉬운 장소 등을 작은 공간 내에서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따라 상품을 진열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품진열대는 양측에 수직의 앵글로 지지되고, 상기 앵글과 앵글 사이의 전면판 또는 선반에 상품을 진열 및 판매하고 있다.
일 례로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022호(2010.02.26.공개.) "상품 진열선반"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밀착되는 배면을 제외한 세 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긴 막대의 형상을 가지고, 정면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가진 장홈(11)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벽면에 장착되는 앵글 형태의 장착바(1)와, 상기 장착바(1)에 후크 결합되는 판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장착 브라켓(2)과, 선반(3) 및 체결구(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품진열대는 측면공간을 활용하지 못해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022호(2010.02.26.공개.) "상품 진열선반"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려지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 공간을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양측 공간 모두를 잡화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판매점 등 직원이 상품진열대의 측면 공간에 전시된 상품을 보다 쉽게 구분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 잡화 전시판의 한 형태는, 전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수직의 앵글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고 상기 앵글 사이의 전면부에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앵글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게 베이스판의 배면에, 상기 앵글의 고정공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를 갖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턱 형태를 이루는 고정돌부가 양단부에 상.하 복수개로 구비된 고정브라켓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전면부 상측에 상품광고란이 형성되고, 상기 상품광고란의 하부측에 복수열의 횡대로 상품표시란이 형성되며, 상기 상품표시란은 상품 사진과 바코드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해당 상품표시란의 상측에 상품이 담겨진 비닐포장의 구멍이 끼워져 상품을 걸어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걸이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걸이구는 걸이구 몸체의 후방측으로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판에 형성된 후크공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품표시란은 베이스판과 분리된 별도의 상품표시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품표시판은 상부측에 상품걸이구에 끼워지는 걸이공을 갖는 착탈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부 표면에 상품 사진과 바코드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수직의 앵글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고 상기 앵글 사이의 전면부에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앵글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게 베이스판의 배면에, 상기 앵글의 고정공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를 갖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턱 형태를 이루는 고정돌부가 양단부에 상.하 복수개로 구비된 고정브라켓트가 구비됨으로써 양측 수직의 앵글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에 상품이 전시되는 상품전시대에서 양측에 버려지는 측면 공간부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 복수열의 횡대로 상품표시란이 형성되며, 상기 상품표시란은 상품 사진과 바코드가 인쇄됨으로써 유통,판매점 등 직원이 일일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 구분하여 전시해야만 되는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없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진.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6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종래의 상품 진열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판 형태의 베이스판(1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100)은 후술되어질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상품진열대의 앵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전면부에는 상품에 대한 안내 문구 및 사진, 도형 등을 표시하는 상품광고란(120)과 실질적으로 상품이 전시되는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것으로서, 상품이 전시되는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도형, 여기서는 베이스판(100)의 검정색 바탕에 백색의 원형으로 상품표시란(130)이 복수개의 열과 횡으로 인쇄된다.
이와 함께 상품표시란(130)의 상부측에는 상품이 담겨진 비닐 포장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품걸이구(14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비닐 포장에는 상품걸이구(140)에 끼울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품은 주로 크기가 작고 가벼운 헤어밴드나 액세서리 종류의 잡화가 주종을 이룬다. 그리고 상품표시란(130)에는 상품 사진(131)과 상품 고유의 바코드(132)가 함께 인쇄되어 상품이 모두 판매되고 난 후에 상품을 일일히 구분하고 위치를 파악해야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보다 간편하게 상품의 종류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품걸이구(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 몸체(141)의 후방측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상.하 한 쌍으로 후크(14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베이스판(100)의 상에는 상기 걸이구 몸체(141)의 후크(142)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후크공(101)이 각각의 상품표시란(130)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00)의 배면에는 상.하 한 쌍으로 고정브라켓트(1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10)는 양단부에는 상.하 한 쌍으로 앵글(11)의 고정공(12)에 삽입해서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111)는 앵글(11)의 고정공(12)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로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앵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앵글(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품진열대(10)의 양측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100)의 배면에 구비된 고정브라켓트(110)에 의해 상기 상품진열대(10)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브라켓트(1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부(111)를 앵글(11)의 고정공(12)에 삽입하고 아래로 내려 고정돌부(111)의 고정홈(112)에 앵글(11)이 끼워짐으로써 선반과 같이 고정브라켓트(110)가 끼워져 앵글에 대한 베이스판(100)의 고정 및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분리시에는 반대로 고정돌부(111)를 앵글(11)의 고정공(12)에서 위로 올린 후 빼내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6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 특징은 상품표시란(130)을 상품걸이구(140)에 걸어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고, 이를 위해 베이스판(100)과 별도로 상품표시란(130)을 상품표시판(150)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상품표시란(130)의 상부측에는 상품걸이구(140)에 끼워지는 걸이공(152)을 갖는 착탈돌부(15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품표시란(13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품 사진(131)과 바코드(132)가 인쇄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전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수직의 앵글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고 상기 앵글 사이의 전면부에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앵글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게 베이스판의 배면에, 상기 앵글의 고정공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를 갖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턱 형태를 이루는 고정돌부가 양단부에 상.하 복수개로 구비된 고정브라켓트가 구비됨으로써 양측 수직의 앵글에 의해 지지되고 전면에 상품이 전시되는 상품전시대에서 양측에 버려지는 측면 공간부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 복수열의 횡대로 상품표시란이 형성되며, 상기 상품표시란은 상품 사진과 바코드가 인쇄됨으로써 유통,판매점 등 직원이 일일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 구분하여 전시해야만 되는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없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상품전시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베이스판 101: 후크공
110: 고정브라켓트 111: 고정돌부
112: 고정홈 120: 상품광고란
130: 상품표시란 131: 상품 사진
132: 바코드 140: 상품걸이구
141: 걸이구 몸체 142: 후크
150: 상품표시판 151: 착탈돌부
152: 걸이공

Claims (4)

  1. 전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12)을 갖는 수직의 앵글(11)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고 상기 앵글(11) 사이의 전면부에 상품이 진열되는 상품진열대(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앵글(11)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게 베이스판(100)의 배면에, 상기 앵글(11)의 고정공(12)에 대응되는 두께 및 길이를 갖고 하부 내측에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고정턱 형태를 이루는 고정돌부(111)가 양단부에 상.하 복수개로 구비된 고정브라켓트(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은 전면부 상측에 상품광고란(120)이 형성되고, 상기 상품광고란(120)의 하부측에 복수열의 횡대로 상품표시란(130)이 형성되며, 상기 상품표시란(130)은 상품 사진(131)과 바코드(132)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은 해당 상품표시란(130)의 상측에 상품이 담겨진 비닐포장의 구멍이 끼워져 상품을 걸어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걸이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걸이구(140)는 걸이구 몸체(141)의 후방측으로 후크(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후크공(101)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표시란(130)은 베이스판(100)과 분리된 별도의 상품표시판(1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품표시판(150)은 상부측에 상품걸이구(140)에 끼워지는 걸이공(152)을 갖는 착탈돌부(151)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부 표면에 상품 사진(131)과 바코드(132)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KR2020170005423U 2017-10-20 2017-10-20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KR201900010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3U KR20190001009U (ko) 2017-10-20 2017-10-20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3U KR20190001009U (ko) 2017-10-20 2017-10-20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09U true KR20190001009U (ko) 2019-04-30

Family

ID=6624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23U KR20190001009U (ko) 2017-10-20 2017-10-20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00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22A (ko) 2008-06-28 2010-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시스템의 레지스터 에러를 이용한 인쇄구간 장력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22A (ko) 2008-06-28 2010-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시스템의 레지스터 에러를 이용한 인쇄구간 장력 예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813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convertible fixture
US8434630B2 (en) Merchandis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US9867483B2 (en) Signage systems and merchandising display assemblies
US6286690B1 (en) Product display strip
US20140157637A1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US8827089B2 (en) Vertical display structure with bump out assembly
US8499941B2 (en) Gravity-fed retail display hook
US20140263128A1 (en) Convertible gondola shelving
US72164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sign
US20140091051A1 (en) Display fixture for highlighting products
JPH06165723A (ja) ショーケース
US9033295B2 (en) Display fixture having a display hook
KR20190001009U (ko) 상품진열대의 측면공간을 활용한 잡화 전시판
US9795229B2 (en) Display fixture divider
US6564953B2 (en) Convertible point of sa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consumer products
US10791850B1 (en) Retail display unit for multiple shaped products
KR101271182B1 (ko) 상품진열용 행거기구의 상품가격 표시판 설치부재
JP2017506567A (ja) ファーニチャーシステム
JP5919892B2 (ja) 商品展示台及び商品展示システム
KR200253137Y1 (ko) 상품 판매대용 걸이구
US7934611B2 (en) Rack accessories
KR200253136Y1 (ko) 상품 진열용 걸이대
JP3088761U (ja) 商品陳列用軽量棚板
JPS5834451Y2 (ja) 陳列棚用表示板
KR200450800Y1 (ko) 진열장용 상품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