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01U -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 Google Patents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01U
KR20190001001U KR2020170005418U KR20170005418U KR20190001001U KR 20190001001 U KR20190001001 U KR 20190001001U KR 2020170005418 U KR2020170005418 U KR 2020170005418U KR 20170005418 U KR20170005418 U KR 20170005418U KR 20190001001 U KR20190001001 U KR 201900010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eadrest
hanger
teeth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9151Y1 (en
Inventor
하슬기
Original Assignee
하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슬기 filed Critical 하슬기
Priority to KR2020170005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51Y1/en
Publication of KR20190001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5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종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고정부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걸이부재를 분리하여 가정용 등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쇼핑백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결합홈(111)을 구비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R)의 탄력을 받도록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끼워지는 봉홈(121)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동부(1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0);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단(211)을 구비하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에 절첩가능하게 축(S1)으로 연결되어 삽입홈(221)을 구비하는 절첩부(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 상기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삽입단(311)을 구비하는 받침부(310)와, 받침부(310)에 결합되어 승강안내공(321)을 구비하는 옷걸이부(320)와, 받침부(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안내공(321)으로 끼워지는 걸고리부(330)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imple installation of a fixing member on both side support rods of a headrest regardless of the type of a vehicle, separation of a hook member for use in a home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eparating a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and folding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reduce the volume during packaging, carrying, and sto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having a fixing part 110 having an engaging groove 111 and a pair of supporting rods 111 and 112 which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110 in such a manner as to be able to move laterally, (100) comprising a pair of movable parts (120) having a rod groove A connecting portion 210 having an engaging end 211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111 and a folding portion 220 having an insertion recess 22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by a shaft S1, (200); A hanger portion 320 having an elevation guide hole 321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10 and a hinge portion 310 having an insertion end 311 fitted into the insertion hinge 221, And a hook member (300) which is installed on the movable member (3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s fitted into the elevation guide hole (321).

Figure P2020170005418
Figure P2020170005418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본 고안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종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고정부재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걸이부재를 분리하여 가정용 등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가방이나 쇼핑백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which can easily and detachably mount a fixing member on both side support rods of a headrest,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s a versatile product such as a bag or a shopping bag by hanging it on a connecting member, and to separate the fix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o fold the connect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운전자 또는 승객들은 착석한 상태에서 상의가 구겨질 수 있으므로 상의를 벗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drivers or passengers who spend a lot of time in a car often take off their tops because the tops can be creased while seated.

이와 같이 벗어 놓은 상의의 보관은 시트에 올려두거나 또는 걸고리가 달린 옷걸이에 걸어 창문 측에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에 걸어서 보관하고 있다. 이때, 상의를 시트에 올려 둘 경우 구김의 염려가 있고 먼지 등으로 인한 오손이 염려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후술한 바와 같이 옷걸이를 이용하여 창문 측의 손잡이에 걸어서 상의를 보관하게 되는데, 창문 측 손잡이에 옷을 걸 경우 승차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tops of the strips are put on a sheet or hung on a hanger with a hook and held on the hand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indow. In this case, when the image is placed on the sheet, there is a risk of wrinkling, and there is a fear of contamination due to dust or the like. Normally, the cover is hung on the handle of the window using a hanger as described l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hid the vision of the rider when he put on his clothes.

한편, 각종 물품이 들어 있는 쇼핑백 등을 시트 위에 방치하는 경우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므로 운전에 방해를 주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hopping bag or the like containing various articles is left on the seat, the contents may flow out of the vehicle due to the shaking of the vehicle, which may interfere with driving.

근래에는 운전석 혹은 조수석 의자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옷걸이가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에 있어서도 의자에서 헤드레스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옷걸이의 분해 결합도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hanger which are combined with a headrest joined to the top of a driver's seat or a front passenger's seat have been provided. However, most of them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must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headrest is separated from the chair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disassembly and coupling of the clothes hanger is not easy.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88980호에는 의복을 걸어서 보관하거나 또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쇼핑백 등을 안전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헤드레스트의 분해 없이도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걸이대를 차종에 관계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걸이대가 기재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88980 discloses a hanger which can be stored by hanging clothes or storing a shopping bag with its contents safely, and can easily be installed and disassembled without disassembling the headrest. A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의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걸이대는 구성이 간단하므로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에 있어서도 차종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옷이나 각종 가방 등을 직접 걸거나 옷걸이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anger for a car using the headrest of the prior ar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ecause it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in the installa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ng clothes or various bags, .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부재의 일측에만 가변부재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1.2㎝ 이내인 차량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4㎝로 형성된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1.2㎝ 이내인 차량에는 고정부재와 가변부재에 형성된 양측 요홈을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각각 끼워서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지만, 구조적으로 고정부재와 가변부재에 형성된 양측 요홈 사이 길이가 14㎝보다 짧으므로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4㎝로 형성된 차량에는 지지부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variable member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is less than 11.2 cm, but the gap between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is formed to be 14 cm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a vehicle. That is, in the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is less than 11.2 cm, the support member can be fixed by inserting the both side groove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and the deformable member into the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Since the length between the two side grooves is shorter than 14 c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can not be fixed to a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is 14 cm.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걸이대를 헤드레스트에 고정된 걸이부에만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걸이대를 걸이부로부터 분리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걸이대를 차량의 실내 손잡이 또는 가정용 행거의 걸이대, 실내 벽면에 고정된 못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structured such that the hanger is coupled to only the hanger portion fixed to the headrest, so that the hanger can be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hanger portion and can not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ger can not be used for an indoor handle of a vehicle, a hanger of a domestic hanger, a nail fixed to an indoor wall,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걸이부와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걸이부를 접을 수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걸이대의 부피를 줄일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걸이대의 부피가 커서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hanger and the fix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hanger can not be folded, the prior art can not reduce the volume of the hanger when structurally packed and carried and stored. As a result, There are various inconveniences such as occupying a lot of space for carrying and storing.

특허문헌 : 공개특허 제10-2007-0088980호(공개일자 : 2007.08.30)Patent Document: Published Patent No. 10-2007-0088980 (Published Date: Aug. 30, 200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고정부재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rawback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easily detachably mounted on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And to provide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서는 걸이부재를 분리하여 가정용 등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가방이나 쇼핑백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hanger member separated for use in a home or the like, as well as a bag, a shopping bag,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eparating a fix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and folding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packaging, carrying and stor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결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끼워지는 봉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동부로 고정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단을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절첩가능하게 축으로 연결되어 삽입홈을 구비하는 절첩부로 연결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단을 구비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승강안내공을 구비하는 옷걸이부와, 상기 받침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안내공으로 끼워지는 걸고리부로 걸이부재를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a pair of fastening members each having a fastening portion having an engaging groove,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mov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ortion, Constituting a stationary member by a movable part of the stationary member;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engaging end that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a fold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on an axis so as to form a connecting member; A hanging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elevating guide hole; and a hook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s fitted to the elevating guide hole,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의 전면 양측에는 버튼안내홀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안내홀의 내측 상,하부에는 다단으로 톱니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부에는 톱니에 대응하는 톱니를 구비하여 버튼안내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을 판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하고, 상기 톱니와 톱니는 평상시 판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톱니와 톱니의 로킹이 해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guide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art, teeth are formed on the inner and lower sides of the button guide hole at multiple stages, and the movable part has teeth corresponding to the teeth, So that the teeth and the teeth are lock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and when the button is depressed, the locking of the teeth and the teeth is canceled so that the locking of the teeth and the teeth is canceled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단의 양측에는 고정부의 결합홈에 로킹되는 걸림훅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는 걸림훅를 해지시키는 버튼을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걸림훅과 버튼은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end are provided with hooking hooks which are locked 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fixing portion, and a button for releasing the hooking hooks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The hook and the button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삽입홈의 중앙부에는 버튼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가이드의 양측에는 버튼에 구비된 걸림돌기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단의 중앙부에는 버튼가이드에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걸림돌기에 로킹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guide for supporting the button movably forward and backwar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and both sides of the button guide form a slot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utton, A guide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button guide, and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are formed with latching grooves which are locked in the latching protrusion.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부의 상부 양측에는 승강가이드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부의 하부에는 받침부의 양측 승강가이드에 승강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를 형성하며, 상기 걸고리부의 슬라이더와 받침부에는 스프링을 연결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ft guide is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lider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on both side elevation guides of the support portion. It is.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가동부의 봉홈에는 지지봉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를 구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groove has an elastic pad elastically adhered to the support rod.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옷걸이부의 상부 전면 중앙에는 걸고리부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홈을 형성한 것이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aw-out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hanger por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can be easily drawn out.

본 고안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에 따르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가동부가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종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고정부재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ortions, which are resiliently fixed to the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ortion, the fixing members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oth side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So that it can be used by installing it.

또한 옷걸이부에 걸고리부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걸이부재를 분리하여 가정용 등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가방이나 쇼핑백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hooking portion is built in the hooking portion so as to be able to be drawn out, the hooking member can be separated and used for home use or the like, and a bag or shopping bag can be stored on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할 수 있고, 연결부재의 절첩부를 연결부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fix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eparated and the folde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folded to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volume can be structurally reduced during packaging and carrying and storing.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의 버튼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연결부 버튼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절첩부 버튼을 보인 평면도.
도 10a,10b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부재의 걸고리부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utton of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ing section button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hook member action of the hook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hook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홈(111)을 구비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R)의 탄력을 받도록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끼워지는 봉홈(121)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동부(1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0);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단(211)을 구비하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에 절첩가능하게 축(S1)으로 연결되어 삽입홈(221)을 구비하는 절첩부(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 상기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삽입단(311)을 구비하는 받침부(310)와, 받침부(310)에 결합되어 승강안내공(321)을 구비하는 옷걸이부(320)와, 받침부(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안내공(321)으로 끼워지는 걸고리부(330)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1 to 12,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110 having an engaging groove 111, a spring R (not shown) which is movable laterally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a pair of movable parts (120) coupled to the headrest (10)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pair of supporting rods (121) and having a rod groove (121) fitted in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A connecting portion 210 having an engaging end 211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111 and a folding portion 220 having an insertion recess 22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by a shaft S1, (200); A hanger portion 320 having an elevation guide hole 321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10 and a hinge portion 310 having an insertion end 311 fitted into the insertion hinge 221, And a hook member (300) formed of a hook portion (330) vertically installed in the elevation guide hole (310) and fitted in the elevation guide hole (321).

여기서, 본 고안의 옷걸이는 차량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의가 구겨지지 않도록 상의를 걸어서 보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옷걸이는 고정부재(100), 연결부재(200), 걸이부재(300)로 이루어진다.Here, th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nd detachably mounted on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vehicle headrest 10 so that the top of the hanger is held by the driver or the passenger so as not to bend the top of the hanger. A member 100, a connecting member 200, and a hooking member 300.

상기 고정부재(100)는 헤드레스트(10)의 지지봉(1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10)와 가동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0)는 평상시 가동부(120)의 이동을 단속하는 버튼(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00 is detachably fixed to the support rod 11 of the headrest 10. The fixing member 100 includes a fixing portion 110 and a movable portion 120. [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100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13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120 at normal times.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부재(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110)의 후면 중앙부에는 연결부재(20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111)이 형성된다.The fixing portion 110 constitutes the main body of the fixing member 100 and the coupling groove 111 is formed at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10 so that the coupling member 200 can be detachably coupled .

상기 가동부(120)는 고정부(11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R)의 탄력을 받도록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 쌍의 양측 가동부(120)의 외측에는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끼워지는 봉홈(121)이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가동부(120)와 고정부(110) 사이에는 가동부(120)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R)이 각각 내장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에 가동부(120)가 스프링(R)의 탄력을 받도록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 사이 간격이 11.2㎝ 이내인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 사이 간격이 14㎝로 형성된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에 가동부(120)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양측 가동부(120)의 봉홈(121)을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The movable part 12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art 110 so as to be moved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resiliently urged by the spring R. The pair of movable parts 120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movable parts 120, A spring 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movable parts 120 and the fixed part 110 to provide elastic force to push the movable part 120 outwardl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art 1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110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R,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rods 11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10 is 11.2 cm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s 11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10 is 14 cm.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ortion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 movable portions 120 are formed on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all the vehicle headrests 10, It is possible to simply fasten and secure the seal groove 121 of the seal member 121. [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120)의 봉홈(121)에는 지지봉(1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봉홈(121)에는 지지봉(1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122)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패드(122)에 의해 봉홈(121)과 지지봉(11)의 밀착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결합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121 of the movable part 12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122 elastically adhered to the support rod 11. Since the seal groove 121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pad 122 resiliently attached to the support rod 11,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 groove 121 and the support rod 11 is improved by the elastic pad 122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during coupling.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양측에는 버튼안내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안내홀(112)의 내측 상,하부에는 다단으로 톱니(113)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120)에는 톱니(113)에 대응하는 톱니(131)를 구비하여 버튼안내홀(1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130)이 판스프링(140)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톱니(113)와 톱니(131)는 평상시 판스프링(140)의 탄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되며, 상기 버튼(130)을 누르면 톱니(113)와 톱니(131)의 로킹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guide hole 1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teeth 113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tton guide hole 112 in multiple stages, 120 are provided with teeth 131 corresponding to the teeth 113 so that the button 130 which is movably inserted in the button guide hole 112 is install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40, The teeth 113 and the teeth 131 are normally engaged and 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40. When the button 130 is pressed, the teeth 113 and the teeth 131 are unlocked.

상기 버튼안내홀(112)은 고정부(1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버튼안내홀(112)에는 버튼(13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The button guide hole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The button 130 is inserted into the button guide hole 112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상기 톱니(113)는 버튼안내홀(112)의 내측 상,하부에 다단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톱니(113)는 평상시 가동부(120)의 이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eeth 113 are formed on the inner and lower sides of the button guide hole 112 in multiple stages. The teeth 113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120.

상기 버튼(130)은 양측 한 쌍의 가동부(120)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버튼(130)은 평상시 양측 가동부(120)의 작동을 각각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버튼(130)의 전방 상,하부에는 톱니(113)에 대응하는 톱니(131)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130)의 일측에는 가동부(12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가동부(120)의 일단에 지지되는 작동편(132)이 형성된다.The buttons 1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pair of movable parts 120 on both sides of the buttons 130. The buttons 130 norm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oth movable parts 120. At this time, the teeth 130 corresponding to the teeth 113 are formed on the front and the bottom of the button 130. One end of the button 1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utton 130, And an actuating piece 132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ovable part 120 is formed.

상기 판스프링(140)은 버튼(130)을 평상시 전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판스프링(140)은 작동편(132)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때, 평상시 상기 가동부(120)는 스프링(R)의 탄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평상시 상기 버튼(130)의 톱니(131)는 가동부(120)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부(110)의 톱니(113)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양측 가동부(120)를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측 버튼(130)을 눌러 톱니(131)와 톱니(113)의 로킹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측 가동부(120)를 내측으로 밀어야 가동부(120)가 스프링(R)을 압축시키면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양측 가동부(120)를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 사이에 위치시킨 후, 손을 놓으면 스프링(R)의 복원력에 의해 양측 가동부(120)의 봉홈(121)이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탄력적으로 각각 끼워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The leaf spring 140 serves to normally push the button 130 forward. The leaf spring 14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piece 132. At this time, the movable part 120 is normally pushed outwardly by the resilience of the spring R, and the teeth 131 of the button 130 are normally moved so that the movable part 120 can not move inward And is held in a locked state by resiliently engaging with the teeth 113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refore, in order to engage the both movable parts 120 with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in such a state, the both side buttons 130 are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teeth 131 and the teeth 113 The movable part 120 is moved inwar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R in the state where the both side movable parts 120 are pushed inward so that the both side movable parts 120 are moved to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When the hands are released, the rod 121 of the movable parts 120 is resiliently fixed to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R, will be.

상기 연결부재(200)는 고정부재(100)의 고정부(1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200)는 연결부(210)와 절첩부(220)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member 2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10 of the fixing member 100. The connecting member 20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10 and a folding portion 220. [

상기 연결부(210)는 연결부재(2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210)의 전방에는 고정부(110)의 결합홈(111)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단(211)이 형성된다.The coupling part 21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oupling part 210 so as to be detachab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fixing part 110 do.

상기 절첩부(220)는 연결부(210)의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축(S1)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첩부(220)에는 걸이부재(30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10)의 후방 양측에는 연결편(210a)이 구비되고, 상기 절첩부(220)의 전방 중앙부에는 양측 연결편(210a) 사이에 끼워져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첩편(220a)이 구비된다.The folding unit 220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unit 210 via a shaft S1. The fold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221 Is formed. A connecting piece 210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ng part 210 and a folding part 210a is inserted between both connecting pieces 210a at the front center part of the folding part 220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S1. 220a.

상기 절첩부(22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접으면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부(210)의 상부에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절첩부(2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펼치면 도 2,3에서와 같이 연결부(210)와 직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부재(100)와 연결부재(200)를 분리함과 동시에 연결부재(200)의 절첩부(220)를 도 7에서와 같이 접을 수 있으므로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When the folded portion 220 is folded forward, the folded portion 220 is overlapp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as shown in FIG. 7. When the folded portion 220 is folded backward,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member 100 and the connecting memb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olded portion 220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 7, Can be reduced.

본 고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단(211)의 양측에는 결합홈(111)에 로킹되는 걸림훅(23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10)의 양측에는 걸림훅(230)를 해지시키는 버튼(231)이 스프링(232)의 탄력을 받도록 축(S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훅(230)과 버튼(23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1)의 양측에는 걸림훅(230)이 로킹되는 훅홈(1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211)을 결합홈(111)에 끼우면 걸림훅(230)이 훅홈(111a)에 로킹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결합단(211)은 결합홈(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양측 버튼(231)을 누르면 걸림훅(230)의 로킹이 해지되므로 결합단(211)을 간단하게 외측으로 당겨서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hooking hooks 230 that are locked to the coupling grooves 1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end 211, and hooking hooks 2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210 The button 23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haft S2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32 and the hook 230 and the button 231 are integrally formed. At this time, a hook groove 111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111, to which the hook 230 is locked. Therefore, when the coupling end 2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 the locking hook 230 is locked while being locked to the hook groove 111a. In this state, the coupling end 211 is firmly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111 And remains fix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th side buttons 231 are depressed, locking of the hook 230 is released, so that the coupling end 211 can be easily pulled out and separated.

상기 걸이부재(300)는 연결부재(200)의 절첩부(2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걸이부재(300)는 받침부(310), 옷걸이부(320), 걸고리부(330)로 이루어진다.The hooking member 3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olding portion 220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The hooking member 30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310, a hanger portion 320, a hook portion 330, .

상기 받침부(310)는 걸이부재(300)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310)의 하부에는 절첩부(220)의 삽입홈(221)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단(311)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portion 310 constitutes the base of the hooking member 300. An insertion end 311 detachably fitted in the insertion groove 221 of the folding portion 22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310, .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7,9와 도 10a,10b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홈(221)의 중앙부에는 버튼(240)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가이드(22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가이드(222)의 양측에는 버튼(240)에 구비된 걸림돌기(241)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장공(22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311)의 중앙부에는 버튼가이드(222)에 끼워지는 가이드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의 양측에는 걸림돌기(241)에 로킹되는 걸림홈(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튼가이드(222)에는 버튼(2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50)이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22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직각으로 펼친 상태에서 삽입단(311)을 삽입홈(221)에 끼우면 걸림돌기(241)가 걸림홈(313)에 로킹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삽입단(311)은 삽입홈(22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240)을 누르면 걸림돌기(241)의 로킹이 해지되므로 삽입단(311)을 간단하게 상부로 당겨서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7, 9 and 10A and 10B, a button guide 222 for supporting the button 240 movably forward and backwar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221, A slot 223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222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ing protrusion 241 provided on the button 240. A button guide 222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end 311 And guide grooves 3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s 312 so as to be locked to the locking protrusions 241. [ At this time, the button guide 222 includes a spring 2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utton 240. Therefore, when the insertion end 3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while the folded back portion 220 is rotated rearward and inserted at right angles, the locking protrusion 241 is locked in the locking groove 313 and is engaged. The insertion end 311 is held firmly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221. As a result, When the button 240 is pressed, the lock of the locking protrusion 241 is released, so that the insertion end 311 can be easily pulled upward.

상기 옷걸이부(320)는 받침부(310)에 결합되어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옷걸이부(320)의 상부 중앙에는 걸고리부(330)가 끼워지는 승강안내공(321)이 형성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고정부재(100)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100)에 연결부재(200)를 연결한 후, 상기 연결부재(200)에 걸이부재(300)를 연결하면 옷걸이부(320)에 상의를 간단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The hanger portion 32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310 and is fixed by screwing. An elevation guide hole 321 in which the hook portion 33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anger portion 320. 1, the fixing member 100 is fixed to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and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100, 200, it is possible to simply store the clothes on the clothes hangers 320. FIG.

상기 걸고리부(330)는 받침부(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안내공(321)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걸고리부(330)를 도 10b와 도 11에서와 같이 상부로 당기면 걸고리부(330)는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300)를 연결부재(2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걸고리부(330)를 상부로 당기면 걸고리부(330)가 외부로 인출되기 때문에, 상기 걸이부재(300)를 분리하여 헤드레스트(10)외에도 차량의 실내 손잡이 또는 도 11에서와 같이 가정용 행거의 걸이대(K), 실내 벽면에 고정된 못 등에 다양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에서 걸이부재(30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연결부재(200)에 가방이나 쇼핑백(B)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이부재(300)를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 hooking part 330 is installed on the receiving part 3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uide hole 321. When the hooking part 330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S. 10B and 11, 330 can be taken out. Since the hook member 330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when the hook member 330 is pulled upward when the hook member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200, In addition to the rest 10,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indoor handle of a vehicle or a hanger K of a domestic hanger as shown in FIG. 11, or a nail fixed to an indoor wall. 12, when the hooking member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200, the bag 200 and the shopping bag B can be held by the connecting member 200, And the hooking member 300 can be used in a versatile manner.

본 고안에 따르면 도 10a,10b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310)의 상부 양측에는 승강가이드(314)가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고리부(330)의 하부에는 양측 승강가이드(314)에 승강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331)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331)와 받침부(310)에는 스프링(33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고리부(330)에는 스프링(332)이 연결되기 때문에, 평상시 상기 걸고리부(330)는 옷걸이부(320)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ion guide 314 is vertically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ing portion 330 is elevated And a spring 332 is connected to the slider 331 and the receiving portion 310. The spring 332 is connected to the slider 331 and the receiving portion 310. [ At this time, since the spring 332 is connected to the hook 330, the hook 330 is kept in the hanging part 320 at all times.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옷걸이부(320)의 상부 전면 중앙에는 걸고리부(3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홈(3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옷걸이부(320)에는 인출홈(322)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홈(322)을 통해 걸고리부(330)를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draw-out groove 3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ont of the hanger portion 320 so that the hook portion 330 can be easily drawn out. At this time, since the hooking part 320 is formed with the lead-out groove 322, the hooking part 330 can be easily drawn out through the lead-out groove 322.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가동부(120)가 고정부(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종에 관계없이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고정부재(100)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고정부재의 일측에만 가변부재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1.2㎝ 이내인 차량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 사이 간격이 14㎝로 형성된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부(110)의 양측에 가동부(120)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 사이 간격이 11.2㎝ 이내인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 사이 간격이 14㎝로 형성된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양측 가동부(120)의 봉홈(121)을 간단하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ortion 120, which is resiliently fixed to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ortion 110, the headrest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member 10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main body 100. [ That is, conventionally, since the variable member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vehicle structurally having a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s of both sides of the headrest within 11.2 cm.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appli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ortion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rods 11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10 is less than 11.2 cm,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is 14 cm so that the side support rods 11 of all the vehicle headrests 10, 121 can be simply fitted and fixed.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옷걸이부(320)에 걸고리부(330)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걸이부재(300)를 분리하여 가정용 등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200)에 가방이나 쇼핑백(B) 등을 걸어서 보관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ging part 3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anger part 320, if necessary, the hooking part 300 can be separated and used for a home or the like, and a bag or a shopping bag B)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toring them by walking.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100)와 연결부재(200)를 분리할 수 있고, 연결부재(200)의 절첩부(220)를 연결부(210)의 상부에 중첩되도록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포장 및 휴대와 보관시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xing device 100 and the connecting member 20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olded portion 220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can be folded to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volume when packing, carrying and storing.

10 : 헤드레스트 11 : 지지봉
100 : 고정부재 110 : 고정부
111 : 결합홈 112 : 버튼안내홀
113 : 톱니 120 : 가동부
121 : 봉홈 122 : 탄성패드
130 : 버튼 131 : 톱니
140 : 판스프링 200 : 연결부재
210 : 연결부 211 : 결합단
220 : 절첩부 221 : 삽입홈
222 : 버튼가이드 223 : 장공
230 : 걸림훅 231 : 버튼
232 : 스프링 240 : 버튼
241 : 걸림돌기 300 : 걸이부재
310 : 받침부 311 : 삽입단
312 : 가이드홈 313 : 걸림홈
314 : 승강가이드 320 : 옷걸이부
321 : 승강안내공 322 : 인출홈
330 : 걸고리부 331 : 슬라이더
332 : 스프링
10: headrest 11: support bar
100: fixing member 110:
111: coupling groove 112: button guide hole
113: tooth 120: moving part
121: Sealing groove 122: Elastic pad
130: button 131: toothed
140: leaf spring 200: connecting member
210: connecting portion 211: connecting end
220: Bond attaching part 221: Insert groove
222: button guide 223: long hole
230: hooking hook 231: button
232: spring 240: button
241: stopper 300: hook member
310: receiving portion 311: insertion end
312: guide groove 313:
314: elevation guide 320: hangers section
321: lift guide hole 322:
330: hook portion 331: slider
332: Spring

Claims (7)

결합홈(111)을 구비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R)의 탄력을 받도록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의 양측 지지봉(11)에 끼워지는 봉홈(121)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동부(1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0);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지는 결합단(211)을 구비하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에 절첩가능하게 축(S1)으로 연결되어 삽입홈(221)을 구비하는 절첩부(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
상기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삽입단(311)을 구비하는 받침부(310)와, 받침부(310)에 결합되어 승강안내공(321)을 구비하는 옷걸이부(320)와, 받침부(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안내공(321)으로 끼워지는 걸고리부(330)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
And a pair of support rods 11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ortion 110 so as to be movable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R and to be fixed to both side support rods 11 of the headrest 10, A fixing member (100) comprising a pair of movable parts (120) having a rod groove (121) to be fitted;
A connecting portion 210 having an engaging end 211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ss 111 and a folding portion 220 having an insertion recess 22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by a shaft S1, (200);
A hanger portion 320 having an elevation guide hole 321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10 and a hinge portion 310 having an insertion end 311 fitted into the insertion hinge 221, And a hooking member (300) which is installed on the seat (3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so as to be fitted into the elevation guide hole (3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전면 양측에는 버튼안내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안내홀(112)의 내측 상,하부에는 다단으로 톱니(113)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120)에는 톱니(113)에 대응하는 톱니(131)를 구비하여 버튼안내홀(1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130)이 판스프링(140)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톱니(113)와 톱니(131)는 평상시 판스프링(140)의 탄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로킹되며, 상기 버튼(130)을 누르면 톱니(113)와 톱니(131)의 로킹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butt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utton guide hole (1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teeth (11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tton guide hole The mov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teeth 131 corresponding to the teeth 113 and the button 130 which is movably inserted in the button guide hole 112 is install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40, The teeth 113 and the teeth 131 are normally engaged and 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140. When the button 130 is pressed, the teeth 113 and the teeth 131 are unlocked A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211)의 양측에는 결합홈(111)에 로킹되는 걸림훅(23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10)의 양측에는 걸림훅(230)를 해지시키는 버튼(231)이 스프링(232)의 탄력을 받도록 축(S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훅(230)과 버튼(23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hooking hooks (230) for locking the coupling grooves (1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end (211) 231) is rotatably installed on a shaft (S2)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32), and the hooking hook (230) and the button (231) are integrally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21)의 중앙부에는 버튼(240)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가이드(22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가이드(222)의 양측에는 버튼(240)에 구비된 걸림돌기(241)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장공(22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311)의 중앙부에는 버튼가이드(222)에 끼워지는 가이드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의 양측에는 걸림돌기(241)에 로킹되는 걸림홈(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button gui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utton guide (222) for supporting the button (240) movably back and forth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1) A guide slot 3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slot 3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guide 222. The guide groove 31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slot 311, 312) are formed with locking grooves (313) which are locked to the locking projections (24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10)의 상부 양측에는 승강가이드(314)가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고리부(330)의 하부에는 양측 승강가이드(314)에 승강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331)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331)와 받침부(310)에는 스프링(33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sli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levation guide (314) vertically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0), and a slider 331), and a spring (332) is connected to the slider (331) and the receiving portion (3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120)의 봉홈(121)에는 지지봉(1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lastic pad (122) is provided on the rod (121) of the movable part (120) to elastically contact the supporting rod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부(320)의 상부 전면 중앙에는 걸고리부(3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홈(3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The headrest hang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w-out groove (322) is formed at an upper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hanger portion (320) so that the hook portion (330) can be easily drawn out.
KR2020170005418U 2017-10-19 2017-10-19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KR2004891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18U KR200489151Y1 (en) 2017-10-19 2017-10-19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18U KR200489151Y1 (en) 2017-10-19 2017-10-19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01U true KR20190001001U (en) 2019-04-29
KR200489151Y1 KR200489151Y1 (en) 2019-05-08

Family

ID=6624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18U KR200489151Y1 (en) 2017-10-19 2017-10-19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5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44Y1 (en) 2019-07-16 2021-02-05 (주)훠링 Hook for headrest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980A (en)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태성정밀 A hanger for a car using headrest
US20120286008A1 (en) * 2009-11-13 2012-11-15 Peter Ackeret Device for hanging items of clothing
US20140367430A1 (en) * 2009-06-01 2014-12-18 Kinetix Ag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980A (en)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태성정밀 A hanger for a car using headrest
US20140367430A1 (en) * 2009-06-01 2014-12-18 Kinetix Ag Fastening Device
US20120286008A1 (en) * 2009-11-13 2012-11-15 Peter Ackeret Device for hanging items of cl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51Y1 (en)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521B2 (en) Vehicle console
CN103201136B (en) Seat configuration for vehicle
JP5066044B2 (en) Hanger with double ratchet type slide fastener
KR101134875B1 (en) Cup-holder Tray of rear-seat armrest for automobile
US7597372B2 (en) Underfloor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KR200489151Y1 (en) Coat hanger for vehicle headrest
JP5466666B2 (en) Sheet structure
KR20070088980A (en) A hanger for a car using headrest
CN108698528A (en) Headrest assemblies
WO2015146351A1 (en) Table for vehicle seat
JP6935209B2 (en) Upholstery structure and chair
JP6618189B2 (en) Armrest and vehicle seat
JP2017501914A (en) Footrest with storage function for tire repair equipment
JP2011092539A (en) Backrest of chair
US20230034226A1 (en) Child safety seat
JP4775191B2 (en) Interior parts support structure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JP6532197B2 (en) Mounting structure
KR20200071156A (en) Assistant handle with coat hook for vehicle
JP6659983B2 (en) Mounting structure
WO2019082270A1 (en) Article holding structure
JP6434247B2 (en) Mounting structure
KR101619997B1 (en) Under tray of vehicle seat
JP2005280684A (en) Hanger for headrest
KR200409362Y1 (en) Clothes rack cover for a vehicle
KR20110062426A (en) Structure of console arm 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