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88U - 물 털기 장치 - Google Patents

물 털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88U
KR20190000788U KR2020170004953U KR20170004953U KR20190000788U KR 20190000788 U KR20190000788 U KR 20190000788U KR 2020170004953 U KR2020170004953 U KR 2020170004953U KR 20170004953 U KR20170004953 U KR 20170004953U KR 20190000788 U KR20190000788 U KR 201900007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eceiving
receiving portion
plate shap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봉
Original Assignee
정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봉 filed Critical 정태봉
Priority to KR2020170004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788U/ko
Publication of KR2019000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Abstract

본 고안은 물 털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받침부;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서로 마주보면서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일 면에 돌기들이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의 내면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털기 장치{Water wiping apparatus}
본 고안은 물 털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천 시 우산이 사용된다. 우산은 우산 살에 방수성 천 등이 부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우산은 사용 후 실내로 반입되면, 우산의 방수성 천 등에 부착되어 있던 빗물이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된 빗물은 실내를 오염 시킨다.
본 고안은 사용 후 우산에 부착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 털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 효율이 향상되는 물 털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받침부;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서로 마주보면서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일 면에 돌기들이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의 내면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 패드를 포함하는 물 털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패드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면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면과 접하는 배면에 위치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수용 포켓들; 및 상기 수용 포켓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포켓들의 상기 개구는 상하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설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 후 우산에 부착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 털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 효율이 향상되는 물 털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물 털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물 털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탈착 패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탈착 패드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자석이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부착 부재의 배열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자석이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 털기 장치(10)는 바디(100), 받침부(200) 및 탈착 패드(3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물 털기 장치(10)의 골격을 제공한다. 바디(100)는 내측에 설정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내면이 서로 마주보면서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위치되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 상하 방향을 바디(100)의 길이라 하고, 바디(100)의 이격 방향과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바디(100)의 폭이라 한다.
도 2는 도1의 물 털기 장치의 측면도이도, 도3은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200)는 물 털기 장치(10)의 하부 골격을 제공된다. 받침부(200)는 대략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200)의 상면은 바디(100)의 폭과 바디(100)의 이격 거리를 수용 가능한 면적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받침부(200)의 폭은 바디(100)의 이격 거리 이상의 크기로 제공되고, 받침부(200)의 길이는 바디(100)의 폭 이상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0)의 하단은 받침부(2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부(200)에 형성된 홀(201)에는 배수관(210)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210)은 받침부(200)의 상부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배수관(210)에는 배수관(210)의 개폐를 위한 밸브(211)가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200)의 저면에는 물 털기 장치(10)의 이동 편의를 위해 바퀴(2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사이에는 안내 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다. 안내 부재(400)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하단을 차폐한다.
일 예로, 안내 부재(400)의 폭은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게 제공되어, 안내 부재(400)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내면 외측 양단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 부재(400)의 폭은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이격 거리 보다 크게 제공되어, 안내 부재(400)의 일 면은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안내 부재(400)의 상부에는 안내홈(202)이 형성된다. 안내홈(202)은 안내 부재(400)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된다.
도 4는 탈착 패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착 패드(300)는 바디(100)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탈착 패드(300)는 제1 바디(110)의 내면과 제2 바디(120)의 내면 가운데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거나, 제1 바디(110)의 내면 및 제2 바디(120)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탈착 패드(300)에서 공간에 노출된 면에는 돌기(3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310)들은 직물 소재, 합성 섬유 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물 털기 장치(10)는 우산에서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우산의 손잡이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우산의 몸체 부분이 내측 공간을 지나도록 바디(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시킨다. 그에 따라 우산의 몸체는 이동 과정에서 탈착 패드(300)의 돌기(310)와 접하면서 탄성력, 마찰력 등에 의해서 외측의 물기가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이후, 물 털기 장치(10)에 물이 어느 정도 차면, 배수관(210)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탈착 패드(300)는 필요에 따라 물 털기 장치(10)에서 제거 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 패드(300)의 노후로 인한 물 털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탈착 패드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자석이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탈착 패드(300)는 바디(100)의 내면에 제공되는 부착부(130)에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바디(100)의 부착부(130)는 자석(325)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소재로 제공된다. 일 예로, 부착부(130)는 금속으로 제공되거나 금속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탈착 패드(300)에는, 바디(100)에 부착되면 부착부(130)와 접하는 배면에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320)가 제공된다. 일 예로, 부착 부재(320)는 탈착 패드(300)의 배면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가 설정 거리 이격 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외측 둘레의 한 방향에 3개의 부착 부재(320)가 제공되도록, 탈착 패드(300)의 배면 외측 둘레를 따라 8개의 부착 부재(320)가 제공된 경우로 예로 도시되었다.
부착 부재(320)는 수용 포켓(321) 및 자석(325)을 포함한다. 수용 포켓(321)은 내측에 자석(325)을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 측에 개구(322)가 형성된다. 일 예로, 부착 부재(320)는 직물성 소재가 일 측을 제외한 3방향 외측이 탈착 패드(300)의 배면에 박음질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석(325)은 개구(322)를 통해 수용 포켓(321)에 삽입되거나, 수용 포켓(3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자석(325)은 강한 자성을 갖는 금속 자석(325)일 수 있다. 수용 포켓(321)은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제공되어, 자석(325)이 수용 포켓(32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사용 과정에서 자석(325)이 수용 포켓(321) 밖으로 이탈 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석(325)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력이 감쇠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석(325)은 수용 포켓(321)에서 분리 가능하여, 자력이 감쇠된 자석(325)을 수용 포켓(321)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자석(325)을 삽입하여, 자석(325)이 교체 가능하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부착 부재의 배열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자석이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부착 부재(320a)들은 수용 포켓(321a)의 개구(322a)가, 탈착 패드(300)가 바디(100)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설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수용 포켓(321a)들의 개구(322a)는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수용 포켓(321a)의 신축력에 더하여, 자석(325a)의 인출 방향은 중력의 방향과 교차되게 제공되어 사용 과정에서 자석(325a)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용 포켓(321a)들의 개구(322a)의 방향은, 수용 포켓(321a)들의 일부와 나머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배면을 기준으로, 탈착 패드(300)의 왼쪽 둘레에 위치된 수용 포켓(321a)들은 개구(322a)가 오른쪽을 향하고, 탈착 패드(300)의 오른쪽 둘레에 위치된 수용 포켓(321a)들은 개구(322a)가 왼쪽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면을 기준으로, 탈착 패드(300)의 왼쪽 둘레에 위치된 수용 포켓(321a)들은 개구(322a)가 왼쪽을 향하고, 탈착 패드(300)의 오른쪽 둘레에 위치된 수용 포켓(321a)들은 개구(322a)가 오른쪽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탈착 패드(300)의 일측에 위치된 수용 포켓(321a)들은 일부는 개구(322a)가 오른쪽을 향하고 나머지는 개구(322a)가 왼쪽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탈착 패드(300)에 좌우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도, 자석(325)이 수용 포켓(321)에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물 털기 장치(11)는 바디(100a), 받침부(200a) 및 탈착 패드(300a)를 포함한다.
받침부(200a)의 상면에는 안내홈(202)이 형성된다. 안내홈(202)은 배수관(210a)과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안내홈(202)은 배수관(210a)과의 거리가 가까운 곳에 비해 먼 곳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일 예로, 안내홈(202)은 배수관(210a)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홈(202a)은 배수관(210a) 쪽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계단 형상으로 형성 될 수 도 있다. 따라서, 물 털기 장치(11)에 수용된 물을 배수관(210a)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안내홈(202) 외에 바디(100a), 받침부(200a) 및 탈착 패드(300a)의 구성은 도 1의 물 털기 장치(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털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물 털기 장치(12)는 바디(100b), 받침부(200b) 및 탈착 패드(300b)를 포함한다.
바디(100b)의 내면에는 수용홈(102)이 형성된다. 수용홈(102)은 탈착 패드(300b)가 부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수용홈(102b)은 탈착 패드(300b)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탈착 패드(300b)가 바디(100b)에 부착되면 탈착 패드(300b)의 일부는 수용홈(102b)에 수용된다. 사용 과정에서 탈착 패드(300b)에는 힘이 작용한다. 이 같은 힘은 탈착 패드(300b)를 바디(100b)에서 분리 시킬 수 있다. 반면, 탈착 패드(300b)가 수용홈(102b)에 수용되는 형태로 부착되면, 외력이 탈착 패드(300b)의 외측면에 직접 작용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그 크기를 줄여 탈착 패드(300b)가 사용과정에서 바디(100b)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용홈(102)외에 바디(100b), 받침부(200b) 및 탈착 패드(300b)의 구성은 도 1의 물 털기 장치(10) 또는 도 4의 물 털기 장치(1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200: 받침부
300: 탈착 패드 400: 안내 부재

Claims (3)

  1.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받침부;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설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서로 마주보면서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일 면에 돌기들이 위치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바디의 내면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 패드를 포함하는 물 털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패드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면 또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면과 접하는 배면에 위치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수용 포켓들; 및
    상기 수용 포켓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물 털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포켓들의 상기 개구는 상하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설정 각도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물 털기 장치.
KR2020170004953U 2017-09-20 2017-09-20 물 털기 장치 KR201900007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953U KR20190000788U (ko) 2017-09-20 2017-09-20 물 털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953U KR20190000788U (ko) 2017-09-20 2017-09-20 물 털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88U true KR20190000788U (ko) 2019-03-28

Family

ID=6589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953U KR20190000788U (ko) 2017-09-20 2017-09-20 물 털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7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82A (ko) * 2019-06-14 2020-12-23 이대우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6548Y1 (ko) * 2022-08-18 2023-03-09 (주)자바인터내셔널 플라스틱형 물결모양의 빗물 털이부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82A (ko) * 2019-06-14 2020-12-23 이대우 신속하게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6548Y1 (ko) * 2022-08-18 2023-03-09 (주)자바인터내셔널 플라스틱형 물결모양의 빗물 털이부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2212A (ko) 물 털기 장치
US5723816A (en) Paint shields for electrical switches and outlets
KR20190000788U (ko) 물 털기 장치
ES2312388T3 (es) Dispositivo de escurrido.
JP4616130B2 (ja) 器具の水槽への固定装置
US10194942B2 (en) Callus removal apparatus
JP5658948B2 (ja) 傘のしずく取り装置
US2893033A (en) Mop handle connection with mop body portion
CN210535353U (zh) 黑胶唱片清洗机
KR102607084B1 (ko) 분리가 가능한 매립식 탑퍼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1111524B1 (ko) 유리 실험 기구 거치대
RU2015121822A (ru) Модульные рамки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ориентирования геометрических тел
US1639366A (en) Bath-brush holder
KR20130006615U (ko) 개량된 립스틱 중간 관 조립 구조물
CN110332959B (zh) 一种基于bim模型的智慧工地环境监测系统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CN208742618U (zh) 一种医学检验用试管组合架
KR200473581Y1 (ko) 자석을 갖는 빗과 빗 보관케이스
EP3318165B1 (en) Suction enabled sponge holder
KR20060103306A (ko) 유리창 닦는 장치
KR200316037Y1 (ko) 아이섀도우 솔대 고정장치
US2803027A (en) Floor wax applicator
RU200813415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борки и щет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802735B1 (ko) 볼링공의 세척 장치
CN211581846U (zh) 一种柔性工具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