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67U -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67U
KR20190000767U KR2020170004910U KR20170004910U KR20190000767U KR 20190000767 U KR20190000767 U KR 20190000767U KR 2020170004910 U KR2020170004910 U KR 2020170004910U KR 20170004910 U KR20170004910 U KR 20170004910U KR 20190000767 U KR20190000767 U KR 20190000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nipple
container body
containe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2020170004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767U/ko
Publication of KR20190000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포장 용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니플, 일측에는 상기 니플에 결합될 수 있는 관형상 또는 링형상의 니플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한입 분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움품 패인 형태의 수저본체가 마련되어 있는 수저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이유식을 먹기기 위해 그릇을 준비할 필요도 없고 음식을 흘릴 염료도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Food Enveloper Can Be Engaged With Spoon}
본 고안은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포장용기 본체에 수저를 결합함으로써 포장용기 본체에서 직접 수저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환자가 먹는 음식은 건강한 일반인이 먹는 음식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즉 스프 또는 죽과 같이 씹는 수고가 거의 없는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우유와 일반식의 중간 단계의 음식인 유야식이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유야식을 집에서 만들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중에서 구매해야 하는데, 보통은 1회용 진공팩에 포장되어 공급된다. 유아의 보호자는 팩을 개봉하여 그릇에 옮겨 담은 후 수저를 이용하여 떠서 먹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아식을 데우기도 한다.
이렇듯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그릇을 하나 더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릇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이유식을 먹여야 할 때도 많은데 이를 위해 그릇을 휴대하고 다니는 것도 불편하다.
종래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었다.
첫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27669호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종이 재질의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포장용기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절취선은 상기 일면을 부분적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절취선을 따라 절취 시 상기 일면상에 포장용기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절취면이 형성된다. 절취면에는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되어 접이선을 이용하여 절취면의 가장자리 부위를 접음에 따라 절취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측벽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취면의 중앙 부위와 측벽에 의해 소스 수용부가 형성된다.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음식점에서 음식물과 같이 제공되는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과 위생상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한 이를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용기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환경오염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3952호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32)과, 상기 측벽(32)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33)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3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36)는, 상기 평탄부(34)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안한다. 이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고, 용기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용기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셋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07-0140330호는 내부에 취식용 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용기본체의 일단에 마련된 죽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와, 용기본체 내의 죽을 가열시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만을 배출하고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용기 본체에 마련된 증기배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죽 포장용기를 제안한다.
위에 예시한 것을 포함하여 많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포장용기가 제안된 방 있었으나 본 고안자가 생각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해준 바는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2766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395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4033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죽이나 이유식을 유아에게 좀 더 편리하게 먹일 수 있게 하는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릇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포장된 음식물을 보다 청결한 상태에서 음식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음식물을 먹이다가 흘리는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시킬 수 있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니플; 일측에는 상기 니플에 결합될 수 있는 관형상 또는 링형상의 니플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한입 분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움품 패인 형태의 수저본체가 마련되어 있는 수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본체는 손으로 잡고 쥐어짤 수 있도록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니플과 상기 니플결합부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니플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는 가다란 튜브가 개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니플결합부는 수저의 손잡이로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가 50 ~ 150mm로 되어 있으며 외경은 10 ~20m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에 이유식과 같이 반유동체로 된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수저부를 결합시키고 용기본체에서 음식물을 토출시키면 음식물은 니플결합부를 통해 수저본체에 담기게 된다. 따라서 음식을 별도의 그릇으로 옮길 필요없이 직접 용기본체에서 수저로 음식물을 필요한 분량 만큼 옮길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유식을 먹기기 위해 그릇을 준비할 필요도 없고 음식을 흘릴 염려도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이후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은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 내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는 니플(32)이 부착된 용기본체(30), 니플결합부(20)를 갖는 수저부(1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30)는 밀폐된 음식물 수용공간(S)을 제공한다. 용기본체(30)의 수용 용량은 용도나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유아식일 경우에는 유아의 1회 취식분량이 적당할 것이다.
용기본체(30)에는 내부와 외부가 소통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니플(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니플(32)에는 용기본체(30)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미도시됨)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니플(32)은 시중에 제공되는 음료수팩 또는 아이스크림팩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용기본체에 고정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니플(32)은 그의 고정부가 용기본체(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됨으로써 용기본체(30)와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된다. 니플의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돌출되고 마개는 이 돌출된 니플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본체(30)는 손으로 잡고 쥐어짤 수 있도록 합성수지 필름(31)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강성을 위해서 너무 얇은 것은 좋지 않으며 시중에 음료용팩으로 널리 사용되는 필름(또는 코팅필름)이면 될 것이다. 그리고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음식을 데울 수 있는 소재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소재가 마련되는 것도 추천된다.
수저부는 수저본체(10)와 니플결합부(20)로 구성되며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니플결합부(20)는 용기본체의 니플(32)에 결합되도록 암나사(23)를 가지며, 음식물 토출공(21)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형상 또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니플결합부(20)는 손으로 잡이 편리한 직경의 관체(22)로 되어 있다.
수저본체(10)는 한입 분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면(11)이 오목하게 되어 있다. 수저본체(10)는 일반적인 수저의 본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크기 역시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될 것이다. 음식물 토출공(21)은 수저본체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음식물 토출공(21)을 통해 흘러나오는 음식물(F)은 곧바로 수저본체(10)에 담기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니플(32)과 니플결합부(20)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결합방식이 가장 무난하지만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니플결합부(20)는 길이가 50 ~ 150mm로 되어 있으며 외경은 10 ~20mm인 관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손잡이(40)와 같이 분해가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F)을 용기본체(30)에 넣고, 수저부를 결합한 다음 화살표 방향으로 용기본체를 압착하면 음식물은 주입구의 니플(32)을 통해 수저본체로 흘러나오게 된다. 용기본체(3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음식물은 더이상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저본체(10)의 용량에 알맞은 만큼만 용기본체(30)를 압착시키면 항상 음식물(F)을 깨끗하게 수저에 담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니플(32)과 수저본체(10) 사이에 가다란 튜브(50)가 개입될 수 있다. 이는 수저본체(10)와 용기본체(3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이 담긴 용기본체(30)는 탁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탁상앞에 앉아있는 유아에게 이유식을 먹일 수 있게 된다. 튜브(50)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음식물을 튜브(50)를 통해 수저본체(10)까지 보내기가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길이와 직경은 적정하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튜브(50)는 가요성 튜브본체(50a)와 튜브본체(50a)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결부(51,52)를 포함한다. 수저본체 연결부(51)는 나사식으로 수저본체(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40)가 수저부의 니플결합부(20)와 튜브(50) 사이에 개입된다. 손잡이(50)는 수저의 손잡이로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가 50 ~ 150mm로 되어 있으며 외경은 10 ~20mm일 수 있다. 튜브본체(50)는 기본적으로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튜브의 용기본체 연결부(52)는 나사식으로 니플(32)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탄성적으로 벌려질 수 있는 재질로 하여 압박하여 끼워 탄성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니플결합부(20) 내지 상기 손잡이(40)에 온도표시수단(43)이 더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 온도표시수단(43)은 유아가 먹기에 적당한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적당한 온도범위에서 녹색으로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붉은 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염료를 사용하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저본체 11 : 바닥면
20 : 니플결합부 21 : 음식물 토출공
23 : 암나사 30 : 용기본체
31 : 필름 32 : 니플
40 : 손잡이 43 : 온도표시수단
50 : 튜브 51,52 : 연결부
F : 음식물

Claims (6)

  1.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니플;
    일측에는 상기 니플에 결합될 수 있는 관형상 또는 링형상의 니플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한입 분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움품 패인 형태의 수저본체가 마련되어 있는 수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손으로 잡고 쥐어짤 수 있도록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과 상기 니플결합부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는 가다란 튜브가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결합부는 수저의 손잡이로 사용 가능하도록 길이가 50 ~ 150mm로 되어 있으며 외경은 10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결합부에는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온도표시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KR2020170004910U 2017-09-16 2017-09-16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KR201900007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910U KR20190000767U (ko) 2017-09-16 2017-09-16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910U KR20190000767U (ko) 2017-09-16 2017-09-16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67U true KR20190000767U (ko) 2019-03-26

Family

ID=6589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910U KR20190000767U (ko) 2017-09-16 2017-09-16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7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85A1 (ko) * 2020-09-21 2022-08-18 오은영 토출물수용수단을 포함하는 스틱형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85A1 (ko) * 2020-09-21 2022-08-18 오은영 토출물수용수단을 포함하는 스틱형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16152A (en) Baby food container and spoon combined
US10182971B2 (en) Child feeding system
AU2018229542B2 (en) Child feeding system
ES2279212T3 (es) Capsula de plastico monodosis para cafe en polvo y similar.
US4678092A (en) Disposable baby bottle
US20160046421A1 (en) Sectionalized fluids container
US9918580B2 (en) Foo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US3727802A (en) Hand held food holder and dispenser
US20120141641A1 (en) Dispensing container
KR20140020325A (ko) 일회용 젖병 키트
KR20190000767U (ko) 수저 결합형 음식물 포장용기
US20230271766A1 (en) Baby bottle pod
US10633166B2 (en) Food container assembly
EP0829218B1 (en) Beverage making pencil
KR20180054017A (ko) 스푼일체형 포장용기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KR20170123508A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20200091169A (ko) 유아용 젖병과 음료수병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어댑터 및 구조
CN219134882U (zh) 一种方便冲调的谷物代餐粉的包装盒
CA2789293A1 (en) Feeding ba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WO2003010068A2 (en) Food dispenser and feeding spoon and heater therefor
EP3960040A1 (en) Multifunctional mug
GB2504529A (en) Elastically deformable container for pu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4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1

Effective date: 201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