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19U -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 Google Patents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19U
KR20190000719U KR2020170004819U KR20170004819U KR20190000719U KR 20190000719 U KR20190000719 U KR 20190000719U KR 2020170004819 U KR2020170004819 U KR 2020170004819U KR 20170004819 U KR20170004819 U KR 20170004819U KR 20190000719 U KR20190000719 U KR 201900007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ttached
wall portion
seat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542Y1 (ko
Inventor
노예린
Original Assignee
노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예린 filed Critical 노예린
Priority to KR2020170004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4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견용 소파로 사용하다 이를 변형하여 애견용 방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승용차의 안전벨트에 결합하여 애견용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100)는 본체(10)와 방석부재(50)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어깨끈(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Sofa for pet dog which is used as sitting cushion or car seat}
본 고안은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견용 소파로 사용하다 이를 변형하여 애견용 방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승용차의 안전벨트에 결합하여 애견용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애완견은 가족과 같은 존재이다. 애완견은 주로 소형견으로 대부분 집안에서 키우게 되는데 집안에 애완견이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자동차에 태워 동행할 경우 애완견의 안전사고를 방지해 줄 필요가 있다.
애완동물용 방석 등에 관하여 다수의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종래의 애완동물용 방석은 한 가지 형태로만 제공되고,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급제동·급출발 시 방석이 카시트에서 이탈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방석에 머물지 못하고 운전자에게 달려들어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일도 생기고 있고, 애완동물용 카시트방석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여 애완견에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두 가지 형태로 제공하며,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애완견의 안전사고를 방지해 주면서 애완견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을 고안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314936호 “애완동물용 방석”(2003. 5. 19. 등록)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1612호 “애완동물용 방석”(2008. 6. 10. 공개) 공개특허 제2015-0129490호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2005. 11. 20. 공개) 공개특허 제2017-0093565호 “애완동물용 카시트방석”(2017. 8. 16. 공개)
본 고안은 애완견에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두 가지 형태로 제공하며,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애완견의 안전사고를 방지해 주면서 애완견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는 본체(10)와 방석부재(50)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어깨끈(6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바닥부(20), 벽체부(30) 및 개목줄걸이(40)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2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벽체부(30)가 바닥부(20)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단이 연속되게 2단으로 형성되며 상·하단 사이는 얇게 형성되고, 상기 벽체부(30)는 전면부(31),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 후면부(34)로 구성되며, 우측면부(32), 후면부(34), 좌측면부(33)는 연속되어 형성되고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가 수직을 이루기 쉽도록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 사이는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31)는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연속되게 형성되지 않고 우측 상단이 우측면부(32) 전방 상단과 결합하고 좌측 상단이 좌측면부(33) 전방 상단과 결합하여 벽체부(30)를 이루거나, 우측면부(32)·좌측면부(33)와 결합되지 않고 바닥부(20) 측으로 접혀져 벽체부(30)를 이루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벽체부(30)의 우측면부(32) 및 좌측면부(33)의 외측, 또는 전면부(31) 및 후면부(34)의 외측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퍼(37)의 한쪽 이(tooth)와 손잡이(tab)가 부착되고,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에는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키는 안전띠(38)가 형성되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양측 모서리에는 D링(39)이 부착되고, 상기 바닥부(20) 상면 후단과 벽체부(30)의 후면부(34) 내측 하단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개목줄걸이(40)이 고정되며, 상기 방석부재(50)는 본체(10)의 바닥부(20)와 벽체부(30)에 들어맞는 크기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방석부재(50)의 우측면 및 좌측면, 또는 전면 및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다른 한쪽 이(tooth)가 부착되어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손잡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상단의 좌우측 모서리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후면부(34)와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후면부(32)가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기 쉽도록 Ⅴ자형 봉제선(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 우측면부(32) 전방 상단, 좌측면부(33) 전방 상단에는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되며,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도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되고,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닫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좌·우측면부(33, 32) 전방 상단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키며,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열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견용 소파의 벽체부(30)의 전면부(31)가 닫힌 상태에서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안전띠(38)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켜 1차 고정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어깨끈(60)을 D링(39)에 결합시킨 후, 애견용 소파를 자동차 앞좌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차량시트 허리부분에 어깨끈(60)을 둘러 2차 고정시키며, 뒷자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차량시트 목받침에 어깨끈(60)을 걸어 2차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30), 방석부재(50)의 상면부는 통기성이 좋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을 규칙적으로 형성시킨 메쉬형 원단으로 구비되며, 방석부재(50)의 저면부는 보온을 위해 보온성이 좋은 재질의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는 애완견에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두 가지 형태로 제공하며,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애완견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어 애완견의 안전사고를 방지해 주면서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본체의 벽체부의 전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본체의 벽체부의 전면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본체의 벽체부의 전면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본체의 벽체부의 전면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100)는 본체(10)와 방석부재(50)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어깨끈(6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바닥부(20), 벽체부(30) 및 개목줄걸이(40)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2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벽체부(30)가 바닥부(20)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단이 연속되게 2단으로 형성되며 상·하단 사이는 얇게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30)는 전면부(31),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 후면부(34)로 구성되고, 우측면부(32), 후면부(34), 좌측면부(33)는 연속되어 형성되며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가 수직을 이루기 쉽도록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 사이는 얇게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상단의 좌우측 모서리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2)가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기 쉽도록 Ⅴ자형 봉제선(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1)는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연속되게 형성되지 않고 우측 상단이 우측면부(32) 전방 상단과 결합하고 좌측 상단이 좌측면부(33) 전방 상단과 결합하여 벽체부(30)를 이루거나,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결합되지 않고 바닥부(20) 측으로 접혀져 벽체부(30)를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 우측면부(32) 전방 상단, 좌측면부(33) 전방 상단에는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되며,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도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된다.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닫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좌·우측면부(33, 32) 전방 상단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킨다.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열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킨다.
상기 벽체부(30)의 우측면부(32) 및 좌측면부(33)의 외측, 또는 전면부(31) 및 후면부(34)의 외측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퍼(37)의 한쪽 이(tooth)와 손잡이(tab)가 부착된다.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에는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키는 안전띠(38)가 형성되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양측 모서리에는 D링(39)이 부착될 수 있다. D링(39)에는 어깨끈(60)의 양측에 부착된 고리가 결합되어 이동 시 본체(10)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 상면 후단과 벽체부(30)의 후면부(34) 내측 하단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개목줄걸이(40)가 고정된다.
상기 방석부재(50)는 본체(10)의 바닥부(20)와 벽체부(30)에 들어맞는 크기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방석부재(50)의 우측면 및 좌측면, 또는 전면 및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다른 한쪽 이(tooth)가 부착되어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손잡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벽체부(30), 방석부재(50)의 상면부는 통기성이 좋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을 규칙적으로 형성시킨 메쉬형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석부재(50)의 저면부는 보온을 위해 보온성이 좋은 재질의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1 : 애견용 소파>
상기 본체(10)의 벽체부(30)의 전면부(31)가 닫힌 상태에서 바닥부(20)와 벽체부(30)에 방석부재(50)를 집어넣는다. 벽체부(30)의 높이가 높아 애완견이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에는 애완견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열어준다.
애견은 방석부재(50)에 앉아 벽체부(30)의 후면부(34), 좌·우측면부(33, 32)에 기대어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 실시예 2 : 애견용 방석>
상기 벽체부(30) 상단을 벽체부(30) 안쪽으로 접어 넣고 벽체부(30)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된 지퍼(37)의 손잡이(tab)에 방석부재(50)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된 지퍼의 이(tooth)를 삽입하여 지퍼(37)를 채운다.
본체(10)의 벽체부(30) 상단이 벽체부(30) 안쪽으로 접어 넣어진 상태에서 방석부재(50)가 그 위에 지퍼(37)로 결합되어 두툼하고 푹신한 방석(도시하지 않음)으로 변형되어 애견이 엎드려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 실시예 3 : 애견용 카시트>
실시예 1의 애견용 소파의 형태에서 벽체부(30)의 전면부(31)가 닫힌 상태에서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안전띠(38)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켜 1차 고정시킨다. 그리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어깨끈(60)을 D링(39)에 결합시킨 후 애견용 소파를 자동차 앞좌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자동차 시트 허리부분에 어깨끈(60)을 둘러 2차 고정시키며, 뒷자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자동차 시트 목받침에 어깨끈(60)을 걸어 2차 고정시킨다.
애견용 소파가 자동차 시트에 고정되면 애견을 벽체부(30) 안에 들여놓고 개목줄걸이(40)의 고리를 개목줄의 고리와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애견용 소파가 자동차 시트에 고정되어 급제동·급출발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며, 애견이 애견용 소파 내에 머물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된다.
100 : 본 고안의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10 : 본체 20 : 바닥부
30 : 벽체부 31 : 전면부
32 : 우측면부 33 : 좌측면부
34 : 후면부 35 : Ⅴ자형 봉제선
36 : 링스넵단추 37 : 지퍼
38 : 안전띠 39 : D링
40 : 개목줄걸이 50 : 방석부재
60 : 어깨끈

Claims (5)

  1. 본체(10)와 방석부재(50)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어깨끈(6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바닥부(20), 벽체부(30) 및 개목줄걸이(40)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2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벽체부(30)가 바닥부(20)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단이 연속되게 2단으로 형성되며 상·하단 사이는 얇게 형성되고,
    상기 벽체부(30)는 전면부(31),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 후면부(34)로 구성되며, 우측면부(32), 후면부(34), 좌측면부(33)는 연속되어 형성되고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가 수직을 이루기 쉽도록 우측면부(32)와 후면부(34), 좌측면부(33)와 후면부(34) 사이는 얇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31)는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연속되게 형성되지 않고 우측 상단이 우측면부(32) 전방 상단과 결합하고 좌측 상단이 좌측면부(33) 전방 상단과 결합하여 벽체부(30)를 이루거나, 우측면부(32)·좌측면부(33)와 결합되지 않고 바닥부(20) 측으로 접혀져 벽체부(30)를 이루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벽체부(30)의 우측면부(32) 및 좌측면부(33)의 외측, 또는 전면부(31) 및 후면부(34)의 외측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퍼(37)의 한쪽 이(tooth)와 손잡이(tab)가 부착되고,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에는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키는 안전띠(38)가 형성되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양측 모서리에는 D링(39)이 부착되고,
    상기 바닥부(20) 상면 후단과 벽체부(30)의 후면부(34) 내측 하단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측에 개폐 가능한 고리가 부착된 개목줄걸이(40)이 고정되며,
    상기 방석부재(50)는 본체(10)의 바닥부(20)와 벽체부(30)에 들어맞는 크기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방석부재(50)의 우측면 및 좌측면, 또는 전면 및 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다른 한쪽 이(tooth)가 부착되어 벽체부(30)에 부착된 지퍼(37)의 손잡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30)의 후면부(34) 상단의 좌우측 모서리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후면부(34)와 우측면부(32), 좌측면부(33)와 후면부(32)가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기 쉽도록 Ⅴ자형 봉제선(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 우측면부(32) 전방 상단, 좌측면부(33) 전방 상단에는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되며,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도 링스넵단추(36)가 부착되고,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닫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좌·우측면부(33, 32) 전방 상단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키며,
    상기 벽체부(30)의 전면부(31)를 열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30)의 전면부(31) 상단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를 바닥부(20) 저면 전방 좌우측에 부착된 링스넵단추(36)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견용 소파의 벽체부(30)의 전면부(31)가 닫힌 상태에서 벽체부(30)의 후면부(34) 외측 하단의 안전띠(38)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통과시켜 1차 고정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어깨끈(60)을 D링(39)에 결합시킨 후, 애견용 소파를 자동차 앞좌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차량시트 허리부분에 어깨끈(60)을 둘러 2차 고정시키며, 뒷자석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차량시트 목받침에 어깨끈(60)을 걸어 2차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30), 방석부재(50)의 상면부는 통기성이 좋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을 규칙적으로 형성시킨 메쉬형 원단으로 구비되며, 방석부재(50)의 저면부는 보온을 위해 보온성이 좋은 재질의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KR2020170004819U 2017-09-12 2017-09-12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KR200489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19U KR200489542Y1 (ko) 2017-09-12 2017-09-12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19U KR200489542Y1 (ko) 2017-09-12 2017-09-12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19U true KR20190000719U (ko) 2019-03-20
KR200489542Y1 KR200489542Y1 (ko) 2019-07-04

Family

ID=6589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19U KR200489542Y1 (ko) 2017-09-12 2017-09-12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044B1 (ko) * 2020-01-14 2020-07-20 이정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102276618B1 (ko) 2021-01-04 2021-07-12 임진아 반려동물용 다기능 시트
KR20210095520A (ko) * 2020-01-23 2021-08-02 최광휘 크기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방석
KR20220013727A (ko) * 2020-07-27 2022-02-04 허소미 애완동물용 멀티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49B1 (ko) 2020-10-27 2021-05-24 진현숙 반려동물용 자동차 앞좌석 펜스 겸용 카시트
KR200494420Y1 (ko) 2021-03-23 2021-10-08 주식회사 은건코리아 애완견용 형태 변형 매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38A (ja) * 2000-11-28 2002-06-04 Iris Ohyama Inc ペット用車載ケース
KR200314936Y1 (ko) 2003-02-05 2003-06-02 송승훈 애완동물용 방석
JP2005333833A (ja) * 2004-05-24 2005-12-08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ボックス
KR20080001612A (ko) 2006-06-29 2008-01-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JP2009136255A (ja) * 2007-12-10 2009-06-25 Yamahisa:Kk ペット運搬用バッグ
KR20150129490A (ko) 2014-05-12 2015-11-20 배용주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
KR20170093565A (ko) 2016-02-05 2017-08-16 송단비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38A (ja) * 2000-11-28 2002-06-04 Iris Ohyama Inc ペット用車載ケース
KR200314936Y1 (ko) 2003-02-05 2003-06-02 송승훈 애완동물용 방석
JP2005333833A (ja) * 2004-05-24 2005-12-08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ボックス
KR20080001612A (ko) 2006-06-29 2008-01-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JP2009136255A (ja) * 2007-12-10 2009-06-25 Yamahisa:Kk ペット運搬用バッグ
KR20150129490A (ko) 2014-05-12 2015-11-20 배용주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
KR20170093565A (ko) 2016-02-05 2017-08-16 송단비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044B1 (ko) * 2020-01-14 2020-07-20 이정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WO2021145688A1 (ko) * 2020-01-14 2021-07-22 이정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KR20210095520A (ko) * 2020-01-23 2021-08-02 최광휘 크기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방석
KR20220013727A (ko) * 2020-07-27 2022-02-04 허소미 애완동물용 멀티 매트
KR102276618B1 (ko) 2021-01-04 2021-07-12 임진아 반려동물용 다기능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42Y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542Y1 (ko) 애견용 방석·카시트 겸용 소파
KR101348542B1 (ko)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US4674800A (en) Car safety seat
US7383789B2 (en) Portable pet booster seat
US3310034A (en) Safety harness and collar
BR102017020337B1 (pt) Divisória de privacidade e sistema de divisória de privacidade para um avião
KR101562417B1 (ko) 필로우를 포함하는 휴대용 지지부
US10131317B1 (en) Head support and safety harness system
US10299600B2 (en) Portable memory foam seat cushion
US20090212549A1 (en) Passenger safety restraint, seat height adjustment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a passenger
US20150069812A1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US20150367759A1 (en) Advanced Comfort Buckling System
US10779585B2 (en) Garment for harness system
EP1570770A1 (en) Portable child seat
NZ569461A (en) Car seat pillow for a childs car seat with two lateral portions connected by intermediate portion and retained in use between child seat and vehicle seat or to seat belt
EP2494888A1 (de) Ruhe-Stützeinrichtung
US11319073B2 (en) Apparatus for creating a sleeping surface
US5957537A (en) Restraining device for children
US20160221679A1 (en) Cushion assembley
US8875330B2 (en) Child safety and support pillow device
CN206569040U (zh) 一种带有四点式安全带的座椅及使用该座椅的汽车
CN206589842U (zh) 一种四点式安全带及使用该四点式安全带的座椅和汽车
AU715321B2 (en) Harness and booster seat
US20120312251A1 (en) Vehicle Pet Restraint
KR100988588B1 (ko)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