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54A -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54A
KR20190000554A KR1020170079694A KR20170079694A KR20190000554A KR 20190000554 A KR20190000554 A KR 20190000554A KR 1020170079694 A KR1020170079694 A KR 1020170079694A KR 20170079694 A KR20170079694 A KR 20170079694A KR 20190000554 A KR20190000554 A KR 2019000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il
monitoring
alarm circui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고장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7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54A/ko
Publication of KR2019000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01R31/02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는,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경보회로 진단부와, OF케이블과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누유를 감시하는 누유 감시부와,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에 배치되어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는 누기 감시부와,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소화장치 감시부와, 경보회로 진단부의 진단결과, 누기 감시부의 감시결과, 누유 감시부의 감시결과 및 소화장치 감시부의 감시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고 원격 전송하는 현장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otally managing supplementary installation of Oil-Filled cable}
본 발명은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OF케이블은 내부에 절연유가 채워져 있는 지중송전 케이블로서, 절연유를 공급받기 위해 급유관을 통해 급유탱크에 연결된다.
하기의 특허문헌은 OF케이블의 유압을 감시하는 부대설비를 개시하나, 이러한 부대설비를 진단하기 위한 인력의 전력구 투입을 필요로 한다. 이는 인력투입에 따른 안전문제 및 비용소모를 유발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31748호
본 발명은 유압을 감시하는 부대설비의 점검과, 급유관 누유 감시와, 소화약제 누기 감시와, 소화장치 방출동작 감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인력의 전력구 투입을 최소화하고 OF케이블의 부대설비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OF케이블과 전력구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는,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경보회로 진단부; 상기 OF케이블과 상기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누유를 감시하는 누유 감시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는 누기 감시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소화장치 감시부; 및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의 진단결과, 상기 누기 감시부의 감시결과, 상기 누유 감시부의 감시결과 및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의 감시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고 원격 전송하는 현장 제어반;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장 제어반은 진단 요청을 원격 수신하고,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는 상기 경보회로에 시험전원을 공급하는 시험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는 상기 진단 요청에 따라 상기 경보회로와 상기 시험전원 공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경보회로의 단선을 측정하고 상기 경보회로와 상기 시험전원 공급장치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경보회로의 절연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누유 감시부 및/또는 누기 감시부는, 용액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을 향하여 배치된 접촉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감겨지도록 휘어지는 회로필름; 및 상기 접촉회로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감지회로;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소화장치의 화재발생감지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펄스를 감지하는 접점; 및 상기 접점의 감지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접점 감지회로;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방법은, 경보회로 진단부가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누유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과 상기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유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누기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의 상기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소화장치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경보회로에 대한 진단결과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상기 누유가 감지된 경우에 누유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상기 누기가 감지된 경우에 누기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화장치의 방출동작이 감지된 경우에 화재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유압을 감시하는 부대설비의 점검과, 급유관 누유 감시와, 소화약제 누기 감시와, 소화장치 방출동작 감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인력의 전력구 투입을 최소화하고 OF케이블의 부대설비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OF케이블과 전력구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누유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누유 감시 또는 누기 감시를 위한 필름센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필름센서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필름센서의 용액 감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급유관 및 연결부에 대한 누유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경보회로 진단부의 진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소화장치 감시부의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100)는, 경보회로 진단부(110), 누유 감시부(120), 누기 감시부(130), 소화장치 감시부(140) 및 현장 제어반(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회로 진단부(110)는 OF케이블(1)에 급유하는 급유탱크(10)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12)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보회로(12)는 급유탱크(10)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계(11)의 출력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110)는 유압계(11)의 출력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경보회로(12)가 경보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보회로(12)의 정상동작 진단을 위한 인력의 전력구 투입은 생략될 수 있다.
누유 감시부(120)는 OF케이블(1)과 급유탱크(10)를 연결하는 급유관(2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누유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누유 감시부(120)는 상기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누유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으며, 투입인력의 정밀점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누기 감시부(130)는 OF케이블(1)을 소화하는 소화약제(50)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에 배치되어 소화약제(50)의 누기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화액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용으로 전력구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화약제(50)는 상기 강화액소화장치 내에 고압력(예: 8~11kgf/cm2)으로 충진될 수 있다.
만약 소화약제(50)가 지속적으로 누기될 경우, 상기 강화액소화장치는 전력구 내의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기 감시부(130)는 소화약제(50)의 누기를 감시하여 OF케이블(1)과 전력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화장치 감시부(140)는 OF케이블(1)을 소화하는 소화장치(60)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F케이블 원격 관리자는 화재 발생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현장 제어반(150)은 경보회로 진단부(110)의 진단결과, 누기 감시부(120)의 감시결과, 누유 감시부(130)의 감시결과 및 소화장치 감시부(140)의 감시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고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F케이블(1)의 부대설비들은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제어반(150)은 진단 요청을 원격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진단 요청을 경보회로 진단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요청을 수신한 경보회로 진단부(110)는 경보회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장 제어반(150)은 진단결과 정보 또는 감시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신호를 OF케이블 원격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와 같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누유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누유 감시부(120)는 복수의 급유관(20a, 20b, 20c) 각각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누유를 감시할 수 있다.
도 3은 누유 감시 또는 누기 감시를 위한 필름센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누유 감시부 및/또는 누기 감시부는 필름센서(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센서(121)는 보호필름(122)과 적어도 하나의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급유관의 연결부를 통해 누유된 절연유는 적어도 하나의 홀(123)을 통과하여 필름센서(1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소화약제에 포함된 물은 적어도 하나의 홀(123)을 통과하여 필름센서(1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필름센서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름센서(121)는 밸브 연결부(40)에 감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유의 누유와 소화약제의 누기는 더욱 일찍 감지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필름센서의 용액 감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필름센서는 보호필름(122), 적어도 하나의 홀(123), 회로필름(124), 접촉회로(125), 감지회로(126) 및 접착층(127)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필름(124)은 보호필름(122)을 향하여 배치된 접촉회로(125)의 배치공간을 제공하고 휘어질 수 있다.
접촉회로(125)는 회로필름(124)을 통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예: 절연유, 물)이 접촉회로(125)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촉회로(125)는 +전류의 제1 노드와 -전류의 제2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액이 접촉회로(125)에 접촉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는 전기적으로 단락될 수 있다.
감지회로(126)는 이러한 전기적 단락에 따른 전기적 파라미터(예: 저항값,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를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급유관 및 연결부에 대한 누유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유관(20)은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유 감시부(120)는 상기 연결부(30)에서 발생하는 절연유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경보회로 진단부의 진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경보회로 진단부(110)는 경보회로(12)에 시험전원(예: DC 24V)을 공급하는 시험전원 공급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회로(12)는 급유탱크의 압력이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1 루프와, 급유탱크의 압력이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 해당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루프와, 급유탱크의 압력이 차단치에 도달할 경우에 해당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3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전원 공급부(15)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에 순차적으로 시험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경보신호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시험대상 루프의 선택을 위해, 경보회로(12)에 포함된 스위치(111)는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전원 공급부(15)는 릴레이(116)를 통하여 해당 루프의 접점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시험전원을 공급할 루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경보회로 진단부(110)는 절연저항시험(Megger)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경보회로(12)에 포함된 스위치(111)는 개방될 수 있으며, 릴레이(116)는 접점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소화장치 감시부의 감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소화장치는 열 감지 반응금속(61), 임펄스 발전장치(62), 커넥터(63), 고체에어로졸 화합물(64), 옥시겐 플레이스(65) 및 냉각제(66)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화장치 감시부는 접점(141) 및 접점 감지회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감지 반응금속(61)에 의해 열이 감지될 경우, 임펄스 발전장치(62)는 전기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펄스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접점(141)은 상기 전기펄스에 의해 전기적 연결상태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점(141)은 상기 전기펄스에 의해 전자기력을 받아서 움직이는 도전성 부재(예: 코일)의 접촉에 의해 단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점 감지회로(142)는 접점(141)의 전기적 파라미터(예: 저항값,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를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경보회로 진단부가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1), 누유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과 상기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유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2), 누기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의 상기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3), 소화장치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4), 상기 경보회로에 대한 진단결과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S121), 상기 누유를 감지한 경우에 누유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S122), 상기 누기를 감지한 경우에 누기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S123) 및 상기 소화장치의 방출동작을 감지한 경우에 화재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현장 제어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와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OF케이블
10: 급유탱크
11: 유압계
12: 경보회로
20: 급유관
30: 연결부
40: 밸브 연결부
50: 소화약제
60: 소화장치
61: 열 감지 반응금속
62: 임펄스 발전장치
63: 커넥터
64: 고체에어로졸 화합물
65: 옥시겐 플레이스
66: 냉각제
100: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110: 경보회로 진단부
111: 유압계 접점
115: 시험전원 공급부
116: 릴레이
120: 누유 감시부
121: 필름센서
122: 보호필름
123: 홀
124: 회로필름
125: 접촉회로
126: 감지회로
127: 접착층
130: 누기 감시부
140: 소화장치 감시부
141: 접점
142: 접점 감지회로
150: 현장 제어반

Claims (6)

  1.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경보회로 진단부;
    상기 OF케이블과 상기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누유를 감시하는 누유 감시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는 누기 감시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는 소화장치 감시부; 및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의 진단결과, 상기 누기 감시부의 감시결과, 상기 누유 감시부의 감시결과 및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의 감시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고 원격 전송하는 현장 제어반; 을 포함하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제어반은 진단 요청을 원격 수신하고,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는 상기 경보회로에 시험전원을 공급하는 시험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회로 진단부는 상기 진단 요청에 따라 상기 경보회로와 상기 시험전원 공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경보회로의 단선을 측정하고 상기 경보회로와 상기 시험전원 공급장치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경보회로의 절연을 측정하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 감시부는,
    용액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을 향하여 배치된 접촉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감겨지도록 휘어지는 회로필름; 및
    상기 접촉회로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감지회로; 를 포함하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기 감시부는,
    용액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을 향하여 배치된 접촉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연결부에 감겨지도록 휘어지는 회로필름; 및
    상기 접촉회로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감지회로; 를 포함하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 감시부는,
    상기 소화장치의 화재발생감지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펄스를 감지하는 접점; 및
    상기 접점의 감지결과를 상기 현장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접점 감지회로; 를 포함하는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6. 경보회로 진단부가 OF케이블에 급유하는 급유탱크의 유압 상태를 감시하는 경보회로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누유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과 상기 급유탱크를 연결하는 급유관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유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누기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강화액소화장치의 밸브 연결부의 상기 소화약제의 누기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소화장치 감시부가 상기 OF케이블을 소화하는 소화장치의 방출동작 여부를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경보회로에 대한 진단결과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상기 누유가 감지된 경우에 누유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상기 누기가 감지된 경우에 누기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화장치의 방출동작이 감지된 경우에 화재 발생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79694A 2017-06-23 2017-06-23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90000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94A KR20190000554A (ko) 2017-06-23 2017-06-23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94A KR20190000554A (ko) 2017-06-23 2017-06-23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54A true KR20190000554A (ko) 2019-01-03

Family

ID=6502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94A KR20190000554A (ko) 2017-06-23 2017-06-23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460B1 (ko) * 2019-10-29 2021-03-11 한국전력공사 Of 케이블의 유압경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460B1 (ko) * 2019-10-29 2021-03-11 한국전력공사 Of 케이블의 유압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879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линии управляющих линий в системах авари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управления
RU2673623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20160349305A1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KR101529818B1 (ko) 배전반 상태 감시를 위한 진단 시스템
EP2226775B1 (en) Digital linear heat detector with thermocouple heat confirmation
BRPI1005968A2 (pt) dispositivo de monitoraÇço de linha submarina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US20200136428A1 (en) Remote power unit, direct current power system and direct current power system fault detection method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CN113967333A (zh) 消防系统与故障确认方法
US9706606B2 (en) Induction furnace and system for locating a ground fault therein
KR20190000554A (ko) Of케이블 수용 전력구 부대설비 통합 관리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49425B1 (ko) 전력 시스템에서 아크 검출의 정상 동작 자가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US20160053587A1 (en) Subsea electrical unit and system
CN112034822A (zh) 一种自动化开关控制器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39993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원 케이블 관리시스템 운용방법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CN104953195A (zh) 基于电阻评估车辆组件完整性的方法和系统
US20070157705A1 (en) Leak detection system with addressable sensors
EP3699619B1 (en) Wiring-integrity automatic monitoring system having improved features
KR20190014405A (ko) 유입변압기 진단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07742273U (zh) 一种电子设备故障检测仪
KR20170060626A (ko) 개폐장치 원격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