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25U - 기밀 도어 - Google Patents

기밀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25U
KR20190000525U KR2020170004380U KR20170004380U KR20190000525U KR 20190000525 U KR20190000525 U KR 20190000525U KR 2020170004380 U KR2020170004380 U KR 2020170004380U KR 20170004380 U KR20170004380 U KR 20170004380U KR 20190000525 U KR20190000525 U KR 20190000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coupled
frame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038Y1 (ko
Inventor
김기영
강재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한백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한백에이스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170004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3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4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기밀 도어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문짝과,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이 접하는 틈새에 구비되어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밀 도어{AIR TIGHT DOOR}
본 고안은 기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에 방풍재가 구비되어 방풍, 방음, 기밀 등의 효과를 가지는 기밀 도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문은 일반적으로 열고 닫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기능적으로 방음 또는 방풍에 취약하였다. 특히 여닫이문은 문짝을 닫은 경우 문짝과 문틀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서 소음 및 바람이 통과하게 된다.
방음이 취약하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생활 보호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방풍이 취약하면 냉, 난방에 불필요한 에너지가 사용되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문짝과 문틀의 틈새가 클수록 소음과 바람이 통과하는 양은 커지게 되어 문이 가지는 차음 및 방풍 성능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종래에는 얇은 스티로폼 또는 스펀지 등으로 만들어진 부재, 예컨대 문풍지를 문짝 또는 문틀의 표면에 부착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을 막는 구조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단지 견고하지 못한 소재로 이루어진 문풍지를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차음성능 및 방풍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문풍지가 마모되거나 부착된 부분에서 탈락 되어 결국에는 차음 및 방풍기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미관상 아름답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마모 및 탈락 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효과적으로 소음 및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방풍재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문짝과 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된 틈에 방풍재를 설치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에 발생하는 공기 간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밀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기밀 도어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문짝과,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이 접하는 틈새에 구비되어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틀은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문짝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문짝이 걸리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방풍재의 일 단부가 상기 걸림면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풍재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문틀 및 상기 문짝에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와 타 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홈을 구비하는 차단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체의 일 단부가 결합되며 중심에 탄성홈을 구비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측면부와, 각각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차단재가 접하는 하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풍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의 재질을 투명 경질 PVC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재의 재질은 연질 PVC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풍재는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이 접하는 양측단과 상단은 상기 문틀에 결합 되며, 하단은 상기 문짝에 결합 되어 틈새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기밀 도어에 의하면 문틀과 문짝 사이의 이격된 틈의 길이에 맞게 방풍재를 재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을 빈틈없이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문틀과 문짝에 방풍재를 설치할 수 있어 시공비용 및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도어의 평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도어의 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도어에 장착되는 방풍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고안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고안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밀 도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도어의 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도어의 입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 도어(10)는 문틀(200)과, 상기 문틀(200)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문짝(300)과, 상기 문틀(200)과 상기 문짝(300)이 접하는 틈새에 구비되어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틀(200)은 건물을 형성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문틀(200)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기 문틀(200)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단면인 개구부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문틀(200)은 목재, 철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200)의 양 측면 어디에도 일 측면으로 회전하며 개폐되는 문짝(3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문짝(300)을 개폐함에 있어 상기 문틀(200)과 상기 문짝(300)의 일 측면을 결합시키는 별도의 힌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문틀(200)은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중심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문짝(300)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단면을 감싸거나 벽체의 단면에 별도의 고정철물을 활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내부에 콘크리트 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프레임(210)은 사각 형상이나 벽체의 단면을 감싸기 위하여 'ㄷ'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체의 양측단 및 상단과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하단에 문틀(200)이 설치되지 않거나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음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틀(200)이 단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문짝(300)이 걸리는 걸림면(221)과, 상기 걸림면(221)과 수직으로 절곡 되며 상기 방풍재(100)의 일 단부가 상기 걸림면(221)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되는 결합면(2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턱(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과 함께 다단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면(221)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에서 돌출되는 상기 걸림턱(22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220)에 의하여 상기 문짝(300)이 상기 문틀(200)의 어느 방면에 구비되어도 상기 문짝(300)이 걸려 상기 문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2)은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210)에서 돌출되는 상기 걸림면(221)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방풍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면(222)은 평면,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방풍재(1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20)은 상기 문틀(200)의 하단에 구비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사선으로 형성되어 문턱이 생겨 보행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걸림턱(220)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문짝(300)은 상기 문틀(200)의 일 측면에 힌지로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200)의 외측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문틀(200)은 상기 걸림면(22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틀(200)과 상기 문짝(300)이 접하는 양측단과 상단은 상기 문틀(200)에 결합 되며, 하단은 상기 문짝(300)에 결합 될 수 있다.
종래의 방풍재(100)는 상기 문틀(200)의 걸림면(221)에 결합 되어 사용하였으나, 상기 문짝(300)을 개폐 할때 마다 상기 방풍재(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래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밀 도어(10)의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틀(200)과 상기 문짝(300)이 접하는 양측단과 상단의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틀(200)의 상기 결합면(222)에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문틀(200)과 상기 문짝(300)이 접하는 하단의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짝(300) 하부에 결합 되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단의 문틀(200)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불편함을 많이 느껴 문틈이 없을 경우가 있고, 상기 문짝(300)과 상기 문틀(200)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 상기 하단에 결합 되기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단에 결합 되는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짝(300)의 하부에 결합 되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방풍재(100)는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에 별도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문짝(300) 또는 상기 문틀(2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방풍재(100)는 결합 되기 위하여 본드, 피스, 양면 테이프 등의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나, 양면 테이프로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풍재(100)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에(300) 쉽게 탈착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입이 잦은 문일 경우에는 다수개의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방풍재(100)를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에 결합시키고 다수개의 피스가 체결되는 사이 구간마다 상기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과 상기 방풍재(100)와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도어에 결합 되는 방풍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풍재(10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문틀(200) 및 상기 문짝(300)에 결합 되는 결합체(130)와, 상기 결합체(130)와 타 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홈(111)을 구비하는 차단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결합체(130)의 일 단부가 결합 되며 중심에 탄성홈(124)을 구비하는 상단부(123)와, 상기 상단부(123)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측면부(122)와, 각각의 상기 측면부(122)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차단재(110)가 접하는 하단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경질 투명 PVC 재질로 형성되어 중심에 탄성홈(124)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123)에 의해, 상기 방풍재(100)가 외력에 의해 높은 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상단부(123)의 탄성홈(124)을 통해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방풍재(1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20)는 상기 문틀(200)이나 상기 문짝(300)에 결합 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120)의 일 단부에서 연장 되고, 경질 투명 PVC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체(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측 일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130)는 상기 본체(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일체성을 높이며, 상기 결합체(130)의 후면 및 전면은 상기 문틀(200) 및 상기 문짝(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는 상기 결합체(130)와 타 단부에 PVC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의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 되는 차단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질 PVC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차단재(110)는 상기 차단재(11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의 압력을 받은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문틀(20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문짝(300)을 개폐할 시 상기 차단재(110)는 상기 문짝(300)의 개폐에 따라 가해지는 마찰력이나 별도의 이물질에 의해 발생 되는 외부 압력으로 상기 차단재(110)와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 간의 이격된 공간이 생성되거나 압력에 의해 상기 차단재(110)가 눌린 형상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차단재(110)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재(110)는 내부에 중공홈(111)이 구비되므로 상기 차단재(110)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차단재(11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방풍재(100)는 실내외의 에너지 효율과 기밀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상기 차단재(110)의 중공홈(111)의 내부에 신축성, 방수성 및 방음성의 기능을 가지며 단열 효과가 우수한 고무 발포 단열재, 글라스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방풍재(100)가 상기 문틀(200) 또는 상기 문짝(300)에 결합 되었을 때, 기존의 방음 및 기밀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 도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기밀 도어 100: 방풍재
110: 차단재 111: 중공홈
120: 본체 121: 하단부
122: 측면부 123: 상단부
124: 탄성홈 130: 결합체
200: 문틀 210: 고정프레임
220: 걸림턱 221: 걸림면
222: 결합면 300: 문짝

Claims (7)

  1. 문틀과,
    상기 문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문짝과,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이 접하는 틈새에 구비되어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재를 포함하는 기밀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심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문짝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문짝이 걸리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방풍재의 일 단부가 상기 걸림면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재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문틀 및 상기 문짝에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와 타 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홈을 구비하는 차단재를 포함하는 기밀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결합체의 일 단부가 결합되며 중심에 탄성홈을 구비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측면부와,
    각각의 상기 측면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차단재가 접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도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의 재질을 투명 경질 PVC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재의 재질은 연질 PVC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도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재는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이 접하는 양측단과 상단은 상기 문틀에 결합 되며, 하단은 상기 문짝에 결합 되어 틈새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도어.
KR2020170004380U 2017-08-18 2017-08-18 기밀 도어 KR200494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80U KR200494038Y1 (ko) 2017-08-18 2017-08-18 기밀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80U KR200494038Y1 (ko) 2017-08-18 2017-08-18 기밀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25U true KR20190000525U (ko) 2019-02-27
KR200494038Y1 KR200494038Y1 (ko) 2021-07-20

Family

ID=6551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80U KR200494038Y1 (ko) 2017-08-18 2017-08-18 기밀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3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16Y1 (ko) * 2002-10-23 2003-02-05 주식회사 라미우드 도어 완충, 밀폐 구조를 갖는 조립식 문틀
KR20130127762A (ko) * 2012-05-15 2013-11-25 도준호 도어 기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KR20140004502U (ko) * 2013-01-22 2014-07-30 김보환 창호용 방풍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16Y1 (ko) * 2002-10-23 2003-02-05 주식회사 라미우드 도어 완충, 밀폐 구조를 갖는 조립식 문틀
KR20130127762A (ko) * 2012-05-15 2013-11-25 도준호 도어 기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KR20140004502U (ko) * 2013-01-22 2014-07-30 김보환 창호용 방풍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038Y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JP2012077569A (ja) 住宅用サッシのシール構造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190000525U (ko) 기밀 도어
CN214403225U (zh) 一种被动式断桥铝合金平开窗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KR100880344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KR200490375Y1 (ko) 방풍재
KR20200002257U (ko) 메탈도어 측면바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KR100969495B1 (ko) 시스템 창호의 기밀 유지구조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200228920Y1 (ko) 도어 및 문틀구조
KR102275274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CN211950136U (zh) 外开隔热窗
KR20200028623A (ko) 방풍용 틈막이 기구
KR200309088Y1 (ko) 창문의 기밀 구조
KR200467423Y1 (ko) 창문 밀폐구조
KR101905727B1 (ko) 복합 도어 프레임
KR102085776B1 (ko) 창호의 레일 설치용 기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01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0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03

Effective date: 2020111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