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24U -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24U
KR20190000524U KR2020170004378U KR20170004378U KR20190000524U KR 20190000524 U KR20190000524 U KR 20190000524U KR 2020170004378 U KR2020170004378 U KR 2020170004378U KR 20170004378 U KR20170004378 U KR 20170004378U KR 20190000524 U KR20190000524 U KR 201900005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upled
tension
rod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373Y1 (ko
Inventor
강희범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주)유진에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에이브이 filed Critical (주)유진에이브이
Priority to KR202017000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크린의 평활도의 유지가 용이하고, 선택적으로 스크린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 권취롤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권취롤에 상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어 양끝단이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을 하부 및 양끝단을 향해 단기는 장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PROJECTOR SCREEN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의 변형 또는 평활도를 개선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영상이나 단말기의 화면을 확장하여 나타내기 위해 스크린을 펼쳐서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이미지를 스크린에 비추어 보게 되고,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아서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롤스크린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권취롤에 감겨져 사용되는 스크린은 권취된 상태에서 사용되기 위해 하부로 펼쳐지면, 양측에 주름이 발생하여 전면의 평활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스크린에 비춰지는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817호는 롤스크린 주름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985호는 평활도가 우수한 스크린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설치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스크린의 평활도를 개선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스크린의 평활도의 유지가 용이하고, 선택적으로 스크린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 권취롤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권취롤에 상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어 양끝단이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을 하부 및 양끝단을 향해 단기는 장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의 하단 일부의 양측 모서리들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들의 타단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늘어난 상태로 상기 장력부의 양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부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단봉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하단봉에 삽입된 상기 스크린 하단의 모서리들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봉의 양끝단 하부에 결합되는 장력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봉은 내부공간의 하부에 상기 하단봉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장력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부는 상기 하단봉의 양끝단 각각을 커버하는 측면커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부는 상기 장력부의 양끝단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당기거나 수축시키는 측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스크린의 변형으로 상단 모서리에서 중앙까지 형성되는 주름들과 양측에 후면을 향해 돌출되는 주름들을 제거할 수 있어 제작편의성이 개선되고 제작비용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는 기존에 사용되는 하단봉의 양측에 결합되는 스크린의 모서리들을 당기는 구조를 통해, 효과적으로 스크린에 발생되는 주름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는, 하단봉 양측에 형성된 커버의 회전을 통해 스크린의 양측을 당기는 장력을 증가시켜 스크린의 일측에 편향되게 형성된 주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장력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는 스크린(20)이 권취되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0), 수납부(10) 내부의 권취롤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권취롤에서 풀려지면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는 스크린(20) 및 스크린(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봉(30)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는 천장이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스크린(20)을 펼친 상태에서 프로젝터의 빔을 스크린(20)에 조사하여 스크린(20)에 나타난 영상이 명료하게 나타나도록 제작된 장치이다.
그러나 스크린(2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 스크린(20)을 펼친 상태에서 권취롤의 중앙부가 휘어지거나, 스크린(20)이 펼쳐지면서 양측의 일부분이 휘어지는 다양한 원인들로 스크린(20) 상단 양측 모서리에서 중앙을 향해 주름(40)들이 형성되거나, 스크린(20)의 양측 하단에 주름(40)들이 발생되어 스크린(20)에 나타나는 영상이 왜곡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린(20)에 나타나는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스크린(20)에 발생되는 주름(40)들을 제거하고 스크린(20)의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해 스크린(20) 하단을 팽팽하게 당겨서 주름(40)들을 제거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장력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00)는 수납부(200), 스크린(400) 및 장력부(600)를 포함한다.
수납부(2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봉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는 스크린(400)이 권취되도록 수납부(200)의 양측에 양끝단들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권취롤이 형성된다.
스크린(400)은 상기 권취롤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권취롤의 회전을 통해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어 수납부(200)에 수납되며, 폴리에스터 또는 염화 비닐을 포함하는 휘어짐에 의해 변형 발생이 낮은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3D 영상 스크린용을 위해 아크릴,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구성된 수지를 도포할 수 있다.
스크린(400)은 결합부재(420)들을 포함한다.
스크린(400)의 하단 양측 모서리들 각각에는 스크린(400)의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들 각각에는 상기 구멍들 주변의 스크린(400)의 전면 및 배면과 밀착되고, 상기 구멍들 각각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420)들이 형성된다.
장력부(600)는 하단봉(610), 제1 장력스프링(620), 제1 측면커버(630), 제2 장력스프링(660) 및 제2 측면커버(670)를 포함한다.
장력부(600)는 스크린(4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양끝단이 스크린(400)의 하단 모서리들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스크린(400)의 하단 모서리들을 하부 및 양끝단을 향해 당겨서 스크린(400)에 발생되는 주름들을 제거하여 스크린(400)의 평활도를 개선한다.
하단봉(610)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하단봉(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스크린(400)의 하단 일부가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된다.
하단봉(610)의 길이는 스크린(400) 하단의 양측 모서리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끝단들은 스크린(400)의 하단 양측 모서리들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장력스프링(620) 및 제2 장력스프링(66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홈을 통해 하단봉(610)의 중공에 삽입된 스크린(400) 하단의 양측 모서리들 각각과 결합되고, 타단은 당겨져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하단봉(610)의 양끝단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들 각각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당겨진다.
구체적으로, 하단봉(610)은 하단판(612)을 포함한다.
하단판(612)은 하단봉(610)의 내부 중공의 하부에 하단봉(610)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분할하고, 제1 장력스프링(620)들 각각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1 장력스프링(620)의 일단은 스크린(40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부재(4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스크린(400) 하단 일측 모서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하단봉(610)의 일단에 형성된 하단판(612)과 결합된다.
제2 장력스프링(660)의 일단은 스크린(400)의 하단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부재(4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스크린(400) 하단 타측 모서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하단봉(610)의 타단에 형성된 하단판(612)과 결합된다.
제1 측면커버(630)는 캡(Cap)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봉(610)의 일단에 결합되어, 하단봉(6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중공이 개방되는 부분을 커버하고, 하단봉(610)의 일단 외측면을 둘러싼다.
따라서, 스크린(400)의 하단은 장력부(600)의 중량과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하부를 향해 당겨지고,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과 하단판(612)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모서리들을 양측을 향해 당기는 장력이 작용하여, 스크린(400)에 형성되는 주름들이 제거된다.
또한, 하단판(612)은 하단봉(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봉(610)의 중공 내부에서 하부를 향해 편향되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 각각을 양측 하부를 향해 비스듬히 당기므로, 스크린(400)을 하부 및 양측에서 당겨 스크린(400)의 평활도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620, 660)들 각각의 타단은 하단봉(6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0, 670) 각각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20)는 하단봉(615),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 및 제1 및 제2 회전부재들(680, 685)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개시된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120)는 장력부(600)를 포함하고, 장력부(600)는 하단봉(615),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과 제1 및 제2 회전부재(680, 685)들을 포함한다.
하단봉(615)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들 각각과 나사 결합된다.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들 각각은 하단봉(615)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나사 결합되고, 형태는 내부공간이 하단봉(615)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을 향해 개방되는 캡(Cap)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회전부재(680, 685)들은 제1 및 제2 측면커버(635, 637)들 각각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 각각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1 및 제2 회전부재(680, 685)들 각각은 제1 및 제2 측면커버(635, 637)들 각각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원판형태의 고정부들, 상기 고정부들 각각에서 하단봉(615)을 향해 돌출되고, 하단봉(615)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들 각각과 결합되는 회전축들 및 상기 회전축들 각각에 결합되는 고리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고리들 각각과 결합되고, 제1 및 제2 측면커버(635, 637)들 각각이 소정의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 각각은 제1 및 제2 측면커버(635, 637)들 각각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 각각의 내측면에는 하단봉(615)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 각각을 회전시키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을 양측을 향해 당기거나,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을 수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제1 및 제2 측면커버들(635, 637)의 회전을 통해 스크린(400)에 발생되는 주름을 제거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의 탄성 감소에 의한 장력보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400)에 발생되는 주름의 위치가 편향된 경우, 하단봉(615)의 일단 또는 타단에 결합된 제1 및 제2 장력스프링들(620, 660)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200: 수납부
400: 스크린 600: 장력부

Claims (6)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 권취롤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권취롤에 상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어 양끝단이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보다 상대적으로 양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하단 모서리들을 하부 및 양끝단을 향해 당기는 장력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는,
    상기 스크린의 하단 일부의 양측 모서리들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들의 타단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늘어난 상태로 상기 장력부의 양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단봉;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하단봉에 삽입된 상기 스크린 하단의 모서리들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봉의 양끝단 하부에 결합되는 장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봉은,
    내부공간의 하부에 상기 하단봉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장력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는 하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는,
    상기 하단봉의 양끝단 각각을 커버하는 측면커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는,
    상기 장력부의 양끝단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당기거나 수축시키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2020170004378U 2017-08-18 2017-08-18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200491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78U KR200491373Y1 (ko) 2017-08-18 2017-08-18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78U KR200491373Y1 (ko) 2017-08-18 2017-08-18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24U true KR20190000524U (ko) 2019-02-27
KR200491373Y1 KR200491373Y1 (ko) 2020-03-30

Family

ID=6551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78U KR200491373Y1 (ko) 2017-08-18 2017-08-18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42U (ko) 2019-05-27 2020-12-07 신우훈 상승 펼침식 롤 스크린 장치
KR20210047220A (ko) 2019-10-21 2021-04-29 박승수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WO2021080223A1 (ko) * 2019-10-21 2021-04-29 최중선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10127466A (ko) * 2020-04-14 2021-10-22 최중선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크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6307A (ja) * 2012-06-21 2014-01-16 Osm:Kk 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6307A (ja) * 2012-06-21 2014-01-16 Osm:Kk スクリーン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42U (ko) 2019-05-27 2020-12-07 신우훈 상승 펼침식 롤 스크린 장치
KR20210047220A (ko) 2019-10-21 2021-04-29 박승수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WO2021080223A1 (ko) * 2019-10-21 2021-04-29 최중선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10127466A (ko) * 2020-04-14 2021-10-22 최중선 주름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73Y1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524U (ko)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102496071B1 (ko)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1819388B (zh) 支撑组件及具有支撑组件的电子设备
JP3385207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
US4110003A (en) Portable movie screen device
AU2019382420B2 (en) Baby bed
KR200482340Y1 (ko) 야외용 바람 가림막 기구
US8863810B2 (en) Screen
JP2018530933A5 (ko)
KR200481747Y1 (ko) 셀카봉용 삼각대
JP6140647B2 (ja) 黒板装置
US5003905A (en) Collapsible hatch screen
JP6741604B2 (ja) スクリーン装置
US1444522A (en) Display screen
JP2008248550A (ja) ロール式可動間仕切
JP578822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用ウェイトバー
JP3226485U (ja) 映写用パネルスクリーン
US2922471A (en) Projection screen
JP6756509B2 (ja) ロール組立体
JP7096547B2 (ja) 額縁
JP2015099198A (ja) 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59686A (ko)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 그리고 차양 장치
JP3164227U (ja) スクリーン装置
JPH10221780A (ja) スクリーン装置
RU26720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лис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