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10U -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10U
KR20190000410U KR2020170004144U KR20170004144U KR20190000410U KR 20190000410 U KR20190000410 U KR 20190000410U KR 2020170004144 U KR2020170004144 U KR 2020170004144U KR 20170004144 U KR20170004144 U KR 20170004144U KR 20190000410 U KR20190000410 U KR 20190000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oisture
low
frequenc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82Y1 (ko
Inventor
배상욱
이상봉
Original Assignee
배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욱 filed Critical 배상욱
Priority to KR2020170004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8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인체 착용 가능 형태로 구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주파 발생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기 도자; 상기 열선은 감싸되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는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하는 습기 패드; 및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고,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열선과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여, 치료 효과 증대를 위한 수분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Apparatus for low frequency thermotherapy with wet pad}
본 고안은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료 효과 증대를 위한 수분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는 1Hz-2,000Hz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전류로서, 저주파의 진동수는 수소의 진동수랑 비슷하기 때문에 인체에 저주파를 흘려 보내면 체내의 수분(H 성분)이 공명현상을 일으켜 진동이 커지고 그때 발생하는 마찰로 열이 발생한다.
저주파 요법은 이와 같이 인체에 미세한 저주파 전류를 흘려보내어 근육과 신경을 진동 자극시킴으로써 통증완화, 맛사지 효과를 발휘하는 치료요법이다.
또한 원적외선은 적외선 중 파장이 긴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보다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큰 전자파의 일종으로,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共振) 및 공명(共鳴) 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온열 저주파 요법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면, 더욱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23377호 등에서와 같이 겔 혹은 액상의 보조 물질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저장 레이어와 저장 레이어에 저장된 보조물질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레이어를 추가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장 레이어 및 조절 레이어를 추가 구비해야 함으로써 인해, 장치 부피가 증가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생길 뿐만 아니라, 구현 비용 또한 증가하는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23377호(공개일자:2005년 3월 9일)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저장 레이어 및 조절 레이어와 같은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치료 효과 증대를 위한 수분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측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인체 착용 가능 형태로 구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주파 발생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기 도자; 상기 열선은 감싸되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는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하는 습기 패드; 및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고,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열선과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습기 패드는 제1 직물과 제2 직물로 분리 구성되는 이중 직물로 구현된 습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물은 8.5%의 레이온과 91.5%의 면 성분을 함유하며, 기모 처리된 직물이고, 상기 제2 직물은 파일사를 포함한 면 성분을 함유하며, 기모 처리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포는 경사 위에 올라가는 위사가 “
Figure utm00001
”의 짜임 형태를 가지며, “
Figure utm00002
”의 짜임 형태가 반복적으로 겹쳐지는 직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습포는 상기 경사는 27.6s/2이고, 상기 위사는 9.6s/3인 겉보기 번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기 패드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습기 패드의 제1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쉬 직물; 및 상기 습기 패드의 제2면상에 위치하는 제2 메쉬 직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 각각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는 저장 레이어 및 조절 레이어와 같은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치료 효과 증대를 위한 수분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 크기 및 구현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의 습기 패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포의 직물 짜임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고안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고안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고안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장치 외측면을, 도 1의 (b)는 장치 내측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는 크게 몸체(10), 열선(20), 다수의 전기 도자(30), 습기 패드(40), 제어 패널(50), 및 체결 부재(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허리, 팔, 다리 등과 같은 각종 신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 형태로 구현되며, 특히 내측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열선(20)은 몸체(1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의 열을 환부에 인가하도록 한다.
다수의 전기 도자(30)는 몸체(10)의 내측면상에 열선(20)과 겹치지 않도록 분산 배치되어, 기 설정된 주파수 및 세기를 가지는 저주파를 환부에 인가하도록 한다. 이때, 전기 도자(30)는 위치별로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전기 도자(30)가 일정 간격으로 분산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위치별로 전자 도자의 모양과 크기가 달라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라인(35)은 제어 패널(5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도자 구동 신호를 전기 도자(30)에 제공하도록 한다.
습기 패드(40)는 열선(20) 및 신호 라인(35)은 감싸되, 다수의 전기 도자(30)는 노출되도록 몸체(1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이는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습기를 자체적으로 발생 및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습기 패드(40)는 습기 패드를 구현하는 직물의 섬유 혼용률과 짜임 구조를 통해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기 유지를 위한 습기 저장 수단, 습기 저장 수단에 수분을 패드에 공급하도록 하는 습기 공급 수단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제어 패널(50)은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고,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다수의 전기 도자(30)와 열선(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 패널(50)은 버튼, 다이얼, 스위치와 같은 정보 입력 수단(51),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정보 표시 수단(52), 사용자 입력값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가지는 열선 구동 전원을 발생 및 공급하는 열선 구동부(53), 사용자 입력값에 상응하는 주파수 및 세기를 가지는 전기 도자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진부(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60)는 몸체(10)의 양 끝단에 부착되어,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가 환자 신체가 착용되거나, 또는 환자 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체결 부재(60)의 체결시에는 몸체(10)가 환자 신체(예를 들어, 허리, 무릎, 팔 등)에 감겨지도록 하고, 체결 부재(60)의 체결 해제시에는 몸체(10)가 환자 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 부재(60)는 한 쌍의 밸크로 테이프, 밸트 버클, 지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 당연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단자 길이 밴드(61)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몸체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의 습기 패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습기 패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습포의 직물 짜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습기 패드(40)는 몸체(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제1 메쉬 직물(41), 열선(20) 및 신호 라인(35)을 감싸도록 제1 메쉬 직물(41)상에 부착되며, 전기 도자(30)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습포(42), 습포(42)상에 부착되며, 전기 도자(30)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제2 메쉬 직물(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습기 패드(40)의 양면에 부착되는 제1 메쉬 직물(41) 및 제2 메쉬 직물(43)은 습기 패드(40)의 형태 지지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습포(42)는 경사(42a)와 위사(42b)로 분리 구성되는 이중 직물로, 경사(42a)는 8.5%의 레이온과 91.5%의 면 성분을 함유하는 직물이고, 위사은 파일사를 포함한 면 성분을 함유하는 직물이다. 또한, 경사(42a)와 위사(42b) 모두 기모 처리된 직물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습포(42)는 경사(42a) 위에 올라가는 위사(42b)가 “
Figure utm00003
”의 짜임 형태를 가지며, 이 짜임 형태가 반복적으로 겹쳐지는 직물 구조를 가진다. 또한 겉보기 번수는 경사(42a)는 27.6s/2이고 위사(42b)는 9.6s/3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습포(42)는 공기가 경사(42a)와 위사(42b)의 교차점 사이의 홀을 통과하면서 공기내 수증기가 수분으로 변화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습기 발생 및 유지를 위한 별도의 습기 저장 수단, 습기 공급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환자 치료에 필요한 습기를 자체적으로 발생 및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의 내측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착용한 후 제어 패널(50)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선택하면,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은 전원 온 상태가 된다(S1).
전원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패널(50)을 조작하여 온도 및 저주파 자극 세기를 설정하면(S2), 제어 패널(50)은 이에 대응하는 열선 구동 전원과 전기 도자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열선(20)과 전기 도자(30) 각각에 제공함으로써, 열선(20)은 소정의 온도를 가지는 열을 발생하고, 전기 도자(30)는 소정의 주파수 및 세기를 가지는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한다(S3,S4).
그리고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는 습기 패드(40)를 통해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환자 치료에 필요한 습기가 자체적으로 발생 및 유지하도록 한다(S5).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제어 패널(50)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통해 전원 오프를 요청할 때까지 유지된다(S6).
즉, 본 고안은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를 통해 온열 저주파 자극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별도의 제어 동작없이 환자 치료에 필요한 수분 또한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
20: 열선
30: 전기 도자
40: 습기 패드
50: 제어 패널
60: 체결 부재
41: 제1 메쉬 직물
42: 습포
43: 제2 메쉬 직물

Claims (6)

  1. 내측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인체 착용 가능 형태로 구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주파 발생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기 도자;
    상기 열선은 감싸되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는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공기 중 수증기를 수분으로 전환하는 습기 패드; 및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고,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열선과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패드는
    제1 직물과 제2 직물로 분리 구성되는 이중 직물로 구현된 습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물은 8.5%의 레이온과 91.5%의 면 성분을 함유하며, 기모 처리된 직물이고, 상기 제2 직물은 파일사를 포함한 면 성분을 함유하며, 기모 처리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는
    경사 위에 올라가는 위사가 “
    Figure utm00004
    ”의 짜임 형태를 가지며, “
    Figure utm00005
    ”의 짜임 형태가 반복적으로 겹쳐지는 직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는
    상기 경사는 27.6s/2이고, 상기 위사는 9.6s/3인 겉보기 번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패드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습기 패드의 제1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쉬 직물; 및
    상기 습기 패드의 제2면상에 위치하는 제2 메쉬 직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기 도자 각각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장치.
KR2020170004144U 2017-08-04 2017-08-04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KR200489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44U KR200489482Y1 (ko) 2017-08-04 2017-08-04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44U KR200489482Y1 (ko) 2017-08-04 2017-08-04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10U true KR20190000410U (ko) 2019-02-13
KR200489482Y1 KR200489482Y1 (ko) 2019-06-24

Family

ID=6536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144U KR200489482Y1 (ko) 2017-08-04 2017-08-04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05B1 (ko) * 2019-12-17 2020-08-03 박의한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EP3745816A1 (en) * 2019-05-28 2020-12-02 Sunbeam Products, Inc. Cordless heating pa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10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메디텐스 저주파 치료용 패드
KR20050023377A (ko) 2005-02-04 2005-03-09 주식회사 진성피에조텍 한방 습식 고주파/저주파 온열밴드
JP2009034482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KR20110068686A (ko) * 2009-12-16 2011-06-22 정우협 저주파 치료기용 밀착 커버패드
KR101605367B1 (ko) * 2015-07-13 2016-03-22 우대기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10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메디텐스 저주파 치료용 패드
KR20050023377A (ko) 2005-02-04 2005-03-09 주식회사 진성피에조텍 한방 습식 고주파/저주파 온열밴드
JP2009034482A (ja) * 2007-07-12 2009-02-19 Momo Hisahiro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KR20110068686A (ko) * 2009-12-16 2011-06-22 정우협 저주파 치료기용 밀착 커버패드
KR101605367B1 (ko) * 2015-07-13 2016-03-22 우대기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5816A1 (en) * 2019-05-28 2020-12-02 Sunbeam Products, Inc. Cordless heating pad
US11744730B2 (en) 2019-05-28 2023-09-05 Sunbeam Products, Inc. Cordless heating pad
KR102140505B1 (ko) * 2019-12-17 2020-08-03 박의한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82Y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230B2 (ja) 低周波治療用着用バンド
JP3627107B2 (ja) 温灸器
WO2009145536A2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04720A1 (en) Smart thermal textile for acupuncture therapy
KR100389056B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찜질 팩
KR200489482Y1 (ko) 습식 온열 저주파 자극 장치
KR200473962Y1 (ko) 다기능 온열복대와 이를 이용한 발열의복
KR20170011923A (ko)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KR101537921B1 (ko) 휴대용 온열 찜질기
CN108260869A (zh) 一种具有保健保暖功能的新型远红外护膝
JP2002282370A (ja) 電位治療器、電位治療方法、電位治療器用導電性繊維構成体び電位治療用電極使用方法
CN205287272U (zh) 一种光谱能量理疗垫
JPH11309219A (ja) 皮膚接触電極体
JP4697687B2 (ja) 電位治療器及び電位治療器用導電性繊維構成体
CN211356221U (zh) 一种具有远红外理疗功能的眼罩
JP3217355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GB2395723A (en) Fabric conta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heating wire
KR200268065Y1 (ko)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온열 보호대
KR20200000670U (ko) 복대형 온열 봉재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CN110227021A (zh) 一种脑梗死患者用下肢康复装置
JP2020120809A (ja) 微弱電流具
CN209952064U (zh) 一种远红外加热理疗腰带
KR101489122B1 (ko) 원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발열 목도리
KR102673665B1 (ko) 3d 매쉬 시트를 포함한 온열매트
CN211067250U (zh) 一种外科术后护理用胸腹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