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43U -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 Google Patents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43U
KR20190000343U KR2020170003958U KR20170003958U KR20190000343U KR 20190000343 U KR20190000343 U KR 20190000343U KR 2020170003958 U KR2020170003958 U KR 2020170003958U KR 20170003958 U KR20170003958 U KR 20170003958U KR 20190000343 U KR20190000343 U KR 201900003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ortion
scalp
pad
sub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행
Original Assignee
최진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행 filed Critical 최진행
Priority to KR202017000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343U/ko
Publication of KR20190000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피와 같이 모발이 무성한 부위 등에 부항 시술 시 모발 등으로 인해 부항기가 제대로 흡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여 두피 등과 같은 부위에도 부항기가 안정적으로 쉽게 흡착될 수 있도록 한 부항기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 몸통의 하단은 개방되되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의 상단 중앙에는 내부공간의 부압을 유지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항기의 하부에 탈착되는 부항기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부항기용 패드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부항기의 하단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밀착하여 위치하는 링 형상의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부항기의 하부 외부표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환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일측에는 상기 돌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의료용 젤이 수용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CUPPING PAD FOR SCALP CUPPING TREATMENT}
본 고안은 두피와 같이 모발이 무성한 부위나 체모가 무성한 부위에 부항 시술 시 모발이나 체모로 인해 부항기가 시술 부위에 제대로 흡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여 두피 등과 같은 부위에도 부항기가 안정적으로 쉽게 흡착될 수 있도록 한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부항기란 한방에서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키며 물리적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치료 방법에는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부항요법에는 도자기, 유리 또는 수지, 참대, 소뿔 등으로 만든 부항기(부항단지)들이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음압 장치를 한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제 부항기와 음압펌프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항기(10)는 통상적으로 하단은 개방되되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1)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내부공간의 부압을 유지하는 개폐밸브(13)를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부항기 시술은 먼저 부항기를 인체에 대고 펌프로 공기를 흡인하면 펌프가 부항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빨아내어서 부항기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서 부항기의 개구부가 시술부위의 피부를 잡아당겨서 피하에 있는 노폐물과 어혈 등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부항 시술 시에 부항기가 피부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02809호(1999.01.25. 공개)에 부항기의 원형 주연부의 요홈 내로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내측에 형성되고, 단면이 대략 반원형을 이루며,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의 외측단이 부항기의 주연부의 외측벽을 감싸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두께가 확장되게 형성되고, 개구부의 내측단은 걸림돌기위치로부터 개구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며 연장되어 부항기의 내측 수직부 직전 까지만 연장되는 부항기용 밀폐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937호(2012.02.06. 공개)에는, 환부에 부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부항기의 흡착부 상에 기밀패킹이 수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은 부항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에 진공밀도 평형유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패킹이 구비된 부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부항기용 밀폐링 또는 기밀패킹은 부항기가 환부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시술 부위에 따라, 예를 들어 굴곡진 신체 부위 등에는 여전히 잘 흡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두피와 같이 모발이 무성한 부위에 시술 시에는 모발로 인해 부항기 내부의 진공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흡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제대로 부항 시술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머리 부위와 같이 모발이 무성한 부위에 부항 시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시술 부위의 머리카락을 제거하고 면도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시술 후에 모발이 다시 자라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소요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시술을 받는 것이 매우 곤혹스러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02809호(1999.01.2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937호(2012.02.06.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리 등과 같이 모발이나 체모가 무성한 부위에 시술 시 모발이나 체모로 인해 부항기 내부의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항기가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 가능한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는, 원통형 몸통의 하단은 개방되되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의 상단 중앙에는 내부공간의 부압을 유지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항기의 하부에 탈착되는 부항기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부항기용 패드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부항기의 하단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밀착하여 위치하는 링 형상의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부항기의 하부 외부표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환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일면에는 상기 돌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의료용 젤이 수용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을 갖는 재료는 실리콘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부항기 몸통 높이 값의 1/4 ~ 1/2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를 적용할 경우, 머리 부위와 같이 모발이 있는 부위는 물론 기타 체모가 무성한 신체 부위에 시술을 할 때 모발이나 체모로 인해 시술 부위 면과 부항기 하단 사이에 갭이 발생하여 부항기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항기를 머리 부위 등에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 부위와 같이 체모가 무성한 부위에 부항 시술을 하는 경우에도 제모를 할 필요가 없어 부항 시술 및 환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부항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를 부항기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 각각 상측(a) 및 하측(b)에서 바라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를 부항기에 부착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종래 부항기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20)를 부항기(10)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부항기(10) 대략 컵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이 원통형 몸통을 가지며 하단은 개방되되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1)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내부공간의 부압을 유지하는 개폐밸브(13)를 갖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20)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부항기(10) 하부에 탈착될 수 있는 구조 및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20)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합성고무의 한 종류인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제작한다.
도 3은 부항기용 패드(20)를 각각 상측[(a)] 및 하측[(b)]에서 바라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부항기용 패드(20)의 측단면도, 도 5는 부항기용 패드(20)를 부항기(10)에 부착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부항기용 패드(20)는 부항기(10)의 하단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밀착하여 위치하는 링 형상의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3)와,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3)를 연결하는 연결부(25)와, 부항기(10)의 하부 외부표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제2 환상부(2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스커트부(27)로 이루어진다.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3)의 링(ring)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3)의 링 단면의 직경은 대략 같게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5)는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5)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즉 연결부(25)의 두께 값은 제1 환상부(21) 및 제2 환상부(25)의 링 단면 직경 값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25)의 일면(상면)에는 부항기(10)의 하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1)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홈(251)이 형성되고, 타면(하면)에는 의료용 젤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홈(253)이 형성된다. 여기서 의료용 젤이란 부항기를 피부에 부착할 때 흡착력을 향상시켜줌과 동시에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일정한 점성을 갖는 젤(gel) 타입의 물질을 의미한다.
제1 홈(251)은 돌기부(11)에 대한 걸림홈으로 작용하여 부항 시술 시에 부항기(10) 내부에 부압이 걸릴 때 두피 부항기용 패드(20)가 변형되거나 부항기(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커트부(27)는 부항기(10)에 부항기용 패드(20)를 부착할 때 부항기(10)의 하부 외부표면을 감싸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부항 시술 시에 부항기용 패드(20)가 부항기(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커트부(27)는 부항기(10) 몸통 높이 값의 1/4 ~ 1/2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커트부(27)의 길이가 부항기(10) 몸통 높이 값의 1/4 미만이면 부항기(10) 외부표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작아 부항기(10) 내부에 부압이 걸릴 때 부항기용 패드(20)가 부항기(1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부항기(10) 몸통 높이 값의 1/2을 초과하면 부항기용 패드(20)를 부항기(10)에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커트부(27)의 두께는 상기 연결부(25)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홈(253)은 의료용 젤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머리 부위와 같이 모발이 있는 부위나 기타 체모가 무성한 신체 부위에 부항 시술을 할 때 모발이나 체모로 인해 시술 부위 면과 부항기 하단 사이에 미세한 갭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항기 내부에 진공(부압)이 유지되지 않아 부항기가 두피 등과 같은 시술 부위에 제대로 흡착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2 홈(253)에 일정한 점성을 갖는 젤(gel) 타입의 물질, 즉 의료용 젤을 도포함으로써 모발이나 체모로 인해 시술 부위 면과 부항기 하단 사이에 발생하는 미세한 갭 사이를 점성을 갖는 의료용 젤이 메우게 된다.
따라서 모발이 무성한 두피 부위에 부항 시술을 하는 경우에도 부항기(10)가 시술 부위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항기 내부의 진공(부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부항기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시술 부위에 흡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패드(20)를 사용할 경우 머리 부위와 같이 모발이나 체모가 무성한 부위에 부항 시술을 하는 경우에도 제모를 할 필요가 없어 부항 시술 및 환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부항기
11: 돌기부 13: 개폐밸브
20: 부항기용 패드
21: 제1 환상부 23: 제2 환상부
25: 연결부
251: 제1 홈 253: 제2 홈
27: 스커트부

Claims (3)

  1. 원통형 몸통의 하단은 개방되되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의 상단 중앙에는 내부공간의 부압을 유지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항기의 하부에 탈착되는 부항기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부항기용 패드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부항기의 하단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밀착하여 위치하는 링 형상의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부항기의 하부 외부표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환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환상부 및 제2 환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일면에는 상기 돌기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의료용 젤이 수용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을 갖는 재료는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부항기 몸통 높이 값의 1/4 ~ 1/2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KR2020170003958U 2017-07-28 2017-07-28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KR201900003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58U KR20190000343U (ko) 2017-07-28 2017-07-28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58U KR20190000343U (ko) 2017-07-28 2017-07-28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43U true KR20190000343U (ko) 2019-02-11

Family

ID=6536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58U KR20190000343U (ko) 2017-07-28 2017-07-28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42A (ko) * 2019-09-10 2021-03-18 박상준 두피전용 부항기, 이를 구비한 전자 부항기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09U (ko) 1997-06-30 1999-01-25 이병열 부항기용 밀폐링
KR20120010937A (ko) 2010-07-27 2012-02-06 조대희 기밀패킹이 구비된 부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09U (ko) 1997-06-30 1999-01-25 이병열 부항기용 밀폐링
KR20120010937A (ko) 2010-07-27 2012-02-06 조대희 기밀패킹이 구비된 부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42A (ko) * 2019-09-10 2021-03-18 박상준 두피전용 부항기, 이를 구비한 전자 부항기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1183A1 (en) Lip su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2003522611A (ja) 医用物質を注入するための植込型デバイス
JP2020195827A (ja) フルフェイスマスク用のマスククッション
CN108392730A (zh) 无尾式无针阀门系统
US8690754B2 (en) Tractal erectile device
CN104902938A (zh) 伤口治疗设备
CN208552812U (zh) 带气囊可胸内固定的多功能胸腔引流管
AU2015214645A1 (en) An airwa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
US20240058601A1 (en) Barriers for electrodes
US8409100B2 (en) Ultrasound treatment head for an apparatus for treating a patient with ultrasound
KR20190000343U (ko) 두피 부항을 위한 부항기용 패드
KR101211506B1 (ko) 일회용 부항컵
KR20140000145U (ko) 마사지 부항컵
JP7324514B2 (ja) 外装ファブリックシールを備えた人工装具ライナ
KR101711331B1 (ko) 음압을 이용한 석션 부항기
KR20170003659U (ko) 음압설정이 용이한 음압을 이용한 석션 마사지기
KR200439067Y1 (ko) 부항컵용 밀착패드
KR101088301B1 (ko)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JPS5931216Y2 (ja) 吸着電極
KR200461473Y1 (ko) 부항컵
KR101721403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침
CN215739159U (zh) 抽脂切口保护器
JP2015036049A (ja) 吸引式電極装置
CN208552117U (zh) 动物静脉留置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