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98U -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98U
KR20190000198U KR2020170003640U KR20170003640U KR20190000198U KR 20190000198 U KR20190000198 U KR 20190000198U KR 2020170003640 U KR2020170003640 U KR 2020170003640U KR 20170003640 U KR20170003640 U KR 20170003640U KR 20190000198 U KR20190000198 U KR 201900001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release paper
adhered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to KR2020170003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98U/ko
Publication of KR20190000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Abstract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는,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액정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상면에 점착되는 상면 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되, 상기 액정화면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상기 액정보호필름과 단차를 형성하는 이형지; 및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며, 일부가 상기 이형지와 중첩되는 날개 이형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LCD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에 관한 고안이다.
요즘 많이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액정화면 안에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 및 각종센서 등이 배치된다. 액정화면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기게 되면, 액정화면의 투시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화면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액정화면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액정화면은 LCD 패널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교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휴대단말기 사용자들은 액정화면에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액정보호필름은 스크래치에 강하고 투시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액정화면을 흠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보호필름에 흠집이 많이 생긴 경우에는 액정보호필름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액정화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부착할 때에는 액정화면 안에 위치한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과 대응되는 타공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부착하여야 하나, 액정화면 자체가 일반 휴대폰보다 크고 정확한 위치를 찾아 한 번에 제대로 부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액정보호필름은 배면에 이형필름이 한 장 부착되어 있어, 액정보호필름을 액정화면에 배치시킨 뒤 이형필름을 한 쪽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위치를 정확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액정필름을 부착할 때 처음 부착하는 쪽이 0.1라도 틀리면 반대쪽으로 갈수록 0.5 ~ 1의 오차가 발생하여 비뚤어지기 때문에 다시 붙이고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확한 위치를 맞추는 게 전문가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정보호필름을 붙이고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액정보호필름의 점착면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손과 옷소매 등에 붙어 있는 먼지가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로 침투하여 부착면이 지저분해져 미려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폐기 및 반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액정보호필름을 붙이고 떼어내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점착제를 손으로 만지게 되어 지문이 남으며,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여 실패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에 따라, 이형지를 분할하여 어느 하나의 이형지만 먼저 제거한 후 화면 상에 부착하고, 이후 나머지 이형지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액정보호필름을 화면에 부착하는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한, 이러한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형지가 분할된 라인을 기준으로 자국이 남게 되어 화면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고 소비자가 이러한 제품을 불량으로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0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6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316호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는 부착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는,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액정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상면에 점착되는 상면 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되, 상기 액정화면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상기 액정보호필름과 단차를 형성하는 이형지; 및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며, 일부가 상기 이형지와 중첩되는 날개 이형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형지와 상기 제2이형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아 이격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 중 상기 이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점착되되, 양 단부가 상기 제1이형지 및 상기 제2이형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액정화면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의 일 영역에 점착되고,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가 점착되지 않은 상기 액정보호필름에 점착되되, 단부가 상기 이형지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액정화면의 상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의 일 영역에 점착되고,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가 점착되지 않은 상기 액정보호필름에 점착되되, 단부가 상기 이형지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와 상기 날개 이형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의 하면에 점착되는 가점착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와 상기 날개 이형지의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에는 서로 다른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는, 부착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액정화면의 형상과 관계없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에 의해 이형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탭에 의해 이형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이형지와 제2이형지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다.
또한, 제1이형지와 제2이형지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점착물질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와 휴대단말기의 관계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이형지와 날개이형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와 휴대단말기의 관계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1000)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정보호필름(100)과, 상면 보호필름(200)과, 이형지(300) 및 날개 이형지(400)를 포함한다.
액정보호필름(100)은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휴대단말기(10)의 구성 중 비교적 고가인 액정화면(20)을 스크래치나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액정보호필름(100)은 휴대단말기(10)의 액정화면(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액정화면(20)은, 디스플레이(21)와 베젤(2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10)의 전면(前面)을 의미한다.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는 액정화면(20)에 점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다.
또한, 액정보호필름(100)은 액정화면(20)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 구성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정보호필름(100)은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으로 마련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액정화면(20)이, 메인화면과, 메인화면 가장자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해당 영역에서 메인화면과 별도로 정보제공을 하거나 이벤트 발생이 되는 곡면 보조화면이 형성되는 이른바 엣지 타입의 스마트폰이 개발되어 판매 중이다. 종래의 경우, 액정보호필름이 강화유리 재질로 마련되어 충격에 강하도록 제작되었으나, 이러한 경우 엣지 타입의 스마트폰의 곡면 보조화면에는 부착할 수 없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보호필름(100)이 열가소성폴리우레탄으로 마련되어 액정화면(20)의 형상과 관계없이 부착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강하여 마모가 잘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면 보호필름(200)은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면 보호필름(200)은 액정보호필름(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면에 점착된다.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면에 스크래치나 기타 흔적이 있는 경우 소비자는 불량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면에 상면 보호필름(200)이 점착된다. 상면 보호필름(200)은 액정보호필름(100)이 액정화면(20)에 점착(부착)된 후 제거(분리)된다.
상면 보호필름(200)의 일 영역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손잡이(600)가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600)가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600)를 잡아 당김으로써 상면 보호필름(200)을 액정보호필름(10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600)에는 소정의 상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형지(30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즉,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300)는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를 포함한다.
제1이형지(31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되며,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제1이형지(310)에는 스마트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이형지(310)의 길이는 액정화면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제1이형지(31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일 영역에만 점착된다.
제2이형지(32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되며,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제2이형지(320)에는 스마트폰의 홈버튼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이형지(320)의 길이는 액정화면(2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제1이형지(32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일 영역에만 점착된다.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이격부(330)가 형성된다. 즉, 제1이형지(310)의 길이와 제2이형지(320)의 길이의 합은 액정화면(20)의 길이의 합보다 작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가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되어도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일부는 이형지(300)가 점착되지 않는 영역이 있게되며, 이 영역이 이격부(330)가 된다. 일 예시로,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가 각각 액정보호필름의 길이의 2/5인 경우, 남은 영역인 1/5 부분은 이형지(300)가 점착되지 않으며 이격부(330)가 된다. 이격부(330)에 의해 이형지(300)와 액정보호필름(100)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에는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탭(500)이 형성될 수 있다. 탭(500)은 사용자가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탭(500)을 잡고 이형지(300)를 제거함으로써 제거 과정에서 점착면에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탭(500)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기호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숫자를 형성하여 제거 순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날개 이형지(400)는 이격부(330)를 보호함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도 자국(흔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날개 이형지(400)는 이격부(33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일부가 이격부(330)에 점착되며, 양단부는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에 중첩된다. 이때, 날개 이형지(400)의 양단부는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에 점착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날개 이형지(4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에 의해 이격부(330)가 형성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300)과 이형지(30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 이형지(400)가 이격부(330)에 점착될 때, 단차에 의해 이격부(330)에 대응되는 액정보호필름(100)의 점착면의 모든 영역에 날개 이형지(400)가 점착되지 않는다. 즉, 날개 이형지(40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양단부 측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게 되고, 단차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날개 이형지(400)가 액정보호필름(100)에 점착되지 않아 날개 이형지(400)와 액정보호필름(100) 사이에 이격공간(410)이 형성된다. 이 이격공간(410)으로 인해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에 부착한 뒤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형지(300)를 분할하고 이형지(300)의 말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경우, 액정보호필름(100) 하면의 점착제가 압력에 의해 분할된 이형지(300) 간의 틈으로 새어나온다. 분할된 이형지(300)를 정밀하게 접촉시키는 경우에도 이형지(300) 사이에는 미세하게 틈이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 틈으로 점착제가 미량 새어나오게 되는데, 이는 액정보호필름(100)을 붙인 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라인의 흔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액정보호필름(100)으로 인해 오히려 스크래치가 발생한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는 불량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날개 이형지(400)와 액정보호필름(100) 사이에 이격공간(410)이 형성됨으로써 점착제가 이형지(300)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날개 이형지(400)에도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탭(500)이 형성될 수 있다. 탭(500)은 사용자가 날개 이형지(4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탭(500)을 잡고 날개 이형지(400)를 제거함으로써 제거 과정에서 점착면에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탭(500)에는 제1이형지(310) 및 제2이형지(320)와 서로 다른 소정의 기호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숫자를 형성하여 제거 순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단말기(10)의 액정화면(20)을 깨끗하게 클리닝한다.
그리고,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된 날개 이형지(400)를 제거한다.날개 이형지(400)가 제거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이격부(330)에 대응되는 영역이 외부에 노출된다.(도 5 참조)
이 후,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액정화면(20)과 알맞게 조정한다. 즉, 액정화면(20)의 테두리와 스피커 또는 홈 버튼에 액정보호필름(100)의 테두리와 관통공(110)을 정확하게 배치한다.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는 제거되지 않았으므로 액정화면(20)에 점착이 되지 않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배치가 완료되면, 이격부(330)에 대응되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을 액정화면(2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도 6 참조) 액정보호필름(100)의 중앙부분만 액정화면에 점착이 되며,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의 하면은 액정화면(20)과 미세하게 이격된다.(도 7의 (a)참조)
액정보호필름(100)과 액정화면(20)이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이 되었으므로, 제1이형지(310)와 제2이형지(32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형지(310)를 먼저 제거한다. 제1이형지(310)를 제거하여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일부가 노출되면 해당 부분을 액정화면(20) 상에 부착한다.(도 7의 (b) 및 (c)참조) 그리고, 제2이형지(320)를 제거하여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킨 뒤 액정화면(20) 상에 부착한다.(도 8 참조)
마지막으로, 액정보호필름이 액정화면 상에 부착이 완료되면, 손잡이를 통해 상면 보호필름(200)을 제거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이형지와 날개이형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2000)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것으로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액정보호필름(100)과, 상면 보호필름(200)과, 이형지(300`) 및 날개 이형지(400`)를 포함한다. 액정보호필름(100)과, 상면 보호필름(2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형지(30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즉,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3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한 개로 마련되며, 액정화면(2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300`)의 길이는 디스플레이(21)의 일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말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1)의 상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되거나, 다른 예시로 디스플레이(21)의 하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상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300`)는 디스플레이(21)의 상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된다.(도 11 참조)
날개 이형지(400`)는 이형지(300`)가 점착되지 않은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도 자국(흔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날개 이형지(30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는 이형지(300`)에 중첩된다. 이때, 날개 이형지(300`)의 단부는 이형지(300`)에 점착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날개 이형지(4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날개 이형지(400`)의 위치는 이형지(3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형지(300`)는 디스플레이(21)의 상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날개 이형지(400`)가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나, 반대로 이형지(300`)가 디스플레이(21)의 하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상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되면 날개 이형지(400`)는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다.
한편, 이형지(300`)가 액정보호필름(100)의 일 영역에만 점착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100)과 이형지(30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 이형지(400`)가 액정보호필름(100)에 점착될 때 단차에 의해 액정보호필름(100)의 점착면의 모든 영역에 날개 이형지(400`)가 점착되지 않는다. 즉, 날개 이형지(400`)는 이형지(300`)와 중첩된 영역에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게 되고, 단차 부분에는 날개 이형지(400`)가 액정보호필름(100)에 점착되지 않아 날개 이형지(400`)와 액정보호필름(100) 사이에 이격공간(410)이 형성된다. 이 이격공간(410)으로 인해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20)에 부착한 뒤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형지(300`)를 분할하고 이형지(300`)의 말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경우, 액정보호필름(100) 하면의 점착제가 압력에 의해 분할된 이형지(300`) 간의 틈으로 새어나온다. 분할된 이형지(300`)를 정밀하게 접촉시키는 경우에도 이형지(300`) 사이에는 미세하게 틈이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 틈으로 점착제가 미량 새어나오게 되는데, 이는 액정보호필름(100)을 붙인 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라인의 흔적으로 나타나 액정보호필름(100)으로 인해 오히려 스크래치가 발생한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는 불량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날개 이형지(400`)와 액정보호필름(100) 사이에 이격공간(410)이 형성됨으로써 점착제가 이형지(300`)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형지(300`)가 디스플레이(21)의 상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만일 어떠한 연유로 인해 점착제가 새어나오는 경우에도 화면에 라인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형지(300`)의 말단은 디스플레이(21)와 베젤(22)의 경계선과 일치하게 되므로, 설사 점착제가 새어나와 라인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그 라인은 디스플레이(21)와 베젤(22)의 경계선에 형성되므로 그 라인이 눈에 보이지 않으며 사용자가 그 라인이 형성됨을 알 수 없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형지(300`)는 반드시 디스플레이(21)의 상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날개 이형지(400`)와 액정보호필름(100) 사이의 이격공간(410)으로 인해 점착제가 새어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위와 같이 길이를 한정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단말기(10)의 액정화면(20)을 깨끗하게 클리닝한다.
이 후,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액정화면(20)과 알맞게 조정한다. 즉, 액정화면(20)의 테두리와 스피커 또는 홈 버튼에 액정보호필름(100)의 테두리와 관통공(110)을 정확하게 배치한다.
배치가 완료되면,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된 날개 이형지(400`)를 제거한다. 날개 이형지(400`)가 제거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상단부가 외부에 노출된다.(도 13 참조)
외부에 노출된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부분을 액정화면(2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도 14 참조)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부만 액정화면(20)에 점착되며, 이형지(300`)의 하면은 액정화면(20)과 미세하게 이격된다.
액정보호필름(100)과 액정화면(20)이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이 되었으므로, 이형지(300`)를 제거하여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킨 뒤 액정화면(20) 상에 부착한다.(도 15 참조)
마지막으로, 액정보호필름(100)이 액정화면(20) 상에 부착이 완료되면, 손잡이(600)를 통해 상면 보호필름(200)을 제거한다.(도 16 참조)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3000)는,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것으로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액정보호필름(100)과, 상면 보호필름(200)과, 이형지(300`)와, 날개 이형지(400`) 및 가점착지(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2실시예와 동일하며, 가점착지(700) 유무에 대해서만 차이점이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형지(300`)와, 날개 이형지(400`)가 각각 한 장씩 마련되는 것도 제2실시예와 동일하나, 이형지(300`)의 길이가 반드시 디스플레이(21)의 일단으로부터 액정화면(20)의 말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필요는 없음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가점착지(700)는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20)에 부착시 보다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가점착지(700)는 이형지(300`)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되어, 이형지(300`)의 하면에 점착된다. 가점착지(700)는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20)에 정렬한 상태에서 제거되어 임시적으로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20)에 고정하도록 한다. 정렬에 오차가 생겨 탈착한 뒤 다시 점착하는 경우에도, 액정보호필름(100)의 점착면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배치변경 및 탈부착을 반복에도 영향이 없어 보다 용이하게 액정보호필름(100)을 액정화면(20)에 부착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단말기(10)의 액정화면(20)을 깨끗하게 클리닝한다.
이 후,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액정화면(20)과 알맞게 조정한다. 즉, 액정화면(20)의 테두리와 스피커 또는 홈 버튼에 액정보호필름(100)의 테두리와 관통공(110)을 정확하게 배치한다.
배치가 완료되면, 가점착지(700)를 제거한 뒤 액정화면(200)에 부착함으로써 임시고정한다. 만일, 액정보호필름(100)과 액정화면(20)의 정렬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부착한다.(도 19 및 도 20 참조)
정렬이 완료가 된 상태에서 임시고정이 된 뒤,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에 점착된 날개 이형지(400`)를 제거한다. 날개 이형지(400`)가 제거됨으로써,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상단부가 외부에 노출된다.(도 21 참조)
외부에 노출된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 부분을 액정화면(2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액정보호필름(100)의 상단부만 액정화면(20)에 점착되며, 이형지(300`)의 하면은 액정화면(20)과 미세하게 이격된다.
액정보호필름(100)과 액정화면(20)이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이 되었으므로, 이형지(300`)를 제거하여 액정보호필름(100)의 하면의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킨 뒤 액정화면(20) 상에 부착한다.(도 22 참조.)
마지막으로, 액정보호필름(100)이 액정화면(20) 상에 부착이 완료되면, 손잡이(600)를 통해 상면 보호필름(200)을 제거한다.(도 23 참조)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액정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국이 남지 않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100 : 액정보호필름 200 : 상면 보호필름
300, 300` : 이형지 400, 400` : 날개 이형지
310 : 제1이형지 320 : 제2이형지
330 : 이격부 500 : 탭
600 : 손잡이

Claims (8)

  1.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액정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상면에 점착되는 상면 보호필름;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되, 상기 액정화면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상기 액정보호필름과 단차를 형성하는 이형지; 및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에 점착되며, 일부가 상기 이형지와 중첩되는 날개 이형지;
    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형지와 상기 제2이형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아 이격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 중 상기 이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점착되되, 양 단부가 상기 제1이형지 및 상기 제2이형지와 중첩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액정화면의 하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의 일 영역에 점착되고,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가 점착되지 않은 상기 액정보호필름에 점착되되, 단부가 상기 이형지에 중첩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상기 액정화면의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액정화면의 상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액정보호필름의 하면의 일 영역에 점착되고,
    상기 날개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가 점착되지 않은 상기 액정보호필름에 점착되되, 단부가 상기 이형지에 중첩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와 상기 날개 이형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의 하면에 점착되는 가점착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와 상기 날개 이형지의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에는 서로 다른 기호가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2020170003640U 2017-07-13 2017-07-13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201900001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40U KR20190000198U (ko) 2017-07-13 2017-07-13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40U KR20190000198U (ko) 2017-07-13 2017-07-13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8U true KR20190000198U (ko) 2019-01-23

Family

ID=6526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40U KR20190000198U (ko) 2017-07-13 2017-07-13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9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8Y1 (ko) * 2019-04-17 2020-06-03 주식회사 케이와이테크 휴대폰용 화면 보호필름 및 그 부착방법
KR20210030032A (ko) * 2019-09-09 2021-03-17 김영조 부착 편의성이 개선된 스마트기기 보호용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652A (ko) 2009-03-26 2010-10-06 김승욱 휴대용 정보단말기 보호필름
KR101176316B1 (ko) 2011-01-20 2012-08-23 김춘성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시의 액정에 액정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이형필름과 어플리케이션 점착라벨
KR101234532B1 (ko) 2012-06-11 2013-02-19 김용석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101576002B1 (ko) 2015-03-30 2015-12-09 강미애 유색 점착면 보호필름과 절취선을 이용한 휴대폰 액정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652A (ko) 2009-03-26 2010-10-06 김승욱 휴대용 정보단말기 보호필름
KR101176316B1 (ko) 2011-01-20 2012-08-23 김춘성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시의 액정에 액정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이형필름과 어플리케이션 점착라벨
KR101234532B1 (ko) 2012-06-11 2013-02-19 김용석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101576002B1 (ko) 2015-03-30 2015-12-09 강미애 유색 점착면 보호필름과 절취선을 이용한 휴대폰 액정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78Y1 (ko) * 2019-04-17 2020-06-03 주식회사 케이와이테크 휴대폰용 화면 보호필름 및 그 부착방법
KR20210030032A (ko) * 2019-09-09 2021-03-17 김영조 부착 편의성이 개선된 스마트기기 보호용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689B2 (en) Protective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JP5890057B1 (ja) モバイル端末機の液晶保護部材付着ケース
EP36008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otective films
US9471163B2 (en) Touch screen shield
KR101176316B1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시의 액정에 액정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이형필름과 어플리케이션 점착라벨
US20120110868A1 (en) protective cover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technical field
US20150169089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on Film for a Touch Screen
US20130020005A1 (en) Applicators for aligning protective films on device surfaces
KR20160022755A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US20130171400A1 (en) Film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US20150323961A1 (en)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KR101234532B1 (ko)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20120071195A (ko) 보호필름유닛 및 이를 사용한 패널의 조립방법
KR20190000198U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101495075B1 (ko)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KR200462082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정위치 부착 화면 보호 필름
JP7054941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KR20150082132A (ko) 액정보호필름 및 그 설치방법
KR102167877B1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JP6374223B2 (ja) 保護部材
TW201431698A (zh) 保護膜結構及其使用方法
KR20140002324A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KR20160066698A (ko)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KR20160003954U (ko) 휴대용 전자매체의 액정화면 보호용 커버유닛
CN210444320U (zh) 一种手机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