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698A -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698A
KR20160066698A KR1020140171786A KR20140171786A KR20160066698A KR 20160066698 A KR20160066698 A KR 20160066698A KR 1020140171786 A KR1020140171786 A KR 1020140171786A KR 20140171786 A KR20140171786 A KR 20140171786A KR 20160066698 A KR20160066698 A KR 2016006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release member
divided
mobile phon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리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리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리움
Priority to KR102014017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698A/ko
Publication of KR2016006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 보호 필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점착되는 제1 및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한다. 제2 이형부재는 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지며, 복수의 분할면은 전체 화면 영역 중 비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과,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으로 구성하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좌측과 우측으로 양분하는 좌측 분할면과 우측 분할면으로 구분하는 수직 절취선에 의하여 분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Screen Protection Film Structur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부착하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긁히거나 흠집이 생기고 또한 지문이나 기름기가 묻을 수 있기 때문에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다. 보호 필름은 얇은 필름 시트에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필름 시트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에 이형필름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휴대폰의 터치 스크린 패널 표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서 부착하는데, 터치 스크린 패널 표면은 매끄럽고 평탄하므로 사용자가 조금만 부주의하여도 보호 필름의 부착 위치가 어긋나기 쉽고, 기포나 구김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제품 등은 터치스크린 패널 안에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 등이 위치하고 있어 이들과 대응하여 절개 및 타공된 부분을 맞추어 부착하여야 하나 한번에 정확한 위치를 찾아 제대로 부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1]에서는 단말기의 전체 외곽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전체프레임을 구비한 단말기 보호필름 부착부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따르며, 또한 도구 사용에 익숙하지 않으면 오히려 필름 부착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과 연결하여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에 보호 필름을 쉽고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별도의 부착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 필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보호 필름 구조체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49573호(2012. 06. 14.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필름 후면에 점착된 이형부재의 일부를 박리시켜 보호 필름의 후면 일부를 노출하고, 보호 필름의 노출 부분을 휴대폰의 비표시 영역에 우선적으로 부착시켜 보호 필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남아 있는 이형부재를 박리시켜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에 필름을 부착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는,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1 이형부재; 상기 보호 필름의 후면에 점착되는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의 전체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표시 영역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이형부재는 수평 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할면은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과,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좌측과 우측으로 양분하는 수직 절취선에 의하여 좌측 분할면과 우측 분할면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설치된 스피커와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덮지 않도록 절개된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분할면은 화면 표시영역과 메뉴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는,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1 이형부재; 상기 보호 필름의 후면에 점착되는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의 전체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표시 영역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이형부재는 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할면은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과,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단변과 장변 및 모서리를 포함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는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 중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노출된 보호 필름의 후면 일부를 우선적으로 부착하여 보호 필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남아 있는 이형부재를 박리시켜 보호 필름의 부착 동작을 마무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의 부착 동작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된 이형부재를 박리시킬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림 구조체의 제2 이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의 제2 이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갖는 휴대 기기를 총칭하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PMP, 노트북, 전자북,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장착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특히 키보드 없이 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화면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조작 명령을 인가하는 정보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는 보호 필름(10), 보호 필름(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점착되는 제1 이형부재(20) 및 제2 이형부재(30)를 포함한다. 즉 보호 필름(10)의 전면(11)에 제1 이형부재(20)가 점착되고, 보호 필름(10)의 후면(12)에 제2 이형부재(30)가 점착된다.
제1 이형부재(20) 상단에 제1 스티커(51)가 점착된다. 제1 스티커(51)는 보호 필름(10)에서 제1 이형부재(20)를 박리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데, 제1 이형부재(20)와 보호 필름(10) 사이의 점착력보다 강한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스티커(51)를 잡아당기면 보호 필름(10) 전면에 부착된 제1 이형부재(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형부재(30)의 후면에는 제2 내지 제4 스티커(61)(62)(71)가 점착된다. 이러한 제2 내지 제4 스티커(61)(62)(71)는 보호 필름(10)에서 제2 이형부재(30)를 분할하여 차례로 박리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 역할을 하며, 이 스티커(61)(62)(71) 역시 제2 이형부재(30)와 보호 필름(10) 사이의 점착력보다 강한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스티커(61)(62)(71)를 잡아당기면 보호 필름(10) 후면에 점착된 해당 부분의 제2 이형부재(3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과 제1 이형부재(20) 및 제2 이형부재(30)는 3겹 적층 구조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이형부재(20)와 제2 이형부재(30)는 보호 필름(10)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된 상태로 보호 필름(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또한 3겹 적층 필름(10)(20)(30)의 면상에는 스피커, 기능 센서, 카메라 렌즈, 및 홈 버튼 등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에 맞게 절개되거나 타공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휴대폰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부착면을 구비한 필름 시트로 형성한다. 보호 필름(10)은 긁힘에 강하고 정전기 방지가 우수한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ET(Poly Ethylene Terephthlate), TPU(Temperature Polyureth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ET를 사용하는 경우 저반사 광학용 PET를 사용하며, 일반 PET보다 빛 반사율이 낮아서 화면의 시인성 확보가 보다 양호하다. 이외에도 OPP(Oriented PolyProylene),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폰(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2)을 구비한다. 터치스크린 패널(2)의 전체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영역(3)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표시영역(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3)에는 스피커 홀(7), 근접 센서 등을 센서 홀(8) 및 카메라 홀(9)이 형성될 수 있고, 표시영역(4)은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영역(5)과 홈 버튼과 돌아가기 버튼 등이 표시되는 메뉴 표시영역(6)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2 이형부재(30)는 수평 절취선(41)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진다. 여기서 수평 절취선(41)은 비표시영역(3)과 표시영역(4)을 구분하는 경계선에 대응한다.
이러한 복수의 분할면은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31)과, 전체 화면 영역 중 제1 분할면(3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3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2 이형부재(30)의 제1 분할면(31)은 좌측과 우측으로 양분하는 수직 절취선(42)에 의하여 우측 분할면(33)과 좌측 분할면(3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분할면(31) 상단에 비표시영역(3)의 스피커 홀(7), 센서 홀(8), 및 카메라 홀(9)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된 요입부(35)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분할면(33)과 좌측 분할면(32)에는 제2 및 제3 스티커(61)(62)가 각각 점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분할면(34) 상단 일측에 제4 스티커(71)가 점착된다.
제1 분할면(31)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있고, 각 분할면은 비표시영역의 모서리에 대응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분할면을 박리시키고 그에 따라 보호 필름(10)의 노출 부분을 휴대폰(1)의 비표시영역에 부착한다. 이후 차례로 다른 쪽의 나머지 분할면을 박리시켜 보호 필름(10)의 대응 부분을 부착하고 나서 제2 분할면(34)을 박리시켜 보호 필름(10) 후면을 휴대폰(1)에 용이하게 부착하게 된다. 이후 제1 이형부재(20)를 박리시키게 되면 보호 필름(10)의 부착 동작이 완료된다.
[제2 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는 보호 필름과, 제1 이형부재 및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특징적으로 변형된 제2 이형부재(30A)를 포함한다.
제2 이형부재(30A)는 계단 절취선(43)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진다. 복수의 분할면은 전체 화면 영역 중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31a)과, 전체 화면 영역 중 제1 분할면(31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34)으로 구성한다.
제2 이형부재(30A)의 제1 분할면(31a)은 비표시 영역의 단변과 장변 및 모서리를 포함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제1 분할면(31a)은 휴대폰(1)의 비표시영역(3) 중 상단 테두리에 대응하므로, 제1 분할면(31a)을 박리시켰을 때 보호 필름(10)의 노출 부분을 줄임으로써 보호 필름(10)을 정위치에 맞추기가 용이하여 보호 필름(10)의 노출 부분이 엉뚱한 위치에 붙어 다시 떼어내는 번거로운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10)의 부착 과정에서 정렬 오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의 사용 방법에 관련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고하여, 3겹 필름(10)(20)(30)을 휴대폰(1)의 터치스크린 패널(2) 상부에 위치시킨다.
도 5b에서와 같이, 제3 스티커(62)를 이용하여 우측 분할면(33)을 박리시킨다. 이때 우측 분할면(33) 주위에 수평 절취선(41)과 수직 절취선(4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스티커(62)를 잡아당겨 제2 이형부재(30)에서 우측 분할면(33)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10)의 후면 우측 일부가 노출된다. 그런 다음 노출된 보호 필름(10)의 우측 모서리 부분을 비표시영역(3)의 우측 모서리에 정렬시켜 부착시킨다.
이어 도 5c에서와 같이, 제2 스티커(61)를 이용하여 좌측 분할면(32)을 박리시킨다. 이때 좌측 분할면(33)은 수평 절취선(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스티커(61)를 잡아당겨 제2 이형부재(30)에서 좌측 분할면(32)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10)의 후면 좌측 일부가 노출된다. 그런 다음 노출된 보호 필름(10)의 좌측 모서리 부분을 비표시영역(3)의 좌측 모서리에 정렬시켜 부착시킨다.
이렇게 보호 필름(10) 후면은 양측 모서리를 포함하는 상단부가 휴대폰(1)의 터치스크린 패널(2) 상단부의 정위치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보호 필름(10) 후면 상단을 부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스티커(71)를 이용하여 남아 있는 제2 이형부재(30)의 제2 분할면(34)을 박리시키고 노출된 보호 필름(10)의 후면을 휴대폰(1)의 표시영역(4)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보호 필름(10)의 후면 전체를 터치스크린 패널(2)의 전체 영역인 비표시영역(3)과 표시영역(4)에 모두 부착한 이후에는,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티커(51)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10) 전면에 점착된 제2 이형부재(20)를 박리시킴으로써 보호 필름(10)의 부착 동작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 : 휴대폰 2 : 터치스크린 패널
3 : 비표시 영역 4 : 표시 영역
5 : 화면표시 영역 6 : 메뉴표시 영역
10 : 보호 필름 11 : 필름 전면
12 : 필름 후면 20 : 제1 이형부재
30 : 제2 이형부재 31 : 제1 분할면
32 : 좌측 분할면 33 : 우측 분할면
34 : 제2분할면 41 : 수평 절취선
42 : 수직 절취선 43 : 계단 절취선
51 : 제1 스티커 61 : 제2 스티커
62 : 제3 스티커 71 : 제4 스티커

Claims (3)

  1.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1 이형부재;
    상기 보호 필름의 후면에 점착되는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의 전체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표시 영역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이형부재는 수평 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할면은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과,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좌측과 우측으로 양분하는 수직 절취선에 의하여 좌측 분할면과 우측 분할면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설치된 스피커와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덮지 않도록 절개된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분할면은 화면 표시영역과 메뉴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3.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체 화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1 이형부재;
    상기 보호 필름의 후면에 점착되는 제2 이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폰의 전체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표시 영역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이형부재는 절취선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분할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할면은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1 분할면과, 상기 전체 화면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필름 시트로 형성되는 제2 분할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이형부재의 제1 분할면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단변과 장변 및 모서리를 포함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KR1020140171786A 2014-12-03 2014-12-03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KR20160066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786A KR20160066698A (ko) 2014-12-03 2014-12-03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786A KR20160066698A (ko) 2014-12-03 2014-12-03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698A true KR20160066698A (ko) 2016-06-13

Family

ID=5619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786A KR20160066698A (ko) 2014-12-03 2014-12-03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6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27Y1 (ko) 2017-12-26 2018-07-27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KR200488338Y1 (ko) 2018-06-29 2019-01-15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이물질제거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73B1 (ko) 2011-06-30 2012-06-14 오토커넥터주식회사 단말기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73B1 (ko) 2011-06-30 2012-06-14 오토커넥터주식회사 단말기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는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27Y1 (ko) 2017-12-26 2018-07-27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KR200488338Y1 (ko) 2018-06-29 2019-01-15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이물질제거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19Y1 (ko) 모바일 단말기의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200475420Y1 (ko) 모바일 단말기의 슬라이딩타입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s
KR200454225Y1 (ko) 화면보호필름 부착 트레이 및 화면보호필름 부착 키트
US9471163B2 (en) Touch screen shield
KR20160022755A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EP3012708B1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22665A (ko) 모바일 단말기의 슬라이딩타입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
US20160043765A1 (en) Protective film composite
KR20140116832A (ko) 테두리가 곡면인 터치스크린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액정보호플레이트
KR200478168Y1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JP3200045U (ja) 保護フィルム複合体
KR20160066698A (ko) 휴대폰 보호 필름 구조체
US20140293580A1 (en) Protector device with micro structure pattern
KR200462082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정위치 부착 화면 보호 필름
KR101495075B1 (ko)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JP2017032894A (ja) 覗き見防止シート
US20130230680A1 (en) Protective fil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12184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JP6486949B2 (ja) 保護シート
US9442592B2 (en) Module structure of touch display panel
EP2885121B1 (en) Device for applying a protective film onto the surface of an item, more particularly onto the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JP2011219685A (ja) 表面貼着シート
KR101636059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CN202421965U (zh) 具摆置及支撑功能的电子产品保护套
KR101974362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