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18U -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18U
KR20190000118U KR2020170003476U KR20170003476U KR20190000118U KR 20190000118 U KR20190000118 U KR 20190000118U KR 2020170003476 U KR2020170003476 U KR 2020170003476U KR 20170003476 U KR20170003476 U KR 20170003476U KR 20190000118 U KR20190000118 U KR 20190000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ap
outlet
tub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770Y1 (ko
Inventor
정진혁
Original Assignee
정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혁 filed Critical 정진혁
Priority to KR2020170003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70Y1/ko
Priority to PCT/KR2017/009916 priority patent/WO2019009463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hand-carr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튜브 역류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가 형성된 튜브 본체; 상기 치약 배출구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배출되도록 뚜껑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 배출구가 일체로 이루어진 뚜껑; 상기 뚜껑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을 마련하여 튜브 본체 또는 튜브 본체에 체결되는 뚜껑에 역류방지 캡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튜브 본체 또는 뚜껑에 선택적으로 역류방지 캡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며, 튜브 본체에서 배출된 치약이 역류하지 않게 되어 적당량의 치약을 사용할 수 있고, 치약의 역류로 인해 치약을 다시 짜내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Backflow prevention tube container Rubber cap}
본 고안은 튜브 역류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 내에서 외부로 배출된 치약이 다시 튜브 내로 들어가는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이나 식품용기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위생적인 수지계열의 튜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연고 약제 등의 저장용기로 금속판재를 이용한 금속재 튜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튜브 포장형 치약, 식품, 화장품, 연고 약제 등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튜브의 몸통을 누르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튜브에 내장된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처음에는 튜브 내에 치약, 식품, 화장품, 연고 약제 등이 완전히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내용물이 토출 되지만 어느 정도 내용물이 배출된 상태에서는 튜브 내에서의 역류현상에 의해 그 내용물을 쉽게 토출시킬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난다.
도 1은 일반적인 튜브제품의 입체도이고, 도 2는 그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튜브(10) 내에 내용물(20)이 완전히 충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튜브제품에 외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튜브제품의 끝단부터 신중하게 말아가며 압력을 가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한 대로 튜브제품의 몸통부 한가운데 부분을 눌러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튜브제품을 처음 사용할 때는 튜브 내의 내용물이 완충상태이므로 사용자에 의한 튜브제품의 가압위치가 몸통부 중앙이든 가장자리든 무관하게 튜브속에 충진된 내용물이 순조롭게 배출된다.
그러나 튜브제품의 내용물을 어느 정도 사용한 이후부터는 사용자에 의한 튜브제품의 가압위치에 따라 어떤 경우는 내용물이 쉽게 토출 되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튜브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를 도 3에서 나타내었다. 즉, 튜브제품의 내용물이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토출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깊숙한 곳으로 역류하여 후방 밀림부(A)가 만들어 지게 된다.
또한 튜브제품의 내용물이 화장품 류이고 그 튜브의 재질이 복원성을 갖는 수지필름을 이용한 경우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하더라도 튜브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튜브의 외형은 항상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내용물 사용 후 그 내용물이 토출되고 난 빈자리가 내용물 사이로 만들어지는 공기통로(B)를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층(C)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기층(C)형성을 통한 튜브제품의 외형 부풀림은 그 튜브제품의 외관을 아름답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내부의 공기에 의해 내용물이 쉽게 산화되어 변질 되기 쉬운 단점을 가진다.
또한 치약류는 수시로 양치질을 하기 위하여 수시로 사용하게 되는데, 튜브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치약이 다시 튜브 내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치약이 다시 튜브 내로 들어가는 경우, 치약을 다시 짜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노약자 또는 어린아이 등은 튜브 내에 치약이 많지 않을 경우 치약을 짜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튜브 내용물 역류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튜브 내용물 역류 방지장치는 치약, 식품, 약제,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주입될 튜브의 내측에 튜브 전체 길이를 일정 간격으로 가로지르는 내용물 역류 방지용 횡단지퍼와 격자지퍼를 다단 설치하며, 상기 튜브의 둘레에는 복원력이 우수한 외형유지필름을 추가로 덧씌워 내용물 압출시 튜브와 튜브 사이에 공간부가 만들어지는 이중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치약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이 저장되는 몸체, 몸체의 일측단에 내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렴부, 수렴부와 연결되는 치약 배출구 및 배출구에 결합되는 캡이 구성되는 치약 용기로서, 상기 치약 배출구 상에 간격을 두고 출구 끝단까지 길게 절개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양측변이 길게 형성되며 일측단에 돌출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절개띠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857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28985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8534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 본체에 저장된 치약이 치약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약이 튜브 본체로부터 배출된 이후 튜브 본체 내부로 들어가는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은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가 형성된 튜브 본체; 상기 치약 배출구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 배출구가 일체로 이루어진 뚜껑; 상기 뚜껑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 캡은 상기 뚜껑 배출구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체결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밀착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으로 치약이 인입되도록 형성된 치약 인입구; 상기 치약 인입구를 통해 배출된 치약이 상기 튜브 본체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형성된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은 배출되는 치약의 압력에 의해 개방됨과 함께 배출된 치약이 역류되지 않도록 유연한 탄성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가 형성된 튜브 본체;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하는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약 배출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 캡은 치약이 인입되도록 치약 인입구가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치약 배출구의 선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캡; 상기 제1 캡이 상기 치약 배출구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캡에 끼워지는 제2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캡은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제2 캡이 끼워지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끼움부;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역류되지 않도록 다수로 분할 형성된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에 의하면, 튜브 본체 또는 튜브 본체에 체결되는 뚜껑에 역류방지 캡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튜브 본체 또는 뚜껑에 선택적으로 역류방지 캡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며, 튜브 본체에서 배출된 치약이 역류하지 않게 되어 적당량의 치약을 사용할 수 있고, 치약의 역류로 인해 치약을 다시 짜내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튜브제품의 외형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종래 튜브제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보인 종래 튜브제품의 사용 시 내용물 후방밀림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상태도,
도 4는 도 1에서 보인 종래 튜브제품의 사용시 튜브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입체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은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11)가 형성된 튜브 본체(10), 상기 치약 배출구(11)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21)와 상기 치약 배출구(11)를 관통한 치약이 배출되도록 뚜껑 배출구(22)가 일체로 형성된 뚜껑(20), 상기 뚜껑 배출구(22)를 관통한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부(21)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튜브 본체(10) 또는 튜브 본체(10)에 체결되는 뚜껑(20)에 역류방지용 캡(30)을 결합시켜 튜브 본체(10)에서 배출된 일정량의 치약이 다시 튜브 본체(1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
즉, 치약이 배출된 후 튜브 본체(10) 내부로 역류되는 치약을 역류방지 캡(30)에 의해 역류를 방지하여 치약이 튜브 본체(10)로 들어감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치약이 수용된 튜브 본체(10), 상기 튜브 본체(10)에 체결되는 뚜껑(20) 및 상기 뚜껑(20)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 본체(10)는 일정량의 치약이 수용 저장되는 것으로, 튜브 본체(10)의 일단에는 일정 직경의 중공으로 이루어진 치약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치약 배출구(11)에는 치약이 배출되도록 튜브 배출공(12)이 형성된다.
한편 치약 배출구(11)의 외면에는 뚜껑(20)이 체결되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뚜껑(20)은 치약 배출구(11)에 체결되어 치약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20)의 내측에는 치약 배출구(11)에 체결되는 체결부(21)가 형성되고, 체결부(21)의 내면에는 치약 배출구(11)에 체결되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아울러 뚜껑(20)에는 치약 배출구(11)를 통과한 치약이 배출되도록 뚜껑 배출구(22)가 형성되고, 뚜껑 배출구(22)에는 치약이 배출되도록 뚜껑 배출공(23)이 형성된다.
또 뚜껑(20)에는 튜브 본체(10)와 일체성을 갖도록 케이스(24)가 형성되고, 케이스(24)의 상면에는 뚜껑 배출구(22)와 뚜껑 배출공(23)을 개폐시키는 밀폐뚜껑(25)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뚜껑(20)에는 튜브 본체(10)에서 배출된 치약이 역류, 즉 뚜껑 배출공(23)으로 배출된 치약이 다시 튜브 본체(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캡(30)이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은 상기 뚜껑 배출구(22)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1 결합부(31), 상기 체결부(21)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3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부(32), 상기 제1 결합부(31)의 내측으로 치약이 인입되도록 형성된 치약 인입구(33), 상기 치약 인입구(33)를 통해 배출된 치약이 상기 튜브 본체(10)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31)에 탄력적으로 형성된 탄성판(34)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 캡(30)은 뚜껑(20)의 뚜껑 배출구(22) 내경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부(31)와 상기 뚜껑 배출구(22)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제2 결합부(32), 상기 제1 결합부(31)의 내측에 치약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치약 인입구(33), 상기 치약 인입구(33)를 통해 유입된 치약이 배출된 후 역류를 방지하는 탄성판(3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결합부(31)는 뚜껑 배출구(22)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뚜껑 배출구(2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2 결합부(32)는 뚜껑 배출구(22)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34)은 배출되는 치약의 압력에 의해 개방됨과 함께 배출된 치약이 역류되지 않게 유연한 탄성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커팅부(35)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결합부(31)의 내측에는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인입구(33)가 형성되며, 제1 결합부(31)의 상면에는 치약의 배출 및 치약의 역류를 방지하는 탄성판(34)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판(34)은 열 십(十)자 형상으로 커팅한 커팅부(35)에 의해 형성되며, 탄성판(34)은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결합부(31)의 상면은 3개의 커팅부(35)로 일부 절단하거나 4개의 커팅부(35) 또는 6개 내지 8개의 커팅부(35)로 일부 절단하여 줌으로써, 3~8개의 탄성판(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은 뚜껑(20)의 뚜껑 배출구(22)에 간편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탄성판(34)이 자유로이 움직여 개폐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즉, 탄성판(34)은 제1 결합부(31)를 다수로 일부 절단하여 줌으로써, 치약의 배출에 따른 압력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이미 배출된 치약이 튜브 본체(1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입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역류방지 캡(30)을 뚜껑(20)의 뚜껑 배출구(22)의 내측에 끼워 결합한다.
즉, 튜브 본체(10)에는 뚜껑(20)이 체결되어 있으므로, 뚜껑(20)을 튜브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뚜껑 배출구(22)의 내측에 역류방지 캡(30)을 결합한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의 제1 결합부(31)는 뚜껑 배출구(22)의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제2 결합부(32)는 뚜껑 배출구(22)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이 결합된 뚜껑(20)은 튜브 본체(10)의 치약 배출구(11)에 체결합으로써, 튜브 본체(10)에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역류방지 캡(30)이 뚜껑(20)에 결합되고, 뚜껑(20)은 튜브 본체(10)의 치약 배출구(11)에 체결된다.
사용자는 치약을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 본체(10)를 가압하게 되고, 튜브 본체(10)에 수용된 치약은 튜브 본체(10)의 튜브 배출공(12)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치약은 역류방지 캡(30)의 치약 인입구(33)로 이동되고, 치약 인입구(33)를 거쳐 탄성판(34)을 관통하게 된다.
즉, 치약은 탄성판(34)을 가압하게 되고, 탄성판(34)은 치약의 압력에 의해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개방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34)은 커팅부(35)에 의해 다수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치약은 탄성판(34)을 젖혀 제1 결합부(3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치약이 배출된 탄성판(34)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탄성판(34)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 결합부(31)의 외측으로 배출된 치약은 탄성판(34)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시 튜브 본체(1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11)가 형성된 튜브 본체(10), 상기 치약 배출구(11)를 관통한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약 배출구(11)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튜브 본체(10) 또는 튜브 본체(10)에 체결되는 뚜껑(20)에 역류방지용 캡(30)을 결합시켜 튜브 본체(10)에서 배출된 일정량의 치약이 다시 튜브 본체(1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
즉, 치약이 배출된 후 튜브 본체(10) 내부로 역류되는 치약을 역류방지 캡(30)에 의해 역류를 방지하여 치약이 튜브 본체(10)로 들어감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치약이 수용된 튜브 본체(10)와 상기 튜브 본체(10)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 본체(10)에는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일측으로 치약 배출구(11)가 연장 형성되고, 치약 배출구(11)에는 튜브 배출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은 치약이 인입되도록 치약 인입구(40)가 형성된 제1 결합부(37)와 상기 치약 배출구(11)의 선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38)가 형성된 제1 캡(36), 상기 제1 캡(36)이 상기 치약 배출구(11)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캡(36)에 끼워지는 제2 캡(43)을 포함한다.
상기 역류방지 캡(30)은 치약 배출구(11)에 결합되는 제1 캡(36)과 상기 제1 캡(36)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캡(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캡(36)에는 치약 배출구(1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1 결합부(37)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37)의 상단에는 치약 배출구(11)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3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37)에는 제2 캡(43)이 결합되도록 끼움부(39)가 형성되고, 제1 결합부(37)의 내측에는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인입구(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37)의 상면에는 치약이 배출된 후 역류를 방지하는 탄성판(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판(41)은 커팅부(42)에 의해 다수로 분할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41)은 3~8개로 분할된 커팅부(42)에 의해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캡(36) 및 제2 캡(43)은 튜브 본체(10)의 치약 배출구(11)에 결합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캡(43)은 제1 캡(36)의 끼움부(39)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1 캡(36)이 치약 배출구(11)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은 치약이 수용된 튜브 본체(10)의 치약 배출구(11)의 내경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캡(36)의 끼움부(39)에는 제2 캡(43)을 끼운 상태에서 제1 캡(36)을 치약 배출구(11)에 끼워 결합한다.
이와 달리 치약 배출구(11)에 제1 캡(36)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캡(36)의 끼움부(39)에 억지끼움으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제1 캡(36)이 치약 배출구(1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역류방지용 캡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약 역류방지 캡은 역류방지 캡(30)이 튜브 본체(10)의 치약 배출구(11)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치약을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 본체(10)를 가압하게 되고, 튜브 본체(10)에 수용된 치약은 튜브 본체(10)의 튜브 배출공(12)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치약은 역류방지 캡(30)의 치약 인입구(40)로 이동되고, 치약 인입구(40)를 거쳐 탄성판(41)을 관통하게 된다.
즉, 치약은 탄성판(41)을 가압하게 되고, 탄성판(41)은 치약의 압력에 의해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개방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41)은 커팅부(42)에 의해 다수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치약은 탄성판(41)을 젖혀 제1 결합부(37)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치약이 배출된 탄성판(41)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탄성판(41)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 결합부(37)의 외측으로 배출된 치약은 탄성판(41)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시 튜브 본체(1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튜브 본체 11: 치약 배출구
12: 튜브 배출공
20: 뚜껑 21: 체결부
22: 뚜껑 배출구 23: 뚜껑 배출공
24: 케이스 25: 밀폐뚜껑
30: 역류방지 캡 31: 제1 결합부
32: 제2 결합부 33: 치약 인입구
34: 탄성판 35: 커팅부
36: 제1 캡 37: 제1 결합부
38: 제2 결합부 39: 끼움부
40: 치약 인입구 41: 탄성판
42: 커팅부 43: 제2 캡

Claims (6)

  1.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가 형성된 튜브 본체;
    상기 치약 배출구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배출되도록 뚜껑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 배출구가 일체로 이루어진 뚜껑;
    상기 뚜껑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캡은 상기 뚜껑 배출구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1 결합부;
    상기 체결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으로 치약이 인입되도록 형성된 치약 인입구;
    상기 치약 인입구를 통해 배출된 치약이 상기 튜브 본체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에 탄력적으로 형성된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배출되는 치약의 압력에 의해 개방됨과 함께 배출된 치약이 역류되지 않게 유연한 탄성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4. 수용된 치약이 배출되도록 치약 배출구가 형성된 튜브 본체;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하는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치약 배출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캡은 치약이 인입되도록 치약 인입구가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치약 배출구의 선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캡;
    상기 제1 캡이 상기 치약 배출구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캡에 끼워지는 제2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제2 캡이 끼워지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끼움부;
    상기 치약 배출구를 관통한 치약이 역류되지 않도록 다수로 분할 형성된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KR2020170003476U 2017-07-04 2017-07-04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KR200488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76U KR200488770Y1 (ko) 2017-07-04 2017-07-04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PCT/KR2017/009916 WO2019009463A1 (ko) 2017-07-04 2017-09-08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76U KR200488770Y1 (ko) 2017-07-04 2017-07-04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18U true KR20190000118U (ko) 2019-01-14
KR200488770Y1 KR200488770Y1 (ko) 2019-03-19

Family

ID=6495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76U KR200488770Y1 (ko) 2017-07-04 2017-07-04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770Y1 (ko)
WO (1) WO20190094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32A (ko) 2019-06-21 2020-12-30 정재환 페트병 이물질 역류 방지 캡
KR102421098B1 (ko) * 2021-03-10 2022-07-15 (주)아이엠피 도난 방지용 욕실 어매니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47B1 (ko) 2021-03-25 2021-07-30 박현수 치약 토출용 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42B1 (ko) 2007-02-16 2007-12-17 김상훈 절약형 치약 배출기
KR20090128985A (ko) 2008-06-12 2009-12-16 김성기 치약 용기
KR20120108576A (ko) 2011-03-24 2012-10-05 김성구 튜브 내용물 역류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990A (ja) * 1995-08-02 1997-02-10 Toyo Seikan Kaisha Ltd セルフシールキャップ
JP2004250018A (ja) * 2003-02-18 2004-09-09 Nippon Soobi Kk 可撓性容器の吐出口部に設ける締付力開閉門構造とこれを設けた可撓性容器
JP2006111335A (ja) * 2004-10-18 2006-04-27 Kitano Seisaku Kk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5674467B2 (ja) * 2008-08-07 2015-02-25 俊太郎 阿部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KR101726718B1 (ko) * 2017-02-17 2017-04-14 주식회사 블루레오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342B1 (ko) 2007-02-16 2007-12-17 김상훈 절약형 치약 배출기
KR20090128985A (ko) 2008-06-12 2009-12-16 김성기 치약 용기
KR20120108576A (ko) 2011-03-24 2012-10-05 김성구 튜브 내용물 역류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32A (ko) 2019-06-21 2020-12-30 정재환 페트병 이물질 역류 방지 캡
KR102421098B1 (ko) * 2021-03-10 2022-07-15 (주)아이엠피 도난 방지용 욕실 어매니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70Y1 (ko) 2019-03-19
WO2019009463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70Y1 (ko)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JP2021010737A (ja) 便利なリフィル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US20070116509A1 (en) Collapsible squeeze tube
US2518751A (en) Valved attachment for collapsible tubes, having a receiver for extruded contents
US3580427A (en) Cream dispenser with pleated walls and lip type opening
ES2917204T3 (es) Boquilla y conjunto de tapón-boquilla
EP2028120B1 (en) Discharge Container
US9527635B2 (en) Dual flow cap assembly for container
US3842850A (en) Brush assembly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JP2002347812A (ja) 容器と容器の口栓およびこの容器に用いる蓋
CA1180288A (fr) Flacon a partie(s) pliante(s) ou souple(s)
US11622607B2 (en) Necklace for lotions and gels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US20120085786A1 (en) Pinch tube with internal piston dispensing extractor
US4963047A (en) Dispensing brush
US20010035430A1 (en)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for multiple liquids
KR102609420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TW202348166A (zh) 用於容器的塗抹器
JP3993487B2 (ja) 流動体のチューブ型容器
KR20180003252U (ko) 화장료 보관용기
CN114787042A (zh) 阀设备和包括所述阀设备的容器
KR101921141B1 (ko) 디스펜서 일체형 치약 마개
JP2011213409A (ja) 内容物押出容器
JP3907188B2 (ja) 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