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78U - 지반 강화 기구 - Google Patents
지반 강화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078U KR20190000078U KR2020170003402U KR20170003402U KR20190000078U KR 20190000078 U KR20190000078 U KR 20190000078U KR 2020170003402 U KR2020170003402 U KR 2020170003402U KR 20170003402 U KR20170003402 U KR 20170003402U KR 20190000078 U KR20190000078 U KR 2019000007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pushing
- wedge
- ground
- support fix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공장비에 의해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지반 강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천공된 천공홀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고정대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바닥 쐐기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고 푸싱 너트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측벽 쐐기를 포함하는 지반 강화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지반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공장비에 의해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지반 강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지반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반 강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라 함은 지반 자체가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해오는 하중을 견딜 수 없거나, 혹은 예측 침하량이 허용치를 넘는 지반을 말한다. 이러한 연약지반을 도로나 건축물의 기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단면 침하량이 과대해질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연약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사용 용도와 규모에 맞도록 지반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말뚝(파일)을 연약지반에 매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말뚝을 연약지반에 매입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말뚝을 타격하여 매입하는 항타 공법과, 지반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의 내부로 말뚝을 매입하는 매입 말뚝 공법이 알려져 있다. 이중 항타 공법은 말뚝을 시공 지점에 위치시킨 후 바로 타격하여 시공하므로 시공비가 비교적 저렴하고 작업이 수월하지만 해머에 의한 직접적인 타격으로 말뚝이 파손되는 문제와, 타격 시의 소음 및 진동에 의해 민원이 발생되는 등, 특히 도심지에서의 공사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매입 말뚝 공법은 항타 공법에 비해 시공비는 상승되나, 해머에 의한 타격 소음이 비교적 적어 특히 도심지의 일반 구조물의 기초, 특히 아파트 공사시의 기초 공사시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입 파일 공법은 오거(auger)나 T4 등의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한 후 그 천공홀 내부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한다. 이후, 천공홀 내에 기성말뚝을 해머로 경타하여 말뚝을 안착시킨 후 기성말뚝의 두부와 상부 구조물을 강선이나 철근 등으로 결합하여 시공한다.
이러한 매입 말뚝 공법에 있어서, 말뚝의 지지력은 말뚝이 지지할 수 있는 말뚝 상부 하중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선단 지지력은 말뚝 단부의 전체 단면적에 발현되는 지지력을 의미하고, 주면 마찰력은 말뚝의 주면과 지반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을 높여 말뚝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일례들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815호(등록일: 2008.11.14.),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81899호(등록일: 2012.09.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976호(등록일: 2012.05.15.) 등에서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815호에서는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외측에 고정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저면에 고정되는 도넛형의 확장판과, 상기 강관의 선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전단고정부재와, 상기 강관의 선단부 내측에서 상기 전단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하는 확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말뚝 강관의 선단부 단면적을 확대시켜 강관의 선단부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강관과 지반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81899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976호에서는 각각 기초말뚝 시공시 굴착면 내측을 긴밀히 침투 및 삽입하는 확경수단이 내재된 말뚝부재를 기성말뚝에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된 기초말뚝을 구성하여 기초말뚝 시공시 기초말뚝의 선단부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일정 부분 강화하였으나, 지반의 내측 지반에만 결합되어 지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고, 특히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이 어렵고,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원가를 낮추면서 지반에 대한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켜 지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반 강화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고정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바닥 쐐기;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지지 고정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측벽 쐐기; 상기 지지 고정대에 관통 결합되는 푸싱 파이프; 및 상기 지지 고정대의 후단부에 마련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되고, 상기 푸싱 파이프를 상기 측벽 쐐기로 이동시켜 상기 측벽 쐐기를 확장 전개시키는 푸싱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 쐐기는 상기 지지 고정대를 경계로 서로 대칭하도록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푸싱 너트에 기인한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에 의해 후단부가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한 쌍의 작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는 각각,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고, 후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쐐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의 후단에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를 고정하는 탄성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결합부재는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져 볼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에 체결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의 내측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의 탄성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탄성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천공된 천공홀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고정대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바닥 쐐기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고 푸싱 너트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측벽 쐐기를 포함하는 지반 강화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지반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푸싱 파이프와 푸싱 너트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벽 쐐기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푸싱 파이프와 푸싱 너트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벽 쐐기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반 강화 기구의 푸싱 파이프와 푸싱 너트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10)는 오거나 T4 등과 같은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천공된 지반의 천공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의 바닥뿐만 아니라 내측 지반에도 쐐기 형태로 박혀 고정됨으로써 지반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기구로서, 지지 보강대(11), 바닥 쐐기(12), 측벽 쐐기(13), 탄성 결합부재(14), 푸싱 파이프(15) 및 푸싱 너트(16)를 포함한다.
지지 보강대(11)는 바닥 쐐기(12)와 측벽 쐐기(13)가 체결되는 금속 강재로 이루어지고, 도 2와 같이, 바닥 쐐기(12)와 측벽 쐐기(13)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쐐기 체결부(111)와, 쐐기 체결부(11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푸싱 파이프(15)가 관통 결합되는 한편, 푸싱 너트(16)가 체결되는 푸싱 체결부(112)를 포함한다.
쐐기 체결부(111)는 도 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선단부에 바닥 쐐기(12)의 체결부(121)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폭방향(두께방향)으로 체결공(111a)이 관통 형성되어 측벽 쐐기(13)가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푸싱 체결부(112)는 도 2와 같이, 쐐기 체결부(11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푸싱 체결부(112)는 원형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푸싱 너트(16)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112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쐐기(12)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선단부가 뾰족한 구조, 예를 들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천공홀의 내부로 수직하강하여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박혀 고정된다. 이러한 바닥 쐐기(12)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쐐기 체결부(111)이 선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측벽 쐐기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 결합부재의 탄성부재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측벽 쐐기(13)는 쐐기 체결부(111)의 폭방향으로 양측면에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된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는 도 3과 같이, 각각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외측(천공홀의 내측 지반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 즉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는 볼트(b)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131d, 132d)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b)를 축으로 후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는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31d, 132d)과, 쐐기 체결부(111)의 체결공(111a)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쐐기 체결부(111)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2와 같이,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는 쐐기 체결부(111)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볼트(b)에 의해 쐐기 체결부(111)에 체결되는 체결편(131a, 132a)과, 체결편(131a, 132a)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푸싱 파이프(15)에 의해 확장되어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쐐기편(131b, 132b)을 포함한다.
쐐기편(131b, 132b)은 후단부가 도 3과 같이,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푸싱 파이프(15)에 의해 푸싱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밀려 올라감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과 같이, 체결편(131a, 132a) 중 어느 하나와 쐐기편(131b, 132b) 중 어느 하나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31c, 1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돌기(131c, 132c)는 체결편(131a, 132a) 또는 쐐기편(131b, 132b)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피스(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걸림돌기(131c, 132c)에는 도 3과 같이, 탄성 결합부재(14)가 결합되어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링크(131, 13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작동링크(131, 132)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한다.
탄성 결합부재(14)는 도 3과 같이,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져 볼트(b)에 의해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에 체결되고, 양측단부는 걸림돌기(131c, 132c)의 내측에 걸림 지지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와이어(141)와, 걸림돌기(131c, 132c)에 끼워져 와이어(141)의 탄성 방향과 반대 방향, 즉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해 고정하는 탄성부재(142)를 한다. 이때, 탄성부재(142)는 고무링, 고무줄 또는 용수철 등일 수 있다.
푸싱 파이프(15)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지지 보강대(11)의 푸싱 체결부(112)에 결합되어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확장시키는 것으로, 푸싱 체결부(112)에 나사 체결되는 푸싱 너트(16)에 의해 푸싱 체결부(112)의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를 전방으로 밀어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푸싱 너트(16)는 도 3과 같이, 지지 보강대(11)의 푸싱 체결부(112)에 나사 체결되어 푸싱 체결부(112)의 나사산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푸싱 너트(16)와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 사이에 결합된 푸싱 파이프(15)는 푸싱 너트(16)에 의해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시켜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고정한다.
이때,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는 푸싱 파이프(15)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푸싱 파이프(15)가 푸싱 너트(16)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는 간편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강화 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지반 강화 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5 내지 도 8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 결합부재의 탄성부재는 생략하고 도시하지 않았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지반(1)을 천공하여 천공홀(2)을 형성한다.
이후, 도 3 및 도 6과 같이, 천공홀(2) 내부로 지반 강화 기구(10)를 삽입시켜 천공홀(2)의 바닥 지반(2a)에 지반 강화 기구(10)의 바닥 쐐기(12)를 박아 고정한다.
이후, 도 7과 같이, 푸싱 너트(16)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 보강대(11)의 푸싱 체결부(112)를 따라 푸싱 너트(16)를 하강시킨다. 이후, 푸싱 너트(16)가 하강됨에 따라 푸싱 파이프(15)는 푸싱 너트(16)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한 쌍의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를 밀어 천공홀(2)의 측벽(2b)으로 확장시킨다.
이후, 도 8과 같이, 푸싱 너트(16)의 후단부에 체결된 봉(161)을 상부로 잡아 당겨 작동링크(131, 132)의 후단부, 즉 쐐기편(131b, 132b)의 끝단부를 측벽(2b)에 박아 강하게 고정한다.
이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푸싱 너트(16)를 지지 보강대(11)로부터 분리한 후, 푸싱 파이프(15)에 콘크리트를 채워 푸싱 파이프(15)를 고정하여 마무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 : 볼트 n : 너트
10 : 지반 강화 기구 11 : 지지 보강대
12 : 바닥 쐐기 13 : 측벽 쐐기
14 : 탄성 결합부재 15 : 푸싱 파이프
16 : 푸싱 너트 111 : 쐐기 결합부
112 : 푸싱 체결부 121 : 체결부
131, 132 : 작동링크 131a, 132a : 체결편
131b, 132b : 쐐기편 131c, 132c : 걸림돌기
141 : 와이어 142 : 탄성부재
161 : 봉
10 : 지반 강화 기구 11 : 지지 보강대
12 : 바닥 쐐기 13 : 측벽 쐐기
14 : 탄성 결합부재 15 : 푸싱 파이프
16 : 푸싱 너트 111 : 쐐기 결합부
112 : 푸싱 체결부 121 : 체결부
131, 132 : 작동링크 131a, 132a : 체결편
131b, 132b : 쐐기편 131c, 132c : 걸림돌기
141 : 와이어 142 : 탄성부재
161 : 봉
Claims (5)
-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고정대;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천공홀의 바닥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바닥 쐐기;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지지 고정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측벽 쐐기;
상기 지지 고정대에 관통 결합되는 푸싱 파이프; 및
상기 지지 고정대의 후단부에 마련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되고, 상기 푸싱 파이프를 상기 측벽 쐐기로 이동시켜 상기 측벽 쐐기를 확장 전개시키는 푸싱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쐐기는 상기 지지 고정대를 경계로 서로 대칭하도록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푸싱 너트에 기인한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에 의해 후단부가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한 쌍의 작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는 각각,
상기 지지 고정대의 선단부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고, 후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쐐기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의 후단에 상기 푸싱 파이프의 푸싱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를 고정하는 탄성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재는,
중앙부가 원형으로 감겨져 볼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에 체결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의 내측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의 탄성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링크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탄성 고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02U KR20190000078U (ko) | 2017-06-29 | 2017-06-29 | 지반 강화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02U KR20190000078U (ko) | 2017-06-29 | 2017-06-29 | 지반 강화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078U true KR20190000078U (ko) | 2019-01-08 |
Family
ID=6501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402U KR20190000078U (ko) | 2017-06-29 | 2017-06-29 | 지반 강화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07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2600B1 (ko) * | 2020-06-26 | 2021-02-05 | 주식회사 마성건설 | 제거 가능한 암반용 지중 앵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815B1 (ko) | 2007-04-03 | 2008-11-21 | 임수용 |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지지력 확대장치 및 매입말뚝시공방법 |
KR101147976B1 (ko) | 2009-10-22 | 2012-05-24 | (주)지오알앤디 | 기초말뚝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
KR101181899B1 (ko) | 2009-09-23 | 2012-09-11 | (주)지오알앤디 | 기초말뚝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
-
2017
- 2017-06-29 KR KR2020170003402U patent/KR20190000078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815B1 (ko) | 2007-04-03 | 2008-11-21 | 임수용 |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지지력 확대장치 및 매입말뚝시공방법 |
KR101181899B1 (ko) | 2009-09-23 | 2012-09-11 | (주)지오알앤디 | 기초말뚝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
KR101147976B1 (ko) | 2009-10-22 | 2012-05-24 | (주)지오알앤디 | 기초말뚝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2600B1 (ko) * | 2020-06-26 | 2021-02-05 | 주식회사 마성건설 | 제거 가능한 암반용 지중 앵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044B1 (ko) |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 |
KR101605028B1 (ko) |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 |
KR100923587B1 (ko) |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 |
KR20170051951A (ko) | 버팀보 연결 구조체 | |
KR20110032980A (ko) | 기초말뚝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 |
JP2007162266A (ja) |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 |
KR101489387B1 (ko) |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 |
KR20190000078U (ko) | 지반 강화 기구 | |
KR100672039B1 (ko) | 헤드 확장형 파일의 가변 확장부재 | |
KR101426066B1 (ko) | 기계적 기능에 의한 선단정착 복합형 마이크로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 |
KR200449724Y1 (ko) | 확경형 락볼트 | |
KR20100132222A (ko) | 그라우팅용 보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보강방법 | |
JP6542036B2 (ja) | 杭基礎構造 | |
KR101727206B1 (ko) |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 |
KR100862387B1 (ko) |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 |
KR101148815B1 (ko) | 내측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시공방법 | |
KR101124203B1 (ko) | 파일 구조체 | |
KR101585539B1 (ko) |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지반보강용 파일 | |
KR101547320B1 (ko) | 나선형 패커 확장구조를 갖는 영구앵커 | |
KR101358636B1 (ko) | 가이드 튜브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
KR101705785B1 (ko) |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 |
KR101488970B1 (ko) | 보강날개를 구비한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50082152A (ko) |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677858B1 (ko) | 충전형 링 앵커 소켓을 이용한 기둥 단면증설 방법 | |
KR101695720B1 (ko) | 기초선단장치 결합형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94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9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02 Effective date: 20190916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