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28B1 -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28B1
KR101605028B1 KR1020150120631A KR20150120631A KR101605028B1 KR 101605028 B1 KR101605028 B1 KR 101605028B1 KR 1020150120631 A KR1020150120631 A KR 1020150120631A KR 20150120631 A KR20150120631 A KR 20150120631A KR 101605028 B1 KR101605028 B1 KR 10160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ixing
grout
pressurizing cylin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랑기초
차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랑기초, 차경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랑기초
Priority to KR102015012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28B1/ko
Priority to PCT/KR2016/007360 priority patent/WO2017034152A1/ko
Priority to CN201610607442.1A priority patent/CN106498944A/zh
Priority to EP16181767.1A priority patent/EP3135821B1/en
Priority to TR2018/07752T priority patent/TR201807752T4/t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이나 지반의 절개지 등에서의 절개면 붕괴방지 또는 다양한 토목 공사시 굴착 벽면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영구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선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강선고정부와 그라우트 주입압력에 의해 확장 전개되는 정착헤드부로 각기 구성하여 상기 정착헤드부가 강선고정부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하되, 정착헤드부는 그라우트 주입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의 가압에 의해 확장 전개되게 한 복수 개의 앵커날개로 구성함에 따라,
천공된 앵커공 내에 선단정착앵커를 근입하는 과정에서 앵커공의 깊이가 부족한 경우 앵커공 내면과 선단정착앵커 간의 간섭없이 즉시 인출이 가능하므로 재천공 작업을 수행한 후 재차 근입할 수 있어 작업 보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근입된 상태의 선단정착앵커는 그라우트의 토출압력에 의해 앵커날개가 확장 및 전개되면서 앵커공 내벽에 견고하게 박혀 고정되므로 선단정착앵커의 고정력 및 그라우트에 의한 정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영구앵커에 의한 주변부의 보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앵커공 선단의 그라우트에 대한 공극이나 절리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고품질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본 발명은 암석이나 지반의 절개지 등에서의 절개면 붕괴방지 또는 다양한 토목 공사시 굴착 벽면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영구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앵커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선단정착앵커의 앵커날개가 그라우트의 주입 압력에 의해 확장 전개되도록 하고 앵커날개의 확장 전개 후 그라우트의 계속적인 배출 작용으로 인해 선단정착앵커의 주변부 및 앵커공으로 긴밀하게 그라우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여, 선단정착앵커의 정착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절리에 의한 정착부의 취약이 없는 고품질의 보강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앵커는 암석, 지반의 절개지 등에서 절개면의 붕괴방지를 위한 흙막이공사 및 사면안정, 산사태억제,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시 굴착벽면의 붕괴방지 등에 사용된다. 또한,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옹벽 등의 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 등의 전도방지 및 캔틸레버(cantilever)의 반력을 위한 시공, 수중공사를 위한 케이슨(Caisson) 침설시의 압입보조 등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영구앵커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붕괴염려가 있는 암석, 지반 등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앵커공(100)을 천공하고, 상기 앵커공(100)을 통해 그라우트 호스와 복수개의 인장재(110) 및 선단정착앵커(130)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삽입한다. 다음으로, 앵커공(100)에 삽입된 그라우트 호스(120)를 통해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며, 주입된 그라우트가 선단정착앵커(130)와 함께 일정시간 후, 양생되면 인장재(110)의 다른 한쪽 끝단에 지압수단을 설치하여 정착구(140)를 체결한 후, 강연선 내의 인장재(110)를 별도의 유압장비 등을 사용하여 인장함으로써, 대상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것이 일반적 시공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영구앵커는 그라우팅의 지반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게 된다. 영구앵커공법에서 앵커의 구성요소는 소요 응력을 발휘하여 인장력을 지반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진 앵커체 정착부, 상기 앵커체가 앵커 두부에서 발휘되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을 전달하는 자유인장부 및 소요 응력을 구조물에 작용토록 하는 역할을 가진 앵커 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앵커체 정착부는 지반과 그라우트, 그라우트와 인장재의 부착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영구앵커를 시공함에 있어 그라우트 주입 경화전 정착헤드부에 대한 선행 정착을 통해 더욱 견고한 인장응력 및 전단응력과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영구앵커가 안출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3436호와 같다.
이러한 종래 영구앵커는 그라우트의 지반압력에 의해 인발에 대한 버팀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연약지반, 사면, 암석 등의 지반의 상태에 따라 앵커가 삽입된 앵커공의 주변에는 다수의 절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천공된 앵커공 내의 절리를 외부에서 확인하기란 상당히 힘들다. 즉, 앵커공에 인장재를 삽입하여 그라우트를 주입시, 그라우트는 주입압력에 의해 앵커공 내부에 충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라우트가 앵커공에 주입될 때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절리측으로 앵커공에서 그라우트가 누출되어 앵커공 내부의 그라우트 충전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공 내의 다수의 절리에 의해 그라우트의 충전율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반을 실질적으로 보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앵커공 내에 발생된 절리가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하여도 앵커공 내부의 전체 영역이 하나의 공간이기 때문에 앵커공의 전체 영역에 충전된 그라우트 내부에 공극이 발생되어 실질적인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앵커공 내부의 충전된 그라우트의 강도를 측정하기란 상당히 어렵고, 작업시간도 상당히 소요됨으로써 공기의 확대로 인한 시공비 등의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앵커공에 충전되는 그라우트가 절리에 의한 그라우트 내부의 공극 존재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연약지반, 사면보강 등의 앵커공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부실시공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의 증대와 지반 붕괴로 인한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영구앵커는 각각의 지반상태에 따른 앵커를 선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앵커공에 삽입되는 앵커의 선단 정착부에서 집중적으로 하중이 인가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앵커공을 깊게 천공하여 앵커공에 삽입되는 정착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깊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한 앵커공의 작업시간의 증대와 정착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앞선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앵커 인장을 위한 선행작업으로 앵커공 내에 앵커의 내하체 즉 정착장이 지반에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 시멘트 밀크 그라우팅, 레진, 선단정착 앵커를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그라우팅, 레진은 양생시간이 일정시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앵커공 내부의 지반변형이 진행중이거나 용수가 있는 경우 인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선단정착앵커의 경우 그라우팅 주입 전에 곧바로 인장을 수행하게 되면 지압정착되는 선단정착부의 버팀응력이 작아 인장시 앵커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요 인장응력을 얻기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인장선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강선고정부와 그라우트 주입압력에 의해 확장 전개되는 정착헤드부로 각기 구성하여 상기 정착헤드부가 강선고정부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하되, 정착헤드부는 그라우트 주입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의 가압에 의해 확장 전개되게 한 복수 개의 앵커날개로 구성함에 따라,
앵커공이 내측으로 선단정착앵커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우트를 주입하게 되면 앵커날개가 확장 전개되면서 앵커공 내벽에 견고하게 박혀 고정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앵커날개의 정착 상태에서 그라우트가 배출되면서 정착헤드부의 주변 및 앵커공 내부로 그라우트가 배출 및 충전되도록 함에 따라 정착헤드부의 정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더욱 고품질의 영구앵커 공법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구앵커 공법에서의 인장재가 고정되기 위한 강선고정부와, 상기 강선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앵커공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헤드부로 각기 구성하여 이들 강선고정부와 정착헤드부가 앵커공 내측 선단부에서 그라우트에 의해 정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정착헤드부는, 강선고정부와 연결 결합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선단에 고정 형성되는 가압통체와; 상기 가압통체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유동체와; 상기 지지로드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유동체의 하단에 면접되게 한 앵커날개로 구성되어, 가압통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충전압력에 의해 유동체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앵커날개가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공된 앵커공 내에 선단정착앵커를 근입하는 과정에서 앵커공의 깊이가 부족한 경우 앵커공 내면과 선단정착앵커 간의 간섭없이 즉시 인출이 가능하므로 재천공 작업을 수행한 후 재차 근입할 수 있어 작업 보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근입된 상태의 선단정착앵커는 그라우트의 토출압력에 의해 앵커날개가 확장 및 전개되면서 앵커공 내벽에 견고하게 박혀 고정되므로 선단정착앵커의 고정력 및 그라우트에 의한 정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영구앵커에 의한 주변부의 보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앵커공 선단의 그라우트에 대한 공극이나 절리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고품질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구앵커 공법에 대한 전체 개략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전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에 인장재를 결합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를 인장재와 함께 앵커공에 근입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에 의한 공정 확대도로서, 그라우트가 주입되기 시작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에 의한 공정 확대도로서, 그라우트 주입으로 인해 앵커날개가 확장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에 의한 공정 확대도로서, 그라우트의 계속 주입으로 인해 앵커공 내부에 그라우트가 충전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 및 주변부에 그라우트가 충전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를 암반 전용으로 구성한 상태의 전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단정착앵커는, 케이블로 된 인장재(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강선고정부(10)와, 상기 강선고정부(10)의 하측에 연결 및 결합되는 정착헤드부(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강선고정부(10) 및 정착헤드부(20)가 인장재(110)와 함께 앵커공(100)의 내측 선단부로 깊숙이 근입된 상태에서 앵커공(100) 내부로 주입되는 시멘트 밀크 그라우트에 의해 상기 정착헤드부(20)가 앵커공(100) 내부에서 정착됨에 따라 인장재(110)에 대한 인장을 통해 경사면부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강선고정부(10)는 사방으로 끼움홈(11)(11')이 형성된 안내부(12)(12')가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하측 안내부(12')의 저면으로는 단일의 인장재(110)가 감싸 회전 및 절곡될 수 있도록 한 권회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권회부(14)의 측면에는 권회부(14)를 관통하는 결합공(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정착헤드부(20)는 선단에 결합편(21)이 돌출 형성된 지지로드(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로드(30)에는 하향 개방의 가압통체(40)가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통체(40)의 내측에는 별도의 유동체(5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유동체(50)의 하측에는 지지로드(30)의 힌지결합부(31)에 결합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앵커날개(60)(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지지로드(30)의 선단에는 결합편(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편(21)을 강선고정부(10)의 권회부(13)에 형성된 결합공(14)으로 밀착시켜 별도의 고정핀(22)을 통해 이들 강선고정부(10)와 정착헤드부(20)를 서로 연결 및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로드(3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31)에는 앵커날개(60)(60')를 각기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시킴에 따라 이들 앵커날개(60)(60')는 지지로드(30)로부터 외향 확장 형태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가압통체(40)는 하향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고 있는 것이고, 가압통체(40)의 상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한 관연결공(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연결공(42)으로 별도의 그라우트 주입관(41)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가압통체(40)의 상면 일측에는 상,하 절취홈(43)에 의한 원형의 절취판(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가압통체(40)의 내면 하측으로는 요홈 형태로 된 배출홈부(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체(50)는 가압통체(40)의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어 유동체(5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인데, 상기 가압통체(40)의 내부 공간은 유동체(50)의 삽입에 따라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가압통체(4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유동체(50)가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앵커날개(60)(60')는 일측에 상기의 유동체(50)와 경사상으로 면접되어 있고 앵커날개(60)(60')의 타측에는 경사면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앵커날개(60)(60')의 외측면부에는 뾰족한 형태의 첨단부(62)(62')가 단일 또는 복수의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강선고정부(10)의 하측에 지지로드(30) 및 가압통체(40)와 유동체(50) 및 앵커날개(60)(60')에 의한 정착헤드부(20)를 결합 형성한 상태에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강선고정부(10)를 이용하여 인장재(110)를 결속 고정한 후 이를 앵커공(100)의 내부로 근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강선고정부(10)에 대한 인장재(110)의 결속 고정 방법은 강선고정부(10)의 안내부(12)(12')에 형성된 끼움홈(11)(11')으로 각각의 인장재(110)를 밀착 시킨 후 별도로 구비되는 금속밴드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동시에 견고하게 가압 고정시키면 되는 것인데, 이들 인장재(110) 중 하나의 인장재는 하측의 권회부(13)를 따라 "U"자 형태로 절곡되어 결속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권회부(13)를 감싸도 있는 인장재(110)에 의해 강선고정부(10)와 인장재(110) 간의 결속 고정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선단정착앵커를 도 6의 도시와 같이 미리 천공해 둔 앵커공(100)의 내측으로 근입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앵커공(100)의 내경은 인장재(100)를 포함하고 있는 선단정착앵커의 외경보다 크게 천공될 것이므로 상호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자유 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선단정착앵커의 근입과정에서 앵커공(100)의 천공 깊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선단정착앵커를 다시 인출한 후 앵커공(100)에 대한 재천공 작업이 필요한 것인데 기존의 선단정착앵커는 상기의 인출 과정에서 앵커공(100)의 내벽과 간섭이 심하게 발생하여 인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인출 자체가 아예 불가능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앵커공(100)의 재천공 또는 보정 작업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앵커공(100)의 천공 및 선단정착앵커의 근입과 인출 및 재천공 등의 과정을 통해 앵커공(100)의 내측 선단에 선단정착앵커가 근입되면 정착헤드부(20)의 가압통체(40)에 연결되어 있는 그라우트 주입관(41)을 통해 도 7의 도시와 같이 가압통체(40)의 내부로 그라우트를 주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통체(40)의 내부로 그라우트가 들어차게 됨에 따라 그라우트의 압력으로 인해 유동체(50)는 점차 가압통체(40)의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이고, 유동체(50)가 앵커날개(60)(60') 방향으로 밀려나감과 동시에 유동체(50)과 경사상으로 간섭되어 있는 앵커날개(60)(6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확장 전개되면서 앵커날개(60)(60')의 첨단부(62)(62')에 의해 앵커공(100)의 내면을 파고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앵커날개(60)(60')는 외향 회전을 통해 전개되는 과정에서 앵커날개(60)(6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부(61)가 지지로드(30)와 면접되면서 회전 억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유동체(50)의 배출로 인해 가압통체(40)의 내면에 형성된 배출홈부(45)가 가압통체(45)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배출홈부(45)를 통해 가압통체(40) 내부의 그라우트가 가압통체(4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고, 이렇게 배출되는 그라우트는 앵커날개(60)(60')의 주변 및 앵커공(100)의 깊숙한 선단 내부로 가득 들어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가압통체(40)의 내부 및 앵커날개(60)(60')를 포함한 앵커공(100)의 내측 선단에 그라우트가 가득 들어차게 되면 해당 공간에 대한 압력이 상승될 것이고 이와 같은 상승 압력은 가압통체(40) 내부에도 작용할 것이므로 이러한 압력은 가압통체(40)의 절취판(44)에도 작용하게 되면서 절취홈(43) 부분에서의 단면 파단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절취판(44)이 가압통체(40)의 외측으로 순간적인 파단을 통해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절취판(44)이 가압통체(40)로부터 분리되면서 절취판(44)이 위치하고 있던 가압통체(40)의 상부에는 자연스럽게 구멍이 형성되면서 이를 통해 내부의 그라우트가 강선고정부(10)를 향하여 배출 및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정착헤드부(20)에서의 긴밀한 그라우트 주입 상태가 이루어지고 강선고정부(10)에서의 그라우트 주입이 완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그라우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도 10의 도시와 같이 그라우트에 의해 앵커공(100) 내에서 강선고정부(10)와 정착헤드부(20)가 견고하게 정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정착헤드부(20)에서의 앵커날개(60)(60')는 외향 확장된 상태로 앵커공(100)의 내벽을 파고든 상태에서 그라우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인장재(110)에 강력한 인장력이 부여되더라도 정착구간에서의 정착 고정성의 측면에서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단정착앵커는 토사층인 경우 앵커날개(60)(60')의 외측면에 다수의 첨단부(62)(62')를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인데 반하여 암반층인 경우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앵커날개(60)(60')의 외측면에 치형부(63)(63')를 연속하여 형성함에 따라 앵커날개(60)(60')가 외향 확장되면 상기 치형부(63)(63')가 암반으로 된 앵커공(100)의 내면에 강력하게 간섭 및 저항하며 정착헤드부(40)에 대한 되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단정착앵커는 앵커공(100)의 천공 깊이를 보정하고자 하는 경우 근입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인발한 후 다시 근입시킬 수 있는 것이고, 그라우트의 주입 압력에 의해 앵커날개(60)(60')가 사방으로 회전을 통해 확장 전개되는 동시에 앵커날개(60)(60')가 토사층 또는 암반으로 된 앵커공(100)의 내측 선단에 강력하게 박히며 고정되므로 선단정착앵커의 정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며, 그라우트는 앵커공(100)의 내부 깊숙한 곳과 정착헤드부(20)의 주변부 및 강선고정부(10)까지 긴밀하게 채워지면서 양생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선단정착앵커의 정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면서 영구앵커를 이용한 사면 보강 등이 공사가 더욱 고품질로 시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강선고정부 11,11' : 끼움홈
12,12' : 안내부 13 : 권회부
14 : 결합공
20 : 정착헤드부 21 : 결합편
22 : 고정핀
30 : 지지로드 31 : 힌지결합부
40 : 가압통체 41 : 그라우트 주입관
42 : 관연결공 43 : 절취홈
44 : 절취판 45 : 배출홈부
50 : 유동체
60,60' : 앵커날개 61 : 경사면부
62,62' : 첨단부 63,63' : 치형부
100 : 앵커공
110 : 인장재

Claims (9)

  1. 영구앵커 공법에서의 인장재(110)가 고정되기 위한 강선고정부(10)와 상기 강선고정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앵커공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헤드부(20)로 각기 구성하여 이들 강선고정부(10)와 정착헤드부(20)가 앵커공(100) 내측 선단부에서 그라우트에 의해 정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강선고정부(10)는 외측에 방사상으로 끼움홈(11)(11')이 형성된 상,하의 안내부(12)(12')가 형성되고 하측 안내부(12')에는 상기 끼움홈(11)(11')으로부터 연장된 권회부(13)가 하향 돌출되게 구성하여 상기 끼움홈(11)(11')을 통해 인장재(110)의 삽입 및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권회부(13)에 의해서는 단일의 인장재(110)가 권회부(13)를 경유하여 절곡 상태로 결속되게 하며 하측에 결합공(14)을 형성하고, 상기 정착헤드부(20)는 가압통체(40)와 유동체(50)와 앵커날개(60)(60')로 구성되어 가압통체(40)의 내부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충전압력에 의해 유동체(50)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앵커날개(60)(60')가 외측으로 확장 전개되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에 있어서,
    상기 강선고정부(10)와 정착헤드부(20)가 결합편과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진 지지로드(30)에 의해 연결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로드의 결합편과 강선고정부의 결합공에 고정핀을 체결하는 것으로 지지로드(30)와 강선고정부(1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힌지결합부(31)를 통해 앵커날개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압통체(40)가 지지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유동체(50)는 가압통체 내부로 위치하여 지지로드에 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가압통체(40)의 내면 하측에는 배출홈부(45)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압통체(40)의 내부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유동체(50)가 밀려나면 배출홈부(45)가 가압통체(40)의 내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배출홈부(45)를 통해 가압통체(40) 내부의 그라우트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통체(40)의 상면에는 그라우트 주입관(41)이 나사 연결되게 한 관연결공(42)과, 절취홈(43)에 의한 절취판(44)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판(44)은 가압통체(40)의 내부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절취홈(43)이 파단되며 가압통체(40)의 외측으로 분리 제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날개(60)(60')는 일측이 유동체(50)에 경사상으로 밀착되게 하고 앵커날개(60)(60')의 타측에는 경사면부(61)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체(50)의 이동에 따라 앵커날개(60)(60')가 지지로드(30)로부터 외향 회전을 통해 확장 전개되게 하고 앵커날개(60)(60')의 확장 전개시 경사면부(61)와 지지로드(30)의 간섭에 의해 확장 전개각이 제한되도록 하며, 외측면부에 앵커공(100)의 토사층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첨단부(62)(62') 또는 앵커공(100)의 암반층과 맞물려 계지되도록 한 치형부(63)(63')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20631A 2015-08-27 2015-08-27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KR10160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1A KR101605028B1 (ko) 2015-08-27 2015-08-27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PCT/KR2016/007360 WO2017034152A1 (ko) 2015-08-27 2016-07-07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CN201610607442.1A CN106498944A (zh) 2015-08-27 2016-07-27 结构得到改善的永久锚固施工方法用前端锚固锚
EP16181767.1A EP3135821B1 (en) 2015-08-27 2016-07-28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TR2018/07752T TR201807752T4 (tr) 2015-08-27 2016-07-28 Kalıcı ankraj yapıs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1A KR101605028B1 (ko) 2015-08-27 2015-08-27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28B1 true KR101605028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31A KR101605028B1 (ko) 2015-08-27 2015-08-27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35821B1 (ko)
KR (1) KR101605028B1 (ko)
CN (1) CN106498944A (ko)
TR (1) TR201807752T4 (ko)
WO (1) WO201703415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9929A (zh) * 2022-09-22 2022-11-2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后浇抗浮锚杆施工方法
CN115450223A (zh) * 2022-09-02 2022-12-09 华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软土地区基坑注浆钢管的前撑支护
CN117449331A (zh) * 2023-12-25 2024-01-26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锚索框格梁边坡支护装置及其支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977A (zh) * 2017-12-07 2018-11-06 杭州富阳鸿祥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安全锚杆
CN112343638A (zh) * 2020-12-04 2021-02-09 东华理工大学 一种可注浆带翼型定位锚杆
CN113481982A (zh) * 2021-05-31 2021-10-08 卞婷玉 一种建筑工程用边坡加固锚杆
CN114318962A (zh) * 2021-12-23 2022-04-12 山东鲁道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铁路岔区线路加固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11B1 (ko) * 2012-03-05 2013-04-17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확장형 앵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60A (zh) * 1992-03-26 1993-09-29 卢锡焕 上仰预拉力岩锚封闭式灌浆施工法
JPH0931976A (ja) * 1995-07-19 1997-02-04 V S L Japan Kk 除去アンカーの耐荷体
CN1162589C (zh) * 2002-12-12 2004-08-18 上海交通大学 船锚式注浆张开型土锚锚头
KR100704774B1 (ko) * 2007-01-08 2007-04-09 박이근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앵커
KR100998587B1 (ko) 2008-04-28 2010-12-07 (주)서림건설 영구앵커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KR101265226B1 (ko) * 2011-04-01 2013-05-24 김성례 압착콘을 간격재로 이용한 강관네일과 이의 시공방법
KR101260966B1 (ko) * 2011-04-13 2013-05-06 김용만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CN204311454U (zh) * 2014-12-16 2015-05-06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基础施工的桩端注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11B1 (ko) * 2012-03-05 2013-04-17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확장형 앵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223A (zh) * 2022-09-02 2022-12-09 华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软土地区基坑注浆钢管的前撑支护
CN115369929A (zh) * 2022-09-22 2022-11-2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后浇抗浮锚杆施工方法
CN117449331A (zh) * 2023-12-25 2024-01-26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锚索框格梁边坡支护装置及其支护方法
CN117449331B (zh) * 2023-12-25 2024-03-12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锚索框格梁边坡支护装置及其支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5821A1 (en) 2017-03-01
TR201807752T4 (tr) 2018-06-21
CN106498944A (zh) 2017-03-15
WO2017034152A1 (ko) 2017-03-02
EP3135821B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028B1 (ko)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KR100749012B1 (ko)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KR100950593B1 (ko) 이중 확장형 지압식 영구 앵커 시공 방법
KR100598024B1 (ko) 쐐기식 앵커
KR100847358B1 (ko) 압축형 영구 앵커
KR101353882B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KR101750273B1 (ko) 터널 굴착면 보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 방법
KR101584054B1 (ko) 압축과 인장력을 받는 복합형 프리텐션용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KR101736292B1 (ko) 자유장부 보강이 가능한 주름관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934274B1 (ko) 지압식 소일 네일 및 이 시공방법
KR101393727B1 (ko) 기계적 반발력을 이용한 선단 정착형 영구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KR101236765B1 (ko) 말뚝이나 인장부재의 지지력 확대를 위해 천공확장부에 접합채움재를 타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041362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영구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023477B1 (ko) 압력그라우팅 쏘일 네일 구조
KR100797800B1 (ko)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
KR100746879B1 (ko) 지압식 영구 앵커
KR100680113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쐐기식 지압형 앵커
KR100858736B1 (ko) 무패커 쐐기식 지압 앵커 시공방법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100871467B1 (ko) 지압형 앵커 및 이 시공방법
KR101547320B1 (ko) 나선형 패커 확장구조를 갖는 영구앵커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0895770B1 (ko) 지반붕괴방지보강조립체용 내하체겸 전단보강조립체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WO2016208990A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1158512B1 (ko) 압축형 강봉 영구 앵커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