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450A -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450A
KR20180138450A KR1020170078681A KR20170078681A KR20180138450A KR 20180138450 A KR20180138450 A KR 20180138450A KR 1020170078681 A KR1020170078681 A KR 1020170078681A KR 20170078681 A KR20170078681 A KR 20170078681A KR 20180138450 A KR20180138450 A KR 20180138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cold wat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환
최인식
강태경
오동민
정한영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450A/ko
Publication of KR2018013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정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살균하는 살균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헹궈주는 헹굼 단계; 및 상기 정수 탱크 및 상기 냉수 탱크에 정수를 다시 공급하는 재정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WATER PURIFIER HAVING ICE MANUFACTURING FUNCTION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정수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정수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얼음을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침지식 제빙 방식, 분사식 제빙 방식, 유수식 제빙 방식, 오거식 제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여기서, 오거식 제빙 방식은 물이 유동하는 유동 공간의 주위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유동 공간의 내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스크류가 유동 공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유동 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한편, 정수기에 구비되어 정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는 탱크,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정수 또는 냉수가 흐르는 통로인 유로, 그리고 정수 또는 냉수를 추출하는 파우셋 등은 세균이나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살균수를 이용하여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정수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는 각 부품에 대해서 별도로 살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고, 특히 오거 모듈에 대해 살균을 수행하는 정수기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저장탱크, 오거모듈, 유로 및 파우셋에 대해 보다 편리하게 살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는,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공급부; 정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제공된 정수를 냉각하여 생성된 냉수 및 얼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냉수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냉수 및 얼음 탱크; 오거식 제빙 방식에 의해 상기 냉수 및 얼음 저장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얼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추출부; 살균 동작 미수행시에는 상기 추출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살균 동작 수행시에는 상기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정수 유로 및 냉수 유로를 통해 추출되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살균 트레이; 상기 살균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트레이로부터 흘러나오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보조탱크;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 상기 오거 모듈 및 상기 보조 탱크로부터 드레인으로 배수되는 배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배수되는 물 또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 및 살균 기능이 개시되면, 상기 살균 트레이를 상기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 유로,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 및 상기 냉수 유로, 상기 오거 모듈, 및 상기 추출부 순으로 살균 및 세척한 후, 상기 살균 트레이를 상기 추출부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정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살균하는 살균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헹궈주는 헹굼 단계; 및 상기 정수 탱크 및 상기 냉수 탱크에 정수를 다시 공급하는 재정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저장탱크, 오거모듈, 유로 및 파우셋에 대해 한번에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거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1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32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S33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S34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100)는 필터부(110), 살균수 공급부(115), 정수 탱크(120), 냉수 및 얼음 탱크(130), 오거 모듈(140), 냉각기(145), 추출부(150), 살균 트레이(155), 보조탱크(160), 배수탱크(170), 제어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10)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원수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와, 역삼투막 필터와,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기(100)의 여과방식 또는 정수기(100)에 요구되는 여과 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막 필터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포스트 카본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술한 필터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마이크로 필터(MF)나 다른 기능성 필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살균수 공급부(115)는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 등의 살균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수 공급부(115)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물속에 잔류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를 통한 정수의 살균은 양극에서 미생물을 직접 산화시키는 직접산화반응과, 양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산화성 혼합물질(MO:Mixed Oxidant), 예를 들면 잔류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이 미생물을 산화시키게 되는 간접산화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살균수 공급부(115)의 전단에는 살균수 공급부(115)로의 정수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 탱크(120)는 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 탱크(120)에 저장된 정수는 제1 유로전환 밸브(SV1)를 통해 파우셋 등의 추출부(150)로 추출되거나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전환 밸브(SV1)는 정수 탱크(120) 및 냉수 및 얼음 탱크(130)와 추출부(150)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구비되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전환 밸브(SV1)는 2웨이 밸브로 구현되어, 정수 탱크(120)에 저장된 정수가 추출부(150)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정수 탱크(120)에 저장된 정수가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제공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정수 탱크(12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가 직수식으로 추출부(150)로 추출되거나,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제공될 수 있다.
냉수 및 얼음 탱크(130)는 정수 탱크(120)로부터 제공되고 후술하는 오거 모듈(140)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냉수 또는 얼음을 저장하며 저장된 냉수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냉수 및 얼음 탱크(130)는 내부에 구비된 격벽(미도시)에 의해 냉수를 저장하는 제1 저장 공간과 얼음을 저장하는 제2 저장 공간으로 구획되어 냉수 및 얼음을 각각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 탱크(120)로부터 제공된 정수는 제1 저장 공간으로 유입된 후, 후술하는 오거 모듈(140)로 제공되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오거 모듈(140)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냉수는 다시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제공되어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오거 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얼음은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제공되어 제2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및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가 반드시 하나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냉수 탱크 및 얼음 탱크가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1 저장 공간과 오거 모듈(140)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제1 펌프(P1) 및 제2 유로전환 밸브(SV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펌프(P1)는 예를 들어 모터로 구현되어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된 냉수가 오거 모듈(14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전환 밸브(SV2)는 예를 들어 2웨이 밸브로 구현되어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된 냉수가 추출부(150)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오거 모듈(140)로 제공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2 저장 공간에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추출부(150)를 통해 추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거 모듈(140)은 오거식 제빙 방식에 의해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부터 제공된 냉수(또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거 모듈의 상세 구성도로서, 오거 모듈(140)은 냉각부(142), 유동부(144), 분리이송부(146) 및 모터(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부(142)는 오거 모듈(140)의 외곽을 구성하며 냉각부(142)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냉각기(145)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4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유동부(144)는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부터 제공된 냉수를 수용하여 유동하도록 한다. 냉각부(142)에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유동부(144)에서 유동하는 냉수가 더욱 냉각되고, 냉각부(142)와 접하는 면에는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 펌프(P1)의 구동 여부에 따라 유동부(144)를 유동하는 냉수의 유속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펌프(P1)가 구동되면 유속이 빨라지고 이에 따라 유동부(144)에서 얼음이 생성되지 않거나 비교적 적은 양의 얼음만이 생성될 수 있다. 반면, 제1 펌프(P1)가 구동되지 않으면 유속이 느려지고 이에 따라 얼음이 충분히 생성될 수 있다.
분리이송부(146)는 예를 들어 유동부(144)에서 회전하는 스크류로 구현되어 냉각부(142)와 접하는 면에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냉수 및 얼음 탱크(130)로 배출할 수 있다.
모터(148)는 구동하여 분리이송부(14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오거 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냉수는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1 저장 공간으로 제공되고, 오거 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얼음은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2 저장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냉각기(145)는 오거 모듈(140)의 냉각부(142)로 냉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에서 열을 방출시켜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출부(150)는 정수 탱크(120)에 저장된 정수, 냉수 및 얼음 탱크(130)의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된 냉수 및 제2 저장 공간에 저장된 얼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정수 및 냉수를 추출하기 위한 파우셋과 얼음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구로 구현될 수 있다.
살균 트레이(155)는 정수기(100)의 살균 동작 수행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추출부(150), 즉 파우셋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정수 유로 및 냉수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살균수를 저장함으로써 파우셋의 살균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살균 트레이(155)는 살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즉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가능한 동안에는 추출부(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추출부(15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살균 기능이 개시되면, 살균 트레이(15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추출부(150)를 덮을 수 있도록 추출부(150)의 하단으로 이동(예를 들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보조탱크(160)는 살균 트레이(155)와 연결되어 살균 트레이(155)로부터 흘러나오는 살균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탱크(170)는 냉수 및 얼음 탱크(130), 오거 모듈(140) 및 보조 탱크(160)로부터 드레인으로 배수되는 배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냉수 및 얼음 탱크(130), 오거 모듈(140) 및 보조 탱크(160)로부터 배수되는 물 또는 살균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수 유로상, 예를 들어 배수탱크(170)의 후단에는 제2 펌프(P2)가 설치되어 배수탱크(170)에 저장된 물이 드레인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펌프(P2)는 예를 들어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거 모듈(140) 및 보조탱크(160)로부터 배수탱크(170)로 연결되는 배수 유로 상에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배수 유로의 개폐하기 위한 밸브(V1, V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탱크(170)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레벨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위 센서(S1, S2)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센서는 배수탱크(170)에 저장된 물의 하한 레벨, 즉 배수탱크(170)의 배수가 중단되는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S2)와, 물의 상한 레벨, 즉 배수탱크(170)의 배수가 개시되는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 센서(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정수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정수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여 정수탱크(120) 및 정수 유로, 냉수 및 얼음 탱크(130) 및 냉수 유로, 오거 모듈(140), 그리고 추출부(150)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살균 기능이 개시되면, 우선 살균 트레이(155)를 살균 위치, 즉 추출부(150)를 덮도록 추출부(150)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정수탱크(120) 및 정수 유로, 냉수 및 얼음 탱크(130) 및 냉수 유로, 오거 모듈(140), 그리고 추출부(150) 순으로 살균 및 세척한 후, 살균 트레이(155)를 추출 위치, 즉, 추출부(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추출부(150)의 일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가 살균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정수기(100)의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LED,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90)는 제어부(180)에 의해 살균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 정수기 내부 유로 구조와 함께 살균 진행 과정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1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32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S33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S340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과정은 크게 탱크 배수 단계(S310), 살균 단계(S320), 헹굼 단계(S330) 및 재정수 단계(S340)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우선, 탱크 배수 단계(S31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의 일 측에 위치한 살균 트레이를 살균 위치, 즉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한 후(S311),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줄 수 있다(S312).
이후, 정수기 내로 물의 공급을 중단, 즉 단수를 확인한 후(S313), 냉수 탱크 및 정수 탱크 순으로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비워줄 수 있다(S314, S315).
이후, 살균 단계(S32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탱크 내로 살균수를 투입하여 정수 탱크 내를 살균하고(S321), 정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는 정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정수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S322). 이 경우, 정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살균수는 파우셋을 통해 추출되면서 파우셋을 살균하고 살균 트레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줄 수 있다(S323).
한편, 정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는 냉수 탱크로 유입되어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하고(S324),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는 냉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수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S325). 이 경우, 냉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살균수는 파우셋을 통해 추출되면서 파우셋을 살균하고 살균 트레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는 오거 모듈로 유입되어 오거 모듈 내를 살균할 수 있다(S326). 이를 위해, 냉수 탱크와 오거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제1 펌프를 짧은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작시켜줄 수 있다.
한편, 정수 유로 및 냉수 유로의 살균시(S322, S325), 많은 양의 살균수가 추출부를 통해 살균 트레이로 유입되므로 살균 트레이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살균 동작 수행 중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살균 단계(S320)에서는 보조탱크와 배수탱크를 연결하는 배수 유로 상에 설치된 제2 밸브를 열어서 살균 트레이로 유입되는 살균수가 항시 배수탱크로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헹굼 단계(S33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준 후(S331), 냉수 탱크에 남아 있는 살균수를 배수 탱크로 배수할 수 있다(S332).
이후, 정수 탱크에 물(세척수)을 채워서 정수 탱크 내부를 헹궈주고(S333), 정수 탱크 내를 헹궈준 세척수의 일부는 정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정수 유로를 헹궈줄 수 있다(S334). 이 경우, 정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척수는 파우셋을 통해 추출되면서 파우셋을 헹궈주고 살균 트레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줄 수 있다(S335).
한편, 정수 탱크 내를 헹궈준 세척수의 일부를 냉수 탱크로 흘려주어 냉수 탱크에 물을 채워서 냉수 탱크 내부를 헹궈주고(S336), 냉수 탱크 내를 헹궈준 세척수의 일부는 냉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수 유로를 헹궈준 후(S337),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줄 수 있다(S338). 이 경우, 냉수 탱크 입수 시에 냉수 탱크의 배수와 배수 탱크의 배수를 동시에 진행하여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의 용량 차이로 인한 누수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 내를 헹궈준 세척수의 일부는 오거 모듈로 유입되어 오거 모듈 내를 헹궈줄 수 있다(S339). 이를 위해, 냉수 탱크와 오거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제1 펌프를 짧은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작시켜줄 수 있다.
이후, 정수 탱크 및 냉수 탱크에 남아있는 세척수를 비워줄 수 있다(S339')
마지막으로, 재정수 단계(S34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탱크에 물(정수)을 채우고(S341),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의 일부를 냉수 탱크로 흘려주어 냉수 탱크에 물을 채운 후(S342), 정수 냉크에 물을 추가로 채워줄 수 있다(S343). 이후, 제1 펌프의 에어를 제거한 후(S344), 살균 트레이를 원 위치, 즉 추출부의 일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345).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정수기
110: 필터부
115: 살균수 공급부
120: 정수 탱크
130: 냉수 및 얼음 탱크
140: 오거 모듈
145: 냉각기
150: 추출부
155: 살균 트레이
160: 보조탱크
170: 배수탱크
180: 제어부
19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정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살균하는 살균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및 정수 유로, 상기 냉수 탱크 및 냉수 유로, 및 오거모듈 순으로 헹궈주는 헹굼 단계; 및
    상기 정수 탱크 및 상기 냉수 탱크에 정수를 다시 공급하는 재정수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단계는,
    상기 정수기에 구비된 추출부의 일 측에 위치한 살균 트레이를 상기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주는 단계;
    상기 정수기 내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냉수를 비워주는 단계; 및
    상기 정수 탱크 내에 저장된 정수를 비워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단계는,
    상기 정수 탱크 내로 살균수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정수 유로를 따라 흐려서 상기 정수 유로를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주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냉수 탱크로 유입시켜 상기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하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냉수 유로를 따라 흐려서 상기 냉수 유로를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냉수 탱크 내를 살균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오거 모듈로 유입시켜 상기 오거 모듈 내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모듈 내를 살균하는 단계는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오거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펌프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키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단계는,
    상기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주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에 세척수를 채우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내를 세척한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정수 유로를 따라 흐려서 상기 정수 유로를 헹구는 단계;
    상기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주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 내를 세척한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냉수 탱크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 내를 세척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냉수 유로를 따라 흐려서 상기 냉수 유로를 헹구는 단계;
    상기 살균 트레이 내의 물을 비워주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 내를 세척한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오거 모듈로 유입시켜 상기 오거 모듈 내를 헹구는 단계; 및
    상기 정수 탱크 및 상기 냉수 탱크에 남아있는 세척수를 비워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수 단계는,
    상기 정수 탱크에 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물의 일부를 상기 냉수 탱크로 흘려주어 상기 냉수 탱크에 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정수 탱크에 추가로 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오거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펌프의 에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트레이를 추출부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7.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공급부;
    정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제공된 정수를 냉각하여 생성된 냉수 및 얼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냉수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냉수 및 얼음 탱크;
    오거식 제빙 방식에 의해 상기 냉수 및 얼음 저장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 및 얼음을 생성하는 오거 모듈;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얼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추출부;
    살균 동작 미수행시에는 상기 추출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살균 동작 수행시에는 상기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정수 유로 및 냉수 유로를 통해 추출되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살균 트레이;
    상기 살균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트레이로부터 흘러나오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보조탱크;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 상기 오거 모듈 및 상기 보조 탱크로부터 드레인으로 배수되는 배수 유로 상에 구비되어, 배수되는 물 또는 살균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 및
    살균 기능이 개시되면, 상기 살균 트레이를 상기 추출부의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 유로, 상기 냉수 및 얼음 탱크 및 상기 냉수 유로, 상기 오거 모듈, 및 상기 추출부 순으로 살균 및 세척한 후, 상기 살균 트레이를 상기 추출부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살균 동작 수행시에 살균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KR1020170078681A 2017-06-21 2017-06-21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KR20180138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81A KR20180138450A (ko) 2017-06-21 2017-06-21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81A KR20180138450A (ko) 2017-06-21 2017-06-21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50A true KR20180138450A (ko) 2018-12-31

Family

ID=6495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81A KR20180138450A (ko) 2017-06-21 2017-06-21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07A1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207A1 (ko)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897564B1 (ko) 다수의 탱크를 구비한 수처리기의 살균 방법
KR20180138450A (ko)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살균 방법
KR101856982B1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10187621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738066B1 (ko)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70074641A (ko) 수처리장치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70087842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69621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5294A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6894A (ko) 정수기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20170079100A (ko) 수처리장치
ES2871798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agua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descarga de agua de esterilización
KR10135127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80138032A (ko)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배수 방법
KR101849077B1 (ko)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