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62A - Micro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Micro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62A
KR20180138362A KR1020170078490A KR20170078490A KR20180138362A KR 20180138362 A KR20180138362 A KR 20180138362A KR 1020170078490 A KR1020170078490 A KR 1020170078490A KR 20170078490 A KR20170078490 A KR 20170078490A KR 20180138362 A KR20180138362 A KR 2018013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bble
bubbles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6893B1 (en
Inventor
황재구
황성현
황주현
Original Assignee
황재구
황주현
황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구, 황주현, 황성현 filed Critical 황재구
Priority to KR102017007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93B1/en
Publication of KR2018013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tubes, tubular elements, cylindrical elements or set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B01F3/04836
    • B01F2003/04319
    • B01F2003/04858
    • B01F2003/0487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or. The micro bubble generator comprises: a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a constant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 bubble generation pipe for receiving pressurized water from the pressurizing pump and allowing air to be absorbed in the water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a bubble grinding tank in which the bubble generation pipe is mounted to allow the water containing bubbles to flow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inely pulverizes th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on pipe; and a bubble grinding nozz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ubble grinding tank for finely pulverizing the micro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bubble grinding tank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ing micro bubbles.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Micro bubble genera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를 가압펌프로 가압하고, 버블 발생관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아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로 생성하고 버블 분쇄탱크에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한 후, 버블 분쇄노즐에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을 토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apparatus that pressurizes a constant with a pressurizing pump, receives pressurized constant water from a bubble generating tube, generates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Bubbles generated by the microbubbles can be further finely pulverized by the bubble pulverizing nozzle to discharge a rich microbubble.

마이크로버블은 몇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 거품으로, 인체에서 접촉시 세정작용, 피부 미용 작용, 온열 작용, 마사지 작용, 음이온 작용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Microbubbles are invisible air bubbles that are several micrometers in size and have excellent effects such as cleaning action, skin cosmetic action, thermal action, massage action, and anion action upo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은 부력이 작아서 수중에서 유영하듯 부유하며 부력에 대한 저항이 커서 수중에 장시간 유영하게 된다.These microbubbles float in the water as they float in the water because of their small buoyancy, and they have a large resistance to buoyancy and float in the water for a long time.

그러므로, 마이크로버블에는 대전작용이나 자기가압효과 등의 특성에 의해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refore, micro bubbl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due to characteristics such as charging action and magnetic pressure effect.

예컨대, 세탁기의 경우,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탁조에서 버블을 이용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bubbles are used in a washing machine to improve washing power.

그리고, 반도체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의 경우, 그 세정 공정이나 식각 공정 및 스트립 공정 등에서 버블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semiconductor or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es, bubbles are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the etching process, and the strip process.

또한, 욕실 등에서 목욕시 버블을 이용하면, 특별한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등에 마시지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욕실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bubbles are used for bathing in bathrooms,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time without special tools, and it is also used in bathrooms and the like because it can bring about a massage effect on skin and the lik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914호(특허문헌 1)에는 기포가 포함된 공급수를 공급받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발생실이 구비된 몸체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발생실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며 공급수의 진행방향으로 다수의 미세관로가 형성된 발생부재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발생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과,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정역회전하도록 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과 동조하여 회전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5914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body having a generating chamber provided with an inlet for receiving supply water containing bubbles and a discharge outlet for discharging air,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nerating chamber of the body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form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upply water,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body, one end fixed to the genera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drive means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n motor to rotate the rotational shaft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pair of sensing sensors for sensing the operating link when it contacts with the operating lin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is disclosed.

특허문헌 1의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는 별도의 펌프에 의해 기포가 혼합된 공급수가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면, 공급수가 발생실을 경유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실에 구비된 발생부재의 미세관로를 통과하는 중에 기포가 미세하게 분리 및 압축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Patent Document 1, when supply water mixed with bubbles is supplied through an inlet port by a separate pump,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supply water through the discharge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The bubbles are finely separated and compressed and microbubbles are generated.

이와 같이 마이크로버블은 다양한 장점이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에서 보다 풍부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은 필요한 것이다.Since microbubbles have various advantag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generating a rich microbubble in one device.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914호: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5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수를 가압펌프로 가압하고, 버블 발생관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아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로 생성하고 버블 분쇄탱크에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한 후, 버블 분쇄노즐에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을 토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bble generator that pressurizes a constant with a pressurizing pump, And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finely pulverizing fine bubbles in the bubble pulverizing nozzle and discharging a rich micro bubble after finely grinding.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상수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펌프;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 bubble generator comprising: a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a constant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A bubble generating tube for receiving a pressurized constant in the pressurizing pump and allowing air to be absorbed in the constant air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측방향으로 버블을 함유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버블 발생관이 장착되고,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버블 분쇄탱크; 및A bubble grinding tank in which the bubble generating tube is mounted to allow water containing bubbles to flow in a lateral direction and finely pulverizes air bubbles contained in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And

상기 버블 분쇄탱크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ubble grinding nozz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ubble grinding tank for finely pulverizing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bubble grinding tank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micro bubbles.

이때, 상기 버블 분쇄탱크는,At this time, the bubble-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된 버블을 함유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체; 및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water containing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flows upward, a hollow section formed inside and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블 분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two bubble crushing plate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for separating and mixing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ort to crush the bubbles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여기서,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다수의 관통홀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유체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bubble shattering plate may include an inflow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outflow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reg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flow region.

또, 상기 버블 발생관은,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우측에 배치되어 상수가 유입되며 제1내경의 제1물유통로가 형성된 급수부 및 좌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내경 보다 큰 제2내경의 제2물유통로가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제1수평파이프; And a drain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having a first water flow passage with a first inside diameter and formed with a second water flow passag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discharging water and having a second inside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inside diameter A first horizontal pipe;

상기 제1물유통로와 연통되는 제3물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부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정압 증강 구조물; And a third water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ion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and a mountain and a valley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상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3물유통로와 연통되는 제4물유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4물유통로에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이 위치되며,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을 상기 급수부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급수부에 체결되는 제2수평파이프; 및 Where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is provided with a constant water supply passage and communicated with the third water circulation passage,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located 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section, A second horizontal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pipe; And

상기 제1수평파이프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ir supply pip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pipe and supplying air to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passage of the drainage unit.

여기서,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each of the mountains and the valleys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ormed of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

그리고, 상기 제3물유통로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상에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의 산과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id and a valley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re formed on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as a center axis at an angle of 360 °.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서, 상기 버블 분쇄노즐은,Further, in 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노즐파이프; A first nozzle pipe including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a fluid containing fine air bubbles,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inlet, and a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상기 유입구에 대향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 A first plate opposed to the inlet port and inserted into the flow channel, the firs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for passing the fluid;

상기 제1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다수의 제1유통로를 통과한 유체가 충진되는 제1링챔버; A first ring cha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of the first plate being filled;

상기 제1링챔버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링챔버에 충진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2유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 및 A second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ng cha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ssages for passing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are formed; And

상기 제2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즐파이프의 제1유출구와 결합되는 제2노즐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nozzle pip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and is coupled with a first outlet of the first nozzle pipe.

여기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영역 및 유체가 유출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Here, the second flow passage of the second plate is composed of a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a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노즐파이프는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nozzle pipe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상수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펌프;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a constant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A bubble generating tube for receiving a pressurized constant in the pressurizing pump and allowing air to be absorbed in the constant air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버블 분쇄탱크; 및A bubble grinding tank for finely grinding air bubbles contained in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And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유입되는 영역의 내경이 상기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유출되는 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다수의 유통로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흐르는 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 paths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an area where the air containing air bubbles flows out is formed in the bubbling tank, And a bubble grinding nozzle provided on the flow path of the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o further finely crush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bubbling pulverization tank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the micro bubbles .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상수를 버블 발생관으로 유입시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버블 상태를 가지는 물을 생성하고, 버블 분쇄탱크에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고, 버블 분쇄노즐에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pump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to generate water having a bubble state containing air bubbles, fine air bubbles are crushed in the bubble crushing tank, fine bubbl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minute bubbles are further finely pulverized to generate abundant micro bubbles.

본 발명에 의하면, 정압 증강 구조물을 통하여 수압이 증가된 상수를 내경이 작은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로 유통시키고, 제1물유통로에 유통되는 물을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 부압을 발생시켜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에서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되는 물에 공기공급 파이프에서 공급된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서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irculate a constant water whose pressure has increased through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to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and to distribute the water flowing in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to the second water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ter flow path of the drainage section to allow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to be absorbed into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flow path of the water supply section to the second water flow path of the drainage section,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s can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passage in the drainage p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분쇄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정압 증강 구조물에서 산과 골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3실시예의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조립되는 조립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조립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조립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3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rinding tank applied to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crushing plat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crushing plat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acid and a valley in a static pressure build-up structure of a bubble generation pipe applied to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op plan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op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op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n air control valve is assembl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break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13,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breaking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15,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breaking nozz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분쇄탱크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bubble grinding tank applied to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가압펌프(3002), 버블 발생관(3200), 버블 분쇄탱크(3000) 및 버블 분쇄노즐(3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izing pump 3002, a bubble generating tube 3200, a bubble grinding tank 3000, and a bubble grinding nozzle 3700.

가압펌프(3002)는 상수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버블 발생관(3200)으로 공급하고, 버블 발생관(3200)은 가압펌프(3002)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아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한다.The pressurizing pump 3002 pressurizes the constant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supplies it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is supplied with pressurized water from the pressurizing pump 3002 to absorb the air,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s is discharged.

즉, 가압펌프(3002)는 버블 발생관(3200)으로 공급되는 상수의 압력을 높여서 버블 발생관(3200)으로 하여금 공기가 흡수를 원활하게 하도록 하여, 원하는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urizing pump 3002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allow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smoothly absorb the air, thereby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 of the desired air bubble .

버블 분쇄탱크(3000)의 상측에서 버블을 함유한 물이 유입되도록 버블 발생관(3200)이 버블 분쇄탱크(3000)에 장착되고, 버블 분쇄탱크(3000)는 버블 발생관(3200)에서 배출되는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공급받아,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세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을 배출한다.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is mounted on 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so that water containing bubbles is introduced from above 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and 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i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is supplied, and air bubbles are finely ground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fine air bubbles.

버블 분쇄노즐(3700)은 버블 분쇄탱크(3000)의 하부에 장착되며, 버블 분쇄탱크(3000)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한다.The bubble crushing nozzle 37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bble crushing tank 3000 and finely crushes the crushed fine bubbles in the bubbling crushing tank 3000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rich microbubbles.

즉,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가압펌프(3002)에서 가압된 상수를 버블 발생관(3200)에서 공급받아 공기 기포를 함유한 버블 상태를 가지는 물을 생성하고, 버블 분쇄탱크(3000)에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고, 버블 분쇄노즐(3700)에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iz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ressurizing pump 3002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generate water having a bubble state containing air bubbles, Air bubbles are finely pulverized and fine bubbles are finely pulverized in the bubble breaking nozzle 3700 to generate abundant micro bubbles.

도 2를 참조하면, 버블 분쇄탱크(3000)는 버블 발생관(3200)에서 생성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을 유입받는 유입구(3000a)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중공부(3000b)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유출구(3000c)가 형성되어 있는 통체(3100)로 구현한다.2, 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is formed with an inlet port 3000a through which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pipe 3200 flows, and a hollow portion 3000b And a cylindrical body 3100 having an outlet port 3000c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여기서, 통체(3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원통형 통체(3101)에 뚜껑(3102)이 결합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shape of the tubular body 3100 may be variously forme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id 3102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tubular body 3101, as shown in FIG.

그리고, 버블 발생관(3200) 및 버블 분쇄노즐(3700)은 별도의 결합파이프를 통해 유입구(3000a) 및 유출구(3000c)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and the bubble breaking nozzle 3700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port 3000a and the outlet port 3000c through separate coupling pipes.

또, 버블 분쇄탱크(3000)는 중공부(3000c)에 위치되어 유입구(3000a)로 유입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는 다수의 관통홀(3320)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를 포함한다.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which are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3000c to separate and mix th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the air bubbles flowing into the inlet port 3000a to crush the bubbles And at least two bubble crushing plates (33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러므로, 버블 발생관(3200)에서 생성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은 버블 분쇄탱크(3000)의 유입구(3000a)로 공급되어 중공부(3000b)에 위치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로 낙하된다.Therefore,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is supplied to the inlet port 3000a of the bubble disintegration tank 3000 and falls into the bubble disintegration plate 3300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3000b.

낙하된 물은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을 통과하면서 분리 및 혼합되어 공기 기포가 분쇄되고 이렇게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은 유출구(3000c)를 통하여 버블 분쇄노즐(3700)로 빠져나간다.The dropped water is separated and m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so that the air bubbles are crushed and the water containing the crushed fine air bubbles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3000c to the bubble crushing nozzle (3700).

즉,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는 다수의 관통홀(3320)이 형성되어 있어, 버블 발생관(3200)에서 토출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다수의 관통홀(3320)에서 분리하여 통과시킨 후 혼합되게 하여, 버블이 보다 미세하게 분쇄된다. That is,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so that th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is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And then mixed, so that the bubbles are finely pulverized.

따라서, 버블 분쇄탱크(3000)의 유출구(3000c)에서는 미세하게 분쇄된 풍부한 초미세 크기의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Accordingly,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which are finely pulverized,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00c of the bubble grinding tank 30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crushing plat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crushing plat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에는 다수의 관통홀(3320)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are formed in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버블 발생관(3200)에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로 토출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은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3320)로 분리되어 통과하면서 하부로 낙하된다.Th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the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is separa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formed in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여기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3321)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3322)으로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3321)의 내경(d1)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3322)의 내경(d2)보다 작게 설계된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includes an inflow region 3321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outflow region 332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The inner diameter d1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outflow region 332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즉,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3321)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3322)으로 이루어진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로 유입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로 토출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은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3321)을 통과한 다음, 내경이 큰 유출영역(3322)으로 유출되면서 혼합되어 미세 공기 기포를 더 미세한 크기로 분쇄시킨다.That is, the air discharged to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including the inflow region 3321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the outflow region 332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Th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bubbles is mixed while flowing through an inflow region 3321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and then flowing out to an outflow region 3322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thereby pulverizing the fine air bubbles to a finer size.

이러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는 플라스틱 성형체, 철판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olded product, an iron plate,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or tube applied to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은 우측에 배치되어 상수가 유입되며 제1내경(D1)의 제1물유통로(111)가 형성된 급수부(110) 및 좌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내경(D1)보다 큰 제2내경(D2)의 제2물유통로(121)가 형성된 배수부(120)를 포함하는 제1수평파이프(100); 상기 제1물유통로(111)와 연통되는 제3물유통로(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부(110)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정압 증강 구조물(200); 상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3물유통로(201)와 연통되는 제4물유통로(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4물유통로(11)에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200)이 위치되며,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200)을 상기 급수부(110)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급수부(110)에 체결되는 제2수평파이프(10); 및 상기 제1수평파이프(100)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120)의 제2물유통로(12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를 포함한다.5 and 6, the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includes a water supply portion 111 having a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having a first inside diameter D1, (12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10) and having a second water flow path (121) having a second inner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inner diameter (D1) (100); And a third water flow passage 20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201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and has a mountain portion and a valle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Reinforcing structure 200; Where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11) is provided with a constant water supply passage and communicated with the third water circulation passage (201),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located 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11) A second horizontal pipe (10) fastened to the water supply part (110) while closely adhering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to the water supply part (110); And an air supply pipe 300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supplying air to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path 121 of the drainage unit 120.

여기서, 제1수평파이프(100)의 급수부(110)의 외주면,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측면(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결되는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측면), 제4물유통로(11)의 내측면 각각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the side surface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side surface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as shown in FIG. 2) , And a thread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ourth water flow passage (11).

이때, 정압 증강 구조물(200)을 제4물유통로(11)의 내측면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한 후, 제1수평파이프(100)의 급수부(110)를 제4물유통로(11)의 내측면에 나사결합하는 조립 공정에 의하여, 정압 증강 구조물(200)이 급수부(110)에 밀착되면서 제1수평파이프(100)가 제2수평파이프(10)에 체결된다.The water supply portion 110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is connected to the fourth water flow passage 11 after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screwed and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water flow passage 11,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is fastened to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while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part 110 by an assembling process of screwing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to each other.

여기서,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제4물유통로(11)는 급수부(110)에 근접된 영역의 내경은 물이 유입되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정압 증강 구조물(200)을 작은 내경에 삽입시켜 내경차에 의해 지지시킨 후, 작은 내경을 가지는 급수부(110)에 근접된 영역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급수부(110)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결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ourth water passage 11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inlet,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and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are combined and assembled Can be implemented.

그리고,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제3물유통로(201)의 내경(D3)는 급수부(110)의 제1물유통로(111)의 제1내경(D1)가 동일하고, 제4물유통로(11)의 내경(D4)는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제3물유통로(201)의 내경(D3)보다 크게 설계한다.The inner diameter D3 of the third water passage 201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first water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The inner diameter D4 of the water flow passage 11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3 of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201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

제2수평파이프(10)를 통해 공급된 상수는 정압 증강 구조물(200)에서 정압이 증강되어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제3물유통로(201) 및 제1수평파이프(100)의 급수부(110)의 제1물유통로(111)를 통하여 흐르며, 제3물유통로(20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상수의 수압보다 커진다.The constant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is increased in static pressure in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so that the third water passageway 201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Flows through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of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0 and the water pressure of water flowing to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201 becomes larger than the constant water pressure.

여기서, 정압 증강 구조물(200)의 타면은 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은 제3물유통로(201)보다 돌출되어 있고, 상수가 정압 증강 구조물(200)에 부딪히면서 빠르게 제3물유통로(201)로 빠져나가면서 제3물유통로(20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상수의 수압보다 커지게 되는 것이다.
The other surface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is protruded from the third water flow path 201 and the water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third water flow path 201 while the constant bumps against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201 becomes larg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constant.

그리고, 배수부(120)의 제2물유통로(121)의 제2내경(D2)은 급수부(110)의 제1물유통로(111)의 제1내경(D1)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작은 내경의 급수부(110)의 제1물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은 갑자기 큰 내경의 제2물유통로(121)로 빠져나가면서 부압이 발생된다.The second inner diameter D2 of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age section 120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section 110 ,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suddenly escapes to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121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and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이 부압에 의해 급수부(110)의 제1물유통로(111)에서 배수부(120)의 제2물유통로(121)로 빠져나오는 물이 제1수평파이프(100)의 수평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에서 공급된 공기를 빨아드린다.This negative pressure causes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section 110 to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age section 120 to flow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suck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300 to be disposed.

즉, 배수부(120)의 제2물유통로(121)에 유동되는 물에 공기가 흡수되어 버블을 함유한 물이 된다.That is, air is absorbed into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age section 120 to become water containing bubbles.

그러므로, 배수부(120)의 제2물유통로(121)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기(공기 기포 형태)를 함유한 버블 상태의 물이 된다.
Therefor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passage 121 of the drainage section 120 becomes bubbled water containing air (in the form of air bubbles).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은 정압 증강 구조물을 통하여 수압이 증가된 상수를 내경이 작은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로 유통시키고, 제1물유통로에 유통되는 물을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 부압을 발생시켜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에서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되는 물에 공기공급 파이프에서 공급된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서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bubble genera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having increased water pressure through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flows into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and water flowing in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is relatively large The second water circulating passage of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in the second water circulating passage of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to discharge wate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ing pipe to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circulating passage of the water supplying portion to the second water circulating passage of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s can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in the drainage s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정압 증강 구조물에서 산과 골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mountains and bones in a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 Fig. 9 is a top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top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정압 증강 구조물은 제1수평파이프(100) 및 제2수평파이프(10)와는 별도로 제작된다.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그리고, 정압 증강 구조물은 소정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압 증강 구조물(200)은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결되는 측면이 존재하고, 일면 및 타면은 제3물유통로(20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링 형상이다.Since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0 has a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tatic surface intensifying structure 200,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have a circular ring shape centering on the third water passage 201 .

이때, 정압 증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untains and the bones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s.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물유통로(20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정압 증강 구조물의 타면(205)의 360°상에 산(205a1, 205a2, 205a3)과 골(205b1, 205b2, 205b3) 각각을 3개씩 형성하는 경우, 산과 산 사이의 각도(α1, α2, α3)는 120°이고, 산과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acid 205a1, 205a2, 205a3 and the valleys 205b1, 205a2, 205a3 are formed on the 360 ° of the other surface 205 of the static pressure increasing structure with the third water passage 201 as a central axis, 205b2 and 205b3 are formed by three, the angles? 1,? 2,? 3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mountains are 120 占 and the valleys are formed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mountains.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1실시예는 도 8과 같이, 정압 증강 구조물을 제3물유통로(20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링 형상으로 구현하고, 산(211a, 211b, 211c, 211d, 211e)과 골(212a, 212b, 212c, 212d, 212e)은 제3물유통로(201)에서 정압 증강 구조물의 타면(210)의 외주면(정압 증강 구조물의 타면과 측면의 경계)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8,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formed in this mann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centering on the third water passage 201, and the mountains 211a, 211b, 211c, 211d And 211e and the valley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are connected from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201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210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는 정압 증강 구조물(220)의 타면(225)을 오목하게 가공하여 산과 골을 오목한 영역으로 형성하고, 제3물유통로(201)는 오목한 영역의 낮은 영역에 위치된다.9 and 1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the other surface 225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20 is recessed to form a concave region of mountains and valleys, (201)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cave region.

여기서, 산은 정압 증강 구조물(220,230)의 타면(225,235) 내측에서 제3물유통로(20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하고, 골은 정압 증강 구조물(220,230)의 타면(225,235) 외주면에서 제3물유통로(20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acid is formed on a line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passage 201 from the inside of the other surfaces 225 and 235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s 220 and 230, and the valley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urfaces 225 and 235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s 220 and 230, And is formed on a line connected to the flow path 201.

즉, 도 9는 정압 증강 구조물(220)의 타면(225)에 산(221a,221b,221c)과 골(222a,222b,222c) 각각을 3개씩 형성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이다.That is, FIG. 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n which three mountains 22a, 221b and 221c and three valleys 222a, 222b and 222c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225 of the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220.

그리고, 도 10은 정압 증강 구조물(220)의 타면(235)에 산(231a,231b,231c,231d,231e)과 골(232a,232b,232c,232d,232e) 각각을 5개씩 형성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이다.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tatic pressure buildup is performed by forming five mountains 231a, 231b, 231c, 231d, and 231e and two valleys 232a, 232b, 232c, 232d,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ructur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3실시예의 상면도이다.11 is a top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static pressure strengthen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정압 증강 구조물(250)의 타면(255)의 내측에서 제3물유통로(20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산과 골을 형성하여 정압 증강 구조물의 제3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y forming mountains and valleys on the line connecting from the inside of the other surface 255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50 to the third water passage 201.

즉, 도 11과 같이, 정압 증강 구조물(250)의 타면(255)에 산(251a,251b,251c,251d,251e)과 골(252a,252b,252c,252d,252e)의 오목한 굴곡은 측벽(250) 내측에 위치된다.
Concave curvatures of the mountains 251a, 251b, 251c, 251d and 251e and the valleys 252a, 252b, 252c, 252d and 252e on the other surface 255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50, 25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조립되는 조립 사시도이다.FIG. 1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n air control valve is assembl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서는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520)를 장착하여 급수부(11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서 흐르는 물에 흡수될 수 있는 공기 기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mount of air bubbles that can be absorbed in the water flowing in the second water flow passage of the drainage por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by mounting the air control valve 520 on the bubble generation pipe .

여기서, 공기 조절 밸브(520)는 공기공급 파이프(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 파이프(300) 내측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이 나사홈에 결합하는 나사홈을 연장 파이프(510)의 일단부에 형성한다.The air control valve 520 is formed with a thread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300 so that the air control valve 520 can be coupled to the air supply pipe 300, As shown in Fig.

그리고, 연장 파이프(510)의 타단부에는 공기 조절 밸브(520)가 장착된다.An air control valve 52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ipe 510.

이 공기 조절 밸브(52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이 유입구와 연통하는 공기 유로가 연장 파이프(510)에 연통되어 있는데, 공기 유로 상에는 개폐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The air control valve 520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510,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is formed on the air passage.

즉, 공기 조절 밸브(520)의 외부에 돌출된 나사를 돌려서 개폐 수단의 다수의 공기홀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연장 파이프(510)와 연통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That is,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30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extension pipe 51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by turning a screw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trol valve 520 will b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조립 단면도이다.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crush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은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1101), 상기 유입구(1101)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110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1102), 및 상기 유로(1102)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1103)를 포함하는 제1노즐파이프(1100); 상기 유입구(1101)에 대향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1210)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1200); 상기 제1플레이트(12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200)의 다수의 제1유통로(1210)를 통과한 유체가 충진되는 제1링챔버(1300); 상기 제1링챔버(13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링챔버(1300)에 충진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2유통로(1610)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160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되는 제2노즐파이프(1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3 and 14, the bubble crush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1101 through which a fluid containing fine air bubbles is introduced, A first nozzle pipe 1100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1102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1101 and a first outlet 1103 connected to the flow path 1102; A first plate 1200 opposed to the inlet 1101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1102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1210 for passing the fluid; A first ring chamber 130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1200 and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1102 and filled with a fluid having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 And a second channel 1610 form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to be inserted into the channel 1102 and to pass a fluid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 (1600); And a second nozzle pipe 18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1600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 do.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입구(1101)로는 미세 공기 기포가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고, 그 유체는 유로(1102) 상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를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어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된 제2노즐파이프(1800)로 배출된다.A fluid containing fine air bubbles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1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Is further finely crush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te (1600)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nozzle pipe (1800) combin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로(1102)의 내경이 유입구(1101)의 내경보다 큰 이유는 유로(1102)상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가 유입구(1101)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1102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ort 1101 is that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So that the plate 1600 is not released to the inlet 1101.

그리고, 제2노즐파이프(1800)는 유로(1102)에 삽입되어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면서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를 유입구(1101)에 밀착시킨다.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outlet por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16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1101.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되어,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면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는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1200)가 유입구(1101)에 밀착되어 유입구(1101)로 통한 미세 공기 기포가 포함된 유체는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 제1링챔버(1300),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 순서로 통과한다.14,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engaged with the first outlet por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e first plate 1200 and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first plate 1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1101, The fluid containing fine air bubbles through the first ring chamber 1101 and the second ring chamber 1310 of the second plate 1600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flow path 121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 / RTI >

여기서, 제1 및 제2플레이트(1600)는 원판 형상이고,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는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the second flow passage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flow passage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Many are preferred.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200)의 두께(t1), 제1링챔버(1300)의 두께(t2) 및 제2플레이트(1600)의 두께(t3)는 t1 < t2 < t3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할 수 있다.14,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plate 1200, the thickness t2 of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plate 1600 satisfy t1 < t2 ≪ t3.

그리고,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는 제1플레이트(120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된 홀로 구현된다.
The first flow path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is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200 to the other surface.

또한, 제1링챔버(1300)는 링형상으로 제1과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개재됨으로, 링 내측은 유체가 채워지는 챔버의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600 in a ring shape, so that the inside of the ring functions as a chamber in which the fluid is filled.

이때,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링챔버(1300)에서 충진되면서 혼합되어 유체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가 더 미세한 크기로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is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mixed to separate the minut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fluid into finer sizes.

그리고, 제1링챔버(1300)에서 충진된 유체는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로 빠져나간다.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또한,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는 유체가 유입되는 영역의 내경을 유출되는 영역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 및 제1유통로(1210)로 유입되는 유체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가 더 미세하게 분쇄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ssage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flow region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and the first flow passages 1210 The contained fine air bubbles are finely pulverized.

즉, 제2유통로(1610)의 작은 내경을 가지는 영역을 유체가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영역으로 빠져나오면서 유체는 서로 섞이게 된다.That is, as the fluid passes through a region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ssage 1610 and exits to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the fluids are mixed with each other.

이때, 미세 공기 기포도 유체와 섞이는 과정에서 미세 공기 기포를 더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ne air bubbles are further finely pulverized in the process of mixing with the fluid.

여기서,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유체가 유출되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영역은 제2플레이트(1600)에 오목한 원통 형상의 다수의 홈으로 가공된 영역이고, 유체가 유입되는 내경이 작은 영역은 오목한 원통 형상의 다수의 홈 각각의 바닥을 관통하는 홀로 가공된 영역으로 구현할 수 있다.
Here, the relatively large-diameter region in which the fluid of the second flow passage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flows out is a region machined into a plurality of concave cylindrical grooves in the second plate 1600, A region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to be introduced can be embodied as a hole-processed region penetrating the bottom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cave cylindrical grooves.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3유통로(1610) 각각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1611)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1612)으로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1611)의 내경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1612)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된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includes an inflow region 1611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outflow region 161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region 1611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flow region 161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여기서,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3유통로(1610) 각각은 유입영역(1611)과 유출영역(161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flow region 1611 and the outflow region 1612 are integrally connected.

그러므로, 제1링챔버(1300)에서 충진된 유체는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3유통로(1610)로 분리되어 빠져나가고,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3유통로(1610)로 분리되는 유체는 먼저,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3유통로(1610) 각각의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1611)으로 유입된 후,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유출영역(1612)으로 유출되면서 분리된 유체는 각각의 유출영역(1612)에서 혼합되어 유체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 미세한 크기로 분쇄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separates into a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and flows out of the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1610 flows into the inflow region 1611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reafter flows into the outflow region 1612 having a relatively larger inner diameter, The separated fluid is mixed in each of the outflow regions 1612 to break up the minut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fluid to a finer siz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은 제1노즐파이프의 유로에 제1플레이트, 제1링챔버, 제2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노즐파이프를 결합시켜, 유입된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유체가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 제1링챔버,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를 통과하면서 혼합과정 및 분쇄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을 풍부하게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bubble break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the first ring chamber, and the second plate ar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of the first nozzle pipe to join the first and second nozzle pipes, The fluid containing the fine air bubbles i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ring chamber, and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while mixing and grinding are performed to enrich the micro bubbles of finer siz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generat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조립 단면도이다.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crushing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은 제1실시예의 유체노즐의 제1링챔버(1300)와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제3플레이트(1400) 및 제2링챔버(1500)를 순차적으로 개재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bubble crushing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hird plate 1400 betwee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of the fluid nozz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ring chamber 1500 sequentially in this order.

여기서, 제1링챔버(1300)에는 제3플레이트(1400) 일면이 접촉되고, 제3플레이트(1400)의 타면에는 제2링챔버(1500)의 일면이 접촉되고, 제2링챔버(1500)의 타면에 제2플레이트(1600)가 접촉된다.One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In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The second plate 16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600.

그러므로, 제2링챔버(1500)는 제3플레이트(1400)와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개재되어 제2링챔버(1500)의 링구조물 내측에는 챔버가 형성된다.Therefore,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plate 1400 and the second plate 1600, and a chamber is formed inside the ring structure of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제3플레이트(1400)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3유통로(1610)가 구비되고, 제3유통로(1610)는 제3플레이트(140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된 홀로 구현된다.
The third plate 1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610 through which fluids pass and the third flow passages 1610 are formed as holes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to the other surfac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될 때,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제3플레이트(1400), 제2링챔버(1500), 제2플레이트(1600)가 유입구(1101)에 더 강력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 사이에 밀착링(170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engag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plate 1400,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and the second plate 1600 can be more strongly adhered to the inlet 1101. [ The contact ring 1700 can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contact rings 1700 and 1700.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의 두께(t1,t4)는 서로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고, 제1 및 제2링챔버(1500)의 두께(t2,t5)도 서로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16, the thicknesses t1 and t4 of 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can be designed to b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thicknesses t2 and t4 of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t5 can be designed to be equal to each other.

이때,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의 두께(t1,t4), 제1 및 제2링챔버(1500)의 두께(t2,t5), 제2플레이트(1600)의 두께(t3)는 t1,t4 < t2 ,t5 < t3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cknesses t1 and t4 of 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the thicknesses t2 and t5 of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plate 1600 are t1 , t4 < t2, and t5 < t3.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의 두께(t1,t4)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고, 제1 및 제2링챔버(1500)의 두께(t2,t5)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t1 and t4 of 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can be designed differently and the thicknesses t2 and t5 of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can be designed differently have.

이경우,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의 두께(t1,t4), 제1 및 제2링챔버(1500)의 두께(t2,t5), 제2플레이트(1600)의 두께(t3)는 t1 < t4 < t2 < t5 < t3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cknesses t1 and t4 of 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the thicknesses t2 and t5 of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plate 1600 are t1 ≪ t4 < t2 < t5 < t3.

이와 같은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의 두께(t1,t4), 제1 및 제2링챔버(1500)의 두께(t2,t5), 제2플레이트(1600)의 두께(t3)의 설계는 통과 유량 및 챔버 충진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혼합을 극대화하여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함으로써, 버블 생성이 증가된 유체 배출시킬 수 있는 유체노즐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hicknesses t1 and t4 of 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the thicknesses t2 and t5 of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plate 1600 The flow nozzle and the chamber filling amount are adjusted to maximize the mixing of the fluid to further finely crush the fine air bubbles, thereby realizing a fluid nozzle capable of discharging fluid with increased bubble generation.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3플레이트(1400)의 제3유통로(1610)의 개수는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보다 적고,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는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보다 적게 설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third flow passages 1610 of the third plate 1400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flow passage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The number of the flow paths 1210 can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즉, 제1 내지 제3플레이트(1200,1600,1400)의 유통로의 개수를 다르게 설계하여 제1 내지 제3플레이트(1400)의 유통로를 통과하는 유체 혼합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number of the flow paths of the first to third plates 1200, 1600 and 1400 may be designed differently so that the mixing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s of the first to third plates 1400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3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breaking nozz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제3실시예의 유체노즐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유체노즐의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이다.In the fluid nozzle of the third embodiment appli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of the fluid nozzl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integrated.

도 17을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의 일체형은 제1실시예의 제1링챔버(1300) 또는 제2실시예의 제2링챔버(1500)에 접촉되는 제2플레이트(1600)의 면이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유통로(1610)만 노출되어 있어, 일체형의 제2플레이트(1600)가 제2링챔버(1500)와 밀착을 우수하게 할 수 있고, 부품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7, the integral form of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the same as the first ring chamber 1300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plate 1600 is exposed only to the second flow passage 1610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so that the integral second plate 1600 can excellently adhere to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Can be further simplif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100: 수평파이프 11,111,121,201: 물유통로
110: 급수부 120: 배수부
200: 정압 증강 구조물 205,210,220,230,250: 타면
300: 공기공급 파이프 510: 연장 파이프
520: 공기 조절 밸브 1101: 유입구
1102: 유로 1103: 제1유출구
1100,1800: 노즐파이프 1200,1400,1600: 플레이트
1210,1410,1610: 유통로 1300,1500: 링챔버
3000: 버블 분쇄탱크 3002: 가압펌프
3200: 버블 발생관 3300: 버블 분쇄 플레이트
3320: 관통홀
10, 100: Horizontal pipe 11, 111, 121, 201:
110: water supply unit 120: drainage unit
200: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205, 210, 220, 230, 250:
300: air supply pipe 510: extension pipe
520: air control valve 1101: inlet
1102: a flow path 1103: a first outlet
1100, 1800: nozzle pipe 1200, 1400, 1600: plate
1210, 1410, 1610: Distribution channel 1300, 1500: Ring chamber
3000: Bubble grinding tank 3002: Pressurizing pump
3200: Bubble generating tube 3300: Bubble grinding plate
3320: Through hole

Claims (10)

상수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
측방향으로 버블을 함유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버블 발생관이 장착되고,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버블 분쇄탱크; 및
상기 버블 분쇄탱크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the constan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 bubble generating tube for receiving a pressurized constant in the pressurizing pump and allowing air to be absorbed in the constant air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A bubble grinding tank in which the bubble generating tube is mounted to allow water containing bubbles to flow in a lateral direction and finely pulverizes air bubbles contained in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And
And a bubble grinding nozz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ubble grinding tank for finely pulverizing the micro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bubble grinding tank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micro bubble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쇄탱크는,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된 버블을 함유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체; 및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블 분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bble grinding tank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water containing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flows upward, a hollow section formed inside and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And at least two bubble crushing plate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for separating and mixing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ort to crush the bubbles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a microbubble gen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다수의 관통홀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영역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유체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comprises an inflow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outflow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reg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flow reg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관은,
우측에 배치되어 상수가 유입되며 제1내경의 제1물유통로가 형성된 급수부 및 좌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내경 보다 큰 제2내경의 제2물유통로가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제1수평파이프;
상기 제1물유통로와 연통되는 제3물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부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정압 증강 구조물;
상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3물유통로와 연통되는 제4물유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4물유통로에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이 위치되며,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을 상기 급수부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급수부에 체결되는 제2수평파이프; 및
상기 제1수평파이프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comprises:
And a drain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having a first water flow passage with a first inside diameter and formed with a second water flow passag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discharging water and having a second inside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inside diameter A first horizontal pipe;
And a third water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ter flow passage,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ion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and a mountain and a valley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Where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is provided with a constant water supply passage and communicated with the third water circulation passage,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located in the fourth water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section, A second horizontal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pipe; And
And an air supply pip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pipe and supplying air to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channel of the drainag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mountains and the valleys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of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물유통로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상에 상기 정압 증강 구조물의 산과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acid and a valley of the static pressure intensifying structure are formed on the third water flow passage at a center angle of 36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쇄노즐은,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1유출구를 포함하는 제1노즐파이프;
상기 유입구에 대향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다수의 제1유통로를 통과한 유체가 충진되는 제1링챔버;
상기 제1링챔버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링챔버에 충진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2유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즐파이프의 제1유출구와 결합되는 제2노즐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 breaking nozzle comprises:
A first nozzle pipe including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a fluid containing fine air bubbles,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inlet, and a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A first plate opposed to the inlet port and inserted into the flow channel, the firs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for passing the fluid;
A first ring cha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of the first plate being filled;
A second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ng cha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ssage,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ssages for passing the fluid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are formed; And
And a second nozzle pip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th, and is coupled to a first outlet of the first nozzle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영역 및 유체가 유출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comprises a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and a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ut,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a region into which the fluid flows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a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노즐파이프는 일체형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nozzle pipe are integrally formed.
상수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의 버블을 함유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
상기 버블 발생관에서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공기 기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버블 분쇄탱크; 및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유입되는 영역의 내경이 상기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유출되는 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다수의 유통로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공기 기포를 함유한 물이 흐르는 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버블 분쇄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 pressurizing pump for pressurizing the constan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 bubble generating tube for receiving a pressurized constant in the pressurizing pump and allowing air to be absorbed in the constant air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bubbles of air bubbles;
A bubble grinding tank for finely grinding air bubbles contained in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And
Wherein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 paths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an area where the air containing air bubbles flows out is formed in the bubbling tank, And a bubble breaking nozzle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o further finely crush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bubbling pulverizing tank to discharge water containing the micro bubbles Microbubble generator.














KR1020170078490A 2017-06-21 2017-06-21 Micro bubble generator KR102046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90A KR102046893B1 (en) 2017-06-21 2017-06-21 Micro bubbl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490A KR102046893B1 (en) 2017-06-21 2017-06-21 Micro bubble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62A true KR20180138362A (en) 2018-12-31
KR102046893B1 KR102046893B1 (en) 2019-11-20

Family

ID=6495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490A KR102046893B1 (en) 2017-06-21 2017-06-21 Micro 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268B1 (en) * 2019-03-26 2020-02-17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Rapid mixing apparatus for disinfectant and cohesive agents
KR102596925B1 (en) * 2022-08-18 2023-11-0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Nano bubble water generator for semiconductor clea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484A (en) * 2005-05-26 2006-12-07 Honda Kiko Co Ltd Micro-bubbles generator
KR101165818B1 (en) * 2012-06-18 2012-07-16 (주) 동양이엔지 Micro bubble generator
KR101285914B1 (en) 2012-04-05 2013-07-12 김학경 A generator of microbub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484A (en) * 2005-05-26 2006-12-07 Honda Kiko Co Ltd Micro-bubbles generator
KR101285914B1 (en) 2012-04-05 2013-07-12 김학경 A generator of microbubble
KR101165818B1 (en) * 2012-06-18 2012-07-16 (주) 동양이엔지 Micro bubble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268B1 (en) * 2019-03-26 2020-02-17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Rapid mixing apparatus for disinfectant and cohesive agents
KR102596925B1 (en) * 2022-08-18 2023-11-0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Nano bubble water generator for semiconductor c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893B1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9996B2 (en) Bubble generator
KR20190014443A (en) Microbubble-water generator
KR20180138362A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2059039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2004193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108814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KR101864116B1 (en) Nano-bubble generator
KR200449102Y1 (en) Micro Bubble Nozzle
KR20210081666A (en) Ultra fine bubble generating system with coil-shaped nozzle
CN110614042A (en) Thermal micro-nano bubble liquid generation system
KR102059038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20190137885A (en) Fine bubble generator
KR102059037B1 (en) Micro bubble supplying system
KR20190004127A (en)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
KR102376857B1 (en) Fine bubble generator and functional shower head using the generator
KR102273004B1 (en) Tube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JP7248388B2 (en) Fine bubble gen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1290554B1 (en) Magnetic type generator for air dossolved water
KR101484668B1 (en) Appratus for generating micro and/or nano bubble without power
CN112647245A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KR102565371B1 (en) Nano bubble generation system
KR20230067081A (en) Micro Bubble Generator
KR2019011320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 fire retardant board
JP7125181B1 (en) Liquid mixing device
KR20180114665A (en) Agricultural micro bubbl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