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27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270A
KR20180138270A KR1020170078141A KR20170078141A KR20180138270A KR 20180138270 A KR20180138270 A KR 20180138270A KR 1020170078141 A KR1020170078141 A KR 1020170078141A KR 20170078141 A KR20170078141 A KR 20170078141A KR 20180138270 A KR20180138270 A KR 2018013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rt rate
air conditioner
radar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512B1 (ko
Inventor
이상범
성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5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심박수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 이해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른바 스마트 공기조화기 또는 지능형 공기조화기와 같은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3571호 (2016.09.02. 자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재실 여부 및 수면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기조화기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에 맞춤형 동작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동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출력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현재 수신된 반사 신호와 이전 수신된 반사 신호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취침 기준 심박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취침 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취침 중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모드를 수면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선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선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 설정 정보는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매칭되는 심박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로서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사용자의 평균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평균 심박수보다 높은 경우, 설정 온도를 낮추거나 풍량을 증가시켜 가동되도록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센서는 UWB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레이더 센서로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기조화기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는 레이더 센서로 사용자의 심박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심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 온도나 풍량을 조절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이더 센서와 제어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탠드형, 벽걸이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의 각종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외관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아니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에는,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싱(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케이싱(2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재(20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천장 또는 벽에 밀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201)는 일례로,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케이싱(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는 전면패널(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일례로 석고보드 등의 천장매립부재에 의해 천장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전면패널(1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싱(20)과, 상기 전면패널(1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3) 및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10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흡입부(10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흡입그릴(10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04)은 상기 흡입부(10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03)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01)는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토출부(101)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베인(10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부(101)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베인(102)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부(10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10)의 토출부(101)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부(1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공(20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흡입공(203)에 배치되는 필터 어셈블리(30)가 포함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는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들을 여과하여, 토출부(1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이물이 포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레이더 센서(7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더 센서(736)는 공기조화기(1)의 전면패널(10)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의 전방 등 여러 방향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레이더 센서(736)는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레이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UWB 레이더 센서는, 낮은 전력으로 넓은 주파수 대역(예컨대, 7500Mhz 등)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여 사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레이더 센서에 해당한다. 특히, UWB 레이더 센서는 미세한 움직임의 변화까지도 감지할 수 있어, 사람의 호흡이나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서부(730), 압축기(740), 팬모터(750), 출력부(760), 메모리(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공기조화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공기조화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710)는, 공기조화기(1)와 외부 기기(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고정 단말기) 사이, 또는 공기조화기(1)와 외부 서버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공기조화기(1)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710)가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710)는 무선 인터넷 모듈과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1)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이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공기조화기(1)와 외부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공기조화기(1)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780)는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공기조화기(1)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로 송신하거나,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다이얼 키(dial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720)는 별도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7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7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720)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730)는 공기조화기(1)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0)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732), 상기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73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레이더 센서(736, radar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736)는 UWB 레이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736)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UWB 레이더 센서로 구현되는 레이더 센서(736)는 사용자의 심박수나 호흡 상태 등을 추가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730)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예컨대,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76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62)와 음향 출력부(764; 예컨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62)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공기조화기(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72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62)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762)는 공기조화기(1)의 설정 온도, 풍량, 풍향, 현재 실내 온도, 습도 등과 같은 정보와, 절전 모드, 일반 모드, 수면 모드 등과 같은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64)는 공기조화기(1)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해 음성 형태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알람, 전원 온/오프, 에러 발생, 동작 모드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메모리(770)는 공기조화기(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770)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770)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레이더 센서(736)로 수신되는 신호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레이더 센서(736)의 동작 시 수신되는 신호 패턴으로부터, 메모리(770)에 저장된 신호 패턴에 대응하는 클러터 신호를 제거하고, 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70)는 레이더 센서(736)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780)는 레이더 센서(736)로 수신되는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심박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심박수 정보를 메모리(7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각각의 심박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770)는 사용자 각각에 대한 동작 설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설정 정보(예컨대, 설정 온도, 풍량, 풍향, 동작 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가 평상시 공기조화기(1)를 동작시킬 때 입력부(720) 등을 통해 설정하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78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를 동작시킬 때 설정하는 설정 온도, 풍량, 풍향, 동작 모드 등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동작 설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7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통상적으로 공기조화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공기조화기(1)의 설정 정보(설정 온도, 풍량, 풍향, 동작 모드 등)에 기초하여 압축기(740), 팬모터(750), 및 토출 베인(10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팬모터(750)는 케이싱(20) 내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의미한다. 즉, 팬모터(750)가 구동되면 송풍팬이 회전하고,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부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80)는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740)의 동작을 제어하고, 풍량에 기초하여 팬모터(7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풍향에 기초하여 토출 베인(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7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이더 센서와 제어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이더 센서(736)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737)와, 송신된 전자기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73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송신부(737)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따라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더 센서(736)가 UWB 레이더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신호 송신부(737)는 넓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7500Mhz)을 갖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738)가 상기 반사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 여과기(781)는 수신된 반사 신호로부터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클러터 신호는 고정된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 즉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여과기(781)는 기 공지된 각종 클러터 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신호 여과기(781)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 패턴은 메모리(77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780)는 신호 여과기(781)에 의해 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반사 신호는 신호의 성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신호 비교기(782)는, 신호 수신부(738)를 통해 이전에 수신되는 이전 반사 신호와, 신호 수신부(738)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현재 반사 신호(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반사 신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기준값 이상인 움직임 상태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기준값보다 낮은 정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상기 이전 반사 신호와 상기 현재 반사 신호 사이의 유사도가 기준 유사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움직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전 반사 신호와 상기 현재 반사 신호 사이의 유사도가 기준 유사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80)는 상기 반사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신호 여과기(781)와 신호 비교기(782)는 제어부(78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해당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구성 요소(예컨대, 별도의 회로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여과기(781)와 신호 비교기(782)는 제어부(78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메모리(770)에 저장된 일종의 알고리즘일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위에서 살펴본 공기조화기(1)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전원이 온 되거나 온 된 상태에서(S10),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통해 전자기파 형태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1).
제어부(780)는 공기조화기(1)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공기조화기(1)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기파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레이더 센서(736)의 신호 송신부(737)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780)는 상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도록 레이더 센서(736)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출력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2).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송신부(737)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상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물체에 부딪쳐 반사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738)는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수신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
구체적으로, 제어부(780)는 수신된 반사 신호로부터 클러터 신호를 제거하고, 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반사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80)는 클러터 신호가 제거된 반사 신호에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S14의 YES), 공기조화기(1)가 가동될 수 있다(S15). 즉, 제어부(780)는 공기조화기(1)의 가동을 위해 압축기(740), 팬모터(750), 및/또는 토출 베인(102)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에 가동되어 냉방 동작 등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가 가동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6).
구체적으로, 제어부(780)는 레이더 센서(736)의 신호 송신부(737)를 제어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신호 수신부(738)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현재 수신된 반사 신호와, 이전 수신된 반사 신호의 차이 또는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사용자가 움직이는지 여부와 관련된 상태로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기준 정도보다 높은 움직임 상태와, 상기 움직임 정도가 기준 정도보다 낮은 정지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전 수신된 반사 신호와 현재 수신된 반사 신호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움직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이전 수신된 반사 신호와 현재 수신된 반사 신호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상태가 움직임 상태인 경우(S17의 NO), 공기조화기(1)는 계속 가동할 수 있다(S15).
반면,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S17의 YES),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18).
구체적으로, 제어부(780)는 소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레이더 센서(73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사용자의 심박 상태(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더 센서(736)는 UWB 레이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측정된 심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9).
즉,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취침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심박수는 활동시에 비해 취침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일 때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취침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80)는 측정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취침 기준 심박수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취침 중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770)에 상기 사용자의 활동시 심박수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780)는 상기 기저장된 심박수와 상기 측정된 심박수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저장된 심박수보다 소정 수치 이상 낮은 경우, 사용자가 취침 중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설정된 취침 기준 심박수를 이용하여 취침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비해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가 취침 중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S20의 YES), 공기조화기(1)는 수면 모드(또는 취침 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S21).
예컨대, 상기 수면 모드는 공기조화기(1)가 실내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고 실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는 모드로서, 가동과 중단을 스스로 반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수면 모드는 일반 동작 모드에 비해 전력 소모가 작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736)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취침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1)의 동작 모드가 변경됨으로써, 공기조화기(1)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S14 단계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기조화기(1)가 가동될 수 있다. 이 때, 공기조화기(1)가 가동됨에 있어서, 사용자에 따른 선호 설정값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마다 선호하는 설정 온도나 풍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1)가 사용자에 따른 선호 설정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통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S152A).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780)가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의 S18 단계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공기조화기(1)는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154A).
예컨대, 메모리(77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심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메모리(77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심박수 중, 상기 측정된 심박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80)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매칭되는(예컨대, 가장 유사한 수치를 갖는) 심박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심박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S14 단계에서 감지된 사용자로서 식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식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S156A).
제어부(780)는, 식별된 사용자의 선호 설정 정보를 메모리(77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선호 설정 정보는, 설정 온도, 풍량, 풍향, 동작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획득된 선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식별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동작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S14 단계에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기조화기(1)가 가동될 수 있다. 이 때, 공기조화기(1)가 가동됨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동 등의 활동을 한 경우,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를 평소보다 낮은 설정 온도로 가동시키거나 풍량을 증가시켜 가동시키고자 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레이더 센서(736)를 통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S152B).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780)가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의 S18 단계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공기조화기(1)는 측정된 심박수와 사용자의 평균 심박수를 비교할 수 있다(S154B).
예컨대, 메모리(77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균 심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심박수는 입력부(7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통신부(710)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평균 심박수는 공기조화기(1)의 가동 시 레이더 센서(736)에 의해 누적 측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메모리(770)에 저장된 상기 평균 심박수와, 레이더 센서(736)에 의해 수신된 반사 신호로부터 측정된 심박수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780)는 상기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추가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측정된 체온과, 메모리(770)에 저장된 평균 체온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체온은 상기 평균 심박수와 유사한 방식으로 메모리(770)에 저장될 수 있다.
비교 결과, 측정된 심박수가 평균 심박수보다 높은 경우(S156B의 YES), 공기조화기(1)는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설정 온도를 낮추어 가동될 수 있다(S158B).
즉, 제어부(780)는 비교 결과 측정된 심박수가 평균 심박수보다 높은 경우, 사용자가 운동 등의 활동을 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780)는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체온과 상기 평균 체온을 비교하여, 측정된 체온이 평균 체온보다 높은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가 운동 등의 활동을 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80)는 자동으로 공기조화기(1)의 설정 온도를 낮추거나 풍량을 증가시켜 가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압축기;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 및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동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침 여부를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출력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를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현재 수신된 반사 신호와 이전 수신된 반사 신호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가 기설정된 취침 기준 심박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취침 중임을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취침 중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모드를 수면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선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토출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선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 설정 정보는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심박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매칭되는 심박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로서 식별하는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주기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레이더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반사 신호들을 상기 레이더 센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 신호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사용자의 평균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평균 심박수보다 높은 경우, 설정 온도를 낮추거나 풍량을 증가시켜 가동되도록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팬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센서는 UWB(Ultra Wide-Band)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078141A 2017-06-20 2017-06-20 공기조화기 KR10237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1A KR102375512B1 (ko) 2017-06-20 2017-06-20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1A KR102375512B1 (ko) 2017-06-20 2017-06-2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270A true KR20180138270A (ko) 2018-12-31
KR102375512B1 KR102375512B1 (ko) 2022-03-21

Family

ID=6495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41A KR102375512B1 (ko) 2017-06-20 2017-06-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51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245A (zh) * 2019-01-10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CN109724216A (zh) * 2019-01-14 2019-05-07 张蕾 一种康复室智能通风和含氧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513819A (zh) * 2019-08-29 2019-11-29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空调以及存储介质
CN110686376A (zh) * 2019-09-18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睡姿识别的空调电扇联合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空调
CN111829131A (zh) * 2020-07-31 2020-10-27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智能空调控制系统
CN111870793A (zh) * 2020-07-08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预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06590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품질 향상을 위한 가전기기의 맞춤형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CN112303765A (zh) * 2020-11-05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CN114183811A (zh) * 2021-12-16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111410A1 (zh) * 2020-11-24 2022-06-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位置检测方法、空调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732A (ja) * 2009-12-08 2011-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2237501A (ja) * 2011-05-11 2012-12-06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160103571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407B1 (ko) * 2015-11-20 2017-04-19 주식회사 호서텔넷 Uwb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제어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732A (ja) * 2009-12-08 2011-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2237501A (ja) * 2011-05-11 2012-12-06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160103571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407B1 (ko) * 2015-11-20 2017-04-19 주식회사 호서텔넷 Uwb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제어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245A (zh) * 2019-01-10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CN109724216A (zh) * 2019-01-14 2019-05-07 张蕾 一种康复室智能通风和含氧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210006590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수면 품질 향상을 위한 가전기기의 맞춤형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CN110513819A (zh) * 2019-08-29 2019-11-29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空调以及存储介质
CN110513819B (zh) * 2019-08-29 2021-05-18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空调以及存储介质
CN110686376A (zh) * 2019-09-18 2020-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睡姿识别的空调电扇联合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空调
CN111870793A (zh) * 2020-07-08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温度预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829131A (zh) * 2020-07-31 2020-10-27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智能空调控制系统
CN112303765A (zh) * 2020-11-05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CN112303765B (zh) * 2020-11-05 2023-11-21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WO2022111410A1 (zh) * 2020-11-24 2022-06-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位置检测方法、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4183811A (zh) * 2021-12-16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83811B (zh) * 2021-12-16 2022-1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512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512B1 (ko) 공기조화기
US11711235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0371568B2 (en) Acoustic sensor and home applia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06021193U (zh) 用于处理超声输入的系统
EP3270361B1 (en) Dynamic volume adjustment
KR101563487B1 (ko)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US9143344B2 (en) Network system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3316232B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
JP4989702B2 (ja) 設備制御端末、設備制御システム、設備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60247364A1 (en) Occupancy Based Volume Adjustment
JP6537719B2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及び空調システム
KR102373652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JP2016149119A (ja) アクティビティを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1656103B (zh) 空调控制系统和空调机
KR20180066537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CN110888335A (zh) 一种智能家居控制器及其交互方法、存储介质
KR20170029316A (ko) 공기 조화기들을 연동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과 그 제어 방법
JP6727426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90084477A (ko) 공기조화기의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7561409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20170132017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452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 시스템
KR2020008301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5375A (ko) 센서 장치
JP2004173185A (ja) 人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機器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上の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