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143A -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143A
KR20180138143A KR1020180066272A KR20180066272A KR20180138143A KR 20180138143 A KR20180138143 A KR 20180138143A KR 1020180066272 A KR1020180066272 A KR 1020180066272A KR 20180066272 A KR20180066272 A KR 20180066272A KR 20180138143 A KR20180138143 A KR 2018013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ylindrical
holder
adhesive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165B1 (ko
Inventor
다카토시 모리미츠
유타카 마스기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13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8Lead-acid accumulators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1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6Frames for plat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01M2/1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세트 전지(21)는, 복수의 전지(23)와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의 외주면(23S)을 보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더부(27)를 가지는 홀더(25)와, 전지와 홀더부의 내주면을 결합하는 복수의 접착체(29)를 구비한다. 내주면(27S)은, 전지의 자세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규제부(27Sr)와, 전지가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전지와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도록 구성되는 이간부(27Sd)와, 제 2 면(27b)으로부터 이간부에 연결되는 주액홈(27Sc)을 가지고, 어느 접착체(29)나 이간부와 전지의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29K)를 가진다.

Description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ASSEMBLED BATTERY,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SSEMBLED BATTERY}
본 발명은, 복수의 원통형 전지로 이루어지는 세트 전지, 이것을 이용한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판 형상의 홀더에 마련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각각 삽입 통과시켜 고정한 세트 전지가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 특개2016-207494). 이러한 세트 전지에서는, 원통형 전지를 경화된 접착제에 의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고정하고 있다.
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207494에 기재된 세트 전지에서는, 단전지(單電池)를 홀더의 보지(保持) 구멍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적절히 충전하기 위해, 보지 구멍에 홈부를 마련하고, 이 홈부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보지 구멍 내에 배치된 전지의 자세에 따라서는, 보지 구멍의 내주면과 전지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일부밖에 접착제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 보지 구멍의 내주면과 전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전지의 보지의 확실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구비하는 세트 전지로서, 각각의 원통형 전지와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충전하여 고정한 세트 전지, 이것을 이용한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복수의 원통형 전지와,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이면인 제 2 면을 가지는 판 형상을 이루고,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을 보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더부를 가지는 홀더와,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이루는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경화된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홀더부의 복수의 상기 내주면을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접착체를 구비하는 세트 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이루는 상기 홀더부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은,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규제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가 상기 자세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상기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도록 구성되는 이간부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이간부에 연결되는 주액홈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접착체가, 상기 홀더부의 상기 내주면 중 상기 이간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이간부에 대향하는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를, 상기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경화된 접착제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를 가진다.
이 세트 전지에서는,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이루는 내주면이, 원통형 전지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는 자세 규제부 외에,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는 형태로 된 이간부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이루는 홀더부의 내주면을 결합하는 접착체는, 이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를,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경화된 접착제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 세트 전지에서는, 홀더부의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 내에 원통형 전지를 전체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하여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세트 전지는, 주액홈을 통하여, 이간부에 미경화의 접착제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주액홈을 마련해 두면, 주액홈에 주액한 접착제를,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 주액홈의 사이의 체적분만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그 후, 접착제 점성에 따른 확산 속도로 이간부의 둘레 방향에 접착제를 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의 주액을 적은 횟수 또는 단시간에 끝낼 수 있어, 염가의 세트 전지로 할 수 있다.
이 세트 전지에 있어서,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방향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전지를 동일한 방향(어느 전지나 제 1 면측이 정극이 되는 방향, 또는 제 1 면측이 부극이 되는 방향)으로 일치시켜 홀더부에 삽입 통과한 배치로 해도 되고, 또는, 각 전지의 방향을 번갈아 역전시켜 홀더부에 삽입 통과한 배치로 해도 된다. 또한, 원통형 전지의 축선 방향 중앙부를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보지하도록 해도 되고, 원통형 전지의 축선 방향 일방 단부를, 또는 원통형 전지의 축선 방향 타방 단부를,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보지하도록 해도 된다.
홀더 중 홀더부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가지는 판 형상이고, 판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을 보지한다.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은, 적절히 배치할 수 있으나, 각각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이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했을 때, 당해 중심을 둘러싸는 정육각형의 정점에, 주위의 다른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축선이 위치하도록,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배치하면 된다.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 중, 자세 규제부는, 원통형 전지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는 부위이며, 예를 들면, 이간부보다 세경(細徑)으로 된 하나 또는 복수의 부위가 해당한다. 또한 이간부는, 원통형 전지가 자세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는 형태로 된 부위이다. 이들 자세 규제부 및 이간부를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제 1 면측을 세경(삽입 통과한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의 간극이 비교적 작음)의 자세 규제부로 하고, 제 2 면측을 자세 규제부보다 대경의 이간부로 한 2단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면측을 세경이고 제 2 면측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의 자세 규제부로 하고, 또한 그 제 2 면측을 자세 규제부보다 대경이고 제 2 면측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의 이간부로 한 2단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판두께 방향의 제 1 면측 및 제 2 면측을 세경의 자세 규제부로 하고, 이 2개 자세 규제부의 사이의 부분을 이들보다 대경의 이간부로 한 중간이 굵은 3단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면측 및 제 2 면측의 단부를 세경의 자세 규제부로 하고, 판두께 방향 중앙을 향할수록 대경으로 하여 이간부로 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마루부를 자세 규제부로 하고 골부를 이간부로 하여 이들이 이중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도록 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주액홈은, 전지 삽입 통과 구멍 중 둘레 방향의 일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패이게 하여, 제 2 면과 이간부를 연결하는 부위이며, 각각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1개만 형성해도 되고 2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형성하는 주액홈을 1개소로 하면, 접착제의 이간부와 원통형 전지의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유동 확산(퍼짐)의 진행 방향을 2방향으로 한정하여,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접착제끼리가 접촉 일체화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접착체가 되는 접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선택할 수 있다. 미경화의 접착제의 주입 단계에 있어서의 점도는, 홀더부의 내주면과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주입한 접착제가 흘러나오지 않는 점도를 선택해도 되며, 예를 들면, 1∼500mPa·s의 범위로부터 선택되어도 된다.
상술한 세트 전지로서, 상기 복수의 접착체의 어느 것이나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와의 사이를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는 세트 전지로 해도 된다.
이 세트 전지에서는,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원통형 전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한 기체 등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원통형 전지로 세트 전지를 구성함과 함께, 홀더 및 각 원통형 전지를, 홀더부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의 기밀을 확보한 격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트 전지로서, 상기 자세 규제부는, 상기 이간부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의 근처에 마련되는 제 1 자세 규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 1 자세 규제부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의 직경보다 작아도 된다.
이 세트 전지에서는, 이간부보다 제 1 면측에, 이간부보다 세경의 제 1 자세 규제부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이 세경의 제 1 자세 규제부에 의해, 원통형 전지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제한하고, 게다가,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가 제 1 면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전체 둘레 결합부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 접착체를 가지는 세트 전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트 전지로서, 상기 자세 규제부는, 상기 이간부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의 근처에 제 2 자세 규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 2 자세 규제부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의 직경보다 작아도 된다.
이 세트 전지에서는,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면측의 제 1 자세 규제부 외에, 제 2 면측에도 제 2 자세 규제부를 마련하였다. 즉, 이간부를 사이에 두고, 판두께 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 자세 규제부를 마련하였으므로, 추가로, 원통형 전지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제 1 자세 규제부와 제 2 자세 규제부를 마련한 홀더부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이 제 1 자세 규제부와 제 2 자세 규제부의 사이의 부분을 이들보다 대경의 이간부로 한 중간이 굵은 3단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제 1 면측 및 제 2 면측의 단부를 세경의 자세 규제부로 하고, 판두께 방향 중앙일수록 대경으로 하여 이간부로 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세 규제부와 이간부가 이중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도록 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양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세트 전지와, 상기 세트 전지의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상기 제 1 면측으로부터 덮어, 상기 홀더에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면측 피복 부재(제 1 면측 피복 용기)를 구비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전지 모듈에서는, 홀더의 홀더부에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보지하는 전술한 세트 전지와, 제 1 면측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홀더부에 보지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제 1 면측으로부터 덮어, 홀더에 제 1 면측 피복 부재가 기밀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한, 세트 전지는, 각 전지로 이루어지는 세트 전지이면서, 게다가 기밀의 격벽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서는, 세트 전지의 제 1 면측 피복 부재측과 이 반대측의 사이, 및, 홀더와 제 1 면측 피복 부재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 기체 등이 유통하는(예를 들면, 냉각풍이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전지 모듈로서는, 예를 들면, 제 1 면측 피복 부재 또는 다른 부재에 장착한 송풍기로부터 제 1 면측 피복 부재 내에 송풍하거나, 또는 환기기에 의해 부재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각 전지를 냉각하도록 한 전지 모듈을 들 수 있다. 이 전지 모듈에서는, 세트 전지의 제 1 면측 피복 부재측과 이 반대측의 사이, 및, 홀더와 제 1 면측 피복 부재의 결합 부분에서, 냉각풍이 누설됨으로써, 송풍기 또는 환기기에 의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냉각풍의 흐름이 흐트러져, 각 전지의 냉각 상태가 불균일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양태는, 홀더부의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각각 삽입 통과하는 것과, 상기 홀더부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이면인 제 2 면을 가지는 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홀더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을 이루는 상기 홀더부의 복수의 내주면은,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규제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가 상기 자세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상기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상기 원통형 전지의 외주면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도록 구성되는 이간부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이간부에 연결되는 주액홈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가 삽입 통과된 상기 홀더부를,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제 2 면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의 내주면 중, 상기 주액홈을 통하여, 상기 이간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이간부에 대향하는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하고, 상기 이간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상기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확산시켜, 상기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를 상기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로 연결하는 것과,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홀더부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과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착체를 형성하는 것을 구비하는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홀더부에 원통형 전지를 삽입 통과시킨 다음에, 홀더부의 이간부와 원통형 전지의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하고 확산시켜,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를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로 연결한다. 또한, 미경화의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접착체가, 홀더부의 이간부와 원통형 전지의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경화된 접착제가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 세트 전지에서는, 홀더부의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 내에 원통형 전지를 전체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하여 보지할 수 있다. 게다가, 주액홈을 통하여 미경화의 접착제를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미경화의 접착제의 경화시키는 방법은, 사용한 접착제에 따른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접착제의 경화에 적합한 온도로 소정의 시간에 걸쳐 보지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접착체가,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와의 사이를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는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 해도 된다.
이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홀더부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원통형 전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한 기체 등의 유통을 방지한 세트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원통형 전지로 세트 전지를 구성함과 함께, 홀더 및 각 원통형 전지를, 홀더부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의 기밀을 확보한 격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하나의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주액홈은, 상기 복수의 내주면에 각각 1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홀더부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리 정한 순서로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
주액홈을 경유하여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함에 있어서, 주액홈의 체적에 비해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의 체적이 큰 경우 등, 주액홈의 체적에 비해 주입을 요하는 접착제량이 많은 경우에는, 단시간에 주입하려고 하면, 접착제가 주액홈으로부터 넘치기 때문에, 단시간에 한꺼번에 필요량의 접착제를 주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이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소정의 순서로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한다. 이에 의해, 어느 전지에 대해서도, 필요량의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퍼지게 하여,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를, 원통형 전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자세 규제부는, 상기 이간부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의 근처에 제 1 자세 규제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제 1 자세 규제부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의 직경보다 작아도 된다. 상기 복수의 내주면 내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자세를, 상기 제 1 자세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범위 내의 자세의 상태에서, 상기 이간부와 상기 원통형 전지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이간부에 대향하는 상기 이간부 대향부와의 사이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하고,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접착체를 형성해도 된다.
이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은, 이간부보다 제 1 면측에 제 1 자세 규제부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원통형 전지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모두 자세 규제부에 의해 규제된 범위 내의 자세로 하여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를 주입한다. 이 때문에, 이 세경의 제 1 자세 규제부에 의해, 각 원통형 전지의 자세를 적절히 규제하면서,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가 제 1 면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전체 둘레 결합부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 접착체를 가지는 세트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내주면은, 상기 이간부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의 근처에 제 2 자세 규제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제 2 자세 규제부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의 직경보다 작아도 된다.
이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은, 제 1 자세 규제부뿐만 아니라 제 2 자세 규제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접착제를 주입 및 경화할 때에, 각 원통형 전지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더 적절히 규제하면서, 이간부와 이간부 대향부의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특징, 장점, 기술적 및 산업적 특성은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도면 내에 동일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이 전동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고, 세트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세트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세트 전지 중,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이에 삽입 통과한 전지와 양자를 고정하는 접착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고,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전지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전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고, 전지를 삽입 통과시킨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변형 형태 1에 관련된 세트 전지 중,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이에 삽입 통과한 전지와 양자를 고정하는 접착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 형태 2에 관련된 세트 전지 중,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이에 삽입 통과한 전지와 양자를 고정하는 접착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 형태 3에 관련된 세트 전지 중,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이에 삽입 통과한 전지와 양자를 고정하는 접착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참고 형태에 관련되고,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전지가 치우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전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참고 형태에 관련되고, 전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전지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과 전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세트 전지(21) 및 전지 모듈(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지 모듈(20)을 내장하는 전지팩(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제너레이터(MG)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차량(100)의 플로어 패널(101) 중, 앞 좌석(105)의 하부에 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팩 케이스(11)는, 그 측판(11b)에 장착된 브래킷(12)에 의해 전동 차량(100)의 플로어 패널(101)의 하면(101d)에 볼트(13a)로 고정되어, 플로어 패널(101)로부터 매달려 있다. 이 팩 케이스(11)에는, 차실(104) 내에 장착된 냉각팬(103)으로부터, 전지팩(10) 내에 격납된 전지(23)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AR)가 공급된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지면의 상측 방향은 연직 방향 상측(UH), 하측 방향은 연직 방향 하측(DH), 왼쪽은 전동 차량(100)의 전측(FH), 오른쪽은 전동 차량(100)의 후측(BH)을 나타낸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지팩(10)은, 팩 케이스(11) 내에 전지 모듈(20)을 수용하고 있다. 이 전지 모듈(20)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0개)의 원통형의 전지(23)와, 이들 전지(23)를 보지하는 홀더 부재(25)로 이루어지는 세트 전지(21)(도 5, 도 6 참조)를 내장하고 있다. 이 외에, 전지 모듈(20)은, 제 1 면측 피복 부재(31) 및 제 2 면측 피복 부재(32)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면측 피복 부재(31) 및 제 2 면측 피복 부재(32)는, 세트 전지(21)의 홀더 부재(25)에 결합하여, 각각 연직 방향 상측(UH)으로부터, 및, 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모든 전지(23)를 덮는다.
세트 전지(21) 중, 전지(23)는, 원통형의 케이스에 담긴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이다. 전지(23) 중, 일방단은 중앙이 돌출한 정극 단자(23p)로, 타방단은 평탄한 부극 단자(23n)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각 전지(23)를 보지하는 홀더 부재(25)는, 판 형상이고 전지(23)를 보지하는 홀더부(27)와, 홀더부(27)의 주위에 위치하고, 제 1 면측 피복 부재(31) 및 제 2 면측 피복 부재(32)와 기밀하게 결합하는 시일부(26)를 가진다. 이 중, 판 형상의 홀더부(27)는, 제 1 면(27a)과 그 이면의 제 2 면(27b)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관통하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이, 보지하는 전지(23)의 수만큼(본 실시 형태에서는 60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은, 각 열 15개로 4열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이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열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은, 자신의 축선(27Hx)을 중심으로 했을 때, 당해 중심을 둘러싸는 정육각형의 정점에, 주위의 다른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축선(27Hx)이 위치하도록,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을 배치하고 있다(도 3 참조).
세트 전지(21)는,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제 1 면(27a)측에 정극 단자(23p)가 위치하고 제 2 면(27b)측에 부극 단자(23n)가 위치하는 자세로, 전지(23)를 끼운다. 그리고, 전지(23) 중 부극 단자(23n)측의 부극측 단부(23A)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내에 위치하고, 홀더부(27)의 제 2 면(27b)과 전지(23)의 부극 단자(23n)가 면일(面一)해지도록, 전지(23)를 배치한다. 그 후,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과 전지(23)의 외주면(23S)과의 사이의 간극(SM)에 접착제(AD)를 충전하고, 접착제(AD)를 경화시켜 접착체(29)로 하고, 이 접착체(29)로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전지(23)를 고정한다(도 7 참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트 전지(21)에서는, 각 전지(23)를 고정하는 접착체(29)의 모두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홀더부(27)의 제 1 면(27a)측(연직 방향 상측(UH))과 제 2 면(27b)측(연직 방향 하측(DH))의 사이에서,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전지(23)의 외주면(23S)과의 사이의 간극(SM)을 통한, 공기 등의 유통이 방지되고 있다.
홀더 부재(25)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홀더 부재(25)(홀더부(27))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전지(23)를 조립한 이 세트 전지(21)에서는, 승온한 전지(23)의 열을, 그 외주면(23S)으로부터 홀더 부재(25)에 방산시켜, 전지(23)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반대로, 홀더 부재(25)의 열을 전지(23)에 전하여, 전지(23)를 승온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전지(23)의 열이, 홀더 부재(25)를 개재하여 상호 이동하므로, 각 전지(23)간의 온도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의 두께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의해 전지(23)를 보지할 수 있고, 열전도에 의해 효과적으로 열 이동을 행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전지(23)의 길이의 1/4 정도의 두께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홀더 부재(25)의 전측(FH) 및 후측(BH)의 양단부에는, 절연성 수지로 구성된 L자형의 절연체(14)가 장착되어 있다. 절연체(14)에는 L자형의 브래킷(15)의 일면이 볼트(16a)로 고정되어 있고, 이 브래킷(15)의 다른 면은, 팩 케이스(11)의 바닥판(11a)의 내면에 볼트(16b)로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전지(23)를 홀더 부재(25)로 보지한 세트 전지(21), 및 이 세트 전지(21)를 제 1 면측 피복 부재(31) 및 제 2 면측 피복 부재(32)로 덮은 전지 모듈(20)은, 팩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이 세트 전지(21)를,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의 제 1 면(27a)측(연직 방향 상측(UH))으로부터 덮는 제 1 면측 피복 부재(31)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2∼도 6 참조). 제 1 면측 피복 부재(31)는, 절연 수지제의 전지 커버(33)와, 전지 커버(33)의 연직 방향 상측(UH)에 장착되는 덮개 부재(36)를 포함하고 있다.
전지 커버(33)는, 전지(23)의 정극 단자(23p)가 내부를 지나는 정극 삽입 통과 구멍(33p)이 전지(23)의 배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상측 커버부(33u)와, 홀더 부재(25)에 조립된 복수의 전지(23)의 외주를 덮는 사각 통 형상의 가로 커버부(33s)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커버(33)는, 그 가로 커버부(33s)가, 홀더 부재(25) 중 홀더부(27)의 주위의 시일부(26)의 제 1 시일면(26a)에 기밀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전지 커버(33)의 상측 커버부(33u)의 정극 삽입 통과 구멍(33p)으로부터는, 각 전지(23)의 정극 단자(23p)가 돌출하고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커버(33)의 상측 커버부(33u)의 연직 방향 상측(UH)에는, 소정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의 전지(23)마다, 정극 단자(23p)에 맞닿아 정극 단자(23p)끼리를 도통하는, 복수의 판 형상의 정극 버스 바 부재(41)가 탑재되고, 또한, 그 연직 방향 상측(UH)으로부터, 절연 수지제의 덮개 부재(36)로 덮고 있다.
또한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좌측(LH)(도 4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에는, L자 형상의 상측 플랜지(34u)와 하측 플랜지(34d)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34u)는, 플랜지면(34uf)이 연직 방향 상측(UH)을 향해 연장되고, 하측 플랜지(34d)는 플랜지면(34df)이 연직 방향 하측(DH)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쪽 플랜지(34u, 34d)의 플랜지면(34uf, 34df)에는, 전후 방향(도 4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긴 측판(35)이 장착되고, 이들 플랜지(34u, 34d)와 측판(3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긴 공기 유로(RAR)가 형성된다. 게다가, 도 2,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양쪽 플랜지(34u, 34d)의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 유로(RAR)에 면하는 부위에는, 공기 유로(RAR)에 흐르는 냉각 공기(AR)를, 전지 커버(33) 내에 도입하여, 각 전지(23) 중 홀더부(27)보다 제 1 면(27a)측(연직 방향 상측(UH))의 부위를 냉각하는 슬릿(33ss)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5에 있어서는,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좌측(LH)의 면에 슬릿(33ss)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우측(RH)의 면에도, 좌측(LH)의 면과 동일한 슬릿(33s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커버(33)의 우측(RH)에 형성된 슬릿(33ss)은, 전지(23)를 냉각한 후의 리턴 공기(BR)를, 전지 커버(33) 내로부터 전지팩(10)의 팩 케이스(11) 내에 배출하는 것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홀더 부재(25) 및 이에 보지된 전지(23)로 이루어지는 세트 전지(21)의 연직 방향 상측(UH)(제 1 면(27a)측)을, 전지 커버(33) 및 덮개 부재(36)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면측 피복 부재(31)로 덮고 있으므로, 홀더 부재(25)와 전지 커버(33)와 덮개 부재(36)는, 그 내부에 전지(23)를 수용하고, 전지(23)를 냉각하는 냉각 공기(AR)가 도입되는 공간인 제 1 실(RM1)을 구성한다.
이어서, 세트 전지(21)를, 홀더부(27)의 제 2 면(27b)측(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덮는 제 2 면측 피복 부재(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면측 피복 부재(32)는, 홀더 부재(25)의 제 2 면(27b)측(연직 방향 하측(DH))에 배치되고 각 전지(23)의 부극 단자(23n)에 도통하는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와, 홀더 부재(25) 및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를 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덮는 트레이 형상의 바닥판(37)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25)의 시일부(26) 중, 연직 방향 하측(DH)을 향하는 제 2 시일면(26b)에는, 정극 버스 바 부재(41)로 정극 단자(23p)끼리를 서로 도통한 전지(23)마다, 부극 단자(23n)에 맞닿아 부극 단자(23n)끼리를 도통하는, 판 형상의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가 장착된다. 또한,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를, 그 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내측에 보강용의 요철 형상의 리브(37a)가 형성된 알루미늄제이고 오목 형상의 바닥판(37)으로 덮고 있다.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도 5 참조)는, 정극 버스 바 부재(41)와 동일한 평면 형상의 금속판에 전지(23)의 배치에 맞춰 통기 구멍(42h)을 연 부극 버스 바 부재(42a)를 복수 매 나열하여 수지 몰드한 복합 부재이다. 이 중, 부극 버스 바 부재(42a)의 통기 구멍(42h) 내에는, 각각 전지(23)의 부극 단자(23n)에 맞닿는 혀 형상의 부극 접속 단자(4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의 외주연부에는, 몰드된 수지로 이루어지고, 연직 방향 하측(DH)으로 돌출하는 리브(42d)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의 연직 방향 하측(DH)에 마련하는 바닥판(37)은, 그 외주부(37g)가,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의 리브(42d)에 전체 둘레에 걸쳐 기밀하게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홀더 부재(25)와 전지(23)로 이루어지는 세트 전지(21)의 연직 방향 하측(DH)(제 2 면(27b)측)을,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와 바닥판(37)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면측 피복 부재(32)로 기밀하게 덮고 있고, 홀더 부재(25) 및 전지(23)와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의 리브(42d)와 바닥판(37)은, 그 내부에 제 2 실(RM2)을 형성하고 있다.
정극 버스 바 부재(41), 부극 버스 바 부재(42a)는, 각각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소정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씩) 전지(23)의 정극 단자(23p)끼리, 및 부극 단자(23n)끼리를 접속하여, 당해 그룹의 전지(23)끼리를 병렬로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전지 그룹끼리의 사이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바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 소정수의 전지(23)를 병렬 접속한 그룹끼리를 직렬로 접속한 전지 모듈(20)(전지팩(10))이 구성된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104) 내의 공기를 받아들인 냉각팬(103)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AR)는, 플로어 패널(101)에 뚫은 관통부(102) 내 및 팩 케이스(11)의 상부에 마련된 통풍 덕트(11d) 내를 지나는 냉각 공기 덕트(17) 및 접속 덕트(18)를 통하여, 전지 모듈(20)에 형성된 공기 유로(RAR)에 공급된다.
그리고, 도 2, 도 3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유로(RAR)에 공급된 냉각 공기(AR)는,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좌측(LH)에 마련한 슬릿(33ss)으로부터 전지 커버(33) 내의 제 1 실(RM1)에 유입되어, 제 1 실(RM1) 내에 수용된 각 전지(23)를 냉각한다. 냉각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리턴 공기(BR)로서, 전지 커버(33)의 가로 커버부(33s) 중 우측(RH)에 마련한 슬릿(33ss)으로부터 전지 모듈(20)의 외부에서 팩 케이스(11) 내에 배출되고, 또한, 팩 케이스(11)의 통풍 덕트(11d), 플로어 패널(101)의 관통부(102)를 통하여, 차실(104)에 되돌려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 전측(FH) 및 후측(BH)의 양단부에는, 대략 사각형의 연통 구멍(42t)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25) 전측(FH) 및 후측(BH)의 양단 부분의 내부에는, 제 2 면(27b)측 및 전측(FH) 또는 후측(BH)을 향해 개구하는 L자형의 연통 구멍(25H)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를 홀더 부재(25)에 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장착하면,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의 연통 구멍(42t)은, 홀더 부재(25)의 연통 구멍(25H)의 연직 방향 하측(DH)의 개구와 포개져 서로 연통한다. 이 때문에, 홀더 부재(25)(세트 전지(21))에 부극 버스 바 어셈블리(42) 및 바닥판(37)을 장착하면, 연통 구멍(42t) 및 연통 구멍(25H)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실(RM2)에 연통하는 유로가 구성된다.
전지(23)의 부극 단자(23n)는, 전지(23) 내에 가스가 발생하여 그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 개열하여 가스를 방출하는 안전 밸브 구조(도시하지 않음)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 밸브 구조가 작동하면, 전지(23)의 부극 단자(23n)로부터 홀더부(27)의 제 2 면(27b)측(연직 방향 하측(DH))의 제 2 실(RM2)에 가스가 방출된다. 제 2 실(RM2)에 방출된 가스는, 제 2 면(27b)으로부터 연통 구멍(42t) 및 연통 구멍(25H)을 지나고, 추가로 팩 케이스(11)를 관통하는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전지(23)로부터 제 2 실(RM2)에 가스가 방출되어도, 방출된 가스가 차실(104)에 진입하지 않고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37)의 좌우 방향 중앙의 리브(37a)의 외표면(연직 방향 하측(DH))에는, 전지 모듈(20)을 가온하는 막대 형상 히터(38)가 장착되어 있다. 막대 형상 히터(38)로부터 방출되는 열로 바닥판(37)이 가열된다. 바닥판(37)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막대 형상 히터(38)의 열에 의해 바닥판(37) 전체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러면, 바닥판(37)의 연직 방향 상측(UH)의 제 2 실(RM2) 내의 공기가 가열되어 대류함과 함께, 추가로, 각 전지(23)의 부극 단자(23n)가 균일하게 데워진다. 이렇게 하여, 각 전지(23)가 부극 단자(23n)측(연직 방향 하측(DH))으로부터 가열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부재(25)를 개재하여 전지(23) 상호간에 열이 전해지므로, 각 전지(23)를 균일하게 가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팩(10)에서는, 세트 전지(21) 자신이, 제 1 실(RM1)과 제 2 실(RM2)을 기밀하게 분리하는 격벽으로서의 역할도 겸용하고 있다.
그런데,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전지(23)의 외주면(23S)과의 사이의 간극(SM)에 각각 충전하여 고체화한 복수(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60개)의 접착체(29) 중에는,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는 접착체(29)가 존재하지 않고, 홀더부(27)에 대한 전지(23)의 고정(홀더부(27)에 의한 전지(23)의 보지)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나, 홀더부(27)에 대한 전지(23)의 고정(홀더부(27)에 의한 전지(23)의 보지력)은 충분하지만, 제 1 면(27a)과 제 2 면(27b)의 사이에 연통로(통기로)가 형성된 형태로 경화하였기 때문에, 기밀성이 충분하지 않은 접착체(29)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홀더부(27)에 대한 전지(23)의 고정이 불충분한 경우는 당연히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기밀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제 1 실(RM1)에 압송된 냉각 공기(AR)의 일부가, 기밀성 불충분의 접착체(29)를 통하여 제 2 실(RM2)측으로 누설되어 버리고, 그 영향으로 제 1 실(RM1) 내에서의 냉각 공기(AR)의 흐름에 이상을 발생시켜, 일부의 전지(23)에 대하여 냉각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전지(23)의 부극 단자(23n)의 안전 밸브 기구가 작동하여, 전지로부터 제 2 실(RM2)을 향해 방출된 가스가, 기밀성 불충분의 접착체(29)를 통하여 제 1 실(RM1)에 누설되고, 리턴 공기(BR)와 함께 차실(104)에 도달할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이나 기밀성이 충분하지 않은 접착체(29)가 형성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참고 형태의 경우와 같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SH) 내에 삽입 통과한 전지(BT)의 축선(BTx)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SH)의 축선(SHx)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도 13에 있어서는 도면 중 왼쪽)에 배치되어,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간극(SM)의 크기가 극단적으로 작아진 채, 간극(SM)에 접착제(AD)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SH)에 대하여 전지(BT)가 기울어진 자세로 배치되어,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간극(SM)의 크기가 극단적으로 작아진 채, 간극(SM)에 접착제(AD)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SH)과 전지(BT)의 외주면(BTS)과의 사이의 간극(SM)이, 전지(BT)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AD)의 침투의 모습이 장소에 따라 상이하다. 그러면, 간극(SM)이 좁아져 있는 부위에 접착제(AD)가 충분히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간극(SM) 중 접착제(AD)로 충전되지 않은 부위가 남아, 경화된 접착체(ADF)에 연통로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입되어 전지(BT)의 둘레 방향의 2방향(즉, 축선(BTx)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나뉘어 진행된 접착제(AD)끼리가, 통상이라면 접촉하여 일체화되지만, 판두께 방향(TH)으로 엇갈린 형상으로 진행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체화할 수 없고, 접착제(AD)가 충전되지 않은 부위가 남아, 경화된 접착체(ADF)에 연통로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세트 전지(21)에서는,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에 형성하는, 60개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의 형상을, 모두, 도 7에 나타내는 2단 테이퍼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하였다. 즉,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 중, 제 1 면(27a)측(도면 중, 하방)의 부분은, 비교적 세경(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이간부(27Sd)보다 세경)으로 하고, 또한, 제 2 면(27b)측(도면 중, 상방)일수록 대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의 자세 규제부(27Sr)로 하였다. 한편,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 중, 이 자세 규제부(27Sr)보다 제 2 면(27b)측에는, 이 자세 규제부(27Sr)보다 대경이고, 또한 제 2 면(27b)측(도면 중, 상방)일수록 대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한 이간부(27Sd)로 한다.
이 중, 자세 규제부(27Sr)는, 삽입 통과한 전지(23)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는 부위이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의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 구체적으로는 편심의 범위나 기울 수 있는 각도 범위를 규제한다. 한편, 이간부(27Sd)는, 전지(23)가 자세 규제부(27Sr)에 의해 규제된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전지(23)의 외주면(23S)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는 형태로 된 부위이다. 즉, 전지(23)가 자세 규제부(27Sr)에 의해 규제되는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이간부(27Sd)와, 전지(23)의 외주면(23S) 중 이 이간부(27Sd)에 대향하는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SM)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23)의 축선(23x)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축선(27Hx)에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물론, 전지(23)의 축선(23x)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축선(27Hx)으로부터 편심한 경우(도 13 참조)에도, 전지(23)의 이간부 대향부(23Sd)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이간부(27Sd)와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SM)이 형성된다. 게다가, 도 14와 동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축선(27Hx)에 대하여 전지(23)의 축선(23x)이 기울고, 전지(23)의 외주면(23S)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중 테이퍼 형상의 자세 규제부(27Sr)에 접하는 자세로 전지(23)가 배치된 경우라도, 이간부 대향부(23Sd)와 이간부(27Sd)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SM)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한 전지(23)가 어떤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충분한 양의 접착제(AD)를 주액하면, 전지(23)의 이간부 대향부(23Sd)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이간부(27Sd)와의 사이의 간극(SM)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AD)를 젖도록 확산시켜,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착제(AD)를 경화(고화)시킴으로써,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경화된 접착제(AD)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29K)를 가지는 접착체(29)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세트 전지(21)에서는, 홀더부(27)의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내에 전지(23)를 전체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어느 전지(23)에 대해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한 세트 전지(21)로 할 수 있고, 이와 함께, 홀더 부재(25) 및 각 전지(23)를, 홀더부(27)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TH)의 기밀을 확보한 격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세트 전지(21)에서는, 홀더부(27)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을 이루는 내주면(27S)에는, 이간부(27Sd)에 접착제(AD)를 보내주기 위해, 제 2 면(27b)으로부터 이간부(27Sd)에 도달하는 주액홈(27Sc)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주액홈(27Sc)을 마련하면, 이 주액홈(27Sc)을 통하여, 이간부(27Sd)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주액홈(27Sc)을 마련해 두면, 주액홈(27Sc)에 주액한 접착제(AD)를, 전지(23)의 외주면(23S)과 주액홈(27Sc)의 사이의 체적분만큼 일시적으로 보지하고, 그 후, 접착제(AD)의 점성에 따른 확산 속도로 이간부(27Sd)의 둘레 방향에 접착제(AD)를 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AD)의 주액을 적은 횟수 또는 단시간에 끝낼 수 있어, 염가의 세트 전지(21)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내주면(27S))에 대해, 주액홈(27Sc)은 1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착제(AD)의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착제(AD)의 유동에 의한 확산(퍼짐)의 진행 방향을 2방향(주액홈(27Sc)으로부터 전지(23)의 둘레 방향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액홈(27Sc)을 복수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접착제(AD)의 선단끼리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일체화되지 않아, 접착체(29)에 통기로가 생겨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세트 전지(21)에서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은, 모두, 이간부(27Sd)보다 판두께 방향(TH)의 제 1 면(27a)측(도 7에 있어서 하측)에, 이간부(27Sd)보다 세경의 자세 규제부(27Sr)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세경의 자세 규제부(27Sr)에 의해,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제한하고, 게다가, 이간부(27Sd)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AD)가 제 1 면(27a)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전체 둘레 결합부(29K)가 확실하게 형성된 접착체(29)를 가지는 세트 전지(21)가 된다.
이어서,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에, 전지(23)를 조립하여 세트 전지(21)를 구성하는 공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삽입 통과 공정에 있어서, 홀더부(27)의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전지(23)를 각각 삽입 통과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전지(23) 중, 부극 단자(23n)측의 부극측 단부(23A)를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주입 결합 공정으로서, 복수의 전지(23)가 삽입 통과된 홀더 부재(25)를, 홀더부(27)의 제 2 면(27b)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한 상태(도 9 참조)에서, 홀더부(27)의 내주면(27S) 중 이간부(27Sd)와 전지(23)의 외주면(23S) 중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하고,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확산시켜,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한다(도 7 참조).
이어서, 경화 공정에 있어서, 미경화의 접착제(AD)를 경화시켜, 홀더부(27)의 각 내주면(27S)과 전지(23)의 외주면(23S)과의 사이에, 접착체(29)를 각각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접착체(29)의 모두가, 적어도, 홀더부(27)의 이간부(27Sd)와 전지(23)의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경화된 접착제(AD)가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29K)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 세트 전지(21)에서는, 홀더부(27)의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내에 전지(23)를 전체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하여 보지할 수 있다. 게다가, 주입 결합 공정에서는, 주액홈(27Sc)을 통하여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확실하게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할 수 있다. 게다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홀더부(27)의 각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 내에 전지(23)를 전체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데다, 홀더부(27)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전지(23)의 사이의 간극(SM)을 통한 기체 등의 유통을 방지한 세트 전지(21)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전지(23)로 세트 전지(21)를 구성함과 함께, 홀더 부재(25) 및 각 전지(23)를, 홀더부(27)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TH)의 기밀을 확보한 격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부(27)의 각각의 내주면(27S)에 주액홈(27Sc)을 1개씩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AD)의 주액은, 이 1개 주액홈(27Sc)을 향해 행하고, 주액홈(27Sc)을 통하여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이간부(27Sd)에 주입한다. 이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과 같이 주액홈(27Sc)을 내주면(27S)마다 1개소로 한 다음에, 상술한 주입 결합 공정을, 복수의 전지(23)의 외주면(23S)과 홀더부(27)의 복수의 내주면(27S)과의 사이의 전체에, 미리 정한 순서로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는 복수회 주입 결합 공정으로 하고 있다.
주액홈(27Sc)을 경유하여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접착제(AD)를 주입함에 있어서, 주액홈(27Sc)의 체적에 비해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의 체적이 큰 경우 등, 주액홈(27Sc)의 체적에 비해 주입을 요하는 접착제(AD)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단시간에 주입하려고 하면, 접착제(AD)가 주액홈(27Sc)으로부터 넘치기 때문에, 단시간에 한꺼번에 필요량의 접착제(AD)를 주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복수회 주입 결합 공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어느 전지(23)에 대해서도, 필요량의 접착제(AD)를 주입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AD)를 퍼지게 하여,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과 이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할 수 있다.
또한, 주입 결합 공정 및 경화 공정에 있어서, 세경의 자세 규제부(27Sr)에 의해,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제한하고, 게다가, 이간부(27Sd)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AD)가 제 1 면(27a)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였으므로, 이간부(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접착체(29)의 전체 둘레 결합부(29K)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 세트 전지(21)를 제조할 수 있다.
(변형 형태 1)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제 1 변형 형태의 세트 전지(1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홀더 부재(25)의 홀더부(27)에 형성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내주면(27S)의 형태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액홈(27Sc)을 가지는 2단 테이퍼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비하여, 본 변형 형태 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125)의 홀더부(127)에 있어서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의 내주면(127S)의 형상을, 중간이 굵은 3단 원통 형상으로 하였다. 즉, 판두께 방향(TH) 중, 제 1 면(127a)측에 이간부(127Sd)보다 세경이고 원통 형상의 제 1 자세 규제부(127Sr1)를 가지고, 제 2 면(127b)측에 이간부(127Sd)보다 세경이고 원통 형상의 제 2 자세 규제부(127Sr2)를 가지고, 이 2개의 자세 규제부(127Sr1, 27Sr2)의 사이의 부분에, 이들보다 대경의 이간부(127Sd)를 가지는 중간이 굵은 3단 원통 형상의 내주면(127S)을 가지는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을 마련하였다.
상술한 형태의 홀더부(127)를 가지는 본 변형 형태 1의 세트 전지(121)에 있어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에 삽입 통과한 전지(23)가 어떤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충분한 양의 접착제(AD)를 주액하면, 전지(23)의 이간부 대향부(23Sd)와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의 이간부(27Sd)와의 사이의 간극(SM)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AD)를 젖도록 확산시켜, 이간부(1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착제(AD)를 경화(고화)시킴으로써, 이간부(1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경화된 접착제(AD)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129K)를 가지는 접착체(129)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전지(23)에 대해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과 이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한 세트 전지(121)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자세 규제부(127Sr1)를 마련하였으므로, 주입 결합 공정 및 경화 공정에 있어서, 이 제 1 자세 규제부(127Sr1)에서도,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 외에, 이간부(27Sd)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AD)가 제 1 면(127a)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간부(1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접착체(129)의 전체 둘레 결합부(129K)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 세트 전지(121)를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이간부(127Sd)를 사이에 두고, 판두께 방향(TH)으로 떨어진 2개소에 자세 규제부(127Sr1, 27Sr2)를 마련하였으므로, 주입 결합 공정 및 경화 공정에 있어서, 이 홀더부(127)를 가지는 세트 전지(121)에서는, 더욱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 형태 1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에서도, 그 내주면(127S)에 이간부(127Sd)에 도달하는 주액홈(127Sc)을 1개소 마련하고 있다. 이 주액홈(127Sc)을 포함하여, 다른 부분은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 형태 2)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제 2 변형 형태의 세트 전지(2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변형 형태 1에서는, 홀더 부재(125)의 홀더부(127)에 형성한 전지 삽입 통과 구멍(127H)의 내주면(127S)의 형태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이 굵은 3단 원통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비하여 본 변형 형태 2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225)의 홀더부(227)에 있어서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27H)의 내주면(227S) 중, 판두께 방향(TH)의 제 1 면(227a)측의 단부를 세경의 제 1 자세 규제부(227Sr1)로 하고, 제 2 면(227b)측의 단부를 세경의 제 2 자세 규제부(227Sr2)로 하고, 판두께 방향(TH)의 중앙을 향할수록 대경으로 하여 이 부분을 이간부(227Sd)로 하였다.
본 변형 형태 2의 세트 전지(221)에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227H)에 삽입 통과한 전지(23)가 어떤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충분한 양의 접착제(AD)를 주액하면, 이간부(2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경화시킴으로써, 이간부(2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경화된 접착제(AD)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229K)를 가지는 접착체(229)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전지(23)에 대해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227H)과 이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한 세트 전지(221)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세경의 제 1 자세 규제부(227Sr1)를 마련하였으므로, 주입 결합 공정 및 경화 공정에 있어서, 이 제 1 자세 규제부(227Sr1)에서도,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 외에, 이간부(227Sd)에 주입한 미경화의 접착제(AD)가 제 1 면(227a)측에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간부(2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에 접착체(229)의 전체 둘레 결합부(229K)가 보다 확실하게 형성된 세트 전지(221)를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이간부(227Sd)를 사이에 두고, 판두께 방향(TH)으로 떨어진 2개소에 자세 규제부(227Sr1, 227Sr2)를 마련하였으므로, 주입 결합 공정 및 경화 공정에 있어서, 이 홀더부(227)를 가지는 세트 전지(221)에서도, 더욱 전지(23)가 취하는 자세의 범위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 형태 2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27H)에서도, 그 내주면(227S)에 이간부(227Sd)에 도달하는 주액홈(227Sc)을 1개소 마련하고 있다. 이 주액홈(227Sc)을 포함하여, 다른 부분은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 형태 3)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제 3 변형 형태의 세트 전지(3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변형 형태 1, 2에서는, 자세 규제부를 판두께 방향의 제 1 면측 및 제 2 면측에 마련하고, 2개의 자세 규제부의 사이에 이간부를 마련하였다(도 10, 도 11 참조).
이에 비하여, 본 변형 형태 3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325)의 홀더부(327)에 있어서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327H)의 내주면(327S)의 형상을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내주면(327S) 중,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나선 형상으로 돌출하는 마루부를 자세 규제부(327Sr)로 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나선 형상으로 패이는 골부를 이간부(327Sd)로 하였다. 즉, 마루부인 자세 규제부(327Sr)와 골부인 이간부(327Sd)가 이중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도록 하였다.
본 변형 형태 3의 세트 전지(321)에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327H)에 삽입 통과한 전지(23)가 어떠한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충분한 양의 접착제(AD)를 주액하면, 이간부(3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자세 규제부(327Sr)와 전지(23)의 외주면(23S)과의 사이의 간극에도 접착제(AD)가 공급되고, 자세 규제부(327Sr)와 외주면(23S)의 사이를 개재하여, 판두께 방향(TH)의 상하에 위치하는 이간부(3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가 접착제(AD)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접착제(AD)를 경화시킴으로써, 이간부(327Sd)와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경화된 접착제(AD)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329K)를 가지는 접착체(329)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전지(23)에 대해서도, 전지 삽입 통과 구멍(327H)과 이에 삽입 통과된 전지(23)와의 사이를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한 세트 전지(321)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 형태 3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327H)에서도, 그 내주면(327S)에 이간부(327Sd)에 도달하는 주액홈(327Sc)을 1개소 마련하고 있다. 이 주액홈(327Sc)을 포함하여, 다른 부분은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기술을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 1∼3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지팩(10)의 외부(차실(104) 내)에 배치한 냉각팬(103)으로부터의 냉각 공기(AR)를, 냉각 공기 덕트(17)를 이용하여, 추가로 공기 유로(RAR)를 통하여, 전지팩(10)의 전지 모듈(20) 내에 도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전지팩(10)의 팩 케이스(11)에, 또는 전지 모듈(20)의 제 1 면측 피복 부재(31)에 냉각팬을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세트 전지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각 전지(23)를 공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면측 피복 부재로 홀더부(27)의 제 1 면(27a)측을 기밀하게 덮도록 하여, 각 전지(23)를 밀폐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세트 전지(21;121;221;321)에 있어서,
    복수의 원통형 전지(23)와,
    제 1 면(27a;127a;227a;327a)과 상기 제 1 면(27a;127a;227a;327a)의 이면인 제 2 면(27b;127b;227b;327b)을 가지는 판 형상을 이루고, 판두께 방향(TH)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의 외주면(23S)을 보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더부(27;127;227;327)를 가지는 홀더(25;125;225;325)와,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과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을 이루는 내주면(27S;127S;227S;327S)과의 사이에서 경화된 접착제(AD)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과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복수의 상기 내주면(27S;127S;227S;327S)을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접착체(29;129;229;329)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을 이루는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은,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23)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와, 상기 원통형 전지(23)가 상기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로 규제된 상기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도록 구성되는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제 2 면(27b;127b;227b;327b)으로부터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에 연결되는 주액홈(27Sc;127Sc;227Sc;327Sc)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접착체(29;129;229;329)가, 적어도,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내주면(27S;127S;227S;327S) 중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 중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에 대향하는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를,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경화된 접착제(AD)로 결합한 전체 둘레 결합부(29K;129K;229K;329K)를 가지는, 세트 전지(21;121;221;32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체(29;129;229;329)가,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과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23)와의 사이를 상기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는, 세트 전지(21;121;221;32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는,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TH)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27a;127a;227a;327a)의 근처에 마련되는 제 1 자세 규제부(27Sr;127Sr1;227Sr1;327Sr)를 가지고, 상기 제 1 자세 규제부(27Sr;127Sr1;227Sr1;327Sr)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의 직경보다 작은, 세트 전지(21;121;221;32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규제부(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는, 상기 이간부(127Sd;227Sd;327Sd)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TH)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127b;227b;327b)의 근처에 마련되는 제 2 자세 규제부(127Sr2;227Sr2;327Sr)를 가지고, 상기 제 2 자세 규제부(127Sr2;227Sr2;327Sr)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127Sd;227Sd;327Sd)의 직경보다 작은, 세트 전지(121;221;321).
  5. 전지 모듈(20)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트 전지(21;121;221;321)와,
    상기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상기 홀더(25;125;225;325)의 상기 홀더부(27;127;227;327)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를 상기 제 1 면측으로부터 덮어, 상기 홀더(25;125;225;325)에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면측 피복 부재(31)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20).
  6.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홀더부(27;127;227;327)의 복수의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복수의 원통형 전지(23)를 각각 삽입 통과시키는 것과, 상기 홀더부(27;127;227;327)는, 제 1 면(27a;127a;227a;327a)과 상기 제 1 면(27a;127a;227a;327a)의 이면인 제 2 면(27b;127b;227b;327b)을 가지는 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은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판두께 방향(TH)으로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을 이루는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은,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23)가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와, 상기 원통형 전지(23)가 상기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로 규제된 상기 자세의 범위 내의 어느 자세를 취한 경우라도,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외주면(23S)과 전체 둘레에 걸쳐 이간하도록 구성되는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제 2 면(27b;127b;227b;327b)으로부터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에 연결되는 주액홈(27Sc;127Sc;227Sc;327Sc)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가 삽입 통과된 상기 홀더부(27;127;227;327)를,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제 2 면(27b;127b;227b;327b)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내주면(27S;127S;227S;327S) 중, 상기 주액홈(27Sc;127Sc;227Sc;327Sc)을 통하여,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 중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에 대향하는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하고,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를 확산시켜,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이간부 대향부(23Sd)의 사이를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로 연결하는 것과,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를 경화시켜,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과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착체(29;129;229;329)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체(29;129;229;329)가, 상기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과 당해 전지 삽입 통과 구멍(27H;127H;227H;327H)에 삽입 통과된 상기 원통형 전지(23)와의 사이를 상기 판두께 방향(TH)으로 기밀하게 폐색하고 있는,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액홈(27Sc;127Sc;227Sc;327Sc)은, 상기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에 각각 1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과 상기 홀더부(27;127;227;327)의 상기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과의 사이에, 미리 정한 순서로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는,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규제부(27Sr;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는,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TH)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27a;127a;227a;327a)의 근처에 마련되는 제 1 자세 규제부(27Sr;127Sr1;227Sr1;327Sr)를 가지고, 상기 제 1 자세 규제부(27Sr;127Sr1;227Sr1;327Sr)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복수의 내주면(27S;127S;227S;327S) 내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23)의 자세를, 상기 제 1 자세 규제부(27Sr;127Sr1;227Sr1;327Sr)로 규제된 범위 내의 자세의 상태에서,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와 상기 원통형 전지(23)의 상기 외주면(23S) 중 상기 이간부(27Sd;127Sd;227Sd;327Sd)에 대향하는 상기 이간부 대향부(23Sd)와의 사이에,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를 주입하고, 상기 미경화의 접착제(AD)를 경화시켜 상기 접착체(29;129;229;329)를 형성하는, 세트 전지(21;121;221;321)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규제부(127Sr1, 127Sr2;227Sr1, 227Sr2;327Sr)는, 상기 이간부(127Sd;227Sd;327Sd)보다 상기 판두께 방향(TH)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127b;227b;327b)의 근처에 마련되는 제 2 자세 규제부(127Sr2;227Sr2;327Sr)를 가지고, 상기 제 2 자세 규제부(127Sr2;227Sr2;327Sr)의 직경은 상기 이간부(127Sd;227Sd;327Sd)의 직경보다 작은, 세트 전지(121;221;321)의 제조 방법.
KR1020180066272A 2017-06-20 2018-06-08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77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0826 2017-06-20
JP2017120826A JP6798432B2 (ja) 2017-06-20 2017-06-20 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143A true KR20180138143A (ko) 2018-12-28
KR102077165B1 KR102077165B1 (ko) 2020-02-13

Family

ID=6262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72A KR102077165B1 (ko) 2017-06-20 2018-06-08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80217B2 (ko)
EP (1) EP3419079B1 (ko)
JP (1) JP6798432B2 (ko)
KR (1) KR102077165B1 (ko)
CN (1) CN109103403B (ko)
RU (1) RU2683237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31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20033796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전기차용 배터리 냉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0955B1 (fr) * 2018-05-03 2021-01-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assemblage d'une batterie
GB2577258B (en) * 2018-09-18 2022-09-21 Mclaren Automotive Ltd Battery cell tray
CN109728225A (zh) * 2019-01-08 2019-05-07 深圳新恒业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及其均温控温方法
CN110370987B (zh) * 2019-07-15 2024-05-07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电动汽车的电池散热降温保护结构
AT523543B1 (de) * 2020-08-10 2021-09-15 Kreisel Electric Gmbh & Co Kg Temperiervorrichtung für einzelne, zu einem Modul zusammengesetzte Batteriezellen
KR20220120492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1993140B2 (en) 2021-03-24 2024-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 transferring battery cell arrangement for traction battery pack
DE102021124229A1 (de) 2021-09-20 2023-03-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nergiespeicher sowie Vorrichtung
DE102021006208B3 (de) 2021-12-16 2023-06-01 Mercedes-Benz Group AG Batteriemodul
DE102022004064A1 (de) 2022-10-31 2024-01-25 Mercedes-Benz Group AG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sowie Batteri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579A (ko) * 2002-10-23 2004-04-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JP2013008655A (ja) * 2011-05-25 2013-01-10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電池保持構造
JP2015191699A (ja) * 2014-03-27 2015-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6451A (ja) * 2014-09-24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EP3026732A1 (en) * 2014-11-25 2016-06-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ssemb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ssembled battery
KR20160063281A (ko) * 2014-11-26 2016-06-03 도요타 지도샤(주) 조전지, 외장 튜브 구비 전지, 및 버스 바를 용접한 조전지의 제조 방법
JP2016207494A (ja) * 2015-04-23 2016-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851A (ko) * 2006-11-29 2008-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R2920913B1 (fr) * 2007-09-06 2009-11-13 Pellenc Sa Batterie constituee d'une pluralite de cellules positionnees et reliees entre elles, sans soudure.
ITBO20120056A1 (it) * 2012-02-07 2013-08-08 Ferrari Spa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per un veicolo con propulsione elettrica e presentante una struttura priva di linee di resistenza longitudinali o trasversali
DE102014002165B3 (de) * 2014-02-19 2015-01-22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r Fixierung von Rundzellen mittels komprimierter Zellenfixierung und Zellenblock
KR101778668B1 (ko) * 2014-07-03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착홈 및 돌기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조립용 지그
JP6407997B2 (ja) * 2014-07-07 2018-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US9147875B1 (en) * 2014-09-10 2015-09-29 Cellink Corporation Interconnect for battery packs
JP6256397B2 (ja) * 2015-03-23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6315007B2 (ja) 2016-02-23 2018-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583219B2 (ja) 2016-11-15 2019-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106784602A (zh) * 2016-12-28 2017-05-31 中天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圆柱型锂离子电池极片卷绕去毛刺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579A (ko) * 2002-10-23 2004-04-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JP2013008655A (ja) * 2011-05-25 2013-01-10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電池保持構造
JP2015191699A (ja) * 2014-03-27 2015-11-02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6451A (ja) * 2014-09-24 2016-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EP3026732A1 (en) * 2014-11-25 2016-06-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ssemb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ssembled battery
KR20160062701A (ko) * 2014-11-25 2016-06-02 도요타 지도샤(주)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KR20160063281A (ko) * 2014-11-26 2016-06-03 도요타 지도샤(주) 조전지, 외장 튜브 구비 전지, 및 버스 바를 용접한 조전지의 제조 방법
JP2016207494A (ja) * 2015-04-23 2016-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31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20033796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전기차용 배터리 냉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9079B1 (en) 2020-05-13
CN109103403B (zh) 2021-06-18
RU2683237C1 (ru) 2019-03-27
JP6798432B2 (ja) 2020-12-09
US10680217B2 (en) 2020-06-09
KR102077165B1 (ko) 2020-02-13
BR102018012122A2 (pt) 2019-01-15
EP3419079A1 (en) 2018-12-26
JP2019008887A (ja) 2019-01-17
US20180366701A1 (en) 2018-12-20
CN109103403A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143A (ko) 세트 전지, 전지 모듈 및 세트 전지의 제조 방법
CN110534846B (zh) 机动车电池模块设备制造方法、机动车电池模块设备和具有电池模块设备的机动车
US11316229B2 (en) Battery housing to hold a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rrangement,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a thermally conductive element in a battery housing
CN105633313B (zh) 组合电池和组合电池的制造方法
US20190380220A1 (en)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CN104183801A (zh) 电池外壳系统和方法
CN104364158A (zh) 可注射螺帽盖
JP2012064450A (ja) 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車
CN105324867A (zh) 用于高级电池的排气壳体
CN207818695U (zh) 电池单元及电池模组
KR20170040113A (ko)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CN108780858A (zh) 电池组件以及用于制造电池组件的方法
CN106058282A (zh) 由燃料电池双极板上的冲压板实现的注入金属珠通道密封
US20200136098A1 (en) Cell housing plate for the arrangement of round cells
KR102603060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75788A1 (ja) 防水型制御ユニット、及び防水型制御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7228469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7232582B2 (ja) 樹脂封止型車載電子制御装置
JP2005537432A (ja) 管片形のスロットルバルブアセンブリを閉鎖する方法
US20210221532A1 (en) Cap seal, fastening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mounting cap seal
BR102018012122B1 (pt) Bateria montada, módulo de bateria, e método de fabricação para bateria montada
KR20200118796A (ko) 전기 구동 차량용 배터리 장치
US20230155203A1 (en) Battery Housing,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WO2019065168A1 (ja) 電源装置
KR20130143513A (ko) 부품 비틀림을 보상하기 위한 사출 성형 컴포넌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