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63A -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63A
KR20180138063A KR1020170078144A KR20170078144A KR20180138063A KR 20180138063 A KR20180138063 A KR 20180138063A KR 1020170078144 A KR1020170078144 A KR 1020170078144A KR 20170078144 A KR20170078144 A KR 20170078144A KR 20180138063 A KR20180138063 A KR 2018013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cover body
film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1160B1 (en
Inventor
조명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160B1/en
Publication of KR2018013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1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9/04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provided with 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to prevent moisture or a foreign substance from flowing by omitting a hole protruding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es: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of a vehicle, and provided with a housing opening portion at one side thereof; a cover assembly having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cover body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button arranged in the cover body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cover the cover body opening; and a switch operated by the flexible button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nd installed at an internal 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TRUNK SWITCH UNIT FOR VEHICLE}[0001]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in which no problem of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occurs.

차량의 트렁크는 차체 후방에 형성되어 짐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트렁크는 트렁크 리드에 의해 적재 공간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트렁크 리드는 래치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에 의해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동식 잠금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식 잠금장치는 트렁크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The trunk of the vehicle is a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o provide a loading space for loading. Such a trun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ing space is opened or closed by the trunk lid. The trunk lid is typically configured to be locked by a locking means including a latch. Such a locking means may consist of an electric locking device comprising a solenoid and the electric locking device may be unlocked by an actuating signal originating from the trunk switch.

최근 차량의 제조사를 표시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는 엠블럼과 일체화된 트렁크 스위치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는 부품수를 줄이고 차량 외관의 디자인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BACKGROUND ART Recently, a trunk switch integrated with an emblem mounted on a trunk lid for indicating a maker of a vehicle has been applied to a vehicle. This emblem-integrated trunk swit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design quality of the vehicle exterior.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2016. 11. 3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트렁크 스위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디(17)에 엠블럼(10)이 고정되고, 바디(17)에 마련된 버튼 홀(16)에 푸시 타입의 푸시 버튼(13)이 장착되며, 바디(17)에 마련된 커버 홀(22)에 푸시 커버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푸시 커버는 바디(17) 안쪽에 배치되는 트렁크 록의 전면을 덮는다. 이러한 트렁크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푸시 버튼(13)이 눌리면 푸시 버튼(13)이 바디(17) 안쪽에 배치된 텍 스위치(12)와 접촉하여 작동하게 된다.One example of such an emblem-integrated trunk switch is disclosed i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37001 (Nov. 1, the emblem 10 is fixed to the body 17, and a push-type push button 13 is attached to the button hole 16 provided in the body 17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ush cover is movably mounted on a cover hole 22 provided in the body 17. The push cover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trunk lock disposed inside the body (17). When the push button 13 is pressed by the user, the push button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ex switch 12 disposed inside the body 17 to operate the trunk switch.

그런데 이러한 종래 트렁크 스위치는 푸시 버튼(13)이 바디(17)에 형성된 버튼 홀(16)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버튼 홀(16)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runk switch, since the push button 13 is moved in the button hole 16 formed in the body 17, there is a problem that moisture or foreign matter flows inward through the button hole 16.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 (2016. 11. 30.)Patent Publication No. 2016-0137001 (Nov. 30, 20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 드러나는 홀을 생략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by omitting the holes exposed to the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part at one side;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button disposed on the cover body so as to be resiliently deformable and covering the cover body opening; And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operate by the flexible button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cover assembly and having a decorative member opening exposing the flexible button to the outside .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A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is protruded on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a cover body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The member may be fixed to the housing by insert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into a coupling hole of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ilm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assembly and the decorative member to cover the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facing the decorative member to protect the cover assembly.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cover film may be adhered to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필름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필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is protruded on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a cover body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A cover film through hole into which the member coupling boss is inserted may be formed.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필름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 커버필름 절개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which the cover film is coupled may be a curved surface, and the cover film may have a cover film cutting sli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cover film.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which the cover film is coupled may be subjected to a painting treatment.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결합되는 림부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button may include a rim portion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ver body opening and engaged with the cover body, and a diaphragm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im portion to elastically defor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가요성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버튼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nger mov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a pushing force,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flexible button and is transmitted as a deformation of the flexible button, to the switch; As shown in FIG.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다이아프램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nger may include a plunger body slidably supported on the housing and a button contact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nger body so that the diaphragm portion of the flexible button contacts the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가요성 버튼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flexible button side with respect to the plunger.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이 배치될 수 있다.A diaphragm seat receiving groove on which an edge of the diaphragm portion is seated may be disposed around the cover body opening so that the diaphragm portion does not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One of the cover body and the rim of the flexible button may have a fixing protrusion and the other may hav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면취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button may include a chamfered groov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diaphragm portion.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The cover body and the flexible button of the cover assembly may be insert-molded to form an integral body.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버 바디의 타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A cover body coupling boss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is protru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body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housing, a boss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is couple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Can be fixed to the housing by insert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into a coupling hole of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to seal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바디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The housing and the cover body may be ultrasonic welded.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n inner housing in which the cover assembly and the switch are installed, and an outer housing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to surround the outer housing of the inner housing and coupled to a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 drain can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housing to discharge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er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체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body, thereby being easy to use and excellent in oper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 조립체가 완전히 덮어 외부로 드러나는 홀이 없으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waterproof performance and does not cause foreign matter such as moisture to flow into the trunk switch unit because the cover assembly completely covers the open part of the housing and there is no hol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an emblem of a vehicle, so that the design quality is excellent and the user can provide an emotional fee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Further,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excellent in assembling property, and can be easily replaced and repaired.

도 1은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이너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에 커버필름과 장식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제조에 이용되는 필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unk switch.
2 shows a state in which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cover assembly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cover assembly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assembly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housing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cover film and a decorative member to a cover assembly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m assembly used for manufactur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ttaching a cover film us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shows a part of a cover film adhering apparatus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runk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 리드 등 차체(10)에 설치된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120)와, 하우징(110)을 덮는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 조립체(130) 상에 차례로 결합되는 커버필름(155) 및 장식부재(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body 10 such as a trunk lid of a vehicle so that the trunk switch unit 100 can be operated by a user outside the vehicle and open the trunk of the vehicle .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110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0, a switch 1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 cover assembly 130 covering the housing 110, And includes a cover film 155 and a decorative member 160 which are in turn coupled to the assembly 130.

하우징(110)은 스위치(120)와 커버 조립체(130)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111)과, 이너 하우징(111)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너 하우징(111)과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116)을 포함한다.The housing 110 includes an inner housing 111 in which the switch 120 and the cover assembly 130 are installed and an outer housing 116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11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housing of the inner housing 111 do.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스위치(12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너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하우징 개방부(112)가 구비되고, 이 하우징 개방부(112)는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덮인다.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플런저 가이드(113)와, 복수의 보스 결합부(114)가 구비된다. 플런저 가이드(113)는 후술할 플런저(150)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보스 결합부(114)는 커버 조립체(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아우터 하우징(116)은 이너 하우징(111)의 외곽 대부분을 감싸면서 차체(10)에 고정된다.A space in which the switch 120 and the like are installed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housing 111. One side of the inner housing 111 is provided with a housing opening 112, which is covered by a cover assembly 130. A plunger guide 113 and a plurality of boss coupling portions 114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housing 111. The plunger guide 113 serves to guide the plunge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The plurality of boss coupling portions 114 is a portion coupled with a plurality of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provided on the cover assembly 130. The outer housing 116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while covering mos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housing 111.

이너 하우징(111)과 아우터 하우징(116)의 사이에는 아우터 하우징(116)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118)가 마련된다. 우천 시나 세차 중에 차체(10)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이너 하우징(111)은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어 있어 그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없고, 아우터 하우징(116)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배수로(118)를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drainage passage 118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111 and the outer housing 116 to discharg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116. A fluid such as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a clearance between the vehicle body 10 and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during rainy weather or car wash. At this time, the inner housing 111 is tightly closed by the cover assembly 130, so that the fluid can not flow into the inner housing 111, and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er housing 11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assage 118 .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너 하우징(111)을 아우터 하우징(116)이 감싸는 구조 이외에, 스위치(120) 등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덮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nclude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witch 120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housing 116 surrounds the inner housing 111,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스위치(120)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스위치(120)로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푸쉬형 스위치, 또는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커넥터(124)가 연결되며, 스위치(120)의 전기적 신호가 커넥터(124)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The switch 120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housing 111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e switch 120 may be a push-type switch operated by a pressing operation, or a switch having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the flexible button 140 of the cover assembly 130. The switch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2 disposed inside the inner housing 111. A connector 124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2 and an electrical signal of the switch 12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or 124.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130)는 이너 하우징(11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이너 하우징(111)의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는다. 커버 조립체(130)는 커버 바디(131)와, 커버 바디(131)의 중간에 결합되는 가요성 버튼(140)을 포함한다.4 to 9, the cover assembly 1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inner housing 111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112 of the inner housing 111. The cover assembly 130 includes a cover body 131 and a flexible button 140 coupled between the cover body 131 and the cover body 131.

커버 바디(131)는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도록 이너 하우징(111)에 결합된다. 커버 바디(131)의 일측에는 커버 바디 개구(132)가 마련된다. 커버 바디 개구(132)는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덮일 수 있도록 가요성 버튼(14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 바디(131) 일면의 커버 바디 개구(132) 둘레에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133)이 마련된다. 커버 바디(131)의 타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34)가 돌출 구비된다. 이들 고정돌기(134)는 커버 바디 개구(13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또한 커버 바디(131)의 타면에는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들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는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각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에는 결합홀(137)이 마련된다.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 중 일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는 커버 바디(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 바디 삽입홈(138)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의 결합홀(137)과 연결된다.The cover body 131 is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111 so as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portion 112. A cover body opening (13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body (131). The cover body opening 13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exible button 140 so that it can be covered by the flexible button 140. A diaphragm seat receiving groove 133 is formed around the cover body opening 132 on one side of the cover body 131.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4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These fixing projections 134 are spac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ver body opening 132. Also, a plurality of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and 1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The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136)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Each cover body coupling boss 135 (13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37. Some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of the plurality of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and 136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cover body insertion grooves 138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137 of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135.

가요성 버튼(140)은 커버 바디 개구(132)를 덮도록 커버 바디(131)에 결합된다. 가요성 버튼(140)은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버튼(140)은 커버 바디 개구(132)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커버 바디(131)와 결합되는 림부(141)와, 림부(1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144)를 포함한다. 림부(141)는 굽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이아프램부(144)는 림부(141)의 상측을 덮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림부(141)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34)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홈(142)이 마련된다. 다이아프램부(144)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10) 내측의 스위치(120) 쪽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The flexible button 140 is coupled to the cover body 131 to cover the cover body opening 132. The flexible button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uch as silicone. The flexible button 140 includes a rim portion 141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ver body opening 132 and engaged with the cover body 131 and a diaphragm portion 144 disposed inside the rim portion 141 do. The rim portion 141 has a bent ring shape and the diaphragm portion 144 has a flat plate shape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rim portion 141. The rim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42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4 are inserted. The diaphragm portion 144 can be bent and deformed toward the switch 120 inside the housing 110 by the user.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면취홈(145)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적절한 가압력으로 다이아프램부(144)를 눌러 조작하기 위해서는 다이아프램부(144)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안된다. 반면, 다이아프램부(144)의 두께가 얇으면 사용자 조작감은 향상될 수 있지만, 다이아프램부(144)가 하측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모깍이한 형태의 면취홈(145)을 다이아프램부(144)의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면취홈(145)이 형성된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므로 사용자가 다이아프램부(144)를 누를 때 다이아프램부(144)가 원활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아프램부(144)를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적절한 두께로 하면서 사용자 조작감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A chamfered groove (145) is dispos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should not be too large for the user to press the diaphragm portion 144 with an appropriate pressing force.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is thin, the user's operation feeling can be improved, but the diaphragm portion 144 may be sagged downward. Such problems can be solved by disposing the chamfered grooves 145 in the form of rounded edges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Since the edge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formed with the chamfered groove 145 is relatively thin, the diaphragm portion 14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moothly when the user presses the diaphragm portion 144. Therefore, the diaphragm portion 14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in user operation feeling while maintaining a proper thickness at which deflection does not occur.

가요성 버튼(140)은 그 고정홈(142)에 커버 바디(131)의 고정돌기(134)가 삽입됨으로써 커버 바디(131)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홈(142)과 고정돌기(134)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즉, 고정홈(142)이 커버 바디(131)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34)가 가요성 버튼(140)에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가요성 버튼(140)의 다이아프램부(144)는 커버 바디(131)의 다이아프램부 안착홈(133)에 삽입됨으로써 커버 바디(1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방법을 이용하면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을 견고하고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 간의 결합 방법은 인서트 사출 방법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The flexible button 140 can maintain a stable engagement with the cover body 131 by inserting the fixing protrusion 134 of the cover body 131 into the fixing groove 142. [ The positions of the fixing groove 142 and the fixing protrusion 134 can be changed. That is, the fixing groove 142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body 131, and the fixing protrusion 134 may be provided on the flexible button 140. The diaphragm portion 144 of the flexible button 140 is inserted into the diaphragm receiving groove 133 of the cover body 131 so as not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 The cover body 131 and the flexible button 140 may be insert-molded so as to be integrally manufactured. The insert inje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the cover body 131 and the flexible button 140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insert injection method can be used as the method of coupling the cover body 131 and the flexible button 140. [

커버 조립체(13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70)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가 이너 하우징(111)의 보스 결합부(114)에 결합된 된 후, 고정부재(170)가 이너 하우징(111)의 저면으로부터 이너 하우징(111)에 결합되어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의 결합홀(137)에 삽입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가 이너 하우징(111)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스 결합부(114)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 사이는 실링부재(172)가 배치되어 보스 결합부(114)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의 가장자리와 이너 하우징(111)의 가장자리 사이에도 실링부재(174)가 개재되어 커버 조립체(130)와 이너 하우징(11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via a fixing member 170 coupled to the housing 110. That is, after the cover body engaging boss 135 (136) of the cover assembly 130 is engaged with the boss engaging portion 114 of the inner housing 111, the fixing member 170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11 The cover assembly 130 can be firmly engaged with the inner housing 111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37 of the cover body coupling bosses 135 and 136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111. [ 10, a sealing member 172 is disposed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114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135 (136) so that a gap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114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135 It can be sealed. A sealing member 174 is also interposed between the edge of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 edge of the inner housing 111 to seal the gap between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 inner housing 111.

커버 조립체(130)를 하우징(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커버 조립체(130)를 이너 하우징(111)에 초음파 융착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와 이너 하우징(111)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는 고정부재(170)에 의한 결합 방법이나, 초음파 융착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Ultrasonic welding may be used to further securely connect the cover assembly 130 to the housing 110. [ That is, by fusing the cover assembly 130 to the inner housing 111 by ultrasonic wel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 inner housing 111. 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10 in various other ways besides the joining method using the fixing member 170 or the ultrasonic welding method.

앞서 설명한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푸시 버튼이 바디의 버튼 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버튼 홀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 조립체(130)가 완전히 덮어 외부로 드러나는 홀이 없으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runk switch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slid along the button hole of the body, so that moisture or foreign matter can flow inward through the button hole. On the contrary,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waterproof performance because there is no hole through which the cover assembly 130 completely covers the opened portion of the housing 110, .

커버필름(155)이 부착되는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외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될 수 있다. 가요성 버튼(140)의 일면과 커버 바디(131)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체(10)의 색상과 같은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 처리함으로써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해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painted to increase the appearance quality.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flexible button 14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may be painted with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vehicle body 10 or other colors to improve the esthetics and design quality.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curved for improved aesthetics and design quality.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이 누름 조작될 때, 가요성 버튼(140)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플런저(150)를 통해 스위치(120)에 전달된다.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플런저 가이드(113)에 지지되어 가요성 버튼(140)의 누름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150)는 플런저 가이드(1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151)와, 플런저 바디(151)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153)를 포함한다. 버튼 접촉부(153)는 가요성 버튼(140)의 다이아프램부(144)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다이아프램부(144)와 면접촉하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다이아프램부(144)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버튼 접촉부(153)를 통해 플런저(150)에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flexible button 140 of the cover assembly 130 is pushed,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button 140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through the plunger 150. [ The plunger 150 is movably disposed inside the inner housing 111. The plunger 150 can be supported by the plunger guide 113 of the inner housing 111 and linearly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flexible button 140. [ The plunger 150 includes a plunger body 151 slidably supported by the plunger guide 113 and a button abutment portion 15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nger body 151. The button contact 153 is disposed to face the diaphragm 144 of the flexible button 140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diaphragm 144. [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portion 144 can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plunger 150 through the button contact portion 153. [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76)에 의해 가요성 버튼(140) 측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스위치(120) 측으로 이동한 플런저(150)는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다.The plunger 150 receiv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flexible button 140 by an elastic member 176 disposed inside the inner housing 111. Therefore, the plunger 150 moved toward the switch 120 side by the flexible button 140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6. [

플런저(15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120)와 가요성 버튼(140) 사이에 배치되어 가요성 버튼(140)의 가압력을 스위치(120)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plunger 150 may be modified to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tha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witch 120 and the flexible button 140 to transmit the biasing force of the flexible button 140 to the switch 120,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필름(155)은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을 덮어 커버 조립체(130)를 보호한다. 커버필름(155)은 외부의 이물질을 커버 조립체(13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커버 조립체(130)의 도장 박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커버필름(155)은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을 구비한다. 커버필름 관통홀(156)은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같은 개수로,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마주하도록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필름 관통홀(156)은 커버필름(155)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3 to 5, the cover film 155 covers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to protect the cover assembly 130. As shown in FIG. The cover film 155 can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reaching the cover assembly 130 and prevent the coating peeling of the cover assembly 130. [ The cover film 155 has a cover film through hole 156 and a cover film cutout slit 157.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is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so as to face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with the same number as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of the cover assembly 130 .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is formed through the cover film 155 in the thickness direction.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은 커버필름(155) 내측의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다. 도면에는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이 커버필름 관통홀(156)에서 커버필름(155)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될 때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들뜸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버필름(155)이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으로 인해 커버 조립체(130)의 곡면에 맞춰 원활하게 굽힘 변형되어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cover film 155. Although 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is shown extending from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to the edge of the cover film 155 in the figure, the shape of 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may vary . 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serves to allow the cover film 155 to stably contact with the cover assembly 130 without lifting when the cover film 155 is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 Particularly, whe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is curved, the cover film 155 is smoothly bent and deformed by 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 ≪ / RTI >

장식부재(160)는 커버 조립체(13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 조립체(130)에 결합된다. 장식부재(160)는 커버필름(155)에 의해 덮인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결합된다. 장식부재(160)는 제조사의 로고를 형상화한 엠블럼 형태나, 또는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ecorative member 160 is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130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130. The decorative member 160 is join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covered by the cover film 155. The decorative member 160 may have an emblem shape embodying a manufacturer's logo or various shapes that can improve aesthetics and design quality.

장식부재(160)에는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161)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장식부재 개구(161)를 통해 가요성 버튼(140)을 조작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와 마주하는 장식부재(160)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가 돌출 구비된다.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는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같은 개수로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에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70)가 삽입되는 결합홀(163)이 마련된다.The decorative member 160 is provided with a decorative member opening 161 for exposing the flexible button 140 of the cover assembly 130 to the outside. The user can operate the flexible button 140 through the decorative member opening 161. [ A decoration member coupling boss 16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 160 facing the cover assembly 130. The decorative member engaging boss 16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number of cover body insertion grooves 138 as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of the cover assembly 130. [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16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63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170 coupled to the housing 110 is inserted.

장식부재(160)는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70)가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의 결합홀(16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160)는 접착제에 의해 들뜸 없이 커버필름(155) 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결합 방법을 통해 장식부재(160)는 커버 조립체(130)와 결합될 수 있다.The decorative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cover film insertion hole 156 of the cover film 155 and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of the cover assembly 130 while the decorative member engagement boss 16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70 Can be fixed to the housing 1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63 of the decorative member engaging boss 162. Also, the decorative member 160 can be attached onto the cover film 155 without being lifted by the adhesive. In addition, the decorative member 160 can be coupled with the cover assembly 130 through various bonding methods.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body 10, it is easy to use and excellent in operability. Also,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can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emblem, thereby providing excellent design quality and providing an emotional feeling to the user. Further,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is simple in structure and excellent in assembling property, and can be easily replaced and repair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스위치(120)와 플런저(150) 등의 부품을 장착하고,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를 결합하여 하우징(110)의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은 후, 커버 조립체(130) 상에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를 차례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제조 과정에서 특히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커버필름(155)을 부착하는 작업은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커버필름(155)은 쉽게 굽힘 변형되므로 작업자가 다루기 어렵고, 커버필름(155)의 부착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 상의 정해진 부착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 사이에 기포가 생기게 되면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커버필름(155)은 후술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될 수 있다.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120 and a plunger 150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a cover assembly 130 coupled to the housing 110, 110 may be manufactured by covering the housing opening 112 of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n sequentially connecting the cover film 155 and the decorative member 160 on the cover assembly 130. Attention is particularly paid to the work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to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particularl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The cover film 155 is easily bent and deform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handle and the cover film 155 may be removed from the predetermined attachment position on the cover assembly 130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If ai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lms 155, this leads to defective products. The cover film 155 can be effectively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through a cover film attaching device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a cover film attaching method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13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to FIG. 19 are cross- And a method of attaching a cover film using the apparatus.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상호 접촉하여 공정 챔버(C)를 형성하는 제 1 챔버 케이스(210) 및 제 2 챔버 케이스(230)와, 제 1 챔버 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제 1 안착부(212)와,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구비되는 제 2 안착부(232)와,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와, 공정 챔버(C)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245)와, 공정 챔버(C)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제 1 안착부(212)로 커버필름(155)을 지지하고 제 2 안착부(232)로 커버 조립체(130)를 지지한 상태에서 커버필름(155)에 균일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커버필름(155)을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n apparatus 200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case 210 and a second chamber case 210 forming a process chamber C, A second seating part 232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nd a second seating part 232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case 210. The second seating part 232 is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 vacuum pump 250 for supplying vacuum to the process chamber C and a vacuum pump 250 for supplying vacuum to the process chamber C, . The cover film attaching apparatus 200 is configured to attach the cover film 155 to the cover film 155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film 155 is supported by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and the cover assembly 13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eating portion 232, The cover film 155 can be stab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by applying a certain pressure.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110)과,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의 조립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가 조립된 후, 커버 조립체(130) 상에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가 차례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가 조립된 것을 반제품(190)이라 칭한다.The assembly sequence of the housing 110, the cover assembly 130, the cover film 155, and the decorative member 160 may be variously changed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11, a cover film 155 and a decorative member 160 are formed on the cover assembly 130 after the cover assembly 130 is assembled to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switch 120 is installed For example, in ord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ssembly of the cover assembly 130 on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switch 120 is installed is referred to as a semi-finished product 190.

또한 커버필름(155)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양쪽 면에 제 1 이형 필름(182) 및 제 2 이형 필름(185)이 부착된 상태로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커버필름(155)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을 갖는다. 커버필름(155)은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는 커버필름(155)의 일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의 일면은 제 2 이형 필름(185)에 의해 덮여 보호되고, 커버필름(155)의 타면은 제 1 이형 필름(182)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제 2 이형 필름(185)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기 전에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되고, 제 1 이형 필름(182)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된 후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될 수 있다.12, the cover film 155 is provided on 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200 in such a state that the first release film 182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re attached to both sides thereof, . Here, the cover film 155 has the cover film through-hole 156 and the cover film cutting slit 157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film 155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A sticky material may be applied to one side of the cover film 155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One surface of the cover film 155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film 155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e second release film 185 is peeled off from the cover film 155 before the cover film 155 is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 first release film 182 is peeled off from the cover film 155 And then peeled off from the cover film 155.

제 1 이형 필름(182)에는 핀 결합홀(183)이 구비된다. 핀 결합홀(183)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마주하도록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핀 결합홀(183)의 크기는 커버필름 관통홀(156)보다 작다. 제 1 이형 필름(182)에 핀 결합홀(183)을 형성함으로써, 커버필름(155)과 제 1 이형 필름(182)의 합착 시 커버필름(155)과 제 1 이형 필름(182) 사이에 기포가 갇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The first release film 182 is provided with a pin engagement hole 183. The pin bonding hole 183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of the cover film 155 a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so as to face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 The size of the pin coupling hole 183 is smaller than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The cover film 155 and the first release film 182 are bonded to each other by bonding the cover film 155 and the first release film 182 by forming the pin release hole 183 in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e problem of trapping can be reduced.

제 2 이형 필름(185)에는 이형 필름 관통홀(186)이 마련된다. 이형 필름 관통홀(186)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마주하도록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형 필름 관통홀(186)의 크기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보다 작다. 제 2 이형 필름(185)에 이형 필름 관통홀(186)을 형성함으로써, 커버필름(155)과 제 2 이형 필름(185)의 합착 시 커버필름(155)과 제 2 이형 필름(185) 사이에 기포가 갇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제 2 이형 필름(185)으로는 커버필름(155)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종이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film 185 is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s 186 are provid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lm through holes 156 of the cover film 155 and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lm through holes 156 so as to face the cover film through holes 156 . The size of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in release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By forming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in the second release film 185 so that the cover film 155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re adhered to each other between the cover film 155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85 The problem of trapping air bubbles can be reduced. As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 paper film can be used so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cover film 155.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챔버 케이스(210)는 그 단부가 제 2 챔버 케이스(230)의 단부와 접하여 제 2 챔버 케이스(230)와 함께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을 갖는다. 제 1 챔버 케이스(210)에는 커버필름(155)이 안착되는 제 1 안착부(212)가 배치된다. 제 1 안착부(212)는 커버필름(155)이 놓이는 평평한 안착면(213)을 갖는다. 커버필름(155)이 들뜸 없이 안착면(21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 1 안착부(212)는 실리콘 등 탄성력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13, the first chamber case 210 has an en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chamber case 230 to form a sealed process chamber C together with the second chamber case 230 Respectively. The first chamber case 210 is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part 212 on which the cover film 155 is seated.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has a flat seating surface 213 on which the cover film 155 is placed.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so that the cover film 155 can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without lifting.

안착면(213)에는 공기 분사구(215)가 마련된다. 공기 분사구(215)는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기(245)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기(245)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분사구(215)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공기 분사구(215)의 설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된 상태에서 공기 분사구(215)를 통해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커버필름(155)은 안착면(213)에서 떨어져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장착되는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n air jet opening 215 is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e air injection port 215 is connected to an air supply 245 for air supply.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245 may be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port 215.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air ejection openings 215 may be variously changed. Air is sprayed through the air injection port 215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film 155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so that the cover film 155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surface 213 and mounted on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nd can move toward the cover assembly 130 side.

제 1 안착부(212)에는 가이드 핀(220)이 배치된다. 가이드 핀(220)은 커버필름(155)에 구비되는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커버 조립체(130)에 구비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면(213)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 핀(220)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커버필름 관통홀(156)이나 커버 바디 삽입홈(138)의 개수나 설치 위치에 대응한다. 가이드 핀(22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커버필름 관통홀(156)의 크기보다 작고,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보다 크며,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 핀(220)이 핀 결합홀(183)에 삽입될 때 가이드 핀(220)과 제 2 이형 필름(185)의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생기지 않고, 제 1 이형 필름(182)은 가이드 핀(220)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A guide pin 220 is dispos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The guide pin 220 protrudes from the seating surface 213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provided in the cover film 155 and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38 provided in the cover assembly 130 . The number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pins 220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over film through holes 156 or the cover body insertion grooves 138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guide pin 220 can support the cover film 155 on the seating surface 213 in a non-moving manner. The sectional shape of the guide pin 22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and larger than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of the second release film 185, 183,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guide pin 220 is inserted into the pin engagement hole 183, there is almost no gap between the guide pin 220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nd the first release film 182 is guided by the guide pin 220 in a non-stationary manner.

이 밖에, 제 1 챔버 케이스(210)에는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225)가 설치된다. 히터(225)는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을 가열하여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높여준다.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더욱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면에는 히터(225)가 제 1 안착부(212)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히터(225)는 안착면(213)에 놓인 커버필름(155)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hamber case 210 is provided with a heater 225 for applying heat to the cover film 155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212. The heater 225 heats the cover film 155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to the cover assembly 130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cover film 155. By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the cover film 155, the cover film 155 can be more uniformly and st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Although the heater 225 is shown as being disposed below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in the figure, the heater 225 may be positioned at various other locations that can heat the cover film 155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Can be installed.

제 2 챔버 케이스(230)는 그 단부가 제 1 챔버 케이스(210)의 단부와 접하여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함께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을 갖는다. 제 2 챔버 케이스(230)에는 커버 조립체(130)를 포함하는 반제품(190)이 안착되는 제 2 안착부(232)가 배치된다. 제 2 안착부(232)는 반제품(190)을 그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이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case 230 has a shape in which an end of the second chamber case 230 contacts the end of the first chamber case 210 to form a sealed process chamber C together with the first chamber case 210. The second chamber case 230 is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part 232 on which the semi-finished product 190 including the cover assembly 130 is seated. The second seating part 23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uppor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190 so that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faces one side of the cover film 155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212 .

제 2 챔버 케이스(230)에는 배기구(234)가 마련된다. 배기구(234)는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250)와 연결된다. 진공 펌프(250)에서 공급되는 진공압은 배기구(234)를 통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 사이의 공정 챔버(C)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가 상호 접하여 만들어지는 공정 챔버(C)는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case 23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234. The exhaust port 234 is connected to a vacuum pump 250 for providing vacuum pressure. The vacuum pressure supplied from the vacuum pump 250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 chamber C between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cond chamber case 230 through the exhaust port 234. [ 17, the process chamber C, in which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vacuum pump 250 where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and the air supply unit 245, The air can be separated into a portion to which air is supplied.

공정 챔버(C)를 두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공정 챔버(C)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1 챔버 케이스(210)나, 제 2 챔버 케이스(230), 또는 제 1 안착부(212)나 제 2 안착부(232)에 공정 챔버(C)를 구획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부(212)에 놓이는 커버필름(155)에 의해 공정 챔버(C)가 구획될 수도 있다.Various methods can be used as a method of dividing the process chamber (C) into two parts. For example, the process chamber C can be split into two parts by the cover assembly 130 as shown. In addition, a structure for partitioning the process chamber C is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case 210, the second chamber case 230, or the first seating part 212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32 . Further, the process chamber C may be partitioned by the cover film 155 plac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공정 챔버(C)가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250)가 작동하면, 커버필름(155)의 상측 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흡착될 수 있다.When the vacuum pump 250 operates in a state where the process chamber C is separated into a portion where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250 is applied and a portion where the air of the air supplier 245 is supplied, The pressure of the space can be lowered so that the cover film 155 can be adsorbed on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130.

제 2 챔버 케이스(230)는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에 의해 움직인다.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는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 쪽으로 전진시키거나,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퇴시킬 수 있다.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는 제 1 챔버 케이스(210)를 움직이거나,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case 230 is moved by the chamber case moving device 240. The chamber case moving apparatus 240 may advance the second chamber case 230 toward the first chamber case 210 or may retract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way from the first chamber case 210 . The chamber case moving apparatus 240 can be changed to another structure that can move the first chamber case 210 or move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cond chamber case 230 simultaneously.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진공압을 이용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곡면이나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 사이에 기포가 갇히거나, 커버필름(155)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The cover film attaching apparatus 200 of this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uses the vacuum pressure so that even when there is a curved surface or a step on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the cover film 155 can be uniform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130 It can be attached by pressure. The cover film 155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so that air bubbles are not trapped between the cover assembly 130 and the cover film 155 or wrinkles occur in the cover film 155. [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ver film attaching method using the cover film attaching apparatus 200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trunk switch unit will be described.

먼저,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 조립체(13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커버필름(155)을 준비한다. 이때, 커버 조립체(130)는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커버필름(155)은 그 양쪽 면에 제 1 이형 필름(182) 및 제 2 이형 필름(185)이 부착된 필름 조립체(180)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물론, 커버 조립체(130)는 하우징(110) 등 다른 부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커버필름(155)도 다른 이형 필름이 부착된 상태나 다른 이형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First, a cover assembly 130 and a cover film 155 covering and protecting the cover assembly 130 are prepared. At this time, 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prepar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switch 120 is installed, and the cover film 155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and the second release film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ilm assembly 180 to which a film 185 is attached. Of course, the cover assembly 130 may be prepared without being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housing 110, and the cover film 155 may be prepared in a state in which another release film is attached, .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준비된 커버필름(155)을 제 1 안착부(212)에 안착하고, 커버 조립체(130)를 커버필름(155)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제 2 안착부(232)에 안착한다. 제 1 안착부(212)에 커버필름(155)을 안착하는 과정에서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안착부(212)의 가이드 핀(220)을 이용하여 필름 조립체(180)에서 제 2 이형 필름(185)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이 가이드 핀(220) 위에 놓이도록 필름 조립체(180)를 가이드 핀(220) 위에 배치하고 필름 조립체(180)를 누르면, 가이드 핀(220)의 끝단이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 및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을 통과하여 제 1 이형 필름(182)에 도달한다. 이때,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제 1 이형 필름(182)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보다 크므로, 제 1 이형 필름(182)이 가이드 핀(220)에 의해 가압되어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prepared cover film 155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and the cover assembly 130 is mounted on the second seat 152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cover film 155 (232). 15,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cover film 155 on the first seating part 212, the second release part 212 is removed from the film assembly 180 using the guide pin 220 of the first seating part 212, The film 185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That is, when the film assembly 180 is placed on the guide pin 220 so that the pin engagement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is positioned on the guide pin 220 and the film assembly 180 is pressed, 220 reaches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rough the pin-engagement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and the cover film through-hole 156 of the cover film 155. The first release film 182 is pressed by the guide pin 220 and the cover film 155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release film 182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In this case, ). ≪ / RTI >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필름(155)은 제 1 이형 필름(182)과 합착된 상태로 제 1 안착부(212)의 안착면(213) 위에 안착된다. 이때,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제 2 이형 필름(185)은 가이드 핀(2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면(213) 상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커버필름(155) 역시 안착면(213) 상의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자세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cover film 155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while being stuck with the first release film 182. As shown in Fig. The second release film 185 is supported by the guide pin 220 because the guide pin 220 has a cross 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in release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erefore, So that the movement is restric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erefore, the cover film 155 can also be stably stuck in a predetermined postu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ating surface 213.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접촉시켜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 사이에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한다.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된 커버필름(155)과 제 2 안착부(232)에 안착된 반제품(190)은 공정 챔버(C)에 수용되고, 공정 챔버(C)는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17,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cond chamber case 2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ealed process chamber (not shown) between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cond chamber case 230 C). The cover film 155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190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232 are accommodated in the process chamber C and the process chamber C is accommodated in the vacuum pump 250 And a portion of the air supply 245 to which air is supplied.

다음으로,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된 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기 전까지 히터(225)를 작동시켜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8, a process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to the cover assembly 130 is performed. The cover film 155 may be heated by operating the heater 225 until the cover film 155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and then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By applying heat to the cover film 155, the flexibility of the cover film 155 can be enhanced.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펌프(250)를 작동시켜 공정 챔버(C)에 진공압을 제공하면 커버필름(155)의 상측 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당겨진다. 이때, 공기 공급기(245)를 작동시켜 안착면(213)의 공기 분사구(215)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을 분사 공기로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은 안착면(213)에서 분리되어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18, when the vacuum pump 250 is operated to supply vacuum pressure to the process chamber C, the pressure in the upper space of the cover film 155 is lowered so that the cover film 155 is moved toward the cover assembly 130 side Is pulled. The cover film 155 can be uniformly pressed toward the cover assembly 130 with the spray air by operating the air supplier 245 and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port 215 of the seating surface 213. The cover film 155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while being de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ne surface shape of the cover assembly 130 separated from the seating surface 213. [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로부터 이격시키고 커버필름(155)이 부착된 반제품(190)을 제 2 챔버 케이스(230)에서 분리할 수 있다.19, the second chamber case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case 210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190 to which the cover film 155 is attache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hamber case 230 can do.

이후, 커버필름(155)을 덮고 있는 제 1 이형 필름(182)을 커버필름(155)에서 분리하고 커버 조립체(130)에 장식부재(160)를 결합하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을 완성할 수 있다.The first release film 182 covering the cover film 155 is separated from the cover film 155 and the decorative member 160 is connected to the cover assembly 130 to complete the trunk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 20 shows a partial structure of an apparatus 300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는 앞서 설명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필름 가압부재(310)와 탄성부재(315)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 핀(320)의 구조가 다소 변형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300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shown in Fig. 2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200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trunk switch unit and has the film pressing member 310 and the elastic member 315,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guide pin 320 is somewhat deformed.

필름 가압부재(310)는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을 제 2 안착부(232)에 안착되는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 안착부(212)에 마련되는 가이드홈(33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름 가압부재(310)의 단면적은 안착면(213)에 놓이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 크기보다 크다. 필름 가압부재(310)는 가이드 핀(320)을 지지한다. 탄성부재(315)는 가이드홈(330)에 배치되어 필름 가압부재(3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15)는 탄성부재(315)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을 더욱 견고하게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film pressing member 310 is attached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so as to press the cover film 155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toward the cover assembly 130 side that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232. [ The guide groove 330 is formed to be movabl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ilm pressing member 310 is larger than that of the pin release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e film pressing member 310 supports the guide pin 320. The elastic member 315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3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lm pressing member 310. The elastic member 315 presses the cover film 155 toward the cover assembly 1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15 so that the cover film 155 is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130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to the cover assembly 130. [ To the cover assembly 130 more rigidly.

가이드 핀(320)은 필름 가압부재(310)에 결합되는 핀 바디부(321)와, 핀 바디부(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핀 팁부(322)를 포함하는 다단 구조를 갖는다. 핀 바디부(321)의 단면적은 커버필름(155)을 덮어 보호하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핀 팁부(322)의 단면적은 커버필름(155)을 덮어 보호하는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 크기보다 작다. 이러한 가이드 핀(32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배치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커버필름(155)을 제 1 안착부(212)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핀(320)의 핀 팁부(322)를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과,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에 삽입함으로써, 필름 조립체(180)를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에 더욱 원활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The guide pin 320 has a multistage structure including a pin body portion 321 coupled to the film pressing member 310 and a pin tip portion 322 protruded upward from the pin body portion 321. Sectional area of the pin body portion 321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in engagement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cover film 155. [ The sectional area of the pin tip portion 322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of the second release film 185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cover film 155. This guide pin 320 advantageously serves to position the cover film 155 in place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at is,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cover film 155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2, the pin tip portion 322 of the guide pin 320 is inserted into the pin coupling hole 183 of the first release film 182, The film assembly 180 can be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seating surface 213 by inserting the cover film through hole 156 of the film 155 and the release film through hole 186 of the second release film 185 And the cover film 155 can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more smoothly.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 21 shows a partial structure of an apparatus 400 for attaching a cover film of a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는 도 20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다만 안착면(213) 상에 구비되는 필름 흡착홀(410)과,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석션 펌프(42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필름 흡착홀(41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에 흡착시킬 수 있는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착면(213) 상에 복수로 구비된다. 석션 펌프(420)는 복수의 필름 흡착홀(410)과 연결되는 유로(415)를 통해 복수의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한다.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400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shown in Fig. 21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300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shown in Fig. 20 except that it is provided on the seat surface 213 Film suction hole 410 and a suction pump 420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film suction hole 410. [ The film suction holes 410 are provided in plural on the seating surface 213 so as to provide a suction force capable of adsorbing the cover film 155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e suction pump 420 provides a suction force to the plurality of film adsorption holes 410 through the channel 415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lm adsorption holes 410.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는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될 때, 석션 펌프(420)가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석션 펌프(420)는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진공 펌프(250)가 작동하기 전까지만 작동할 수 있다.The cover film attaching device 400 of this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over film 155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3, the suction pump 420 provides a suction force to the film suction hole 410, 155 can stably b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seating surface 213. [ The suction pump 420 may only operate until the vacuum pump 250 is oper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cover film 155 to the cover assembly 130. [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스위치(120)와 가요성 버튼(140) 사이에 플런저(150)가 배치되어 플런저(150)가 가요성 버튼(1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스위치(120)에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플런저(1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요성 버튼(140)이 직접 스위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gure, a plunge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120 and the flexible button 140 such that the push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button 140 to the plunger 150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However, the plunger 15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flexible button 140 can operate the switch 120 direc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방법은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300)(400)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진공압을 활용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cover film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method of using the cover film attaching apparatuses 200, 300 and 400 of the trunk switch unit for a vehicle as shown in FIG. Of the vehicle trunk switch unit of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
111 : 이너 하우징 112 : 하우징 개방부
113 : 플런저 가이드 114 : 보스 결합부
116 : 아우터 하우징 118 : 배수로
120 : 스위치 122 : 기판
124 : 커넥터 130 : 커버 조립체
131 : 커버 바디 132 : 커버 바디 개구
133 : 다이아프램부 안착홈 134 : 고정돌기
135 : 커버 바디 결합 보스 136 : 커버 바디 결합 보스
138 : 커버 바디 삽입홈 140 : 가요성 버튼
141 : 림부 142 : 고정홈
144 : 다이아프램부 145 : 면취홈
150 : 플런저 151 : 플런저 바디
153 : 버튼 접촉부 155 : 커버필름
156 : 커버필름 관통홀 157 : 커버필름 절개 슬릿
160 : 장식부재 161 : 장식부재 개구
162 : 장식부재 결합 보스 170 : 고정부재
172, 174 : 실링부재 176, 315 : 탄성부재
180 : 필름 조립체 182, 185 : 제 1, 2 이형 필름
183 : 핀 결합홀 186 : 이형 필름 관통홀
190 : 반제품
200, 300, 400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
210, 230 : 제 1, 2 챔버 케이스 212, 232 : 제 1, 2 안착부
213 : 안착면 215 : 공기 분사구
220, 320 : 가이드 핀 225 : 히터
234 : 배기구 240 :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
245 : 공기 공급기 250 : 진공 펌프
310 : 필름 가압부재 321 : 핀 바디부
322 : 핀 팁부 330 : 가이드홈
410 : 필름 흡착홀 415 : 유로
420 : 석션 펌프
100: vehicle trunk switch unit 110: housing
111: Inner housing 112: Housing opening
113: plunger guide 114: boss coupling part
116: outer housing 118: drain
120: switch 122: substrate
124: connector 130: cover assembly
131: Cover body 132: Cover body opening
133: diaphragm seat groove 134: fixing projection
135: cover body coupling boss 136: cover body coupling boss
138: Cover body insertion groove 140: Flexible button
141: rim 142: fixing groove
144: diaphragm part 145: chamfered groove
150: plunger 151: plunger body
153: button contact portion 155: cover film
156: cover film through hole 157: cover film cutting slit
160: decorative member 161: decorative member opening
162: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170: fixing member
172, 174: sealing member 176, 315: elastic member
180: film assembly 182, 185: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83: pin coupling hole 186: release film through hole
190: Semifinished product
200, 300, 400: Cover film attaching device of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210, 230: first and second chamber cases 212, 232: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13: seat surface 215: air nozzle
220, 320: guide pin 225: heater
234: Exhaust port 240: Chamber case moving device
245: Air feeder 250: Vacuum pump
310: film pressing member 321: pin body part
322: pin tip portion 330: guide groove
410: Film suction hole 415:
420: Suction pump

Claims (20)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 housing coupled to a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having a housing opening portion at one side thereof;
A cover bod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housing opening and having a cover body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lexible button disposed on the cover body so as to be resiliently deformable and covering the cover body opening; And
And a switch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operate by the flexible button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d having a decorative member opening exposing the flexible button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having a coupling hole is protruded on one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over body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decorative member engagement boss is inserted,
Wherein the decorative member is fixed to the housing by insert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into a coupling hole of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ver film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assembly and the decorative member to cover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facing the decorative member to protect the cover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ver film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필름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필름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A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projecting from one side of the decorative member facing the cover assembly,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over body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decorative member engagement boss is inserted,
Wherein the cover film is formed with a cover film through hole into which the decorative member coupling boss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필름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 커버필름 절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which the cover film is coupled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Wherein the cover film has a cover film cutting slit formed at an inner side of at least a part of the cover fil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cover assembly to which the cover film is coupled is pai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결합되는 림부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button comprises:
A rim portion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ver body opening and coupled with the cover body,
And a diaphragm portion disposed inside said rim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상기 가요성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버튼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flexible button and mov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transmit a pressing force transmit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button to the switch, Switch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다이아프램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unger,
A plunger body slidably supported on the housing,
And a button contact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nger body so that the diaphragm portion of the flexible button can be in surface contact therewi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가요성 버튼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flexible button side with respect to the plun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diaphragm seat groove on which an edge of the diaphragm portion is seated is disposed around the cover body opening so that the diaphragm portion does not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one of the cover body and the rim portion of the flexible butt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and the other of the cover body and the rim portion of the flexible button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면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lexible button includes a chamfered groov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diaphragm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ver body of the cover assembly and the flexible button are integral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버 바디의 타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body coupling boss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body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housing,
A boss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is couple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the cover body is fixed to the housing by insert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into a coupling hole of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seal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to seal between the boss coupling portion and the cover body coupling bo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바디는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and the cover body are ultrasonic we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n inner housing in which the cover assembly and the switch are installed,
And an outer housing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housing and coupled to a vehicle body of the vehicle,
And a drain for discharg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KR1020170078144A 2017-06-20 2017-06-20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KR1023411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en) 2017-06-20 2017-06-20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en) 2017-06-20 2017-06-20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63A true KR20180138063A (en) 2018-12-28
KR102341160B1 KR102341160B1 (en) 2021-12-17

Family

ID=650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en) 2017-06-20 2017-06-20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16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735A (en)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10108B1 (en) * 2011-08-03 2012-01-31 송미순 Slim electronic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7718Y1 (en) * 2014-03-17 2015-07-13 진영전기 주식회사 Trunk switch for vehicle
KR101594334B1 (en)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서연전자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Vehicles
KR20160137001A (en) 2015-05-22 2016-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blem integrated trunk switch module
KR20160148918A (en) * 2015-06-17 2016-12-27 장희성 Butt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735A (en)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10108B1 (en) * 2011-08-03 2012-01-31 송미순 Slim electronic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7718Y1 (en) * 2014-03-17 2015-07-13 진영전기 주식회사 Trunk switch for vehicle
KR101594334B1 (en)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서연전자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Vehicles
KR20160137001A (en) 2015-05-22 2016-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blem integrated trunk switch module
KR20160148918A (en) * 2015-06-17 2016-12-27 장희성 Butt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160B1 (en)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759B2 (en) Ventil
US20210193408A1 (en) Hermetically sealed over-molded button assembly
US7897888B2 (en) Key fob device and method
US7420136B2 (en) Compression ring button assembly
WO201409211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US10438758B2 (en) Trunk switch module for vehicle
JP2008012531A (en) Fluid dispenser nozzle and fluid dispens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242107B2 (en) Vehicle back door assembly structure
US20120160647A1 (en)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38063A (en)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KR102360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cover film of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US5993036A (en) Automotive lamps
KR101778578B1 (en) Pumping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side button
KR20120062212A (en) Shower head
CN111288055B (en) Processing jig
KR102526494B1 (en)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FR2800904A1 (en) Push-button switch e.g. for electrical control in motor vehicle has seals isolating switch commutation zone from outside atmosphere
JP5576614B2 (en) Thin-film insert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nd thin-film insert molded product
JP3766062B2 (en) Bathroom tv
US20090206179A1 (en) Showerhead for domestic purpose
KR101737859B1 (en) FOB key for vehicle
US20240068149A1 (en) Sprayer assembly for laundry appliance
JP2004087249A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fuel tank
CN216221217U (en) Lid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CN116323007A (en) Colorant nozzle assembly for colorant spra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