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20A -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20A
KR20180138020A KR1020170078047A KR20170078047A KR20180138020A KR 20180138020 A KR20180138020 A KR 20180138020A KR 1020170078047 A KR1020170078047 A KR 1020170078047A KR 20170078047 A KR20170078047 A KR 20170078047A KR 20180138020 A KR20180138020 A KR 20180138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space
version
displayed
adjust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
최지호
이윤석
김효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020A/ko
Priority to US15/850,889 priority patent/US20180365198A1/en
Publication of KR2018013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97Vers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고 있는 탭(tab)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는 스페이스 분할 단계;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정 결정 단계; 상기 조정 결정 단계의 결정에 따라,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웹 페이지 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BROWSING INTERFACE}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된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다른 버전을 로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는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브라우저 혹은 인터넷 브라우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영상을 보거나 메일을 주고 받고 다양한 자료를 올리고 내려 받는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URL) 및 즐겨찾기 제공, 웹 페이지 저장 기능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분할된 스페이스들에 각각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버전을 변경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고 있는 탭(tab)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는 스페이스 분할 단계;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정 결정 단계; 상기 조정 결정 단계의 결정에 따라,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웹 페이지 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는 도구모음 영역 분할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은, 대응되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 또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구모음 영역 분할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인 경우에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 모드는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중 특정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특정 스페이스에서 로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 단계에서, 상기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1 버전인지 혹은 제2 버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버전인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을 로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보다 웹 페이지의 전체 데이터 양이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상기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메인 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스페이스에서 로딩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좌쪽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모든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조정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 컨텐츠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가 상기 스페이스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 이하가 되도록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으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고 있는 탭(tab)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스페이스 분할부;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정 결정부; 상기 조정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웹 페이지 조정부; 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된 스페이스들에 각각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들의 스케일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탐색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웹 페이지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도시한 예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스 모드에 따른 탭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 서버(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1(110)은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사용자 단말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5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들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5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사용자 단말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5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사용자 단말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1(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사용자 단말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212)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는 서버(150)로부터 다운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등의 가능한 방법으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설치되거나, 혹은 프로세서(212) 자체에 내장되어 설치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프로세서(212) 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 분할부(310), 조정 결정부(320), 웹 페이지 조정부(330), 및 도구모음 영역 분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 내지 S47)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 1(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단계(S41) 및 단계(S42)에서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탭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탭은 각각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를 로딩하고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탭이 로딩 및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탭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스페이스란 웹 페이지가 로딩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스페이스에는 하나의 웹 페이지가 로딩 및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탭은 스페이스 모드로서 일반 모드 및 분할 모드를 가질 수 있고, 분할 모드는 다시 연결 모드 및 분리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해당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해당 탭은 하나의 스페이스를 가지며 하나의 스페이스에 하나의 웹 페이지만을 로딩 및 표시할 수 있다. 해당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인 경우,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하고 각각의 스페이스에 웹 페이지들을 로딩 및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탭의 스페이스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혹은 브라우저의 기설정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의 툴바에서 분할 모드 버튼을 선택하여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스페이스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특정 링크를 마우스 우클릭으로 선택하여 나타난 메뉴 중 '새 스페이스에서 링크 열기'를 선택하여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스페이스 모드를 변경하고, 새로운 스페이스에서 링크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로딩할 수 있다. 또한, 분할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 혹은 브라우저의 기설정값에 따라 연결 모드 혹은 분리 모드 간의 스페이스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에서 '창 연결' 버튼을 선택하여 스페이스 모드를 연결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창 분리' 버튼을 선택하여 스페이스 모드를 분리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며 연결 모드인 경우,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분할된 스페이스들 중 하나의 스페이스를 메인 스페이스로 설정하고, 메인 스페이스 내의 주변부에 여백 영역을 설정하고, 여백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연결 모드에서 메인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메인 스페이스 내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주변에 여백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메인 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스페이스에서 로딩될 수 있다. 즉, 연결 모드에서는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다른 스페이스에서 해당 링크의 웹 페이지가 로딩 및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 모드에서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링크의 웹 페이지가 다른 스페이스에서 로딩 및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웹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며 분리 모드인 경우,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2 이상의 스페이스 중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기존의 스페이스에서 로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모드에서는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다른 스페이스가 아닌 해당 스페이스에서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가 로딩 및 표시될 수 있다. 즉, 분리 모드에서는 하나의 탭이 2 이상의 스페이스를 가진다는 점만 차이점이 존재할 뿐, 기존의 웹 브라우징 방법과 동일하게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가 로딩 및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각각의 웹 페이지들 중 활성 페이지를 결정하고, 활성 페이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탭의 색인 또는 URL 강조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활성 페이지란 웹 브라우저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된 복수개의 웹 페이지들 중 사용자의 가장 최근 입력이 수신된 웹 페이지를 뜻한다. 사용자의 가장 최근 입력이란,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특정 링크를 선택하는 것,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는 것,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입력창에 입력하는 것 등의,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모든 종류의 입력일 수 있다.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각 웹 페이지들은 웹 브라우저에서 로딩 시 탭 색인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는 'aaa.com' 의 웹 페이지의 로딩 시, 탭 색인에 표시되는 정보 및 URL 에 나타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aa.com'의 웹 페이지를 로딩할 경우, 탭 색인에는 '포털 aaa'가 표시되고, 도구모음 영역의 URL 표시창에는 'aaa.com'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탭이 복수개의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재 어떤 웹 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해당 탭 색인이나 도구모음 영역의 강조 표시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aa.com' 및 'bbb.com'의 웹 페이지가 동일 탭의 스페이스 각각에 표시되고, 활성 페이지가 'aaa.com'인 경우, 해당 탭의 색인에는 '포털 aaa'가 표시되고, 도구모음 영역에는 'aaa.com' 및 'bbb.com' 이 표시되되 'aaa.com'에 URL 강조 표시가 추가될 수 있다. URL 강조 표시는 URL을 볼드(bold) 처리하는 것이나, 색깔을 달리하는 것이거나, URL 주변에 테두리를 추가하는 것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인 경우, 활성 페이지를 포함하는 스페이스의 외곽에 활성 표시가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스의 외곽의 활성 표시는, 스페이스 외곽에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는 현재 활성화된 웹 페이지가 어떤 웹 페이지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분할부(310)는 분할된 스페이스 각각에 복수개의 웹 페이지가 표시될 때, 웹 페이지의 스크롤바(scroll bar)를 반투명 처리하여 웹 페이지 상에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바 상에 마우스가 오버(over)되는 등의 사용자가 스크롤바를 조작하고자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스크롤바를 확대 및/또는 투명도 감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3)에서 조정 결정부(320)는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조정 결정부(32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조정 스케일을 결정하거나, 다른 버전을 로딩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조정 결정부(320)가 결정하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모든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일 수도 있고,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결정부(320)는 탭이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되는 경우, 혹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2 이상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모든 웹 페이지들을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혹은, 조정 결정부(320)는 스페이스 간 구분선의 이동에 의해 스페이스들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크기가 변경된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모든 웹 페이지들을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결정부(320)는 복수개의 스페이스들 중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결정부(3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혹은, 조정 결정부(320)는 메인 스페이스 혹은 좌측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결정부(320)는 탭이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될 때, 자동적으로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조정 결정부(320)는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변경될 때, 자동적으로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정 결정부(320)는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결정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선택하여 웹 브라우저의 스케일 조정 명령을 입력하거나 버전 변경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결정부(32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는 웹 브라우저의 기설정된 값 혹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웹 브라우저의 설정값이 스페이스 분할 시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는 것이라면, 조정 결정부(32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웹 브라우저의 설정값이 스페이스 분할 시 웹 페이지의 버전을 조정하는 것이라면, 조정 결정부(32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결정부(320)가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다른 버전을 로딩할 것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된 크기의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보는 사용자의 정보 탐색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비록 도 4 에는 개시되지 않았지만, 단계(S43)에서 조정 결정부(320)는 모든 표시된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현재의 스케일로 유지하거나,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43)에서 스케일을 조정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단계(S44)에서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 컨텐츠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가 스페이스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 이하가 되도록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혹은,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 컨텐츠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가 상기 스페이스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와 일치하도록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기설정된 스케일 최소값 혹은 최대값 범위 내에서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요청에 포함된 조정 스케일 값에 따라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수가 증가하는 대신,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 웹 브라우저에서 제1 탭이 하나의 스페이스만을 가지고 제2 탭이 2 개의 스페이스를 가지는 경우, 제1 탭의 전체 영역에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지만, 제2 탭은 2 개로 분할된 영역에 각각 제1 및 제2 웹 페이지가 표시되므로, 제1 및 제2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는 제1 탭의 웹 페이지보다 1/2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할 시 웹 페이지 표시 영역이 감소하더라도 웹 페이지의 컨텐츠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적절히 표시되도록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축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43)에서 다른 버전을 로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단계(S45)에서 조정 결정부(32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현재 버전이 제1 버전인지 혹은 제2 버전인지를 결정한다. 웹 페이지의 버전들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혹은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펌웨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보기에 최적화도록 설계된 웹 페이지의 버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전은 PC 버전으로서 사용자 단말기가 데스크탑인 경우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버전이고, 제2 버전은 모바일 버전으로서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인 경우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버전일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은 제1 버전보다 웹 페이지의 전체 데이터의 양이 적거나, 모바일 디스플레이 환경에 최적화되도록 웹 페이지의 가로 또는 세로 폭이 조정된 버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AAA.com 의 제1 버전의 URL 은 'www.AAA.com' 이고, 제2 버전의 URL 은 'm.AAA.com'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45)에서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1 버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을 로딩할 수 있다. 즉,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은 제2 버전보다 전체 데이터 양이 많으며, 제2 버전은 모바일 버전의 페이지로서 제1 버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최적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웹 페이지 조정부(330)에 의해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이 로딩되는 경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페이스 크기가 감소하더라도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정보를 탐색할 때 겪는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할 시 웹 페이지 표시 영역이 감소하더라도 웹 페이지의 컨텐츠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적절히 표시되도록 웹 페이지의 버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45)에서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2 버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을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의 버전 변경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웹 페이지의 현재 버전이 제2 버전인 경우 제1 버전을 로딩할 수 있다. 혹은,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을 로딩하여 보다 상세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45, S46, S47)은 사용자의 버전 변경 입력이 존재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버전 변경 입력은 토글 키로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의 버전 변경 버튼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버전 변경 입력의 대상이 되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모든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이거나,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스페이스에 의해 표시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사용자의 버전 변경 입력이 존재할 때,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현재 버전이 제1 버전인 경우 제2 버전을 로딩하고, 현재 버전이 제2 버전인 경우 제1 버전을 로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45)에서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2 버전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버전을 제2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되어 스페이스의 크기가 감소된 상태에서는, 웹 페이지의 크기를 제2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정보 탐색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웹 페이지 조정부(330)는 조정 대상 웹 페이지가 제1 버전 중 제2 버전 중 하나의 버전만을 가지는 경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현재 버전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구모음 영역 분할부(340)는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는 도구모음 영역은,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와 웹 페이지 또는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현재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나타내는 URL 표시창과,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로서 각종 툴(tool)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인 경우, 도구모음 영역은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스 모다가 분할 모드이면서 분리 모드인 경우, 도구 모음 영역은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 모음 영역은 대응되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 및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구 모음 영역은 대응하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개별 스페이스마다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 외에도,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공통 도구모음 영역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에는 URL 표시창, 리로드 버튼, 버전 변경 버튼이 포함될 수 있고, 공통 도구모음 영역에는 캡처 버튼, 스페이스 모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도시한 예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이다. 웹 브라우저는 탭 색인 표시 영역(51), 도구모음 영역(52), 및 컨텐츠 표시 영역(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의 핵심을 유지하는 선에서 이미 알려진 웹 브라우저의 구성요소들은 추가 혹은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탭 색인 표시 영역(51)은 웹 브라우저에서 로딩 중인 탭들을 구분하기 위한 색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는 탭 브라우징(tab brows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탭 브라우징이란, 하나의 웹 브라우저에서 하나 이상의 탭을 생성하여 각 탭을 통해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용자가 탭 색인 표시 영역(51)에서 표시하기를 원하는 탭의 색인을 선택하면 해당 탭이 컨텐츠 표시 영역(54)에 표시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첫번째 탭 색인(511)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 탭 색인 표시 영역(51)은 3 개의 탭 색인(511, 512, 513)을 포함하고 있으며, 탭 색인(511, 512, 513) 각각에는 탭에서 로딩된 웹 페이지, 혹은 탭에서 로딩된 웹 페이지들 중 활성 페이지의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첫번째 탭 색인(511)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첫번째 탭 색인(511)의 웹 페이지(541)의 타이틀이 탭 색인(511)에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구모음 영역(52)은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와 웹 페이지 또는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현재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나타내는 URL 표시창과,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로서 각종 툴(tool)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에서 도시된 예시 외에도, 도구모음 영역(52)은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및 다양한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구모음 영역(52)에는 뒤로 가기 버튼(521a) 및 앞으로 가기 버튼(521b)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구모음 영역(52)에는 현재 활성화된 탭의 URL 을 표시할 수 있다. 현재 활성화된 탭의 URL 이란, 해당 탭에서 로딩 및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URL 이다. 도 5 의 실시예에서, 도구모음 영역(521)은 활성화된 첫번째 탭의 URL 인 'aaa.com'(522)을 표시하고 있다. 도구모음 영역(521)의 URL 을 표시하는 영역은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창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URL 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URL 의 웹 페이지를 로딩한다는 점에서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구모음 영역(52)은 버전 변경 버튼(524)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전 변경 버튼(524)을 선택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버전을 다른 버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표시 영역(54)에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버전 변경 버튼(524)이 선택되면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이 로딩되고,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버전 변경 버튼(524)이 선택되면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버전이 PC 버전이고 제2 버전이 모바일 버전인 경우, 도 5 와 같이 웹 페이지의 PC 버전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버전 변경 버튼(524)에는 모바일 버전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모바일 보기'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구모음 영역(52)에는 리로드(reload) 버튼(525), 캡처 버튼(526), 분할 모드 버튼(527)과 같은, 웹 페이지 또는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툴의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분할 모드 버튼(527)을 선택하여, 활성화된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분할 모드 버튼(527)이 선택되는 경우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와 같이 하나의 스페이스만을 포함하는 탭에서, 사용자는 분할 모드 버튼(527)을 선택하여 탭이 2 이상의 스페이스를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 분할 모드 버튼(527)은 토글 키(toggle key)로 작동할 수 있으며, 분할 모드 시 분할 모드 버튼(527)을 선택하는 경우 스페이스 모드는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표시 영역(54)은 활성화된 탭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활성화된 탭의 컨텐츠란, 탭이 로딩 및 표시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활성화된 첫번째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로서, 탭이 하나의 스페이스에 하나의 웹 페이지(541)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스 모드에 따른 탭 및 도구모음 영역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된 탭(61, 62, 63)은 웹 브라우저의 컨텐츠 표시 영역(5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a 는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탭(61)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탭(61)은 하나의 스페이스(611)만을 가지고, 하나의 스페이스(611)에는 하나의 웹 페이지만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도구모음 영역(65)을 가질 수 있다.
도 6b 는 스페이스가 분할 모드이며, 또한 연결 모드인 경우의 탭(62)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탭(62)의 스페이스는 2개의 스페이스로 분할되어, 제1 스페이스(621) 및 제2 스페이스(622), 그리고 스페이스들을 구분하는 구분선(6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페이스에는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스페이스 중 하나의 스페이스는 메인 스페이스로 설정될 수 있으며, 메인 스페이스 내의 주변부에는 여백 영역(6211)이 설정될 수 있다. 여백(6211)이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어떤 스페이스가 메인 스페이스인지 여부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6b 의 경우에도 도 6a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도구모음 영역(65)을 가질 수 있으며, 도구모음 영역(65)의 요소들은 활성 페이지를 대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는 스페이스의 여백을 제외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스페이스는 왼쪽의 스페이스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b 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스페이스(621)가 메인 스페이스로 설정되고, 제1 스페이스(621) 주변부에 여백(6211)이 설정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스페이스(621)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는 경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제2 스페이스(62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c 는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며, 또한 분리 모드인 경우의 탭(63)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탭(63)의 스페이스는 2 개의 스페이스로 분할되어, 제1 스페이스(631) 및 제2 스페이스(632), 그리고 스페이스들을 구분하는 구분선(6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페이스에는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모드와 달리 분리 모드는 메인 스페이스를 가지지 않고, 복수개의 스페이스들이 개별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분리 모드에서 제1 스페이스(631)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더라도,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제1 스페이스(63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분리 모드에서는 활성 페이지를 포함하는 스페이스에 활성 표시(6311)가 설정될 수 있다. 도 6c 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스페이스(631)가 활성 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 제1 스페이스(631)에 활성 표시(6311)로서 그림자 효과가 설정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 에 도시된 예 외에도, 활성 표시(6311)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c 는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면서 또한 분리 모드인 경우에 스페이스들(641, 642)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도구모음 영역(65a) 및 제2 도구모음 영역(65b)이 생성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c 에서는 스페이스들(641, 642)이 존재하고, 도구모음 영역(65a, 65b)이 스페이스들 각각에 생성될 수 있다. 도구모음 영역(65a, 65b) 각각은 대응되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는 분리 모드이면서 분할 모드인 경우 도구모음 영역(65a, 65b)을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각 스페이스들이 개별로 동작할 것이라는 인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 파악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의 실시예는 선택된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며, 또한 연결 모드인 경우의 웹 브라우저를 도시한 것이며,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스케일이 조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탭 색인 표시 영역에는 두번째 탭 색인(721)이 선택되었으며, 두번째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 및 연결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구모음 영역(72)에는 제1 스페이스(741)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URL(722a) 및 제2 스페이스(742)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URL(722b)이 함께 표시되고, URL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자(722c)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URL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자(722c)의 모양은 연결 모드 혹은 분리 모드인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구모음 영역(72)에는 도 5 에서 설명된 뒤/앞으로 가기 버튼(721a/721b), 리로드(reload) 버튼(725), 캡처 버튼(726)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7 의 도구모음 영역(72)에는 분리 버튼(723)이 표시될 수 있다. 분리 버튼(723)은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탭의 스페이스 모드를 연결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혹은 분리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토글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도 7 과 같이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연결 모드인 상태에서 분리 버튼(723)을 선택하여 탭의 스페이스 모드를 분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분리 버튼(723) 내에는 '창 분리'라는 안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7 의 선택된 탭은 분할 모드 상태이므로, 툴바 표시 영역에는 분할 모드 버튼(727)이 활성화되었다는 테두리 점선 표시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7 의 도구모음 영역(72)에는 버전 변경 버튼(724)이 표시될 수 있다. 버전 변경 버튼(724)은 도 5 의 버전 변경 버튼(5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버전 변경 버튼(724)을 선택 시 스페이스들(741, 742)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버전이 전환될 수 있다.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제1 버전(PC 버전)이 표시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므로, 버전 변경 버튼(724)에는 제2 버전(모바일 버전)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모바일 보기' 안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전 변경 버튼(724)을 선택 시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제2 버전이 로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1 스페이스(741) 및 제2 스페이스(742)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스케일이 조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제1 웹 페이지(7412)는 도 5 의 웹 브라우저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로 변경되면서 웹 페이지(541)의 스케일이 조정된 웹 페이지이다. 제1 웹 페이지(7412) 및 제2 웹 페이지(7422)는 각각의 스페이스(741, 742)의 가로 길이와 웹 페이지의 가로 길이가 일치하도록 스케일이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스케일은 웹 브라우저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로 전환될 때 자동으로 조정되거나, 혹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스케일이 조정되어 사용자는 분할 모드에서도 복수의 웹 페이지들이 표시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7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웹 페이지(7412) 또는 제2 웹 페이지(7422) 중 선택적으로 웹 페이지의 스케일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스페이스인 제1 스페이스(741)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7412)의 스케일만 조정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제1 웹 페이지(7412) 또는 제2 웹 페이지(74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케일을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7 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는 두번째 탭의 제1 스페이스(741) 및 제2 스페이스(742)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스페이스(741)는 제1 웹 페이지(7412)를 표시하고, 제2 스페이스(742)는 제2 웹 페이지(7422)를 표시하고 있다. 스페이스들은 구분선(743)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는 구분선(743)의 위치를 조정하여 스페이스들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b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페이스 모드가 연결 모드인 경우, 메인 스페이스인 제1 스페이스(741) 내의 주변부에는 여백(7411)이 표시되고, 여백(7411)을 제외한 나머지 스페이스의 나머지 영역에 웹 페이지(741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웹 페이지(7412) 및/또는 제2 웹 페이지(7422) 내에는 웹 페이지에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반투명 처리된 투명 스크롤바(7413)가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비록 웹 페이지(7412)의 우측에만 스크롤바(7413)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의해 하단에도 스크롤바가 존재할 수 있다. 2 이상의 스페이스로 웹 브라우저의 컨텐츠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는 스크롤바를 위한 별도의 영역을 할당하지 않고, 스크롤바가 반투명으로 웹 페이지 상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 및 연결 모드인 경우, 메인 스페이스인 제1 스페이스(741)에 표시된 웹 페이지(7412)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제2 스페이스(742)에서 로딩될 수 있다. 도 7 의 예시는 사용자가 제1 웹 페이지(7412)에서 'mail' 링크를 선택하였을 때 제2 웹 페이지(7422)가 로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여백(7411)의 표시를 통해 왼쪽 스페이스가 메인 스페이스인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여 링크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오른쪽 스페이스에 로딩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도 7 의 변형예로서, 도 7 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은 도 7 의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스(841) 및 제2 스페이스(842)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8412, 8422)의 버전이 변경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제1 스페이스(841)에는 제1 웹 페이지(8412)의 모바일 버전이 표시되어 있고, 제2 스페이스(842)에는 제2 웹 페이지(8422)의 모바일 버전이 표시되어 있다. 이는, 도 7 의 웹 페이지들(7412, 7422)의 버전이 제1 버전, 즉 PC 버전이었으며,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버전 변경 버튼(724)이 선택된 후 웹 페이지들(8412, 8422)의 제2 버전이 로딩되었기 때문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버전 변경 버튼(824)에는 해당 버튼은 선택하였을 때 PC 버전의 웹 페이지가 로딩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PC 버전 보기'의 안내가 표시될 수 있다.
혹은, 사용자에 의해 버전 변경 버튼(724, 824)이 선택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도 8 과 같이 웹 페이지들(8412, 8422)의 버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변경될 때 웹 페이지들(8412, 8422)의 버전이 제2 버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스페이스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분할 모드로 변경되면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개별 스페이스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작은 면적에서도 컨텐츠를 파악하기 쉬운 제2 버전을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하기 위함이다.
또한, 비록 도 8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웹 페이지(8412) 또는 제2 웹 페이지(8422) 중 선택적으로 웹 페이지의 버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스페이스인 제1 스페이스(841)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8412)만 제2 버전이 로딩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제1 웹 페이지(8412) 또는 제2 웹 페이지(84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도 7 의 변형예로서, 도 7 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의 실시예는 선택된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이며, 또한 분리 모드인 경우의 웹 브라우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의 실시예에서는 탭 색인 표시 영역에는 세번째 탭 색인(913)이 선택되었으며, 세번째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 및 분리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 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는 세번째 탭의 제1 스페이스(941) 및 제2 페이스(942)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스페이스(941)는 제1 웹 페이지(9412)를 표시하고, 제2 스페이스(942)는 제2 웹 페이지(9422)를 표시하고 있다. 스페이스들은 구분선(943)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는 구분선(943)의 위치를 조정하여 스페이스들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비록 도 9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c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인 경우, 활성 페이지를 포함하는 제1 스페이스(941)의 주변에 활성 표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할 모드 및 분리 모드인 경우, 연결 모드와 달리 복수개의 스페이스들이 개별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스페이스(941)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더라도,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제1 웹 페이지(9412)로서 제1 스페이스(941)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스페이스(942)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선택되더라도,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는 제2 웹 페이지(9422)로서 제2 스페이스(94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 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웹 브라우저는 각 스페이스에 대응되는 도구모음 영역(92a, 92b)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9 를 참조하면, 도구모음 영역은 제1 도구모음 영역(92a), 제2 도구모음 영역(92b) 및 제3 도구모음 영역(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구모음 영역(92a)은 제1 스페이스(941)에 대응되고, 제2 도구모음 영역(92b)은 제2 스페이스(942)에 대응되며, 제3 도구모음 영역(93)은 스페이스들(941, 942)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툴 버튼을 포함한다.
먼저, 제1 도구모음 영역(92a)은 제1 스페이스(941)에 대응되며 뒤/앞으로 가기 버튼(921a), URL(922a), 버전 변경 버튼(924a), 리로드 버튼(925a)을 포함할 수 있다. URL(922a)은 제1 스페이스(941)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9412)의 URL을 나타내고, 뒤/앞으로 가기 버튼(921a), 버전 변경 버튼(924a) 및 리로드 버튼(925a)은 각각 제1 웹 페이지(9412)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 의 URL(922a)에는 제1 웹페이지(9412)가 활성 페이지라는 URL 강조 표시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구모음 영역(92b)은 제2 스페이스(942)에 대응되며 뒤/앞으로 가기 버튼(921b), URL(922b), 버전 변경 버튼(924b), 리로드 버튼(925b)을 포함할 수 있다. URL(922b)은 제2 스페이스(942)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9422)의 URL을 나타내고, 뒤/앞으로 가기 버튼(921b), 버전 변경 버튼(924b) 및 리로드 버튼(925b)은 각각 제2 웹 페이지(9422)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도구모음 영역(92a) 및 제2 도구모음 영역(92b)은 각각 제1 스페이스(941) 및 제2 스페이스(942)에 대응되며,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창 또는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버튼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3 도구모음 영역(93)은 스페이스들(941, 942)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의 예시에서, 제3 도구모음 영역(93)은 연결 버튼(933), 캡처 버튼(936) 및 스페이스 모드 버튼(937)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버튼(933), 캡처 버튼(936) 및 스페이스 모드 버튼(937)은 스페이스에 관계 없이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캡처하거나, 웹 브라우저의 스페이스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 와 같이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인 상태에서 연결 버튼(933)을 선택하여 탭의 스페이스 모드를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탭의 스페이스 모드가 연결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연결 버튼(933) 내에는 '창 연결'이라는 안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9 의 선택된 탭은 분할 모드 상태이므로, 툴바 표시 영역에는 분할 모드 버튼(937)이 활성화되었다는 표시가 추가될 수 있다.
도 9 와 같이 스페이스 별로 도구모음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사이트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과 같이 스페이스 모드 별로 도구모음 영역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시키는 요소들은 현재 활성 상태인 웹사이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도 7 의 변형예로서, 도 7 과 중복되는 설명 및 도면 번호는 생략하거나 간략히 표시하기로 한다. 도 7 과 도 10 의 차이점은, 구분선(1043)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제1 웹 페이지(10412) 및 제2 웹 페이지(10422)의 스케일이 자동으로 조정된 것이다.
즉, 도 7 과 비교할 때 도 10 의 실시예에서는 구분선(1043)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제1 스페이스(1041)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2 스페이스(1042)의 크기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구분선(1043)을 좌우로 이동시켜 양 스페이스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구분선(1043)의 이동으로 인해 스페이스의 크기가 조정되는 경우,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10412, 10422)의 스케일이 스페이스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 컨텐츠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가 스페이스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 이하가 되도록 웹 페이지들(10412, 10422)의 스케일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스의 크기가 조정되더라도 사용자의 정보 탐색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고 있는 탭(tab)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는 스페이스 분할 단계;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정 결정 단계;
    상기 조정 결정 단계의 결정에 따라,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웹 페이지 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는 도구모음 영역 분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은,
    대응되는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 또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모음 영역 분할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 모드가 분리 모드인 경우에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 모드는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중 특정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특정 스페이스에서 로딩하는 모드인,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 단계에서,
    상기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1 버전인지 혹은 제2 버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버전인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을 로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1 버전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보다 웹 페이지의 전체 데이터 양이 많은,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상기 메인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링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메인 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스페이스에서 로딩하도록 하는 것인,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좌쪽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인,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모든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조정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에 표시된 웹 페이지 컨텐츠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가 상기 스페이스의 가로 길이 혹은 세로 길이 이하가 되도록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으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표시되고 있는 탭(tab)의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탭을 2 이상의 스페이스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스페이스들 각각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스페이스 분할부;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웹 페이지들 중 하나 이상의 조정 대상 웹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할지 여부 혹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정 결정부;
    상기 조정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다른 버전을 로딩하는 웹 페이지 조정부;
    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도구모음 영역을 제공하는 도구모음 영역 분할부;
    를 더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부가 상기 다른 버전을 로딩할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버전이 제1 버전인지 혹은 제2 버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버전인 경우 상기 조정 대상 웹 페이지의 제2 버전을 로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결정부는,
    상기 2 이상의 스페이스들에 표시된 모든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웹 페이지를 조정 대상 웹 페이지로 결정하는,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0170078047A 2017-06-20 2017-06-20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8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47A KR20180138020A (ko) 2017-06-20 2017-06-20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5/850,889 US20180365198A1 (en) 2017-06-20 2017-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b browsing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47A KR20180138020A (ko) 2017-06-20 2017-06-20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20A true KR20180138020A (ko) 2018-12-28

Family

ID=6465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47A KR20180138020A (ko) 2017-06-20 2017-06-20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365198A1 (ko)
KR (1) KR201801380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4064B2 (ja) * 2015-12-15 2018-07-25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NAVER Corporation ウェブページ表示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831331B2 (en) * 2018-03-09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ndow control for simultaneously running applications
CN111796824A (zh) * 2020-06-29 2020-10-20 平安普惠企业管理有限公司 页面加载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US20240004524A1 (en) * 2022-06-30 2024-01-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ndow arrangements using tabbed user interface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058B2 (en) * 2002-11-27 2013-10-29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Presenting linked information in a CRM system
US7062505B2 (en) * 2002-11-27 2006-06-13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US20060224951A1 (en) * 2005-03-30 2006-10-05 Yahoo! Inc. Multiple window browser interface and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multiple window browser interface
US9065885B2 (en) * 2010-06-02 2015-06-23 Eba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low page load
US20150199308A1 (en) * 2011-10-17 2015-07-1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online documents
US20140096042A1 (en) * 2012-07-09 2014-04-03 Aaron Tyler Travis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browsers within a navigation plane
US9613160B2 (en) * 2012-09-28 2017-04-04 Disney Enterprises, Inc. Client-side web site selection according to device capabilities
US10049085B2 (en) * 2015-08-31 2018-08-14 Qualtrics, Llc Presenting views of an electronic document
US10635299B2 (en) *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indows in split screen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5198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360B2 (en) Simulated hyperlinks on a mobile device
US20210027203A1 (en) Action suggestions for user-selected content
US96465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display of display sections of content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180138020A (ko)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91582B1 (ko) 컨텐츠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069224B1 (en)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application data on dissimilar screens
KR20170000329A (ko) 콘텍스트 기반 탭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8949858B2 (en) Augmenting user interface elements with information
KR20140079375A (ko) 다중-컬럼 노트북 상호대화 기법
US9092509B2 (en) Search query user interface
US20140358962A1 (en) Responsive input architecture
KR20140122662A (ko)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장치
CN104781808A (zh) 用于调整网站显示的系统和方法
US10152496B2 (en) User interface device, search method, and program
CN108292187B (zh) 上下文命令栏
KR101999340B1 (ko)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3672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70044116A (ko) 오브젝트를 편집 가능한 형태로 전체 화면 팝 아웃하는 기법
JP6624972B2 (ja) 表示を制御する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1916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list of contents on dual screen
US11099720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JP706909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20180109442A (ko)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JP200609946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098811A (zh) 在线文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