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442A -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442A
KR20180109442A KR1020170039193A KR20170039193A KR20180109442A KR 20180109442 A KR20180109442 A KR 20180109442A KR 1020170039193 A KR1020170039193 A KR 1020170039193A KR 20170039193 A KR20170039193 A KR 20170039193A KR 20180109442 A KR20180109442 A KR 2018010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objects
user interface
image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705B1 (ko
Inventor
차상옥
정충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화면 구성 방법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SCREEN CONFIGURATION METHOD AND SCREEN CONFIGURATION SYSTEMA FOR REDUCING COGNITIVE LOAD}
아래의 설명은 정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기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정보 기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 정보 기기는 상술한 기능들에 더하여, 길 안내 서비스,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출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운전 중에는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 기능과 함께, 음악이나 라디오 등과 같이 음성 중심의 컨텐츠를 주로 소비하게 되며, 이러한 컨텐츠와 통합된 차량 플랫폼이 점점 확산되는 추세이다. 통신 속도의 발전과 함께, 주행 중에 예약, 쇼핑, 인터넷 검색 등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소비할 수 있는 컨텐츠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탐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테고리 구조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 뎁스 인(in)/아웃(out)을 반복하면서 컨텐츠를 탐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335호(공개일 2010년 01월 06일)에는 메뉴의 깊이(depth)를 조절하여 컨텐츠를 탐색하는 컨텐츠 내비게이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해 모바일 사용 행태 이외에 길 안내 서비스와 같은 차량 운전 환경에 최적화 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차량 인터페이스에서 지나치게 탐색 과정을 단축하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자유도가 낮아지게 되고, 탐색 과정에서 카테고리의 뎁스 인/아웃이 잦아지면 주행 중 주의 분산을 일으키는 상황들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차량 운전 환경에 맞게 간소화 된 컨텐츠 탐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메인 인터랙션(main interaction) 요소를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인지 복잡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출처나 형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분류하는 각 소스 별로 해당 소스 내에서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차례로 정렬하는 단계; 및 소스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소스 목록에서 선택된 소스의 컨텐츠 탐색을 위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표시하는 컨텐츠 탐색 영역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에 대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개체가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되면서 상기 소스 목록이 사라지고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소스의 상세 화면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비율 이상 스크롤 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중앙부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 중 명시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딤(dim)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각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이어서 연속적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객체의 모양이나 색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구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 방법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화면 구성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운전 환경에 맞게 간소화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카테고리 간 이동 경계를 자연스럽게 드나들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인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을 유지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조작 복잡도를 최소화 하여 운전 중 인지 부하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일화 된 인터랙션에 대해 컨텐츠 탐색 개체가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함으로써 탐색 중인 카테고리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정보 기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방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분류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자동 전환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탐색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탐색 중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구분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 환경에 맞게 간소화 된 컨텐츠 탐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인터페이스 조작 복잡도를 최소화 하여 인지 부하를 낮출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면 간소화, 인지 부하 절감, 효율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정보 기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구성 시스템이 도 1의 정보 기기(1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기(100)는 화면 구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영구 저장 장치(13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이동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터, 컨텐츠 플랫폼, 이동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셋톱 박스, 미디어 플레이어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버스(140)를 통해 메모리(120)에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정보 기기(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기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동적 RAM(DRAM: 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정보 기기(100)의 상태 정보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정보 기기(100)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정보 기기(100)는 필요에 따라 또는 적절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정보 기기(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정보 기기(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버스(140)는 정보 기기(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렬, 직렬 또는 다른 토폴로지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비해) 소정의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정보 기기(10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메모리 또는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정보 기기(100) 내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명령 입력,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화면 구성과 관련된 입력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구성과 관련된 정보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정보 기기(100)는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정보 기기(100)는 상술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와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정보 기기(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정보 기기(10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방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화면 구성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도록 정보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하는 기능적 표현으로서 화면 구성부(210)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화면 구성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310 내지 S33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화면 구성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의 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화면 구성 방법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프로세서(110)는 화면 구성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120)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구성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 파일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영구 저장 장치(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버스를 통해 영구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가 메모리(120)에 로딩되도록 정보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가 포함하는 화면 구성부(210)와 표시 제어부(220) 각각은 메모리(120)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S320 내지 S33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10)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단계들(S320 내지 S330)의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직접 제어 명령에 따른 연산을 처리하거나 또는 정보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화면 구성부(210)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차례로 정렬하고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개체는 탐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개체는 해당 컨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에 따라 개체의 모양이나 색상 등의 디스플레이 요소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화면 구성부(210)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들에 대한 이미지 개체들을 일 횡으로 정렬함으로써 이에 대해 좌/우 프리킹(flicking), 좌/우 스와이핑(swiping) 등과 같이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표시 제어부(22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컨텐츠 탐색 영역에 이미지 개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컨텐츠 탐색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220)는 컨텐츠 탐색 영역에 대한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에 따라 일 횡으로 정렬된 이미지 개체를 해당 방향으로 스크롤 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제어부(220)는 하나의 선 상에 컨텐츠들을 나열했을 때 카테고리 구분이 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컨텐츠 탐색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 제어부(220)는 화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제어부(220)는 이미지 개체가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에 기초하여 컨텐츠 탐색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를 통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탐색함에 있어 카테고리 탐색 및 카테고리 별 컨텐츠 탐색을 위해 뎁스 인/아웃을 반복하지 않더라도 탐색 대상 컨텐츠를 하나의 선 상에 나열함으로써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을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카테고리를 자연스럽게 넘나들면서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차량용 정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함에 따라 차량 환경에 맞게 컨텐츠 탐색 인터페이스를 간소화 할 수 있고 메인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주행 중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낮출 수 있다.
인지 복잡도를 최소화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분류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출처나 형식 등에 따른 소스로 먼저 분류될 수 있고 각 소스에 대해 컨텐츠 주제 등에 따른 카테고리로 세부 분류될 수 있다.
이에, 화면 구성부(210)는 각 소스 별로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개체(401)를 하나의 선 상에 차례로 정렬하되 카테고리 별로 해당 카테고리 내 컨텐츠를 이어서 연속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면 구성부(210)는 컨텐츠 탐색을 위한 인터랙션(403)으로서 단일 방향의 프리킹이나 스와이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탐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401)를 일 선 상에 정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자동 전환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탐색을 위한 홈 화면인 메인 화면(500)에서는 일 영역에 소스 선택을 위한 소스 목록(510)이 표시됨과 아울러, 소스 목록(510)에서 특정 소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스의 컨텐츠 탐색을 위한 컨텐츠 탐색 영역(520)이 일 영역과 인접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화면(500)에서는 선택된 소스의 컨텐츠들에 대한 개체 정렬 순서에 따라 최상위에 정렬된 이미지 개체부터 차례로 컨텐츠 탐색 영역(520)에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2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이미지 개체를 스크롤 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탐색 영역(520)에 대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프리킹 하면 이미지 개체가 해당 방향으로 스크롤 되면서 소스 목록(510)이 사라지고 컨텐츠 탐색 영역(520)이 확장됨에 따라 메인 화면(500)에서 해당 소스의 상세 화면(600)으로 자동 진입하게 된다. 한편, 상세 화면(600)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프리킹 함에 따라 이미지 개체가 해당 방향으로 스크롤 되어 최상위 이미지 개체까지 도달하면 다시 소스 목록(510)이 나타나면서 메인 화면(500)으로 진입하게 된다.
또는, 상세 화면(600)에는 메인 화면(500)으로 이동하기 위한 '메인 이동' 메뉴(601)가 포함될 수 있고, 상세 화면(600)에서 '메인 이동' 메뉴(601)가 선택되는 경우 개체 스크롤이 최상위에 정렬된 이미지 개체까지 스킵되고 메인 화면(500)으로 바로 진입하게 된다.
표시 제어부(220)는 컨텐츠 탐색 영역에 대한 인터랙션에 따라 메인 화면(500)과 소스 상세 화면(600) 간의 자동 전환을 통해 컨텐츠 탐색과 동시에 뎁스 인/아웃을 자연스럽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위 메뉴인 소스 탐색과 소스 별 컨텐츠 탐색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넘나들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탐색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세 화면(600)에서는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인 좌/우 프리킹에 따라 일 횡으로 정렬된 이미지 개체가 해당 프리킹 방향으로 차례로 스크롤 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고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으로 카테고리를 이동하면서 컨텐츠 탐색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세 화면(600)에서는 카테고리 선택이 가능한 카테고리 목록(82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 목록(821)에서 선택된 특정 카테고리의 컨텐츠에 대해 해당 이미지 개체를 즉시 노출할 수 있다. 카테고리 목록(821)에서 특정 카테고리(예컨대, 카테고리Ⅱ)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화면(600)의 컨텐츠 탐색 영역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해당 카테고리의 첫 번째 컨텐츠부터 차례로 이미지 개체를 정렬하여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테고리 목록(821)에서 특정 카테고리(예컨대, 카테고리Ⅱ)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카테고리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화면 시작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하여 컨텐츠 수를 최대한 많이 보여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탐색 중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시 제어부(220)는 하나의 선 상에 컨텐츠들을 나열했을 때 카테고리 구분이 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상세 화면(600)의 컨텐츠 탐색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세 화면(600)에서는 카테고리 목록(821)이 제공될 수 있고, 이때 상세 화면(600)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목록(821)에 현재 탐색 중인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다른 카테고리와 구분 가능하도록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20)는 상세 화면(600)의 중심선(90)을 기준으로 이전 카테고리의 마지막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개체가 지나가고 다음 카테고리의 첫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개체의 너비의 1/2이 지나가는 시점에 이전 카테고리의 강조 표시를 해제하고 다음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세 화면(600)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 중 사전에 정해진 N번째 순서에 이미지 개체가 표시되는 컨텐츠의 귀속 카테고리를 체크하여 해당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화면(600)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 중 두 번째 이미지 개체의 컨텐츠가 속한 카테고리를 체크하여 해당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고, 이때 강조 표시되는 카테고리가 변하는 순간 두 번째 이미지 개체를 강조 표시하고 이전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는 딤 처리할 수 있다. N번째 순서를 선정하는 기준은 화면 크기 대비 이미지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정하여 이미지 개체가 화면 중앙 영역에 오는 시점을 측정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표시 제어부(22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세 화면(600)의 화면 중앙부 영역(10)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할 수 있고 화면 인터랙션에 따라 중앙부 영역(10)을 지나가는 이미지 개체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220)는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함과 동시에 상세 화면(600)에 표시되는 이미지 개체 중 카테고리 목록(821)에서 강조 표시된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는 선명하게 표시하고 그 외 나머지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는 딤(dim)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 화면(600)에 명시된 카테고리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어떤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탐색하고 있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아울러 화면 중앙부 영역(10)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거나 혹은 명시된 카테고리 이외의 다른 컨텐츠에 대해 딤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탐색 중인 컨텐츠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구분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개체는 탐색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항목으로서 해당 컨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에 따라 개체의 모양이나 색상 등의 디스플레이 요소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구성부(210)는 각 카테고리 별로 해당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개체(1201)에 대해 서로 다른 개체 모양을 적용하여 정렬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세 화면(600)에서는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인 좌/우 프리킹에 따라 일 횡으로 정렬된 이미지 개체(1201)가 해당 프리킹 방향으로 차례로 스크롤 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고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으로 카테고리를 이동하면서 컨텐츠 탐색이 가능하다. 이때, 표시 제어부(220)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세 화면(600)의 컨텐츠 탐색 영역에 개체 정렬 순서에 따라 이미지 개체(1201)를 노출하게 되는데, 상세 화면(600)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 화면(600)에 명시된 카테고리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어떤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탐색하고 있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미지 개체(1201)의 모양을 통해 컨텐츠 탐색 과정에서의 카테고리 간 이동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운전 환경에 맞게 간소화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카테고리 간 이동 경계를 자연스럽게 드나들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인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단일 방향의 인터랙션을 유지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조작 복잡도를 최소화 하여 운전 중 인지 부하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일화 된 인터랙션에 대해 컨텐츠 탐색 개체가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함으로써 탐색 중인 카테고리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출처나 형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분류하는 각 소스 별로 해당 소스 내에서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차례로 정렬하는 단계; 및
    소스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소스 목록에서 선택된 소스의 컨텐츠 탐색을 위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표시하는 컨텐츠 탐색 영역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에 대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개체가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되면서 상기 소스 목록이 사라지고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소스의 상세 화면으로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비율 이상 스크롤 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중앙부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 중 명시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딤(dim)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별로 각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이어서 연속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객체의 모양이나 색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방법.
  11. 화면 구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 방법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화면 구성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정렬하고 상기 이미지 개체 간에 일축 방향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이미지 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정렬된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카테고리 전환을 명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컨텐츠의 출처나 형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분류하는 각 소스 별로 해당 소스 내에서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들에 대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하나의 선 상에 차례로 정렬하고,
    소스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소스 목록에서 선택된 소스의 컨텐츠 탐색을 위해 상기 이미지 개체를 표시하는 컨텐츠 탐색 영역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에 대한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개체가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되면서 상기 소스 목록이 사라지고 상기 컨텐츠 탐색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소스의 상세 화면으로 진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컨텐츠들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비율 이상 스크롤 된 이미지 개체가 나타내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개체를 정렬된 순서로 스크롤 하면서 노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중앙부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개체 중 명시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컨텐츠의 이미지 개체를 딤(dim)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이미지 객체의 모양이나 색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구성 시스템.
KR1020170039193A 2017-03-28 2017-03-28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1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93A KR101918705B1 (ko) 2017-03-28 2017-03-28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93A KR101918705B1 (ko) 2017-03-28 2017-03-28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42A true KR20180109442A (ko) 2018-10-08
KR101918705B1 KR101918705B1 (ko) 2018-11-14

Family

ID=6386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93A KR101918705B1 (ko) 2017-03-28 2017-03-28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918A (ko) * 2019-05-13 2020-11-23 네이버 주식회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3655B2 (ja) * 2007-09-07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918A (ko) * 2019-05-13 2020-11-23 네이버 주식회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8484A (ko) * 2019-05-13 2021-07-14 네이버 주식회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243667B2 (en) 2019-05-13 2022-02-08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based on new user experience
US11644956B2 (en) 2019-05-13 2023-05-09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providing interface based on new user exper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705B1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10514819B2 (en) Operating system support for location cards
US9535590B2 (en) Controlled interaction with heterogeneous data
CN103119541B (zh) 用于在触摸设备中编辑主屏幕的方法和装置
KR101275355B1 (ko) 리스트 항목 속성에 기반한 리스트 탐색에 관한 동적 제어
CN110244949B (zh) 一种页面信息展示方法及装置
AU2014287956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TWI512600B (zh) 具有動態拼圖介面的電子裝置及控制方法與系統
KR2017012495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64458A (ko)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16955A (ja) ポータブル装置用の高度なナビゲーション技術
US20170075534A1 (en) Method of presenting content to the user
KR102470651B1 (ko)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15992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WI619066B (zh) 具有動態拼圖介面的電子裝置及群組控制方法與系統
CN108292187B (zh) 上下文命令栏
KR101918705B1 (ko)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741906B1 (ko)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에 이미지 효과를 일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01498B1 (ko) 듀얼 스크린에서 컨텐츠와 컨텐츠 목록을 연동하여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6816B1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88189B1 (ko) 웹 페이지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