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219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219A
KR20180137219A KR1020170076600A KR20170076600A KR20180137219A KR 20180137219 A KR20180137219 A KR 20180137219A KR 1020170076600 A KR1020170076600 A KR 1020170076600A KR 20170076600 A KR20170076600 A KR 20170076600A KR 20180137219 A KR20180137219 A KR 2018013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heat storage
heat
air conditioner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988B1 (ko
Inventor
오우상
김기동
장지원
하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B01F15/004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4Shafts with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with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3Driving arrangements for vertical stirrer shafts
    • B01F7/00716
    • B01F7/007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축열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축열케이스,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 및 상기 축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시키고,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에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팽창기구는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상태로 토출시키고, 토출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에서 기체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응축기의 냉각방식에 따라, 상기 응축기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매를 냉각시키는 공냉식과, 상기 응축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매를 냉각시키는 수냉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공냉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송풍팬 및 그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필요하고,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재생되는 상변화물질(PCM)을 사용하는 축열식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하고, 자연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축열식 공기조화기는 상기 상변화물질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매우 오랜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상변화물질의 열전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일부분에서만 열교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포함된 축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기를 상변화물질이 수용된 축열케이스에 배치시켜, 보다 용이하게 열교환이 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축열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축열케이스,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 및 상기 축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포함된다.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축열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교반모터, 상기 축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회전부 및 상기 교반모터 및 상기 교반회전부를 연결하는 교반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교반축은 길이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교반축의 길이변경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가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레일을 형성하는 축열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소정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축열케이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응축열교환기가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레일은 각 응축열교환기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소정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과 연결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을 유동시키는 교반회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응축온도센서 및 상기 응축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교반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압축기 및 증발기와, 상기 하우징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동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축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온도가 입력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시작하고, 응축기의 응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A)보다 높거나,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축열장치에 구비된 교반기를 작동하고, 응축기의 응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B)보다 낮은 경우 상기 교반기의 작동을 정지한다.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축열케이스 및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에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축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교반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가 회전되며 상기 상변화물질을 섞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교반기가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킴에 따라 비교적 적은 시간 내에 상변화물질이 원래의 상태로 상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작동시간 및 작동간격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축기가 상변화물질이 수용된 축열케이스에 배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교반기는 상기 축열케이스를 이동하며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상변화물질간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비교적 작은 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기기로 설치자유도가 비교적 크고,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실외공간에 배치되는 기기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기는 이동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단면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축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축열장치에 따른 열교환물질의 재생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되는 이동부재(14)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2)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은 전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박스형상으로 마련된다. 특히, 상부보다 하부가 후방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하우징(12)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하우징(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4)는 상기 하우징(12)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4)는 복수 개의 바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4)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12)에 약간의 외력을 가해 상기 공기조화기(10)를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방에서 열을 이용한 조리를 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10)를 주방으로 이동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6) 및 토출구(18)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구(16)는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1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흡입구(16)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6)에는 흡입그릴(17)이 마련되어, 비교적 큰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8)는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8)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1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베인(19)이 회동하여 상기 토출구(18)를 개방시키고, 상기 베인(19)의 회동각에 따라 토출공기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하우징(12)에 마련되는 각종 입력부(22) 및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22)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등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2)에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전원을 가동시키거나, 설정온도 또는 설정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22)는 리모컨 등과 같은 기기로 신호를 입력받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에 접근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6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커버(60)는 상기 하우징(12)의 돌출된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60)에는 커버파지부(62)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상기 커버파지부(62)를 파지하여 상기 커버(60)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커버파지부(62)는 상기 커버(60)의 적어도 일부에 함몰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기 흡입구(16), 상기 토출구(18), 상기 입력부(22), 상기 디스플레이부(20) 및 상기 커버(60)의 위치, 형상 및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공기조화기(10)는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공기조화기(10)의 내부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I-I'단면을 도시한 대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공기조화기(10)의 구성을 연결하는 각종 냉매배관 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는, 압축기(30), 증발기(40) 및 응축기(50)가 마련되고, 각 구성은 냉매배관으로 연결된다. 이는 주요한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구성 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는 기상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때, 도 3에서 상기 압축기(30)는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0)는 다양한 형상 및 압축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0)로 유입되는 냉매배관에는, 상기 압축기(30)로 유입되기 전 기상 냉매가 분리되도록 마련된 기액 분리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3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0)에서 토출되는 냉매배관에는, 상기 압축기(3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압축기(30)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응축기(50)는 축열장치(100)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50)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상기 증발기(40)로 공급하기 위해,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 등이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40)는 액상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40)는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발기(40)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배관의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증발기(40)가 외부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공기를 강제대류 시키는 송풍팬(42) 및 상기 송풍팬(42)에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16)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18)로 토출되며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16)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40)와 열교환되도록, 상기 증발기(40)는 상기 흡입구(16)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 상기 송풍팬(42), 상기 증발기(40) 및 상기 흡입구(16)가 차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8)가 상기 송풍팬(42) 및 상기 증발기(4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교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와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30)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응축기(50)는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작동되면, 상기 압축기(30)가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응축기(50)로 토출시킨다. 상기 응축기(50)에는 상기 압축기(30)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축열장치(100)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팽창되어 상기 증발기(40)로 유동되며, 상기 증발기(40)를 유동하는 냉매는 앞서 설명한 주방 등과 같은 소정의 공간에 존재하는 내부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상기 증발기(40)에서 토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30)로 복귀되어 상기의 유동을 반복한다.
상기 증발기(40)가 내부공기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내부공기가 상기 증발기(40)에 열을 빼앗겨 온도가 낮아진다. 즉, 상기 흡입구(16)를 통해 상기 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된 내부공기는 상기 증발기(4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상기 토출구(18)를 통해 소정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온도가 낮아진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을 냉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축열장치(100)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50)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열교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예시적으로 3개의 열교환기로 마련된 응축기(50)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하우징(12)의 전방과 가까운 순서대로 제 1 응축열교환기(51), 제 2 응축열교환기(52) 및 제 3 응축열교환기(53)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제 1 응축열교환기(51), 상기 제 2 응축열교환기(52) 및 상기 제 3 응축열교환기(53)는 상기 압축기(30) 및 상기 증발기(40) 등과 병렬로 연결되어 냉매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축열장치(100)를 참고하여, 축열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축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열장치(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축열케이스(110)가 포함된다.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응축열교환기(51), 상기 제 2 응축열교환기(52) 및 상기 제 3 응축열교환기(53)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축열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상기 축열케이스(110)에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이 수용된다.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변화물질은 열을 흡수하면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되며, 열을 방출하며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에 따라,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응축기(50)에서 배출되는 열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변화물질은 상기 응축기(5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액체로 상변화된다. 또한, 자연상태에서 고체로 상변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변화물질은 계속해서 상변화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고,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상변화물질은 물질의 특성상 열전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일부분에만 열교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축열장치(100)에는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는 교반기(120)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축열케이스(110)에 수용된 상기 상변화물질을 섞어주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상변화물질이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교반기(120)에는, 동력을 부여하는 교반모터(122), 상기 교반모터(12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회전부(124) 및 상기 교반모터(122)와 상기 회전부(124)를 연결하는 교반축(126)이 포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모터(122)는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회전부(124)는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교반축(126)은 상기 축열케이스(110)를 관통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교반축(126)은 다단으로 마련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축(126)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124)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열장치(100)에는,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이동레일(114)이 마련된 축열커버(112)가 포함된다. 상기 축열커버(112)는 상기 축열케이스(110)의 상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축열커버(112)의 상측에 상기 축열모터(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114)은 상기 응축기(50)의 외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어 마련된 각 응축기(51, 52, 53)의 사이 및 측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레일(114)은 상기 제 1 응축열교환기(51)의 일 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응축열교환기(51)와 상기 제 2 응축열교환기(52)의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응축열교환기(52)와 상기 제 3 응축열교환기(53)의 사이를 따라 상기 제 3 응축열교환기(53)의 일 측면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교반기(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교반모터(122)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교반축(126) 및 상기 교반회전부(124)가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교반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이동레일(114)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축(126)에 피니언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114)에 랙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축(126)에 구비된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114)에 구비된 상기 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교반기(120)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이동레일(1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교반축(126)이 하부로 연장되거나 상부로 축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124)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회전부(124)는, 상기 이동레일(114)을 따라 상기 응축기(5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교반축(12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회전부(124)는 상기 교반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상변화물질을 전체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축열장치에 따른 열교환물질의 재생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상기 교반기(12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변화물질의 온도변화를 측정한 것이며, 도 5의 (b)는 상기 교반기(120)를 사용한 경우 상변화물질의 온도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이때, 재생시간은 상기 교반케이스(110)에 수용된 상기 상변화물질이 전부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상변화되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각 선은 상기 교반케이스(110) 내의 위치에 따른 상변화물질의 온도측정값을 도시한 것이다. 빨간색으로 도시된 선은 상기 응축기(50)로 유입되는 냉매파이프와 인접한 상변화물질의 온도측정값이고, 초록색으로 도시된 선은 상기 응축기(50)에서 토출되는 냉매파이프와 인접한 상변화물질의 온도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응축기(50)로 고온고압의 냉매가 유입됨으로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에 인접한 상변화물질도 많은 양의 열을 전달받게 된다. 그에 따라, 빨간색으로 도시된 선은 초기에 높은 온도값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축기(50)는 상부에서 냉매가 유입되어 하부로 냉매가 토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교반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된 상변화물질은 비교적 많은 양의 열을 전달받고, 상기 교반케이스(110)의 하부에 위치된 상변화물질을 비교적 적은 양의 열을 전달받는다.
도 5의 (a)의 경우 재생시간이 8시간 정도이지만, 도 5의 (b)의 경우 재생시간이 6시간 반 정도이다. 또한, 도 5의 (a)의 경우 비교적 낮은 온도의 녹색선은 온도변화가 없으며, 도 5의 (b)의 경우 녹색선은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교반기(120)가 없는 경우, 상기 교반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상변화물질 사이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교반기(12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교반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상변화물질이 서로 섞이며 열전달이 이루어지며 보다 빠르게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상변화물질의 재생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10)를 사용할 수 있는 운전시간이 증가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공기조화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구동되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제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압축기(30), 상기 송풍팬(4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22)에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22)는 공기조화기의 전원,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입력부(22)의 명령이 아닌, 실내온도가 를 감지하여 감지된 실내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에 신호를 전달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에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압축기(3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30)에 전력을 인가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30)가 작동하며 냉매가 앞서 설명한 사이클을 순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송풍팬(42)을 가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송풍팬(42)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팬모터에 전력을 인가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송풍팬(42)이 회전되며 실내공기가 강제대류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송풍팬(42)을 가동하여 실내공기를 단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42)의 풍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압축기(4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증발온도센서(45) 및 응축온도센서(55) 등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증발온도센서(45)는 상기 증발기(4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40)에서 열교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온도센서(55)는 상기 응축기(5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온도센서(55)에서 측정된 응축기(50)의 온도를 통해 상기 축열장치(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열장치(100)가 상기 응축기(5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며 상변화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기(50)의 온도는 비교적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축열장치(100)가 모두 상변화되면 상기 응축기(50)의 열을 흡수하지 못하고 상기 응축기(50)의 온도가 상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응축기(50)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축열장치(100)가 모두 상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기(120)의 전원을 인가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모터(1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어구성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공기조화기가 운전된다(2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상기 입력부(22)를 통한 신호가 전달되거나, 실내공기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입력부(22)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나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작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압축기(30)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고, 상기 송풍팬(42)을 구동하여 실내공기를 강제순환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운전된 후, 상기 응축온도센서(55)에서 측정된 응축온도가 기준치(A)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220). 이때,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30분일 수 있다.
측정된 응축온도가 기준치(A)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230). 이때, 기준치(A)는 상기 상변화물질이 모두 상변화되어 상기 응축기(50)의 열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응축기(50)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측정된 응축온도가 기준치(A)보다 높아서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정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설정온도가 도달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교반기(120)가 작동된다(240).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모터(122)를 구동시켜 상기 교반회전부(124)가 상기 교반케이스(110) 내의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기(12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운전된 후, 상기 응축온도센서(55)에서 측정된 응축온도가 기준치(B)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250). 이때,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1시간일 수 있다.
측정된 응축온도가 기준치(B)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기(1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260). 이때, 기준치(B)는 상기 상변화물질이 모두 재생된 경우 상기 응축기(50)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상변화물질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교반기(12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상변화물질이 열을 흡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교반기(120)가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교반기(120)가 작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변화물질이 전체적으로 상기 응축기(50)와 열교환되어 보다 오랜시간동안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변화물질에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흑연 등과 같은 촉매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기(120)에 의해 상기 촉매제가 상기 상변화물질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다.
10 : 공기조화기 20 : 디스플레이부
30 : 압축기 40 : 증발기
50 : 응축기 60 : 커버
100 : 축열장치 110 : 축열케이스
120 : 교반기 122 : 교반모터
124 : 교반회전부 126 : 교반축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축열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축열케이스;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 및
    상기 축열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축열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교반모터;
    상기 축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회전부; 및
    상기 교반모터 및 상기 교반회전부를 연결하는 교반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은 길이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교반축의 길이변경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가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축열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레일을 형성하는 축열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소정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축열케이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응축열교환기가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레일은 각 응축열교환기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상기 소정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교반축; 및
    상기 교반축과 연결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을 유동시키는 교반회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응축온도센서; 및
    상기 응축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교반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압축기 및 증발기와,
    상기 하우징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동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9.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축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온도가 입력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시작하고,
    응축기의 응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A)보다 높거나,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축열장치에 구비된 교반기를 작동하고,
    응축기의 응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B)보다 낮은 경우 상기 교반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장치에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축열케이스; 및
    상기 응축기의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축열케이스에 수용되는 상변화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상변화물질을 교반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축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회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교반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교반회전부가 회전되며 상기 상변화물질을 섞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76600A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00A KR10232098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00A KR10232098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19A true KR20180137219A (ko) 2018-12-27
KR102320988B1 KR102320988B1 (ko) 2021-11-04

Family

ID=6495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00A KR102320988B1 (ko) 2017-06-16 2017-06-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9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9197A (zh) * 2019-01-14 2019-04-05 张晓庆 移动空调及其制冷方法
KR102090022B1 (ko) * 2020-01-23 2020-03-17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7695B1 (ko) * 2020-01-23 2020-04-06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 장치에서 사용되는 열교환어셈블리
KR102101326B1 (ko) * 2020-01-23 2020-04-16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 장치
CN112762600A (zh) * 2019-10-21 2021-05-0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凝器和直流电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78A (ja) * 1995-06-29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蓄熱槽
JP2002211696A (ja)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発泡液吐出装置
KR20100122154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3764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축열형 공기조화기
KR20130019208A (ko) * 2011-08-16 2013-02-26 코웨이 주식회사 빙축열 방식의 냉수기 및 이에 사용되는 빙축액
JP3189690U (ja) * 2014-01-10 2014-03-27 昆山巨仲電子有限公司 冷暖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690B2 (ja) * 1996-07-10 2001-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78A (ja) * 1995-06-29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蓄熱槽
JP2002211696A (ja)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発泡液吐出装置
KR20100122154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3764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축열형 공기조화기
KR20130019208A (ko) * 2011-08-16 2013-02-26 코웨이 주식회사 빙축열 방식의 냉수기 및 이에 사용되는 빙축액
JP3189690U (ja) * 2014-01-10 2014-03-27 昆山巨仲電子有限公司 冷暖房モジュ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9197A (zh) * 2019-01-14 2019-04-05 张晓庆 移动空调及其制冷方法
CN112762600A (zh) * 2019-10-21 2021-05-0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凝器和直流电空调器
KR102090022B1 (ko) * 2020-01-23 2020-03-17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7695B1 (ko) * 2020-01-23 2020-04-06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 장치에서 사용되는 열교환어셈블리
KR102101326B1 (ko) * 2020-01-23 2020-04-16 주식회사 에어라클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988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72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192203B1 (ko) 급속 냉각 및 동결장치
US10077932B2 (en) Refrigerator
JP4795709B2 (ja) 恒温恒湿装置
CN102135296B (zh) 移动式空气除湿机
US4138859A (en) Split heat pump outdoor fan arrangement
WO2020253253A1 (zh) 厨房空调一体机
KR10234225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98521A (ja) 環境試験装置
WO2008077288A1 (fr) Boîtier semi-conducteur multifonctionnel à deux usages, d'accumulation de froid et d'accumulation de chaleur
CN111981810A (zh) 一种恒温恒湿多功能烘干房
CN209744605U (zh) 厨房空调一体机
CN111692679A (zh) 厨房空调一体机
KR101877310B1 (ko) 냉풍 및 온풍 발생장치
CN112432265B (zh) 厨房空调一体机
CN209744606U (zh) 厨房空调一体机
WO2020181609A1 (zh) 厨房空调一体机
CN116075108A (zh) 内外循环可调式制冷系统及数据中心
JP2011075168A (ja) 空気調和機
WO2020155403A1 (zh) 厨房空调一体机
KR200406474Y1 (ko) 이동식 냉·온풍기
JP2005180768A (ja) 温度調整システム
CN217357071U (zh) 立式空调室内机
CN217209604U (zh) 新风除湿机组
KR20140088285A (ko) 축냉식 냉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