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155A -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155A
KR20180137155A KR1020170076424A KR20170076424A KR20180137155A KR 20180137155 A KR20180137155 A KR 20180137155A KR 1020170076424 A KR1020170076424 A KR 1020170076424A KR 20170076424 A KR20170076424 A KR 20170076424A KR 20180137155 A KR20180137155 A KR 2018013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outsider
information
crime
behav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수
송정화
서동혁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155A/ko
Publication of KR2018013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00892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개입 없이 각종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인의 방문이나 시계열적인 행동을 확인하여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고,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외부인에게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이나 사적 공간에 접근 및 출입하는 외부인의 접근 제어를 강화하고, 외부인이 자신의 행동이 감시당하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어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MART CPTED BASED REINFORCING APPROACH CONTROL AND METHO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개입 없이 각종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인의 방문을 인식한 다음 외부인의 시계열적인 행동을 확인하여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고,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외부인에게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지역이나 사적 공간에 접근 및 출입하는 외부인의 접근 제어를 강화하고, 외부인이 자신의 행동이 감시당하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어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기법인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는 도시 및 건축공간 설계 시 범죄기회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계획, 변경함으로써 범죄 및 불안감을 저감시키는 원리이자 실천전략이다.
대부분의 범죄는 일정한 시공간적 발생패턴과 피해대상의 반복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범죄기회를 제공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사전에 통제하거나 제거함으로서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 셉테드의 핵심이다.
상기 셉테드의 주요 원리로는 감시를 통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용성 증대 등이 있다.
접근통제는 사람들을 도로, 보행로, 조경, 문 등을 통해 일정한 공간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허가받지 않은 사람들의 진출입을 차단하여 범죄 목표물로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범죄행동의 노출위험을 증가시켜 범죄를 예방하는 원리로서, 출입구 수의 최소화, 침입통제 시설 설치, 건물 이격공간 접근통제 등을 수행한다.
영역성 강화는 어떤 지역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점유함으로써 그들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가상의 영역을 조성하여 잠재적 범죄자가 스스로 감시받거나 제지당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여 범죄 욕구를 억제시키는 원리로서,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울타리, 각종 표지판, 조경식재, 한 평 공원 조성, 도로포장 변화 등과 같은 소유권을 표현하는 물리적 특징을 사용한다.
활용성 증대는 공공장소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활발한 사용을 유도 및 자극함으로써 그들의 눈에 의한 자연스런 감시를 강화하여 범죄 발생을 감소시키고, 주민들이 안전감을 느끼도록 하는 원리로서, 주로 공공부분에서 적용 가능한 기법으로 지역 주민들의 의견 조사를 통한 핫스팟을 설정한 후 핫스팟을 연결한 선을 중심으로 조성하고 운동 동선으로 조성하여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 공간계획, 가로 활성화를 위한 시설계획, 환경정비와 연계된 보행공간 계획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셉테드는 도시건축적 요소와 함께 사회문화적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유형별 맞춤형 기법을 통해 적용범위가 넓고, 기존의 계획 및 디자인 틀을 크게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자연스럽게 주민참여를 유도해 공간 및 지역 활성화까지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셉테드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측면에서의 범죄 예방책보다는 특정 지역의 환경적 패턴과 국지적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요인들을 조작함으로서 범죄를 예방하는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건축 행위가 완료되고 난 이후에 셉테드 개념과 전략을 반영할 경우 상당한 비용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계획단계부터 범죄예방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지속적이면서도 주기적인 환경 정비의 중요성도 함께 이해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생체인식을 이용하는 개인인증은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걸음인식 등이 있다. 개인인증을 이용하는 출입통제, 출퇴근 관리는 회사 등 인적 통제가 필요한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환경재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사업에서는 외부인에 대한 접근 통제가 기본 원리로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환경재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사업에서 적용하는 접근 통제 방안은 목표 대상이 불분명하고 사적공간을 이용하는 거주민들에게도 부담을 주는 경우가 있어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환경재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사업은 범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사업으로써, 지역의 사적 공간에 접근하는 외부인원에 대한 통제를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외부인 통제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보다 나은 외부인 통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종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외부인을 인식함과 동시에 외부인의 보행 및 행위 감지를 토대로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고,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외부인에게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특정 장소의 출입통제 등을 수행함으로써, 범죄와 연관성 있는 외부인에 대하여 지능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232248호(2013.02.05.)는 범죄예방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한 보안 기능이 부가된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로컬 조명장치에 구성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정보를 통해 DVR과 같은 영상장치와 연동하여 원하는 대상에 대한 상세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동시에 대상의 위치에 인접한 조명을 제어하여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범죄예방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한 보안 기능이 부가된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영상분석 모듈 없이도 의심되는 객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조명과 카메라를 동시에 제어하여 객체를 지향하도록 함으로써, 객체의 범죄 의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객체의 영상을 음영지역이나 화질 저하 없이 획득할 수 있어 셉테드(CPTED)에 따른 범죄 예방을 포함하는 보안 기능과 조명제어가 상호 연동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의심되는 객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범죄 의도를 미연에 방지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외부인의 보행 및 행위 감지를 토대로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외부인의 감지와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 분석을 토대로 외부인의 범죄행위가 예측되면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특정 장소나 지역의 출입관리 등을 제어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의심되는 객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조명과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술적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특징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995569호(2010.11.15.)는 다수의 방범현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범죄관리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다양한 범죄예방(용의자수배, 목격자 찾기, 실종아동 찾기 사건, 사고현장 영상정보 등) 정보를 표출하고, 실시간 영상정보와 범죄예방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형 객체 인식을 수행하는 동시에 범죄 유형별로 산출된 결과물을 토대로 각종 범죄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방범 버튼 입력이 감지된 경우 방범 버튼이 설치된 영역을 카메라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서버에 긴급 상황임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으며, 긴급 상황 발생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범죄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외부인의 보행 및 행위 감지를 토대로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센서나 카메라로 외부인의 방문을 인식한 다음 외부인의 시계열적인 행동을 확인하여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분석하고,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외부인에게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하는 기술적 구성으로서, 긴급 상황 발생 영역을 촬영하여 관리하는 범죄 발생의 사후 처리를 위한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상기 선행기술과는 전혀 다른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의심되는 객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조명과 카메라를 동시에 제어하여 객체를 지향하는 구성, 방범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방범 서버에 긴급 상황임을 용이하게 알리고 해당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 분석을 토대로 외부인에 의한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영역 인지, 이동패턴, 행동패턴 등에 따른 음성안내, 경고방송, 특정 장소의 출입관리제어 등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외부인의 감지 및 접근 통제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환경재설계를 통해 범죄 예방 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외부인을 감지하고, 외부인의 행동이나 이동패턴 분석을 토대로 특정 장소나 사적 공간에 대한 접근 및 출입을 관리하도록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개입 없이 각종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 및 출입하는 외부인을 감지하고, 외부인의 움직임에 대한 패턴을 추출하여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감지 및 추론하고,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외부인에게 영역 인지나 접근 제어와 관련된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예측모델 학습부, 특정 장소나 공간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는 행위 추적부, 상기 추적한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하는 범죄행위 예측부 및 상기 추정한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대응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응처리부에서 수행하는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는,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외부인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별은, 얼굴인식, 걸음걸이 인식,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상기 외부인 식별부의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인의 행위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토대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처리부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의 순차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디바이스 제어부 및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은,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예측모델 생성 단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특정 장소나 공간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는 행위 추적 단계, 상기 추적한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하는 범죄행위 예측 단계 및 상기 추정한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대응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처리 단계에서 수행하는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는,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은,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수집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외부인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인 식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식별은, 얼굴인식, 걸음걸이 인식,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은, 상기 외부인 식별 단계에서 수행한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인의 행위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토대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처리 단계는,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의 순차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디바이스 제어 단계 및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외부인을 인식함과 동시에 외부인의 행동이나 이동패턴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범죄행위가 예측되는 경우 영역 인지, 영역성 강화를 위한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환경재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범죄와 연관성 있는 외부인에 대하여 지능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범죄를 계획하는 외부인이 자신의 행동이 감시당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범죄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인의 보행 및 행위의 감지를 토대로 범죄 예비행위를 예측하여 특정 장소나 제한된 공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범죄 발생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동주택단지, 공원, 공중 화장실, 공공장소, 우범지역 등에서 안전한 보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접근 제어 강화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근제어 및 영역성 강화 조치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CTV 감시나 영상인식을 통한 범죄 발생 이후의 범죄 용의자 추적에 관한 것이 아닌,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환경재설계를 통해 범죄가 발생하기 전에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범죄 예방 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범죄와 연관성 있는 외부인에 대하여 지능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셉테드의 기본원리는 시설물을 바꿔서 자연감시를 수행하는 방식, 접근제어를 수행하는 방식, 영역성을 강화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스마트 셉테드를 이용한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이 중에서 접근제어와 영역성 강화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기존에 수행하던 영상처리 방식과는 차별성이 분명하다.
예를 들어,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에서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영상정보나 센싱정보(예를 들어 개인인증을 위한 얼굴인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의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를 분석하여 우리지역의 주민인지의 여부를 식별 및 인식하고, 우리 지역을 방문하는 외부인의 이동경로에 따라 스피커 등의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음성로고, 음성안내 등을 제공하여 우리지역임을 알리고, 이를 통해서 외부인은 자신의 행동이 감시되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어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기존의 셉테드에서 수행하는 마을 주위에 보도블록 색상을 바꾸거나, 아치 등의 시설물에 초점을 두는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하는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토대로 외부인의 이동패턴이나 행동패턴(예를 들어, 특정 건물이나 장소의 지속적인 관찰 동작, 동일 지역의 배회 동작, 숨는 동작, 두리번거림 등)을 시계열적으로 추출하여 범행물색을 하는 듯한 행위를 하는 사람을 식별한 후, 해당 사람이 위치한 지역에 구비된 스피커, 표시장치, 록킹장치, 조명 등의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미리 영역성을 인지시키거나 이동패턴 및 행동패턴에 대한 경고방송을 수행하고, 필요시 외부인이 접근하려는 건물이나 공공시설 등의 출입을 제한(즉 진입하지 못하도록 출입문을 강제로 폐쇄하는 것)하는 보안 강화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을 식별한 다음, 사람들의 이동패턴이나 행동패턴을 시계열적으로 추출하여 범죄행위의 사전 징후를 감지하고, 해당 사람에게 경계를 인식시켜주고 접근제어를 강화함으로써,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추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로 관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기계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한 다음,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을 방문하는 외부인들의 행위를 추적하고, 외부인의 행위 추적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행위가 범죄의 사전행위인지를 추정하며, 만일 상기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추정값이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하면 범죄 사전행위로 예측하고 즉각적으로 외부인에 대한 접근제어를 하거나 영역성 강화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
이때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는, 외부인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등의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 등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람의 개입 없이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을 방문한 외부인이 범죄대상이나 장소를 물색하기 위한 행동을 수행하거나 계획하고자 할 때,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하는 영상정보 등을 분석하여 외부인의 범죄 사전행위를 추정한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의 원격제어에 따라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제공되는 지역에 대한 안내방송, 사전 범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출입문 폐쇄 등을 통해 범죄를 원천적으로 일으킬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범죄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접근 제어 강화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감지 디바이스(100), 복수의 범죄예방 디바이스(200),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으로 구성된다.
감지 디바이스(100)는 CCTV나 IP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카메라, 거주민이나 외부인의 개인인증이나 동작감지를 위한 각종 센서(예를 들어, 홍채나 지문 등의 생체정보 인식을 위한 생체인식센서, 이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 열 감지를 위한 적외선 센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으로서,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는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을 방문하거나 통과하는 사람들을 촬영한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의 원격 제어를 토대로 접근대상 강화대상 지역의 촬영 및 센싱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는 지역안내방송이나 범죄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스피커나 표시장치, 특정 건물이나 시설의 출입관리를 위한 록킹장치, 야간에 거주민이나 방문자의 검출 및 이동에 따라 조명을 수행하는 각종 조명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와 마찬가지로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는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위치한 외부인의 범죄 사전행위를 검출하는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의 구동제어를 토대로 동작하여, 범죄를 계획하는 외부인에게 감시중임을 알려 범죄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 및 상기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는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와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된 각종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하는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토대로 해당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으로 진입하는 사람을 인식하여 범죄 사전행위를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추출 및 분석하고, 범죄 사전행위로 예측되는 경우 해당 사람에게 지역안내방송이나 범죄 사전행위로 예측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방송을 수행하거나, 해당 사람이 진입하고자 하는 건물이나 시설의 출입문 록킹제어를 원격에서 수행함으로써,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거주민들의 정보(예를 들어, 얼굴, 홍채, 지문, 걸음걸이 등)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경찰청 등의 정부기관이나 연구기관으로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고, 빅데이터로 관리중인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특징별로 클러스터링한 후 클러스터링된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며, 상기 예측모델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된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로부터 거주민 여부 확인을 위한 얼굴, 홍채, 지문, 걸음걸이 등의 개인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중인 거주민 데이터와 매칭하여 일치되는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면 범죄 사전행위 추정을 통한 접근 제어 강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거주민 여부 판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면, 해당 외부인의 이동패턴이나 행동패턴을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나 센싱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된 외부인의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예측모델에서 추정한 추정값과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외부인이 범죄 사전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즉각적으로 해당 외부인에 대한 접근제어 및 영역성 강화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 즉 외부인이 위치한 지역의 스피커나 표시장치를 통해 지역에 관한 안내방송이나 범죄 사전행위가 예측되었음을 경고하는 방송을 출력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인이 건물이나 시설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해당 건물이나 시설의 출입문 록킹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별로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감지 디바이스(100) 및 범죄예방 디바이스(200)의 정보(예를 들어, 식별정보, 제원, 설치위치 등)를 저장,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별 거주민들의 얼굴, 홍채, 지문, 걸음걸이 등에 대한 개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경찰청 등의 정부기관이나 연구기관으로 수집한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저장, 관리하며, 상기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기계학습하여 생성한 예측모델을 저장, 관리한다.
한편,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클러스터링부(320), 예측모델 학습부(330), 정보 수집부(340), 외부인 식별부(350), 행위 추적부(360), 범죄행위 예측부(370), 대응처리부(380)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감지 디바이스(100) 및 범죄예방 디바이스(200)와 통신 접속되며,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수집부(34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대응처리부(380)에서 수행하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특정 외부인에게 제공하기 위한 해당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를 위한 록킹제어신호 등을 해당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의 특정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로 출력한다.
클러스터링부(32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빅데이터로 저장, 관리중인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각각의 범죄행위별 특징별로 분류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예측모델 학습부(330)는 상기 클러스터링부(320)에서 클러스터링된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며, 생성된 예측모델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예측모델 학습부(330)는 주기적으로 각각의 범죄행위별 패턴을 토대로 예측모델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수집부(34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별로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며,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외부인 식별부(350)로 출력한다.
외부인 식별부(350)는 상기 정보 수집부(340)에서 수집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이때 거주민 여부의 식별은 얼굴인식, 걸음걸이 인식,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고 있는 해당 지역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한다.
행위 추적부(36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집한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별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며, 추적한 행위정보를 범죄행위 예측부(37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행위 추적부(360)는 상기 외부인 식별부(350)의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인의 행위를 추적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주민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범죄행위 예측부(370)는 상기 행위 추적부(36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사람의 움직임을 추적한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 학습부(330)를 통해 생성한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하며, 추정 결과를 대응처리부(380)로 출력한다.
대응처리부(380)는 상기 범죄행위 예측부(370)를 통해 추정한 추정값이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대응처리부(380)에서 수행하는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는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제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대응처리부(380)는 감지 디바이스 제어부(382)와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부(384)로 구성된다.
감지 디바이스 제어부(382)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100)의 순차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부(384)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접근제어 및 영역성 강화 조치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경찰청 등의 정부기관이나 연구기관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수집하여 빅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S100).
이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S100 단계를 통해 수집, 관리중인 각종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범죄별 특징별로 분류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한 다음 클러스터링 데이터를 토대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생성한 예측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S200).
이때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추가로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별로 거주민들의 식별을 위한 얼굴, 홍채, 지문, 걸음걸이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로 저장, 관리한다.
이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된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사람이 접근하여 이동하거나 특정 행위를 수행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300).
상기 S300 단계의 판단결과 특정 장소나 공간에 접근한 사람의 이동이나 행위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에서 사람의 인식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중인 거주민 정보와 매칭하여 거주민인지 또는 외부인지를 식별한다(S400). 즉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에서 추출한 얼굴, 걸음걸이,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이다.
상기 S400 단계의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해당 장소나 공간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여 행위정보를 생성한 후(S500), 추적한 외부인의 행위정보를 상기 S200 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한다(S600). 이때 상기 S500 단계의 행위정보 추적은 S400 단계에서 식별한 외부인인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거주민으로 식별된 경우에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상기 S600 단계를 통해 상기 예측모듈을 통해 추정한 추정값이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700). 즉 현재 외부인이 수행하는 행위정보가 범죄의 사전행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S70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예측모델을 통해 추정한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해당 외부인의 행위를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한다(S800). 즉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에서 해당 접근제어 강화대상 지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통해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제어를 수행하는 등의 직접적인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S800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범죄 사전행위를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외부인의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 내용을 결정하고(S810), 외부인과 가장 근접한 범죄예방 디바이스(200)를 확인한다(S820).
그리고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상기 S820 단계에서 확인한 해당 범죄예방 디바이스(2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S810 단계에서 결정된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등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제어를 수행한다(S830).
이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해당 지역에 구비된 감지 디바이스(100) 및 범죄예방 디바이스(200)의 구동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며(S840), 상기 S840 단계를 통해 상기 감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정보 및 센싱정보를 토대로 해당 외부인이 지역을 이탈하거나 범죄 사전행위를 해소하였는지를 확인한다(S850).
상기 S800 단계를 통해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정한 특정 외부인의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한 이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300)는 해당 외부인이 지역을 이탈하거나 범죄 사전행위를 해소하였는지를 판단하고(S900), 외부인이 지역을 이탈하거나 범죄 사전행위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까지 외부인의 행위 추적, 범죄 사전행위 추정, 접근제어 및 영역성 강화 조치의 상기 S500 단계 내지 S800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외부인을 인식하고, 이동 및 행동패턴 분석을 통해 범죄행위가 예측되면 영역 인지, 영역성 강화를 위한 음성안내, 경고방송, 출입관리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환경재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범죄와 연관성 있는 외부인에 대하여 지능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범죄를 계획하는 외부인이 자신의 행동이 감시당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범죄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인의 범죄행위 예측을 통해 특정 장소나 제한된 공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범죄 발생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장소나 우범지역에서의 안전한 보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감지 디바이스 200 : 범죄예방 디바이스
300 : 접근 제어 강화 서버 310 : 통신부
320 : 클러스터링부 330 : 예측모델 학습부
340 : 정보 수집부 350 : 외부인 식별부
360 : 행위 추적부 370 : 범죄행위 예측부
380 : 대응처리부 382 : 감지 디바이스 제어부
384 :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부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예측모델 학습부;
    특정 장소나 공간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는 행위 추적부;
    상기 추적한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하는 범죄행위 예측부; 및
    상기 추정한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대응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응처리부에서 수행하는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는,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외부인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얼굴인식, 걸음걸이 인식,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은,
    상기 외부인 식별부의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인의 행위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토대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응처리부는,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의 순차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디바이스 제어부; 및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7.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행위에 대한 패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예측모델 생성 단계;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특정 장소나 공간에 위치한 사람의 행위를 추적하는 행위 추적 단계;
    상기 추적한 행위정보를 상기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범죄의 사전행위인지의 여부를 추정하는 범죄행위 예측 단계; 및
    상기 추정한 추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범죄의 사전행위로 판단하여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대응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응처리 단계에서 수행하는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는,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장소나 공간에 대한 음성안내, 범죄의 사전행위에 대한 경고방송, 특정 건물의 출입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은,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수집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이 거주민인지 아니면 외부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외부인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부인 식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식별은,
    얼굴인식, 걸음걸이 인식, 지문이나 홍채의 생체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거주민별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거주민 또는 외부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강화 방법은,
    상기 외부인 식별 단계에서 수행한 식별결과 외부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인의 행위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토대로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응처리 단계는,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감지 디바이스의 순차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 디바이스 제어 단계; 및
    상기 접근 제어 강화 서버에서, 범죄의 사전행위를 수행한다고 판단된 사람의 이동 동선에 따라 접근제어나 영역성 강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해당 지역이나 공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스피커, 조명, 표시장치, 록킹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범죄예방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범죄예방 디바이스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방법.
KR1020170076424A 2017-06-16 2017-06-16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24A KR20180137155A (ko) 2017-06-16 2017-06-16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24A KR20180137155A (ko) 2017-06-16 2017-06-16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155A true KR20180137155A (ko) 2018-12-27

Family

ID=6495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424A KR20180137155A (ko) 2017-06-16 2017-06-16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1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568A (zh) * 2019-05-15 2019-09-17 特斯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区域安防方法和系统
CN110830767A (zh) * 2019-10-31 2020-02-21 深圳大学 一种主动智能行为分析报警装置
KR102292478B1 (ko) 2020-11-25 2021-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의 셉테드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셉테드 인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568A (zh) * 2019-05-15 2019-09-17 特斯联(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区域安防方法和系统
CN110830767A (zh) * 2019-10-31 2020-02-21 深圳大学 一种主动智能行为分析报警装置
KR102292478B1 (ko) 2020-11-25 2021-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의 셉테드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셉테드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6109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停车场安全监控管理系统及方法
KR101387628B1 (ko)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장치
WO2015136938A1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644443B1 (ko) 시공적 상황데이터를 이용한 경고 방법 및 시스템
CN110674761B (zh) 一种区域行为预警方法及系统
KR102012672B1 (ko) 얼굴인식 기반의 사람 특징인식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77550A1 (en) Sensor and data fusion
KR20180137155A (ko) 스마트 셉테드 기반의 접근 제어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49080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入場管理装置、および入場管理方法
CN112183162A (zh) 一种监控场景下人脸自动注册识别系统及方法
JP6837650B1 (ja) 危険度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2014187645A (ja) 監視システム、撮像装置、サーバ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21092B1 (ja) 危険度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2330742A (zh) 公共区域重点人员活动路线记录方法及装置
JP2019159377A (ja) 監視システム、サーバ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739119B6 (ja) 危険度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2039404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39115B1 (ja) 危険度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20220159841A (ko) 건설 현장에서 등록/미등록 차량 출입관리와 탑승자 자동 인지 출입관리를 위한 스마트 현장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76936B1 (ko) 추적 대상 통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능형 로봇 감시서비스 시스템
KR20160086536A (ko) 시공적 상황데이터를 이용한 경고 방법 및 시스템
JP7309189B2 (ja) 危険度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2667443B1 (ko) 주거지용 주차 관리 방법
KR20230169497A (ko) 비인가 출입자의 출입동선을 분석할 수 있는 출입영상 저장장치
CN118138726A (zh) 一种智能楼宇安防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